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NEW PAPER MACHINE CONTROL CHALLENGES IN WET END : CONSISTENCY CONTROL SOLUTIONS

        Rantala, Timo,Nokelainen, Jukka,Huhtelin, Taisto,Sopenlehto, Taina 강원대학교 부설 창강제지 기술연구소 1998 제지기술 Vol.- No.12

        With new dilution headboxes the CD variation of paper quality has been decreased significantly. At the same time fiber orientation can be controlled independently of basis weight control, when edge flow controls are available. The dilution headbox, utilizing white water as dilution water, brings changes to the structure of the short circulation. There are new interactions between subprocesses and control loops to be turned. When white water is used for dilution it means that its consistency level and short time variation affects on the dilution control performance. The dilution process gain depends on the consistency difference between headbox and dilution water. So it is quiet obvious that consistencies and consistency controls play a key role in stabilizing the short circulation and ensuring excellent performance of the CD control. The principles, applications, and practical results of the consistency controls on various paper machines with dilution headbox are presented.

      • KCI우수등재

        스토리지 클래스 메모리를 위한 롤백-복구 방식의 데이터 일관성 유지 기법

        이현구(Hyun Ku Lee),김정훈(Junghoon Kim),강동현(Dong Hyun Kang),엄영익(Young Ik Eom)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 2015 정보과학회논문지 Vol.42 No.1

        Storage Class Memory(SCM) has been considered as a next-generation storage device because it has positive advantages to be used both as a memory and storage. However, there are significant problems of data consistency in recently proposed file systems for SCM such as insufficient data consistency or excessive data consistency-control overhead. This paper proposes a novel data consistency-control scheme, which changes the write mode for log data depending on the modified data ratio in a block, using a rollback-recovery scheme instead of the Write Ahead Logging (WAL) scheme. The proposed scheme reduces the log data size and the synchronization cost for data consistency. In order to evaluate the proposed scheme, we implemented our scheme on a Linux 3.10.2- based system and measured its performance. The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our scheme enhances the write throughput by 9 times on average when compared to the legacy data consistency control scheme.

      • KCI등재

        기본 사본을 갖는 P2P 멀티플레이어 게임 구조의 수준별 일관성 제어 기법

        김진환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5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5 No.4

        멀티플레이어 온라인 게임(MOG)은 수백 또는 수천명의 플레이어들을 위한 게임이며 대부분 인터넷을 이용하 여 수행된다. MOG를 위한 P2P(peer-to-peer) 구조는 잠재적으로 규모조정성 증대, 비용 절감, 성능 향상 등이 가능하 다. P2P 기반 게임의 기본 개념은 게임 상태를 플레이어들에게 분산 시켜서 각 플레이어가가 처리, 통신, 저장 업무를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다. 객체에 대한 갱신 과정이 기본 사본에서 먼저 수행되는 기본 사본 기반 복제 기법에서도 객 체들의 기본 사본은 플레이어들 간에 분산된다. 대부분의 멀티플레이어 게임은 각 객체마다 강한 일관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기본 사본 모델을 사용한다. 게임은 여러 수준의 민감도를 가지며 각각의 일관성 요건에 따라 영역화될 수 있 는 다양한 유형의 게임 액션들로 구성된다. 게임 내에서 각 액션의 유형마다 적절한 일관성 수준이 유지될 때 본 논 문에서는 게임 개발업체가 성능과 일관성 간에 적절한 상충 관계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기본 사본 모델을 갖는 P2P 게임 구조에 대한 성능 분석 결과가 기술된다. A Multiplayer Online Game(MOG) is a game capable of supporting hundreds or thousands of players and is mostly played using the Internet. P2P(peer-to-peer) architectures for MOGs can potentially achieve high scalability, low cost, and good performance. The basic idea of many P2P-based games is to distribute the game state among peers and along with it processing, network, and storage tasks. In a primary-copy based replication scheme where any update to the object has to be first performed on the primary copy, this means distributing primary copies of objects among peers. Most multiplayer games use a primary-copy model in order to provide strong consistency control over an object. Games consist of various types of actions that have different levels of sensitivity and can be categorized according to their consistency requirements. With the appropriate consistency level of each action type within a game, this paper allows developers to choose the right trade-off between performance and consistency. The performance for P2P game architecture with the primary-copy model is evaluated through simulation experiments and analysis.

      • KCI등재

        행정조달계약의 법적 성격 재조명에 따른 입법적 통제 방안

        홍성진(Hong, Sung-Jin) 한국비교공법학회 2018 공법학연구 Vol.19 No.1

        행정조달계약은 국가, 지방자치단체 등 행정주체가 공공의 필요에 따른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사인(私人)과 체결하는 공사·물품·용역 등의 계약으로서 계약체결의 주체, 내용, 방식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공법상 계약으로 보아야 한다. 또한, 행정조달계약을 규율하고 있는 예규는 그 형식이 비록 행정규칙이나, “국가계약법” 및 “지방계약법”의 직접적인 위임에 따라 위임행정기관이 그 법령을 시행하는데 필요한 구체적인 사항을 정한 것으로서, 이는 상위법령과 결합하여 대외적 구속력이 인정되는 법령보충규칙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이 경우 법률유보의 원칙 등 공법상 원리에 의하여 규율된다. 행정조달계약의 대상 가운데 공사 계약이 차지하는 비중은 약 30%로서 공사계약의 효율성·건전성 제고를 위한 통제가 매우 중요하다. 이를 위하여 2009년 정부는 주계약자 관리방식을 본격적으로 도입하였다. 동 제도는 건설하도급 및 기존 공동도급제도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중소건설기업 보호 및 대·중소기업 간 상생발전, 지역경제 활성화·고용 창출 등의 정책 수단으로 활용되는 등 공공복리의 향상에 기여하고 있다. 그런데 전체 공공공사 가운데 주계약자 관리방식으로 발주되는 공사는 약 1.1%에 불과하고, 입법적으로 포괄위임금지의 원칙, 적법절차의 원칙, 체계정당성 원리 위배 등 많은 문제점이 나타나고 있는바, 입법 통제가 필요하다. The government procurement are contracts such as goods, construction works, or services that are contracted with between the administrative agencies, local governments and individual to meet the demand according to the needs of the public. The established rule which governs the government procurement is a specific provision in accordance with direct delegation of the “Act on contracts to which the state is a party” and “Act on contracts to which a local government is a party”, although its form is administrative regulations. Therefore, this should be regarded as a administrative rules involving civil rights or duties. In this case, it is governed by the principle of public law, such as the principle of statutory reservation. The portion of the construction contract is about 30% of the total government procurement, and the control of the construction contract is critical to achieving the efficiency and soundness of the contract. In 2009,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contracting with a team consisting of general contractor & specialty contractor. It contributes to improvements in common good by solving the problems of subcontract of construction and joint contract, protecting the small-medium enterprises and collaborative cooperation between large enterprises and small-medium enterprises, promoting mutual growth between large and small enterprises, activating regional economy and the creation of employment. However, only about 1.1% of all public works are ordered by the contracting with a team consisting of general contractor & specialty contractor, and there are many problems such as the principle of prohibition of comprehensive mandate of legislative Power, due process, unity and consistence of legal system, so need for parliamentary control.

      • KCI등재

        대표이사를 통하여 회사와 거래한 상대방의 보호요건에 관한 대법원 판결에 대한 연구

        이훈종 한국경제법학회 2012 경제법연구 Vol.11 No.2

        대표이사를 통하여 회사와 거래한 상대방의 보호요건에 관한 대법원 판결이 형평에 부합하게 통일적으로 해석하였느냐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의문이 있다. 대법원 판결에 따르면 대표권이 남용되는 경우와 대표권의 존부가 문제되는 경우 거래상대방의 보호요건에는 차이가 있다. 여기서 대표권이 남용되는 경우와 대표권의 존부가 문제되는 경우 거래상대방의 보호요건을 통일적으로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대표권이 남용되는 경우 대부분의 판례에 따르면 회사는 과실 있는 선의자에게 대항할 수 있다고 한다. 그러나 대표권의 존부가 문제되는 표현대표이사의 행위인 경우 회사는 중과실 있는 선의자에게 대항할 수 있다고 한다. 이러한 논리에 따르면 대표권을 남용한 적법한 대표이사와 거래하는 자보다 적법한 대표이사가 아닌 자와 거래하는 자가 보다 두텁게 보호받을 수 있다. 대법원에 따르면 대표이사의 대표권이 내부적으로 제한되는 경우와 지배인의 지배권이 내부적으로 제한되는 경우 거래상대방의 보호요건에는 차이가 있다. 여기서 대표권이 내부적으로 제한되는 경우와 지배권이 내부적으로 제한되는 경우 거래상대방의 보호요건을 통일적으로 처리하지 못하고 있다는 문제가 제기된다. 대법원에 따르면 법인의 대표자가 이사회 결의를 거쳐야 할 대외적 거래행위에 관하여 결의를 거치지 아니한 경우 거래상대방이 이사회 결의가 없었음을 알았거나 알 수 있었을 경우가 아니라면 거래행위는 유효하다고 한다. 이 경우 거래상대방의 악의나 과실은 거래행위의 무효를 주장하는 자가 입증하여야 한다. 이에 비하여 비교적 최근 대법원 판결에 따르면 영업주가 지배인의 권한을 내부적으로 제한한 경우 거래상대방에게 중대한 과실이 있는 경우 대항할 수 있다고 한다. 지배인보다 권한의 범위가 넓은 대표이사와 거래하는 경우 오히려 거래상대방의 보호요건이 엄격하다는 점은 의문이다. 지배인 제도에 의하여 상인은 기업활동의 범위를 확장할 수 있다. 또한 지배인을 통하여 상인과 거래하려는 자는 대리권의 유무를 일일이 확인할 필요 없이 계약을 체결할 수 있으므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거래할 수 있다. 대표이사의 대표권은 포괄적이며 정형적으로 법정되어 있는 점에서 지배인의 지배권과 유사하지만, 지배권은 특정한 영업소의 영업에 한정되는데 비해 대표권은 전 영업에 미치는 점이 다르다. 대표이사 제도의 취지에 비추어 본다면 거래상대방이 조금만 주의를 기울였다면 대표이사의 대표권이 제한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조금도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서 대표이사의 대표권이 제한되었다는 것을 몰랐던 경우 주식회사가 책임을 지지 아니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거래상대방이 조금만 주의를 기울였다면 대표권이 남용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던 경우, 표현대표이사라는 것을 알 수 있었던 경우 및 지배권이 제한되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던 경우도 동일하다. 따라서 지배인, 대표이사 또는 표현대표이사를 통하여 회사와 거래한 상대방에게 중과실이 없는 경우 보호받을 수 있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이런 시각에서 본다면 거래상대방이 지배인이나 대표이사를 통하여 회사와 거래하는 경우에는 직원을 통하여 회사와 거래하는 경우에 비하여 완화된 주의의무를 부담한다. One may doubt as to whether the Supreme Court ruling on the protection requisite of the counterparty who dealt with the company through the Chief Executive Officer (CEO) comes up to the standards of equity and consistency.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ruling, when the representative authority is abused and when its existence is disputed, there exists a difference in the protection requisite of the counterparty. When the representative authority is abused and when its existence is disputed, this brings up a problem of protection requisite of the counterparty not being handled consistently. When representative authority is abused, according to most rulings, the company has a right to take action against a bona fide person at fault. However, in the case of action of an apparent CEO, where the existence of representative authority is disputed, the company cannot take action against a bona fide person at fault but has a right to take action against a bona fide person for gross negligence. According to this logic, a person who deals with a person who is not a lawful CEO is better protected than a person who deals with a lawful CEO who abuses his representative authority. According to the Supreme Cour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protection requisite of the counterparty when the representative authority of a CEO is internally restricted and when the management control of a manger is internally restricted. This brings up a problem that the protection requisite of the counterparty is not handled consistently when the representative authority is internally restricted and when the management control is internally restricted. The Supreme Court argues, without making distinction between legal restriction and internal restriction, when a representative of a corporation did not go through the corporate resolution on the outside transaction which needs a board of directors resolution, the transaction is valid if the counterparty knew or was able to know that there was no board resolution. On the contrary, according to a relatively recent Supreme Court ruling, when a business proprietor internally restricts the power of a manager and when there is a gross negligence on the part of the counterparty, an action can be taken. Questions remain on the fact that the protection requisite of a third party is rather severely restricted when dealing with a CEO whose extent of authority is wider than that of a manager. In view of the aim of the CEO system, representative authority of the CEO would have been restricted if the other party to the transaction were a little more careful, but when the other party was unaware that the representative authority of the CEO is restricted because he exercised no caution at all, it is reasonable for the corporation to not bear the responsibility. The same principle applies when the other party to a transaction, by exercising a little caution, could have known that representative authority was abused, or when he could have known that he is dealing with an apparent CEO, or when he could have known that management control was restricted. It is therefore reasonable to assume that when the counterparty, who deals with the company through a mananger, a CEO, or an apparent CEO, has no gross negligence, he can be protected.

      • KCI등재

        자아 일관성과 주관적 안녕감자아 통제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육근영,방희정,옥정 한국심리학회 산하 한국발달심리학회 2006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Vol.19 No.3

        The current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perceived control on the self-consistenc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 among self-consistency, perceived control on the self, and subjective well-being. Subjective well-being(SWB) refers to people's own evaluations of their lives. Participants were 247 undergraduates at the 6 universities in Seoul. They completed Self-Consistency scale;. Satisfaction withj Life Scale(SWLS), Intensity & Time Affect Scale(ITAS), and Perceived control on the self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with Pearson'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path analysis by the AMOS 5.0 program. The currenct study demonstrated that perceived control on the self mediated self-consistency and subjective well-being. Specifically, self-consistency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positive affect when the effect of perceived control on the self was removed. So the association between self-consistency and subjective well-being might be spurious. 본 연구에서는 자아 일관성과 자아 통제감, 주관적 안녕감을 함께 고려한 모형 설정을 통해 이들 변인들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았다. 기존 연구들이 주로 자아 일관성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의 단선적 관계에 주목하였다면, 본 연구는 자아 일관성과 주관적 안녕감 사이의 관계뿐 아니라 자아통제감이 이 두 변인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지에 초점을 두었다. 연구대상으로 서울시 소재 6개 대학에 재학중인 남녀 대학생 247명의 자료를 분석했다. 이를 위해 자아 일관성 척도, 자아 통제감 척도, 주관적 안녕감 척도가 사용되었다. 결과 분석에서 각 변인들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고, 다중 회귀분석에 이어 연구모형을 설정하여 경로분석을 통한 자아통제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자아 일관성은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아 통제감도 주관적 안녕감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그러나 자아 통제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를 통제하였을 때, 자아 일관성은 부정 정서를 제외한 주관적 안녕감 변인에 유의미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자아통제감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력은 자아 일관성의 효과를 통제한 경우에도 유의미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에서 설정한 매개모형을 통해 자아 일관성과 주관적 안녕감에 대한 자아 통제감의 완전 매개효과가 지지되었으며, 부정 정서에 대해서는 부분 매개효과가 지지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시사점은 자아 일관성 변인 자체보다는 자아에 대한 통제감이 심리적 적응에 중요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논의되었다.

      • 공기압 실린더의 위치제어 일관성을 위한 제어 알고리즘

        이지훈(Ji-Hoon Lee),남윤주(Yun-Joo Nam),박명관(Myeong-Kwan Park) 대한기계학회 2007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7 No.10

        This paper presents a novel control scheme for ensuring the position control consistency of the pneumatic cylinder featured with two flow control valves. The proposed control scheme makes pressure variations with respect to time in both chambers of the pneumatic cylinder identical in magnitude but different in direction. With this control scheme, the chamber pressures can return to the initially setting value, and therefore the position control consistency can be ensured.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ontrol performance in the viewpoint of accuracy and repeatability, a series of simulations and experiments are performed using multi-stepwise position trajectories. Through the comparison study between simulation analyses and experimental results, the feasibility and practicability of the proposed control scheme are verified.

      • KCI등재후보

        식품위해요소관리(HACCP)정보가 독자기업브랜드 및 지역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정형식(Jung, Hyung-Shik),박종철(Park, Jong Chul),김영심(Kim, Young Shim) 한국문화산업학회 2014 문화산업연구 Vol.14 No.2

        최근 친환경 및 건강식품구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식품의 안전성 및 인체 위해 여부 등의 속성중심 구매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유형(대기업, 공동기업, 중소기업)에 따라 식품의 공통속성 및 안전성속성, 품질의 일관성이 브랜드신뢰도에 미치는 영향과 후속하여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브랜드 신뢰도와 태도에 대한 기업유형과 HACCP 정보제공 전ㆍ후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식품 안전성과 HACCP의 중요성이 강화되고 있는 식품인 동시에 대기업 및 공동기업브랜드, 중소기업 모두에서 생산되고 있는 식품인 김치와 두부제품으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는 보험회사에 근무하는 주부사원 및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총 200부를 배포하여 165부를 회수하여 적합하지 않는 설문지 8부를 제외한 김치자료 82부와 두부자료 75부인 총 157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유형은 제품의 공통속성 및 안전성속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품질의 일관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제품의 공통속성 및 안전성속성은 브랜드 신뢰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식품품질의 일관성은 브랜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판매되고 있는 식품이 브랜드간 비슷한 품질수준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셋째, 기업의 유형은 브랜드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제품품질의 일관성을 매개해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신뢰도 및 태도에 있어 기업 유형과 정보제공 전/후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 HACCP 정보가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도 및 태도 형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With growing interest in eco-friendly and health food purchase in recent years, more food purchases have been based on such product attributes as food safety, health effects on body, etc.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on attributes, safety attributes, quality consistency of food on brand trust by company type (large, joint, small and medium-sized), and subsequently, on brand attitude. In addition, the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by company types before and after providing information on HACCP. Gimchi and tofu were selected for the study due to the importance of food safety and the importance of HACCP for both products. In addition, they are manufactured by large companies as well as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with 200 employees at insurance and other companies. Of 165 questionnaires collected, a total of 157 questionnaires (82 on gimchi and 75 on tofu)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incomplete 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types of company were found to affect the common attribute and the safety attribute of a product, but not quality consistency; 2) the common attribute and the safety attribute of a produc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trust. However, product quality consistency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trust, implying that the quality of product is not perceived differently based on brand types; 3) the types of company affected brand attitude both directly and through quality consistency; 4) as to brand trust, and brand attitude,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between company types and before/after information. The results of study imply that HACCP information means the important attribute on the consumers food evaluation. 최근 친환경 및 건강식품구매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식품의 안전성 및 인체 위해 여부 등의 속성중심 구매가 늘어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기업의 유형(대기업, 공동기업, 중소기업)에 따라 식품의 공통속성 및 안전성속성, 품질의 일관성이 브랜드신뢰도에 미치는 영향과 후속하여 브랜드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또한 브랜드 신뢰도와 태도에 대한 기업유형과 HACCP 정보제공 전ㆍ후의 상호작용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식품 안전성과 HACCP의 중요성이 강화되고 있는 식품인 동시에 대기업 및 공동기업브랜드, 중소기업 모두에서 생산되고 있는 식품인 김치와 두부제품으로 선정하여 조사하였다. 조사는 보험회사에 근무하는 주부사원 및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총 200부를 배포하여 165부를 회수하여 적합하지 않는 설문지 8부를 제외한 김치자료 82부와 두부자료 75부인 총 157부를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업의 유형은 제품의 공통속성 및 안전성속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품질의 일관성에는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지 않았다. 둘째, 제품의 공통속성 및 안전성속성은 브랜드 신뢰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식품품질의 일관성은 브랜드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판매되고 있는 식품이 브랜드간 비슷한 품질수준으로 인식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이해된다. 셋째, 기업의 유형은 브랜드 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제품품질의 일관성을 매개해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브랜드 신뢰도 및 태도에 있어 기업 유형과 정보제공 전/후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 HACCP 정보가 소비자의 브랜드 신뢰도 및 태도 형성에 매우 중요한 요소임을 시사하고 있다. With growing interest in eco-friendly and health food purchase in recent years, more food purchases have been based on such product attributes as food safety, health effects on body, etc.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ommon attributes, safety attributes, quality consistency of food on brand trust by company type (large, joint, small and medium-sized), and subsequently, on brand attitude. In addition, the study explored the differences by company types before and after providing information on HACCP. Gimchi and tofu were selected for the study due to the importance of food safety and the importance of HACCP for both products. In addition, they are manufactured by large companies as well as small and medium-sized companies.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with 200 employees at insurance and other companies. Of 165 questionnaires collected, a total of 157 questionnaires (82 on gimchi and 75 on tofu) were used in the final analysis excluding incomplete ones.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the types of company were found to affect the common attribute and the safety attribute of a product, but not quality consistency; 2) the common attribute and the safety attribute of a product showed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trust. However, product quality consistency did not show a significant effect on brand trust, implying that the quality of product is not perceived differently based on brand types; 3) the types of company affected brand attitude both directly and through quality consistency; 4) as to brand trust, and brand attitude, interaction effects were found between company types and before/after information. The results of study imply that HACCP information means the important attribute on the consumers food evaluation.

      • 공기압 실린더의 위치제어 일관성을 위한 제어 알고리즘

        이지훈(Ji-Hoon Lee),남윤주(Yun-Joo Nam),박명관(Myeong-Kwan Park) 대한기계학회 2007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7 No.5

        This paper presents a novel control algorithm for position control of pneumatic cylinder. Generally, it is difficult to control the pneumatic servo system, due to nonlinearities such as air compressibility, the opening area of the valve, and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cylinder and the piston. Especially, it is of significant importance for the control consisten-cy to return the cylinder pressures at equilibrium point to the initial states, still with guaranteeing the continuity of the pressures. For this purpose, the proposed control algorithm makes pressures of both cylinder chambers identical in magnitude but different in direction. The effectiveness and practicability of the control algorithm for the precise position control of the pneumatic cylinder are verified through the simulation study.

      • KCI등재

        A Consistent Quality Bit Rate Control for the Line-Based Compression

        Jung-Sik Ham,Ho-Young Kim,Seong-Won Lee 대한전자공학회 2016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 Computing Vol.5 No.5

        Emerging technologies such as the Internet of Things (IoT) and the Advanced Driver Assistant System (ADAS) often have image transmission functions with tough constraints, like low power and/or low delay, which require that they adopt line-based, low memory compression methods instead of existing frame-based image compression standards. Bit rate control in the conventional frame-based compression systems requires a lot of hardware resources when the scope of handled data falls at the frame level. On the other hand, attempts to reduce the heavy hardware resource requirement by focusing on line-level processing yield uneven image quality through the frame. In this paper, we propose a bit rate control that maintains consistency in image quality through the frame and improves the legibility of text regions. To find the line characteristics, the proposed bit rate control tests each line for ease of compression and the existence of text. Experiments on the proposed bit rate control show peak signal-to-noise ratios (PSNRs) similar to those of conventional bit rate controls, but with the use of significantly fewer hardware resour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