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신체활동량과 우울 비교 분석

        소영호(So, Young-Ho),이호성(Lee, Ho-Seong),송영은(Song, Young-Eun),임혜걸(Ren, Hui-Jie) 한국사회체육학회 2020 한국사회체육학회지 Vol.0 No.80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on, and the effects of physical activity on depression i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Method: A total 800 copies (400 Korean & Chinese college students resepctively) of data collection were collected through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nd 740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conducted with a two-way ANOVA, a Chi-square test, and ai ms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21.0 to obtain the following results. Results: First, total physical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higher aKt orean male university students than those of Korean female university students, but they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ender at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addition, total physical activities weer significantly higher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an those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d physical activity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 and the nationality in Korean university students. Second, total depressions were significantly higher as for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han that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and total depress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 and the nationality in Korean uinversity students. In contrast, total depression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 i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Third, the physical activity showed a negative (-) effects on depression for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Conclusion: We confirmed that the physical activity and depression differde depending on gender and nationality in Korean and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d it iss uggested that the physical activity could reduce depression.

      • KCI등재

        연구논문 : 한국 대학과 중국인 유학생의 동상이몽; 서울과 지방 소재 사립대학 비교

        박소진 ( So Jin Park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3 韓國文化人類學 Vol.46 No.1

        이 글은 글로벌 대학의 위계와 불균등한 유학이라는 맥락 속에서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 선택이 어떻게 한국 대학의 국제화전략과 맞물리는지를 밝힌다. 특히 한국대학 구조의 위계 속에서 다른 위치를 가진 서울의 B대학과 지방의 C대학 사례를 통해 중국인 유학생 유치 동학(dynamics)을 비교·분석한다. B대학의 경우 대학평가, C대학의 경우 대학재정이라는 유치 동기를 가진다. 두 대학은 글로벌 대학의 위계 속에서 불안정한 위치를 공유하면서 입학의 문턱을 낮춤으로써 중국인 유학생이 약간의 경제력만 되면 손쉽게 한국 유학을 선택할 수 있는 조건을 형성한다. 이에 따라 교육, 평가, 관리등에 다양한 문제가 제기되고 있지만 공론화되지 못하고 있다. 중국인 유학생은 한국어 습득, 한국 관련 관심, 학위취득이라는 주요 동기를 공유하지만, 대학 위계에 따라 한국 유학에 대해 다른 의미를 부여한다. B대학의 중국인 유학생들은 학교 브랜드에 대한 자부심을 가지지만 학업 능력이나 언어 면에서 한계를 느끼고, 상대적으로 낮은 가치를 지니는 한국 유학을 영어권 유학의 차선책으로 인식하였다. 위상이 낮은 C대학의 경우 적극적인 유치전략과 중도탈락을 방지하기 위한 임시방편적 평가를 하기에 중국에서 대학 입시에 실패하거나 전문대를 다니는 학생들이 한국 유학을 손쉬운 대학 진학과 학위취득이 가능한 대안으로 선택하였다. 이는 학업이 아닌 돈을 벌기 위한 목적을 가진 학생들이 유입되는 부작용을 낳기도 한다. 이 글은 한국 대학의 국제화전략으로서 중국인 유학생 유치와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유학 선택의 역동적인 관계를 함께 연구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This article explores how Korean universities` globalization strategies are articulated with Chinese students` choices of study in Korea in the transnational context of hierarchical global higher education and uneven flows of students who study abroad. I compare the dynamics of recruiting Chinese students at B university in Seoul and C university in a provincial city, each of which occupies a different location in the hierarchy of the Korean higher education system. B university recruits Chinese students to promote its own global competitiveness in relation to university evaluation, while C university actively recruits them motivated by financial gain. Because both universities admit Chinese students easily without many requests, Chinese students can choose study in Korea as an easy option, if economically feasible. Although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relation to teaching, evaluating and managing Chinese students, these issues are not publicized. Chinese students come to study in Korea in order to learn Korean and get a bachelor`s degree. Chinese students in two universities, however, give study in Korea different meanings. Chinese students at B university feel pride in the brand value of B university, even while they lack the confidence of academic capacity. They also perceive study in Korea as a second best choice because it has less relative brandname value than do institutions of study in English-speaking countries. Because C university with its relatively low-rated reputation actively recruits Chinese students and adopt a stopgap measure for evaluation, Chinese students who failed to enter university or else entered a third-tier or junior college in China, perceive study in Korea as an easy second chance to get into college and get a bachelor`s degree. This study draws our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globalization strategies of Korean universities, and deepens our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students who study in Korea.

      • KCI등재

        한국과 중국의 대학생 의식 비교 : 자매결연 두 대학교 학생을 중심으로

        이정용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학종합연구센터 중국연구소 2006 中國硏究 Vol.37 No.-

        This paper presents a comparison of attitudes between Chinese and Korean university students. Compared with Korean students, on average Chinese students do not spend as much on leisure-related products or services. However expenditure on leisure related products increrases as family income increases. Similar to Korean students, most Chinese students own mobile phones. The percentages of ownership of other multimedia devices such as PC, MP3 players, and digital camera are lowerfor Chinese students than forKorean students. Chinese students as well as Korean students prospect their generation to be better off than their parents' generation. Especially, more than half of Chinese students believe their economy will catch up with Japanese economy in 30 years. As Chinese economy grows, both Chinese and Korean students do not expect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Japan to improve much. Chinese 'likeness' of Korean trend is very apparent but Korean 'likeness' of Chinese trend is very minor. It is also observed that higher percentage of Chinese students like Korea than that of Korean students like China. Sexual attitudes are very similar between the two groups. They are relatively affirmative on sexual relations before marriage. Chinese students think human network is essential for getting jobs. Korean students think English proficency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However, Chinese students spend longer hours in practicing English and reading books than Korean students. Korean students drink alcohol much more frequently than Chinese students. Also, therate of smoking is much higher for Korean students than Chinese students. No female Chinese student said she was a smoker.

      • KCI등재

        한국대학생 소비생활이미지의 탐색적 연구 : 중국유학생 관점 중심으로

        듀효민(Du Xiao Min),이희숙(Lee Hee Sook) 한국소비문화학회 2015 소비문화연구 Vol.18 No.1

        본 연구는 국내 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이 갖고 있는 한국대학생의 소비생활에 대한 이미지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40명의 중국유학생을 대상으로 2011년 9월 1일부터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유학생은 한국대학생 소비생활에 대한 이미지 중 외모중시와 관련된 소비(옷구매, 다이어트식품 및 헬스, 화장품 등)를 많이 하고 있고, 친구와의 관계에서 술자리와 외식을 자주하는 것으로 생각하고 있었다. 그리고 소비생활을 포함한 일상생활이 매우 자유롭고 자주적이라는 이미지를 강하게 갖고 있었으며, 이는 중국의 사회주의 경제체제에서 교육을 받은 중국유학생의 배경에서 비롯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중국유학생은 한국대학생이 과소비를 하지도 그리고 절약한다고도 생각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대학생 소비생활에 대해 갖고 있는 이미지가 중국유학생의 한국 거주전에 비해 거주후 '과소비 생활' 영역을 제외한 모든 소비생활 영역에서 강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the images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consumption life held by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studying in Kore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30, 2011 and 340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studying in Korea, were selected.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ho were studying in Korea had strong images that Korean university students spent their money a lot for appearance making, for hanging out with friends at bar or for having a meal with friends very often. Especially they strongly agreed that Korean university students' daily life including consumption life seemed to be free and independent from others. Whereas, for the image of overspending of Korean university students, they showed moderate level of agreement. Second, their current images toward Korean university students' consumption were found to be stronger than the pre-images before they came to Korea. Furthermore,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s with research methods in terms that the number and distribution of subjects were not proper for sound study, and that the questionnaire was also not sound because this was made based on simple pilot study. For future study, it is suggested to study the comparisons of consumption culture or attitudes toward consumption life between Korean · Chinese university students, and to study what are the negative and positive images for the other party held by Korean · Chinese university students.

      • KCI등재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 대학 선택 요인에 관한 연구

        김형재 ( Hyung Jae Kim ),최욱 ( Wook Choi ) 아시아.유럽미래학회 2012 유라시아연구 Vol.9 No.3

        세계화 추세와 한국 정부 및 대학의 노력에 힘입어 국내 학위과정 유학생 수는 2000년 3,963명에서 2010년 60,000명으로 가히 폭발적으로 증가하였다. 특히 중국인 유학생은 한국 전체 유학생의 76.6%를 차지하여 중국은 최대유학생 국가로 부상하였다. 그렇기 때문에 대부분의 대학들은 최대 유학 생군을 형성하는 중국인 유학생을 최우선적 유치대상으로 설정하고 다양한 방법을 동원하여 중국인 유학생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다. 그런데 최근 지난 몇 년간 폭발적으로 증가한 외국인 유학생의 상당수는 수도권 지역 대학으로 편중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시간이 흐를수록 더욱 더 심화되고 있다. 이 때문에 수도권을 제외한 지방의 대학들은 지역적 열세에서 벗어나지 못하여 유학생 유치 경쟁에 있어서도 우위를 점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중국 현지 5개 대학 재학생을 대상으로 중국유학생의 유학국가 선택요인, 유학대학 선택요인, 유학과정 선호도,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묻는 내용이 포함된 총 74개 설문 문항을 통하여 실증 분석을 시행하였다. 분석된 결과를 통하여 지방 대학들의 중국 유학생 유치 전략 수립에 있어 좀 더 효율적인 방향을 모색하는데 이바지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학 국가로서 한국을 선택하는 요인으로 국가 인지도, 한류영향, 유학경비, 지리적 근접성, 유학수속 절차 등 5가지를 설문 항목으로 설정하고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경제적 요인, 국가 인지도, 유학 수속 절차 순으로 유학지로서 한국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유학 경비가 저렴할수록, 선진국일수록 유학 국가로 선호하는 경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유학 수속 절차가 간단한 국가를 유학 국가로 선호하는 경향을 보였다. 한편 중국인 유학생의 유학 국가 선택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추정되던 지리적 근접성 및 한류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 유학생의 한국 대학 선택 요인에 대해 유학생 관리체계, 거주여건, 취업지원제도, 장학제도, 유학 중개 기관, 유학 경비, 어학당 서비스, 대학의 인지도, 대학의 교육 수준 등 9개 항목을 설정하여, 각 요인이 한국 대학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대학의 교육수준, 유학 경비, 유학생 관리 체계, 유학 중개 기관, 대학의 인지도, 취업지원제도, 장학제도 순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중국인 유학생은 단순히 대학의 인지도만을 중시하여 대학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유학생 관리체계, 취업지원제도, 장학제도와 같은 유학생들에게 제공되는 다양한 대학의 제반 교육 서비스도 고려하여 유학 대학을 선택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중국인 유학생들은 유학 중개 기관에서 제공하는 전반적인 한국 대학에 대한 유학 정보에 대해 신뢰감을 가지고 있고, 한국 대학을 선택함에 있어 이들 기관의 영향을 적지 않게 받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유학 생활이 장기간 지속된다는 전제 아래 선택요인 중 거주 여건이 중요한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라는 추측은 실제와 달랐다. 또한 한국대학 수학에 필수적인 한국어 능력을 배양하는 한국어 교육기관인 한국어학당 서비스 역시 대학 선택에 유의미한 영향은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한국 대학 만족도가 한국 대학 선택 의도에 미치는 영향의 경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한국 대학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한국 대학 선택 의도도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다만, 본 연구는 조사의 대상과 연구방법에 있어서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중국이라는 특정 국가의 학생만을 연구 대상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은 국내 외국인 유학생전체의 특성을 반영한다고 할 수 없다. 따라서 향후 중국인 유학생에서 전체 외국인 유학생으로 확대하여 연구를 실시해야할 것이다. 둘째, 본 연구에 사용된 설문지는 중국인 유학생의 한국대학 선택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개발된 표준화된 도구가 아니고 한국 대학 선택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연구자가 선행연구결과 등을 토대로 제작한 것이므로 연구 결과의 타당도 및 신뢰도에 한계가 있다. 좀 더 객관적이고 정확한 분석도구의 개발 등을 토대로 더 정확한 연구가 이루어져야할 것이다. 셋째, 실제 한국 유학을 선택하지 않은 학생을 대상으로 한국 유학을 선택한다는 가정 하에 진행된 연구이므로 실제 유학 실행 시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변화에 따른 차이로 인해 이를 일반화하는데 한계가 있다. 향후 보다 많고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연구를 하는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하다. 외국인 유학생 유치 정책이 지속적인 성공을 거두기 위해서는 유학생들의 유학국가 선택 요인과 대학 선택요인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토대로 한국과 국내 대학의 국제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유학생 유치 정책 및 전략을 개선해야 할 것이다. On the strength of a trend of globalization and efforts by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universities,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enrolled in degree programs in South Korea underwent an explosive rise from 3,963 in 2000 to roughly 60,000 in 2010. Meanwhile, students from China have emerged as the largest foreign consumers of South Korean higher education, accounting for fully 70% of all foreign students in the country. For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given to students in China to deter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selection of a university in South Korea an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factors and their satisfaction with overseas study opportunities in South Korea and actual intention to select a South Korean university.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five areas were identified as potential factors in the selection of South Korea as a destination for foreign studies, namely national recognition, the effects of the Korean Wave, study costs, geographical proximity, and study procedures. Examination of these areas showed economic factors to have the largest influence on the choice of South Korea as an exchange study destination, followed by national recognition and exchange study procedures. Geographical proximity and the Korean Wave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Second, nine areas were isolated for measurement in terms of their influence on Chinese students` selection of a particular South Korean university, namely its student administration system, residence conditions, employment support systems, financial aid systems, exchange placement organizations, exchange study costs, language institute services, university recognition, and university education level. The resul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for educational level, costs, administration system, placement organizations, recognition, employment support systems, and financial aid systems. Residence conditions and language institute services were found to have no significant effect. Third, satisfaction with South Korean universiti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students` intention to select a South Korean university. Higher levels of satisfaction with South Korean universities were found to be associated with high levels of intention to select a South Korean university.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is paper`s result doesn``t show all foreign students`` peculiarities who study in korea because this research only focuses on chinese students. So the focus of research should be expanded from only chinese students to all foreign students. Second, this research`s questionnaire doesn`t fully have reliability and validity. The questionnaire used in this research is not the standardized questionnaire for analyzing factors influencing the selection of universities in South korea, but maed by the researcher with other former researchers`` questionnaire. Third, the people in this study were students, who didn`t select korean university and may sellect korean university in the future. So they could make different choice when they actually go to korean university. So it is hard to sa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 general tendency. The results suggest that continued success in measures to attract foreign exchange students will require ongoing attention to the reasons that influence exchange students`` destination selection and the factors behind their selection of South Korea and its universities, using this as a basis for improvements to exchange student recruitment policies and strategies aimed at stepping up the internationalization and competitiveness of South Korea and its universities in order to continue attracting the rapidly increasingly numbers of Chinese students.

      • KCI등재

        중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 결정요인 분석

        이채식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12 미래청소년학회지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 of accultuarative str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language ability on Chinese university students' university life adjustment in Korea. The data gathered from 350 Chinese university students in Daegu-KyoungBook province. SPSSWIN/ver 12 program was used for analyzing data with frequency, t-test and ANOV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degree of female students' university life adjustment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ts'. And degree of female students' interpersonal relationshi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male studensts'. Secondly, university life adjustment of Chinese university student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acculturative stress while university life adjustmen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irdly, with multiple regression, university life adjustment was negatively influenced by several factors of acculturative stress and it was positively influenced by factors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study suggested that the university should develop international students programs based on academic adjustment, social adjustment, emotional adjustment, physical adjustment and school attachment. 이 연구는 중국인유학생의 문화적응스트레스, 대인관계, 언어능력 등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자료수집은 대구시와 경북지역에 위치한 5개 대학을 무작위로 추출한 후 대학에 재학중인 중국인유학생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WIN/ver 12.0를 이용하여 빈도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남자유학생에 비해 여자유학생이 대학생활적응이나 대인관계에 있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국인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은 문화적응 스트레스 및 주요 하위요인들과 부적상관을 나타냈으며, 대인관계와는 낮은 정적상관을 나타냈다. 대학생활적응은 언어능력과는 다소 높은 정적상관 관계를 나타냈다. 셋째, 중국인 유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지각된 차별, 두려움, 적대 등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대인관계인 친구관계는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학문적 적응에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하위요인들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사회적 적응에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하위요인들이 부적인 영향을 미친 반면 친구관계의 요인들은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정서적 적응에는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하위요인인 향수병, 문화충격, 고립감 등이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은 중국인유학생의 안정적인 대학생활적응을 유도하기 위해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줄이고 원만한 대인관계 형성을 촉진하는 보다 다양한 프로그램이 체계적으로 운영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 KCI등재

        港澳大學生辨認書寫簡化字調查與分析

        楊兆貴,吳學忠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5 漢字 漢文敎育 Vol.37 No.-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re always used in different levels of school education stages, such as pre-school education, junior and senior forms education, and local books and magazines in Hong Kong and Macau. However,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have been used more and more popularly and existed in different industries because different modes of exchange have become frequently between mainland China and HK and Macau. Hong Kong Examinations and Assessment Authority (HKEAA) expresses clearly and definitely that examinee can write in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in public examinations. This will surely affect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learning attitude as well as their reading and writing of Chinese characters in Hong Kong. In order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and writing simplified Chinese in Hong Kong and Macau, we designed a set of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 consisted of 200 frequently-use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to test how many of them that the students were able to recognize. The second part consisted of 50 frequently-use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to test the same thing. The last part consisted of 100 selecte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to test whether students could write them proper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s, Hong Kong and Macau university students were able to recognize a large proportion of standar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in Mainland China but were unable to write them properly. This brings concern for language educators in Hong Kong and Macau to remind students of writing proper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in their teaching. 港澳地區的幼兒教育、初等和中等教育所教的漢字向來為繁體字,本土出版的報刊雜誌也多用繁體字. 隨著港澳與中國大陸之間的交流往來日益頻繁,民間使用簡化字的頻率增加了,各行各業出現了繁簡體字並用的情況. 而香港考試及評核局更明確表示在公開考試中可以使用規範的簡化字,對香港中小學生學習和書寫漢字的心態造成一定的影響. 為了調查現今港澳大學生辨認和正確書寫簡化字的情況,我們設計了調查問卷,問卷分成三部分︰先挑選二百多個常用簡化字以檢測學生的簡化字辨認率,再挑選五十個常用簡化字以詞語形式檢測學生簡化字辨認率,最後再挑選一百個簡化字用作測試學生簡化字的正確書寫率. 調查報告統計港澳大學生簡化字的辨認率和正確書寫率,可以看出︰港澳大學生能認讀大部分中國大陸規範簡化字,但往往會書寫不規範的港式簡化字,這一現象值得港澳語文教育工作者注意,在教學上須提醒學生避免書寫港式簡化字.

      • KCI등재

        중국 유학생의 심리사회적 지원을 위한 교수 인식 탐색

        김현숙 동북아시아문화학회 2022 동북아 문화연구 Vol.1 No.7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erception of professors about what is needed for psychosocial and social support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In order to complete the purpose, the FGI was conducted on four native chinese professors who have been in charge of counseling, career support, and academic support for Chinese students. working at a local priviate university. A week before the main interview, a pre-written questionnaire was sent to the participants by e-mail to give them time to prepare their opinions. Specifically, detailed question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university life adaptation of Chinese students, career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improvement plans of student support organizations were prepared as semi-structured interview sheets. The main interview was conducted for two hours from 1 p.m. to 3 p.m. on January 13, 2021. As a result, with the collected data, 5 categories and 27 subcategories were derived according to the practical eclectic analysis method.. As for the difficulties of Chinese students, there were categories of ‘difficulties in adapting to culture’, ‘difficulties in adapting to university life’,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as for support, there were categories of ‘difficulties in adapting to university life’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well-be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be the basis for establishing policies to improve the image and satisfaction of international students and to strengthen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universities in preparation for the age of 200,000 international student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psychosocial support for Chinese students was discussed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made.

      • KCI등재

        港澳大學生辨認書寫簡化字調査與分析

        양조귀 ( Siukwai Yeung ),오학충 ( Hokchung Ng ) 한국한자한문교육학회 2015 漢字 漢文敎育 Vol.37 No.-

        Classical Chinese Characters are always used in different levels of school education stages, such as pre-school education, junior and senior forms education, and local books and magazines in Hong Kong and Macau. However,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have been used more and more popularly and existed in different industries because different modes of exchange have become frequently between mainland China and HK and Macau. Hong Kong Examinations and Assessment Authority (HKEAA) expresses clearly and definitely that examinee can write in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in public examinations. This will surely affect primary and secondary students’ learning attitude as well as their reading and writing of Chinese characters in Hong Kong. In order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recognition and writing simplified Chinese in Hong Kong and Macau, we designed a set of questionnaire which consisted of three parts: the first part consisted of 200 frequently-use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to test how many of them that the students were able to recognize. The second part consisted of 50 frequently-use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to test the same thing. The last part consisted of 100 selecte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to test whether students could write them properly.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questionnaires, Hong Kong and Macau university students were able to recognize a large proportion of standard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in Mainland China but were unable to write them properly. This brings concern for language educators in Hong Kong and Macau to remind students of writing proper simplified Chinese characters in their teaching.

      • KCI등재

        중국 학부 유학생의 입학 유형 연구- 2016년도 D 대학 사례 연구

        이중희,구은미 중국학연구회 2017 중국학연구 Vol.- No.80

        There are seven invitation patterns for Chinese undergraduate students in Korea. The paper focuses on Chinese entrants of the first semester in D university of 2016. We can find four invitation patterns in D university. The first pattern is the transition class of universities in China. After students graduating from high school, study one year in the transition class, they enter D university. The second pattern is the individual path. Students individually enter D university. Transfer students enter D university by the individual path. The third pattern is that, after their graduation from high school of China, students enter D university. There are MOU relations between D university and the high school of Peking. The fourth pattern is that, after inviting students graduating from high school in China, the Chinese agency sends them to D university, There are MOU relations between the Chinese agency and D university. 중국에서 대학 졸업생의 수는 아직도 계속 상승하고 있다. 대학 입시 응시자 수도 계속 상승하고 있다. 이로 보아 중국 고교 졸업생의 진학 욕구는 당분간 계속 상승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의 대학에서 존재하는 중국 유학생 유치 유형은 총 7가지이다. D 대학의 입학 유형 분석에서 나타나는 네 가지 유형은 대학 예과 반, 개인, 위탁·대행업체 및 고등학교 경로이었다. 첫째, 대학 예과 반은 중국의 명문 대학이 최근 늘리고 있는 사업이다. 대학 예과 반 경로는 고등학교를 졸업한 학생이 1년간의 대학 예과 반을 거쳐 한국의 대학에서 한국어 연수를 한 후 D 대학에 입학하는 과정을 거친다. 둘째, 개인 경로는 개인적 판단으로 D 대학으로 오는 경로를 거치지만, 다양한 하위 유형이 존재한다. 셋째, 중국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D 대학으로 입학하는 유형도 존재한다. 중국 고등학교 경로는 학교 밖의 위탁·대행업체가 아니라 고등학교 자체가 운용 주체가 되어 졸업생을 위해 한국의 대학과 연계하는 과정을 거친다. 넷째, 위탁·대행업체 경로는 중국의 고등학교 졸업 후 위탁·대행업체의 소개로 D 대학에 입학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한편, 중국 전문대학과의 연계 유형은 D 대학에 존재하지 않지만 향후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마지막으로 중국어 전용 교육과정 유형은 사립 대학교에서 고려해볼만한 유형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