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붉은 여왕 효과를 통해 나타난 캐릭터의 진화와 시대의 요구에 따른 변화

        정영혜(Jeong, Young Hye),김희현(Kim, Hee Hyun)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 2014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4 No.1

        캐릭터의 일반적인 사용 용도는 제품 내지는 브랜드의 특징을 간단하고 쉽게 파악하고 인격적인 요소를 도입하여 소비자에게 친근감을 더하여 애착과 공감대를 느끼게 하는 것이 캐릭터의 용도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캐릭터들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수많은 변화와 경쟁 관계에 놓여 있으며 이러한 시대의 변화 속에서 살아남는 캐릭터들은 소수에 불과하다 할 수 있다. 이러한 캐릭터들 중에서 오랫동안 소비자들의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캐릭터들은 시대의 변화에 따라 생존방법을 찾아내고 진화하여 살아남아왔다. 그 예시로 미쉐린사의 100년의 역사를 함께한 브랜드캐릭터 ‘무슈 비벤덤’과 팬시 캐릭터의 마케팅적으로 생존 방향을 제시한 ‘헬로우 키티’는 시대의 변화에서 살아남은 캐릭터들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캐릭터들은 생존을 위해서 캐릭터의 형태 변화나 마케팅적인 변화와 다양한 방향의 발전으로 현재까지 꾸준한 사랑을 받아 오며 그 캐릭터만이 가지고 있는 독특한 개성을 통하여 긍정적인 롱 셀러 캐릭터로서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생존 전략은 경제론과 생물 진화론에서 거론되는 ‘붉은 여왕 효과’를 통해서 두 캐릭터의 롱 셀러 요인을 분석하여 앞으로 캐릭터 디자인이 잠깐 이용되는 재미없고 특징 없는 디자인 물이 아닌 긴 시간동안 이용 가능하고 소비자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는 요인을 찾아 앞으로 캐릭터 업계가 하나의 장기적 브랜드화가 되어 나아가야 할 방향은 붉은 여왕 효과에서 나타난 진화적 요인의 중요성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general use of characters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duct or the brand briefly and easily, to make the customers feel friendliness by applying character elements, enabling them to feel affection and a bond of sympathy. In order for such characters to survive, they are faced with countless number of changes and competitive relationships. It can be said that the characters that survive in such era of changes are only few. Among these characters, the ones that influence the selection of consumers for a long period of time have managed to find the method of survival and have lived on by evolving. As an example, ‘Monsieur Bibendum’ the brand character that has accompanied the 100 years of the history of Michelin and ‘Hello Kitty’, a fancy character which has proposed the survival directions from the marketing perspective can that have survived through the changes of the era and the competitive composition with other characters. These characters have been loved by the people until now because of the changes in character forms and development in various directions for survival. Through the unique individuality of the characters, they are acting as positive long seller characters. In such survival strategy, the long seller factors of the two characters are analyzed through the ‘Red Queen Effect’ which is discussed in the economy theory and biological evolution theory and this study proposes and studies the direction that the character industry needs to take in the future to become one long-term brand and ultimately obtaining a bond of sympathy from consumers by identifying the elements that would make it be used for a long period of time, rather than using the character design for only a short while as it is not interesting and does not have special characteristics.

      • KCI등재

        공공캐릭터에 나타난 동작기호 작용연구 - 코레일 KTX-Mini와 serve character 중심으로 -

        민혜남,이견실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11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2 No.29

        경부고속철도(KTX)는 시속 300Km대의 고속운행으로 대한민국 전역을 반나절 생활권으로 만들면서 국민들의 생활과 교통에 큰 변화를 주었다. 이러한 변화를 주도한 한국철도공사 코레일(KORAIL)에서는 교통인프라를 바탕으로 KTX-Mini 캐릭터 콘텐츠를 개발하고 주요 고속철도 역사 및 열차에서 대대적인 홍보를 통해 많은 국민적 호응을 얻고자 한다. 대륙횡단이 꿈인 KTX-Mini와 미니의 친구 키로(KIRO)와 아로(ARO), 악당 퉁스(TOONGS), 뭉클 아저씨(MR. MOONGCLE)와 치요(CHIYO) 등을 개발하고 다양한 캐릭터 상품을 선보여 향후 대한민국 대표 캐릭터로서 브랜드의 세계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철도기관차를 소재로 한 영국의 ‘토마스와 친구들’, 일본의 ‘신칸센 캐릭터’와는 달리 KTX-Mini는 공공기관으로서의 캐릭터 문화산업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본 논문은 이러한 공공기관 캐릭터의 외형적인 형태, 제스처(gesture)와 표정에 내재된 동작기호 의미를 규명하였다. 연구방법은 KTX-Mini캐릭터와 미니의 친구 캐릭터의 행위적 요소들을 문화적 산물로 이해하고, 문화를 이념의 구조로 연구하는 롤랑 바르트 (Roland Barthes)의 기호학 이론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인 동작기호는 수신자의 시각을 자극하여 송신자의 메시지를 극명하게 전달하고 있었다. 동작기호는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일방적(一方的)으로 내용을 전달하는 커뮤니케이션 형태로 함축의미의 결과 그것을 이용하는 국민(승객)의 공공성(공익)안에 내제된 상업성(사익) 드러내며, 특히 KTX 제일주의만이 배태(胚胎)되고 있다. Korea Train Express(KTX) realized Korea of a quarter of a day zone of life by offering the train service at a speed of 300 kilometers an hour and changed the Korean daily lives and the transportation system. Korean Railroad(KORAIL), which led these changes, investigates character contents “KTX-Mini” based on transportation infrastructure and the tries to achieve national response through large-scale advertisements of the main high-speed railroad history and trains. It develops “KTX-Mini”, which has a dream of traversing continent and its friends “KIRO” and “ARO”, villain “TUNGS”, “Uncle MUNCLE” and “CHIYO” and strives for globalizing those characters as one of the famous Korean characters in the future by introducing various products of the characters. Unlike train characters such as “Thomas and Friends” of United Kingdom and “Shinkansen Characters” of Japan, KTX-Mini has a significant meaning in terms of a character cultural industry as a public institution. This paper focuses on examining the meaning of movement sign implied in the gesture of the characters of public institutions. To investigate, the behavioral factors of KTX-Mini and its friend characters are regarded as cultural products. Also, the Semiology of Roland Barthes is utiliz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e of cultural ideology.

      • KCI등재

        브랜드캐릭터디자인 표현과 내용에 상관성 연구 - ‘물먹는 하마’ 캐릭터디자인 중심으로 -

        민혜남 한국일러스트레이션학회 2009 일러스트레이션 포럼 Vol.10 No.19

        21세기 고부가가치의 문화산업으로 캐릭터산업은 최근 들어 더욱더 주목을 받고 있다.이는 상품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친밀감을 갖도록 하여 구매의욕을 증대시키는 방법으로 브랜드캐릭터를 사용한다. 시각기호인 브랜드캐릭터는 상표 등에 비해 소비자들에게 친숙하게 접근하며, 소비자들이 캐릭터 브랜드가 부착된 상품에 대해서 친밀감을 갖게 함으로써 사람들을 끌어당길 수 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특허청이 조사한 상표 출원통계자료에 의하면, 캐릭터 상표는 ‘동물형 캐릭터’ 상표 ‘인물형 캐릭터’ 상표, ‘식물형 캐릭터’ 상표 등 다양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 이중 ‘동물형 캐릭터’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 국내 동물형캐릭터인 습기제거의 대명사 ‘물먹는 하마’ 는 막강한 브랜드 파워의 주인공이다. 부르기, 기억하기 쉽고 무엇보다 제품의 특성이나 용도를 잘 표현한 점에서 ‘물먹는 하마’ 브랜드 캐릭터로서 제격이다. 이러한 ‘물먹는 하마’ 캐릭터의 보여진 것과 보려고 하는 의식 사이의 논리적 관계를 논한다.2) 표현과 내용이라는 근원적 문제를 시각기호 표현과 내용의 상호보완적 측면에서 이해 하고자 했다. 시각기호로서 브랜드캐릭터의 표현과 내용이 그것이 대변하고자 하는 대상에 대한 이미지를 담은 그릇이다. 또한 캐릭터는 보는 동시에 직관적으로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는 점에서 영향력 있는 시각기호이며, ‘나누어 가짐’이라는 커뮤니케이션의 의미에 충실한 수단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기업대표 브랜드캐릭터의 생성과 사용 현황을 통해 캐릭터디자인의 표현과 내용의 상관성을 연구한다. 연구방법은 롤랑바르트에 기호학적 분석을 연구방법으로 채택하였다. 그 결과 브랜드캐릭터의 본래의 특징을 벗어나 새로운 방향의 개념(이데올로기)으로 변환되어 지고 있다. As a culture industry of high added value of the 21st century, character industry is receiving more and more attention recently.This is a method of increasing the desire of purchase of consumers by allowing them to have interest and familiarity of product and brand character is used for this. Its reason is thought to be from the fact that consumers approach in a familiar way to visual symbol of brand character than to trademarks and it allows consumers to have a sense of familiarity of the product attached with character brand. According to the trademark application statistical data researched by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there are various shapes of character trademarks such as 'animal type character' trademark, 'figure type character' trademark and 'vegetation type character' trademark and, among them, 'animal type character' is revealed to be preferred the most. The symbol of dehumidifier of animal type character in Korea, 'water drinking hippo' is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with powerful brand power. It's ideal as the brand character of 'water drinking hippo' in the sense that it is easy to say and remember and, most of all, it well expressed the characteristics or purpose of the product.The logical relation between the seen and the consciousness of trying to see of 'water drinking hippo' character is discussed. It sought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issue of expression and content from visual symbol expression and content complementary aspect.As visual symbol, the expression and content of brand character is the vessel on which the image they seek to represent is contained. Also, character is an influential visual symbol in the sense that it can be intuitively understood instantly when looking at it, and it can be said as faithful means to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called 'sharing'.In this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expression and content of character design are studied through the present condition of the creation and usage of corporate representative brand character. As for the study method, semiology analysis of Roland Barthes was chosen. As the result, it is changing into a concept (ideology) of a new direction by deviating from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brand character.

      • KCI등재

        아동 캐릭터의 형태적 특성과 소비자 호감도의 관계성 연구

        이희주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3 조형미디어학 Vol.16 No.1

        Recently, Kids customers became main consumers of the major market. It is because the children's opinions increased due to the low birth rate and nuclear family. The marketing for this customers has been mainly focused on characters and animation industries. Also, this tendency has been adopted by the gorvernment, business, school and public organizations as it is the important part for the competitiveness in 21C. Therefore, the development for this field have become a significant part for satisfying the purchasing demand. Nevertheless, there are not many research on this regards, and previous researches are confined to the conceptual study of characters. And it results a problem of a perfunctory promotion in character industries. Thus, it is necessary to find out what really determines the likability of the characters from children's point of view. This study investigated which factors delivery the value and image that is enough to lead to purchases in terms of the exterior design of characters. Also, we analyzed the factors of highly-likability characters by using the method of distorting unpopular character's design. There are two contrary opinions on character's shape by gender. Girl students prefered soft and smooth line, cute character design to simple bold lines, kind and cute character design of the past. On the contrary to this, boy students prefered simple bold lines, sharp characters. The most important factor of children's likability of characters was determined by character's design and differed by gender. This study will provide the knowledge about successful development of character designs, and it will be a reference for directing future character's designs as a product development manual. 오늘날의 아동 시장은 저 출산과 핵가족화로 인하여 아이의 의견이나 소비 형태가 중요시 되면서 신세대 중심의 사회 변화에 따라 어린이 소비 캐릭터 계층(Kids Customers)이 주요 시장으로 등장하였다. 이러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마케팅은 캐릭터나 애니메이션을 이용한 제품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어린이 시장의 핵심적인 캐릭터 분야는 21세기 경쟁력의 중심 요인이 되면서 정부를 비롯한 개별 기업, 학교, 공공단체 등에서 캐릭터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게 되면서 아동 소비자를 위한 캐릭터의 개발은 소비자의 구매를 자극하고 있다. 그러나 캐릭터의 이 같은 현실에도 불구하고, 선행 연구된 결과의 대부분이 캐릭터의 개념적인 연구가 대부분이다. 어린이의 시각에서 캐릭터 선정에 있어 기준이 되어주는 캐릭터 자체의 호감도를 주는 요인이 무엇인지 정확한 분석이 중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현실적인 여건은 국내 캐릭터 산업이 형식적인 프로모션의 시도로 그치는 한 원인을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아동들의 구매 욕구를 자극시키는 캐릭터의 가치와 이미지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요인을 캐릭터의 표현 방법 중 외관 쉐입의 표현 방법에서 찾아보았다. 또한 대중적이지 않은 신생 캐릭터의 디자인 특징을 다양한 방법으로 조작, 왜곡시켜 캐릭터 표현 방법에 있어 호감도 높은 캐릭터의 요인을 분석하였다. 아동들은 성별에 따라 캐릭터 쉐입(shape)에 관련되어 상반 되는 의견을 보였다. 여학생은 과거와는 다르게 무조건 착하고 예쁜 이미지의 캐릭터에 호감을 보이기보다 굵고 가는 쉐입 보다 부드럽고 매끄러운 라인의 귀여운 캐릭터에 호감도가 높았으며, 남학생은 굵직한 외각 라인이 선명한 캐릭터에 호감도가 높았다. 연구 결과 아동들의 상품 구매에서 가장 중요시 하는 요소는 캐릭터 디자인이었으며 그 다음의 요인은 성별에 따라 성향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위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연구가 성공적인 상품 개발 요소 캐릭터 이미지 구축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다양한 캐릭터 디자인 연구를 통해 향후 캐릭터의 이미지 표현 방법의 참고 자료로서 캐릭터 팬시 제품 개발 매뉴얼로 활용되기를 바라는 바이다.

      • KCI등재후보

        Character Education for Military Cadets of KOREA Army as Leaders of National SAFATY

        Jung Byong-sam,Choi Jae-ho J-INSTITUTE 2017 International Journal of Crisis & Safety Vol.2 No.3

        The Korea Army educational institutions like military academies conduct extensive training on their core values beginning with the Initial Entry Training (commonly referred to as basic training) in order to shape military personnel’s behavior and decision making in combat and non-combat situations. This paper addresses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processes of military cadets’ character education. This paper employed a qualitative analysis of various kinds of articles including policy research on character education of military cadets to accomplish the research purpose. Character education programs were administered to the cadets from beginning of freshmen military cadets Initial Entry Training to facili-tate changes in cadets’ value system toward country and ethical moral judgment. Military academies need character development strategies to better integrate and synchronize the scattered programs to the direction of cadet character. Furthermore, the programs require an assessment plan to ensure that they are fulfilling the objectives. The military academies must ensure that their cadets and graduates keep the moral codes and military regulations in any circumstances. Character and honorable living are essentials of cadet education and strong character demonstrated by honorable living strengthens the Army Profession by enabling the leaders to build trust, which is relying on the integrity of another professional. The military academies must ensure that their cadets and graduates keep the moral codes and military regulations and align their efforts by implementing a commonly understood and approved model of cadet and character development. Building leadership by moral development, which establishes the framework for military academies’ Leader Development System (LDS), provides a detailed Cadet Developmental Model. The Cadet Developmental Model consists of five components for developing individual character. This study provides feedback to disciplinary officers and senior ca-dets that can be used to design effective moral and character education and thereby prepare cadets for decision-making and morally consistent behavior in educational courses and drill situations. A mil-itary academy authority is responsible for assessing character development of military cadets and the assessment includes both direct and indirect measures for individual cadets and organizational culture. Especially disciplinary officers coordinate with cadet leaders to collect and analyze data from several sources to include the Corps of Cadets and external experts. This strategy provides the ends, ways, and means for ensuring education programs and activities are integrated and synchronized in support of military academies mission to provide the nation with commissioned leaders of character.

      • KCI등재

        영화·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캐릭터 특징 고찰 <히말라야>, <인천상륙작전>, <겨울왕국>, <인사이드 아 웃>을 중심으로

        김수정 한국애니메이션학회 2023 애니메이션연구 Vol.19 No.4

        본 연구는 흥행 영화에 등장한 캐릭터의 특징을 고찰하고자 시행된 기초 연구로 캐릭터의 성격 유형화 경향및 특징을 살피고자 시행되었다. 애니메이션 영화에는 사물이나 동물들이 의인화되어 등장하곤 한다. 하지만 관객은 각각의 캐릭터를 사물이나 동물로 인식하는 것이 아닌 인물과 같이 대한다. 그러하기에 본 연구에서는 실사 영화와 애니메이션에 등장한 캐릭터를 함께 분석하여 장르를 아우르는 전형적 캐릭터 특징을 살피고자한다. 본 연구의 분석 대상 영화는 실사 영화 2편과 애니메이션 영화 2편을 선정하였는데, 실사 영화로는 <히말라야>(2015), <인천상륙작전>(2016)이며 비실사 애니메이션 영화로는 <겨울왕국>(2013), <인사이드 아웃>(2015)으로 총 4편이다. 선정 기준은 동시대 개봉작으로 누적 관람객 수를 반영하여 선정하였으며 캐릭터분류는 조셉 캠벨(Joseph Campbell)의 일곱 가지 캐릭터 원형을 사용했다. 원형별로 분류된 캐릭터들의 성격특징을 에니어그램(Enneagram)을 활용하여 평정하였는데, 절차는 에니어그램 관련 소정의 교육을 이수한 총3인의 심층 토론을 통해 진행했다. 평정결과 공통적으로 나타난 성격 특징은 ‘영웅 캐릭터’와 ‘장난꾸러기 캐릭터’였다. 영웅 캐릭터 원형은 에니어그램 7번 유형과 2번 유형으로, 이들은 이상과 정의를 추구하는 낙천가와지도자 유형으로 설명될 수 있었다. 장난꾸러기 캐릭터 원형으로 분류된 캐릭터들은 모두 에니어그램 7번 유형으로 영웅과 같이 당하고 명철하지만 극의 즐거움을 주는 성격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was a basic study conducted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s appearing in box office films, and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tendency and characteristics of character categorization. In animation movies, objects or animals are often personified. However, the audience does not recognize each character as an object or animal, but treats each character like a person.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typical characteristics encompassing the genre by analyzing the characters appearing in live-action and animation together. Two live-action films and two animated films were selected for the analysis target films of this study, <Himalaya> (2015) and <Operation Chromite> (2016), and there are a total of four non-live-action animated films: <Frozen> (2013)' and <Inside Out> (2015). The selection criteria were selected by reflecting the cumulative number of visitors as contemporary releases, and the seven character prototypes of Joseph Campbell were used for character classification.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classified by prototype were evaluated using Enneagram, and the procedure was conducted through in-depth discussions of a total of three people who completed the predetermined education related to Enneagram. The common personality characteristics as a result of the evaluation were 'Hero characters' and "Trickster" characters. The hero character archetypes are Enneagram Type 7 and Type 2, and they could be explained as optimists and leaders who seek ideals and justice. All the characters classified as trickster character were Enneagram Type 7, which was treated like heroes and showed a personality that was brilliant but entertaining.

      • 국내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완구상품화에 따른 문제점과 전략에 관한 연구 -한국, 일본 로봇 캐릭터의 완구산업을 중심으로-

        최치권 ( Chi Kwon Choi ) 한국디자인과학학회 2002 디자인과학연구 Vol.5 No.3

        캐릭터산업은 고부가가치산업으로서 21세기 최대의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발전하고 있다. 캐릭터는 출판만화, 애니메이션, 게임 등의 소프트 산업과 밀접한 관계를 통해 부가가치를 확대 재생산하는 종합엔터테인먼트사업으로 산업적 측면의 중요성이 날로 높아지고 있다. 세계 여러 캐릭터회사들이 유명 캐릭터의 로열티로 한해에 벌어들이는 매출액이 수 조원에 달할 정도로 세계캐릭터시장은 날로 확대되고 있는 추세이다. 삶이 풍요로워 지면서 만화와 애니메이션에 관련된 미디어들도 발전하고 있다. 그런 관계로 사람들은 애니메이션을 통해서 발전된 여러 매니아 문화를 접하게 되었다. 우리나라 역시 일본에 못지 않은 훌륭한 애니메이션이 많이 제작되었고, 그 캐릭터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 제대로 된 근거조차 올바르게 보존되어있지 않은 상황은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우리의 캐릭터와 한 시대를 같이 했던 일본의 캐릭터들이 다양한 상품으로 만들어져 자국의 매니아층은 물론 누구나 그것을 가지고 느낄 수 있으며, 이제는 문화개방을 통해 국내의 수많은 수집매니아들의 인터넷 못임이 만들어지고, 판매장이 생기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애니메이션 캐릭터를 소재로 한 완구를 제작하는 제대로 된 사업체 하나 찾기 힘든 상황은 참으로 아쉽고 안타까운 실정이다. 이러한 시대변화에 애니메이션의 캐릭터 상품이야말로 엄청남 고부가가치를 창출해 내는 새로운 창조산업으로 주목 받고 있는 것이다. 이에 현재 그 활동이 활발해지고 있지만 근본적인 발전을 위해 캐릭터 비즈니스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그 완구산업의 발전을 통해 공생하는 애니메이션의 캐릭터의 발달이 더불어 이루어질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The caracter industry is a high value added industry and is growing rapidly as a golden egg goose. Directly and tightly connecte to the cartoons, animation, games and other software, it can expand and reproduce the added value to occupy the state of an all-round entertainment industry which is taking more and more territory in the market. As well as know, the major character firms of the world earn more than a couple of billion dollars in a year. Though numerous local characters are coming into being, only few of them survive the competition due to lack of long-range strategies and immaturity of the market. Because characteers are made to be commercialized, perfect strategies for basic qaulity of design, plot advancing, marketing and distribution are needed to stand on a firm foundation as a brand. Character industry has a very strong advantage in maximizing added value through the chain reaction of brand image. Conventionally, characters were exposedd to the public through limited pinted media and visual items, but currently they have almost unlimited ways to promote themselves such as flash animations on the internet, e-cards, games, screen savers, backdrop pictures on the computer screen, Avatars, mobile services, digital contents, etc. In addition, the PPL(Product Placement) promotion is also being used, in which characters appear as miscellaneous articels in broadcast programs. In short, characters today have enormous access to the potential customers. This essay is written to look over the whole process from the character`s birth to the growth and to offer suggestions for streamining the process of marketing and promoting to maximize the product value and competitiveness of characters as a culture industry.

      • KCI등재

        캐릭터 기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모델 연구 : 노드롭 프라이의 이론을 중심으로

        윤혜영(Yun, Hye-Young)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0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1

        본 연구의 목적은 노드롭 프라이의 서사 양식 이론을 바탕으로 캐릭터 기반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모델을 제안하는 데 있다. 노드롭 프라이의 서사 양식 이론은 캐릭터의 행동 능력과 시대 변화에 따른 양식의 변화를 기준으로 구조화된 이론으로 캐릭터의 트랜스미디어를 위한 모델을 구체화하는데 적합한 이론이다. 캐릭터 기반 트랜스미디어는 두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각색 혹은 크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에서 나타나는 축적형 캐릭터 트랜스미디어로 하나의 원형적 캐릭터가 시대가 변화함에 따라 새로운 캐릭터로 재창작되는 것을 의미한다. 세종 캐릭터가 대표적인 캐릭터인데 역사적 인물이자, 위인의 원형인 세종은 한국의 시대의 변화 대중의 요구에 따라 상위 모방을 거쳐 하위 모방과 아이러니 양식의 캐릭터로 재창작되었다. 두 번째는 이야기 세계 구성 형태에서 나타나는 확장형 캐릭터 트랜스 미디어로 하나의 캐릭터가 독립성을 갖고 이야기 세계 안의 여러 작품과 미디어를 옮겨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블 시네마틱 유니버스의 아이언맨 캐릭터가 대표적인 캐릭터이다. 어떤 캐릭터가 하나의 이야기에 국한되지 않고, 이야기 세계에서 여러 이야기 사이를 옮겨 다니기 위해서는 통일성 있는 정체성을 유지해야 한다. 아이언맨 캐릭터는 오이디푸스 콤플렉스라는 핵심적인 내적 문제를 가진 채 로맨스 양식과 하위 모방 양식의 캐릭터로 이야기 세계를 옮겨 다님으로써 캐릭터의 통일성을 유지하면 입체적인 캐릭터로 구현될 수 있었다. 네 가지 서사 양식에 따른 캐릭터의 변화는 하나의 캐릭터 안에 내재한 서로 다른 존재의 양식들이 여러 작품을 통해 각각 강조되는 것을 의미한다. 프라이의 서사 양식 이론을 중심으로 한 본 연구의 캐릭터 기반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모델은 트랜스미디어 캐릭터 창작을 위한 실제적인 방법론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character-based transmedia storytelling model based on Northrop Frye"s narrative mode theory. Northrop Frye"s narrative mode theory is a theory that is structured based on the character"s behavioral ability and the change of style according to the change of the times, and is a theory suitable to concrete a model for a character transmedia. Character-based transmedia can be classified into two types. The first is an accumulation-type character transmedia that appears in adaptation or cross-media storytelling, which means that an archetypal character is recreated as a new character as the times change. Sejong, a historical character and the archetype of a great man, was recreated as a character in the form of lower imitation and irony through upper imitation in accordance with the demands of the changing public in Korea. The second is the expandable character transmedia, which appears in the form of the story world composition, which means that one character has independence and transfers several works and media within the story world. The Iron Man character from Marvel Cinematic Universe is a representative character. A character is not limited to a single story, and in order to move between multiple stories in the story world, a unified identity must be maintained. The Iron Man character could be realized as a three-dimensional character by maintaining the unity of the character by moving the story world to a romance mode and a lower imitation mode character with the core internal problem of the Oedipus complex. The change of character according to the four narrative styles means that the different forms of existence within one character are emphasized through various works. The character-based transmedia storytelling model in this study, centered on Frye"s narrative mode,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a practical methodology for transmedia character creation.

      • KCI등재

        국어사 교육의 인성 교육적 함의

        김규훈(Kim Gyu hun),김효연(Kim Hyo yeon)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16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10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국어사 교육의 인성 교육적 함의를 밝히는 것이다. 이는 교과 인성 교육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국어과 하위 영역에서 인성교육의 적용 가능성을 모색한다는 의의를 지닌다. 이 연구는 범교과 인성의 개념과 범주를 확인하고 이로부터 국어과 인성의 범주를 정리하는 작업에서 출발하였다. 그리고 국어사 교육의 목표와 내용이 지닌 중점을 확인하였다. 이 과정에서 국어사 교육이 지향해야 할 지점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인성 교육과 결합될 수 있는 접점을 염두에 두었다. 이와 같은 두 논의를 바탕으로 국어과 인성의 개념과 범주를 준거로 삼아 국어사 교육의 목표와 내용이 함유하고 있는 인성 교육적 의미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국어사 교육은 목표 층위에서 ‘국어의 변화된 모습에 대한 성찰적 탐구’, ‘학습자 자신의 현재 국어 생활의 반성’, ‘국어를 향유하는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이라는 함의된 인성을 찾았다. 그리고 이러한 목표가 구체화된 내용 층위에서 ‘한글의 가치와 한국인으로서의 정체성’, ‘수난의 시대 국어를 지키려는 책임 의식’, ‘통일 시대 공감적 소통’, ‘세계 속 다양성 인정의 국어 생활’ 등의 인성을 추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character educational implications in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It has a meaning to get an applicability of character education at a subordinate domain of Korean language subject based on the needs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subject. This study starts at a work of arranging a category of the character in Korean language subject after confirming a concept and a category of the character in cross curricular subjects. And the objective and contents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is looked concretely. In this process, a pointing spot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is considered, and an interface which could connect to character education is concerned. Based on these two discussions, this study extracts character education’s meanings containing at a level of the object and contents of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from a concept and a category of the characters in Korean language subject. As a result, Korean language history education gets an implication of character education at a level of the objective, “Reflective inquiry about changes of Korean language”, “Lerner’s self-reflection of current Korean language life”, “Identity as Koreans with enjoyment Korean language”. And at a level of the contents which are materialized of the objective, “Hangeul’s value and Identity as Koreans”, “Sense of responsibility which keep Korean language in the age of suffering”, “Empathic communication in the unification period”, and “Korean language life of admitting global diversity” were found as implied characters.

      • KCI등재

        기본권의 성격 : 주관적 성격과 객관적 성격

        조한상(Cho Han-Sang) 숭실대학교 법학연구소 2009 法學論叢 Vol.21 No.-

        기본권의 성격에 관한 논의는 기본권이 무엇이며 그 기능은 무엇인가에 대한 이해, 기본권의 본질과 기능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기 위한 작업이다. 그리고 이러한 기본권의 성격은 다시 주관적 성격과 객관적 성격으로 나누어 고찰할 수 있다. 기본권의 주관적 성격이란 기본권을 국가공동체의 개별적 구성원으로서 ‘나’의 입장에서 바라보았을 때 드러나는 성격이다. 이러한 관점에 입각할 때 기본권은 국가공동체 구성원으로서 개인이 보유하는 ‘권리’로서, 헌법적으로 보호되는 이익인 동시에 그 이익을 관철시킬 수 있는 힘의 근거라고 이해할 수 있다. 기본권의 객관적 성격이란 개별적 주체가 아닌 ‘공동체’의 입장에서 기본권을 바라보았을 때 드러나는 성격이다. 그리고 이러한 관점에서 기본권은 국가권력을 비롯한 국가공동체 구성원 모두가 추구해야 하는 ‘과제’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기본권의 객관적 성격을 인정하는 것에 대하여 반대하는 입장도 다수 존재한다. 하지만 기본권의 객관적 성격은 주관적 성격과 동전의 앞뒷면과 같은 관계를 갖는 성격이며, 부인하는 것은 곤란하다고 본다. 기본권의 주관적 성격과 객관적 성격을 모두 인정하는, 이른바 기본권의 이중성 이론은 광범위하게 받아들여져 있다. 만약 기본권의 두 가지 성격 중 어느 하나만 일방적으로 강조될 경우, 많은 문제가 발생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기본권의 주관적 성격과 객관적 성격은 상호적으로 인정되어야 하며, 기본권의 실현 과정에 상호주관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그런데 최근 들어 기본권의 이중적 성격을 일원론적으로 설명하려는 견해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견해들은 기본권 실현에 있어서 개인을 강조하는가, 아니면 공동체를 강조하는가에 따라 미묘한 차이를 야기하고 있다. 기본권 성격 논의에 있어서 일원론적 설명방법이 도입되어야 하는가, 도입되어야 한다면 어떠한 이론이 받아들여져야 하는가의 문제는 앞으로 남겨진 과제라고 할 수 있다. A theory of 'Characters of Fundamental Rights' is seeking to find an answer, what is the Fundamental Rights, what is the nature and function of the Fundamental Rights. The Character of Fundamental Rights consists of the subjective character and the objective character. The subjective character turns up, when that fundamental rights are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I'. Having a good look at this character, fundamental rights are 'rights' that individuals as constituents of the state retain. As a result, fundamental rights are interests as well as grounds of claim in the constitutional law. The objective character turns up, when that fundamental rights are considered from the viewpoint 'We'. From this viewpoint, fundamental rights are tasks that every state organ and member of state should do. Someone is in the negative to this character. However, the subjective and the objective character are bound up each other. Then, the so called double-character of fundamental rights is supported by the majority. Many problems will arise, otherwise either the subjective or the objective is valued evenly. Accordingly, inter-subjectivity should be maintained in the way of the fundamental rights' actualizing. By the way, many scholars are trying to make this dualism into monism. Needless to say, this monism can be divided into many types. Which type should be accepted? This question is one of the urgent problems that we must solv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