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蒼巖李三晩의 書藝美學的인식과 ‘蒼巖體’와의 상관성

        문정자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와예술연구 2014 문화와예술연구 Vol.3 No.-

        본고는 창암의 서론(書論)과 서적(書跡)의 내용을 중심으로 ‘창암체’ 형성 기반으로서의내면적 사유(思惟)와 용필법(用筆法)의 특징을분석 하고 ‘창암체’에 투영된 양상을 논의하였다. 창암은 당대서풍의 문제점을 개혁하고 옛 법을 회복하여 서예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하기 위하여 서론(書論)을 저술하였다. 書를 書道로 천명한 창암은 자연의 경지에 계합하는 서를 이루기 위해 음 양(陰陽)의 상반응합(相反應合)의 조형원리를 도입하고 귀어자연 (歸於自然)의 목표를 설정하였다. 뿐만 아니라 극공(極功)의 연마를 강조하면서 내면적 사유와 실제 글씨와의 일체경계를 지향하였다. 즉 서가의 도정(道程)으로 유법(有法)의 연마에 극공을 기울여 마침 내 무법(無法)의 자연에 계합할 것을 제시하였다. 그가 용필법을 중 시한 이유는 필법의 오묘함을 터득했을 때에야 만물의 형태가 기묘 한 書로 드러난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본고에서 논의한 것처럼 창암의 사유(思惟)와 필법적 특징은 ‘창암체 (蒼巖體)’에그대로투영되었다. 창암은내면적 사유와실질적필법이란 두 측면을잘 융합시킨것이다. ‘창암체’는 순수(純粹), 소박(素朴), 졸박 (拙朴), 생동(生動)의 풍격을 띠고 있으며, 자연만물처럼 소박하고 단순 하면서도 무궁한 것을 함유하고 있어 일명 ‘행운유수체(行雲流水體)’라 는별칭을얻기도하였다. 창암이서예를자연물과동일한층차(層次)의 존재물로보고자연을담아냄으로써‘창암체’는자연만물과같은객관성 과 실재성을 지니게 된 것이다. 서예사적관점에서볼때창암의친자연주의적서예관은동국진체(東 國眞體) 서가들의 천인합일적 서예관념을 계승한 한편으로, 자연이 書 의전형이자귀착점이라고인식했던창암자신의미학적사유의결과이 다. 그는 조선의 산천과 조선인의 심상에 부합하는 새로운 풍격의 서예 미학을개척하여한국적고유성의영역을확장함으로써결국19세기동 국진체 서가로 우뚝 선다. 결과적으로 서예로서 시대정신을 대변하고 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 창암은 조선 후기 예술사에서 서예의 위상을 확고히 한 인물이라 할 수 있다. Based on main concerns of Changam's calligraphic theory and artworks, this study sought to characterize his internal thoughts and yongpil-beob (command of brush writing) as the foundations of ‘Changamche’ and discuss aspects projected on ‘Changamche.’ Changam authored the Theory of Calligraphy (書論) to reform the issues of his contemporary calligraphic trends, recover traditional rules of calligraphy and introduce a new milestone of calligraphy. He clarified calligraphy (書) as seodo (書道, a part of artistry realized with calligraphy). In order to implement calligraphy complying with the stage of nature, Changam introduced a formative principle of sangban eunghab (相反應合) between yin (陰) and yang (陽), and also set a goal toward guieojayeon (歸於自然). Furthermore, he underlined cultivation with extreme efforts (極功) and pursued integration of internal thoughts with practical writings. In other words, Changam advised that radical efforts should be made to cultivate yubeob (有法) through processes required for calligraphers, and ultimately harmonize with nature of mubeob (無法). The reason why he valued yongpil-beob is that the mastery of subtle and profound artistry of pilbeob is considered to make all things formed and revealed in marvelous calligraphy. As discussed in this study, internal thoughts and pilbeob characteristics of Changam became projected on ‘Changamche (蒼巖 體).’ He successfully combined these two aspects - internal thoughts with practical pilbeob - with each other. ‘Changamche’ is well characterized by purity (純粹), simplicity (素 朴), coarseness (拙朴) and vividness (生動). This calligraphic style encompasses something humble, simple but unlimited like all things in nature, so it is also called ‘Haengun-Yusuche (行雲流水體).’ Changam viewed calligraphy as a being on the same level of natural creature before expressing nature with his calligraphy. That is why ‘Changam-che’ came to have objectivity and practicality like all things in nature. From the viewpoints of calligraphic history, Changam's nature-friendly insight of calligraphy is the result of his aesthetical thoughts that nature is a model and ultimate conclusion of calligraphy as well as his succession to the calligraphic ideology of Cheonil Habil (天人合一) pursued by Donggukjinche (東國眞體) calligraphers. Changam pioneered a new style of calligraphic aesthetics to comply with the nature of Korea and the image of Korean people, so he extended the sphere of Korean originality enough to deserve an outstanding position of Donggukjinche calligrapher in the 19th century. As a result, Changam played a major role as calligrapher in representing and leading his contemporary mentality, so he deserves a title of Korean calligrapher who contributed to establishing the standing of calligraphy in the history of pre-modern Korean art during late period of Joseon dynasty.

      • KCI등재

        롤랑 바르트의 ‘글쓰기의 영도(零度)’로 본 창암 서예의 발속(拔俗)

        송수현 ( Song Soo Hyoun ) 한국동양예술학회 2020 동양예술 Vol.49 No.-

        서예는 문학과 시각예술이 융복합된 독특한 예술이다. 그 예술의 터전이 동아시아이기 때문에 서예 미학은 동아시아 한자문화권의 유(儒) ㆍ불(佛) ㆍ도(道)의 시각으로 분석돼왔다. 그렇다면 한자문화권이 아닌 전혀 다른 언어체계를 가진 문화권인 서구인들에게 서예라는 동아시아의 독특한 예술을 어떻게 이해시킬 것인가? ‘한국서예는 중국서예의 모방’이라는 국제적인 오해를 어떻게 소명할 것인가? 본 연구는 서구문화권을 향한 설득의 일환으로 서예 미학 분석의 스펙트럼을 서양철학으로의 확장을 시도했다. 연구의 구체적인 분석 도구로는 서양의 광자(狂者), 롤랑 바르트(Roland Barthes, 1915~1980)의 철학을 취했다. 본 연구의 주제는 롤랑 바르트가 말하는 에크리튀르(ecriture)와 창암 서예의 공유점을 발견하고, 에크리튀르의 영도(零度)와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 1770~1845)의 발속(拔俗)한 서예의 유사한 기류의 맥락을 연구하는 것이다. 필자는 바르트가 말하는 에크리튀르의 속성을 네 가지로 정리하고, 그 네 가지가 부재(不在)한 에크리튀르를 에크리튀르의 영도로 보았다. 이러한 에크리튀르의 영도를 창암 서첩 「자여원규(咨汝元奎)」에 나타난 발속에 대비하였으며, 여러 가지 유사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창암 서예에 나타난 발속의 ‘역사적 가치판단과 전통·관습에 대한 반성’, ‘공론에의 저항’, ‘지배문화 합류 거부’, 그리고 ‘일정한 형태로의 양식화·관습화 거부’라는 실천은 에크리튀르 영도와 일치하는 속성임을 알 수 있었다. 무엇보다 문예일치(文藝一致)를 구현한 창암의 「자여원규」는 심획(心劃)이라는 시각예술로 발속 또는 에크리튀르 영도라는 추상성의 시각화를 성취했다는 점을 주목할 수 있었다. 이것은 문자(텍스트) 중심의 문학 분석 위주의 철학이 발견하지 못한 점일 것이며, 이러한 점이 서예라는 심오한 예술 매체 연구의 과제일 것이다. Calligraphy is a unique art that mixes literary and visual arts. Since the base of calligraphy art is located in East Asia, we tend to analyze it from the perspectives of Confucianism, Buddhism, Taoism, etc., most likely to be Asian philosophy or religion. So, how do we get Westerners to understand the aesthetics of calligraphy? How would you explain that ‘Korean calligraphy is an imitation of China’ is wrong? This study seeks to expand the spectrum of calligraphy analysis to Western philosophy. The analytical tool chosen for this study is the philosophy of Roland Barthes, who seemed to have a lunatic spirit in the West.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common points of Roland Barthes’ (1915~1980) Ecriture and Changam Lee Sam-man’s(1770-1845) calligraphy and to study the context of similarity in between Ecriture’s degree Zero and Changam’s Desecularity. I have summarized the attributes of Ecriture that Barthes refers to into four, and regarded Ecriture in which the four are absent as the Ecriture’s degree Zero. This Ecriture’s degree Zero was compared with Desecularity that appeared in Changam’s book “Ja Yeo Won-gyu(咨汝元奎)” and found several similarities. Desecularity shown in Changam’s calligraphy is the practice of ‘reflection on judging based on a historical value, traditions, and customs,’ ‘resistance to public opinion,’ ‘rejection of joining the governing culture,’ and ‘rejection of stylization and customization in a regular form,’ which agree with properties of Ecriture’s degree Zero. Above all, we could notice that Changam’s “Ja Yeo Won-gyu,” which embodied literary and art unity, achieved Desecularity or visualization of abstractness ‘Ecriture’s degree Zero,’ as visual art with mind stroke (心劃). This study’s perspective would be what the philosophy centered on literary analysis based on text could not find. This point could also be the tasks that we would solve as the subject of a profound artistic medium study called calligraphy.

      • KCI등재

        蒼巖書論의 예술사적 의의

        김남형(Kim, Nam-hyeong) 한국서예학회 2013 서예학연구 Vol.22 No.-

        이 논문은 조선 후기의 저명한 서예가이자 서예비평가였던 蒼巖 李三晩(1770-1847)의 書論이 형성된 예술사적 배경과 그 의의를 해명하기 위하여 집필되었다. 창암의 서론은 ‘自然에서 출발하여 自然으로 돌아가야 한다’로 정리된다. 작가를 둘러싸고 있는 자연물과 자연 현상에 卽하여 그 특성을 정감적으로 체득하고 그것을 생동감있는 추상형식으로 상징화하여 필획을 통해 구현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창암의 書論은 조선후기 예술사의 문맥에서 보면 당시 문학ㆍ회화ㆍ음악 등 여러 예술 장르에서 제기된 문제의식, 즉 중국의 고전적 모델을 모방하는 풍조를 배격하고 작품창작의 動因이자 배경이 되는 자연을 강조함으로써 개인과 민족의 차원에서 개성과 독자성을 추구하려한 움직임과 괘를 같이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 점은 창암의 書論이 중국의 역대 書論과 확연히 다르며, 그가 조선인의 審美情緖에 합치하는 書風을 창출해낸 사실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시각에서 볼 때 ‘自然’을 강조한 창암의 書論과 ‘行雲流水體’로 일컬어지는 그의 書風은 서예로 하여금 조선후기예술사에서 시대정신을 대변하고 先導하는 중요한 예술 장르의 하나로 자리잡게 하는데 크게 기여하였다는 점에서 예술사적 의의를 부여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rt history backgrounds and meanings of the calligraphic theory of Changam Lee Sam-man, a renowned calligrapher and calligraphic critic in the latter half of Joseon. His calligraphic theory can be summed up in "To start in nature and return back to it." He argued that artists should experience and learn the characteristics of surrounding natural objects and phenomena emotionally, symbolize them in lively abstract forms, and implement them through brush strokes. His calligraphic theory seems to be in line with the problematic consciousness raised in various genres of art including literature, paintings, and music in the context of art history in the latter of Joseon or the movement of rejecting the trend of mimicking the classical model of China and pursu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ity in the aspect of individuals and the people. It is also confirmed by the facts that Changam's calligraphic theory was clear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calligraphic theories of China and that he created a calligraphic style that matched the aesthetic sentiment of Joseon people. In those aspects, his calligraphic theory emphasizing "nature" and his calligraphic style called "Haengwoonryusuche(行雲流水體)" made a huge contribution to calligraphy settling down as an important genre of art to represent and lead the spirit of the times in the art history of the latter of Joseon, which grants the meanings of art history to them.

      • KCI등재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의 학서연원(學書淵源)과 학고정신(學古精神)

        이은혁 ( Lee Een-hyuk ) 퇴계학부산연구원 2017 퇴계학논총 Vol.30 No.-

        1988년 7월에 전주문화방송(MBC) 주최로 열린 『蒼巖 李三晩 遺墨展』은 창암 서예 연구의 발단을 일으킨 의미 있는 전시였다. 전시에 맞춰 발간된 『蒼巖 李三晩 遺墨帖』(전주문화방송, 1988年刊)에는 수집 전시된 작품이 원색으로 인쇄되어 있다. 책의 뒤편에 첨부한 해설은 향토사학자로서 전북문화재위원이었던 고 작촌(鵲村) 조병희(趙炳喜) 선생이 집필하였다. 「蒼巖 李三晩 書道와 生涯」라는 제하의 장문으로 간단한 생평을 소개한 뒤, 원문과 해석을 제공함으로써 창암 서예연구의 단초를 마련하였다. 이후로 창암에 대한 관심이 재고되어 서첩들이 꾸준히 발굴되었다. 그 중에서도 가장 두드러진 것은 창암 선생의 나이 71세(庚子, 1840년) 때 완산 공기골[上關]에서 집필한 『기오이적(機奧異跡)』의 발굴이다. 창암에게 작품 이외에도 별도의 체계적인 서론이 존재하고 있음은 창암 연구 즉 예술가로서의 그의 작품은 물론 더 근원적으로 미의식과 가치관을 총체적으로 조명할 수 있는 조건이 충족되었음을 의미한다. 『기오이적』을 비롯한 창암의 단편적 서론을 읽다보면 일면 구조적 체계성이 발견된다. 논설의 입장은 필법전수와 자득성가한 작가의 측면으로 대별할 수 있다. 후학들을 위하여 체득한 법칙들을 체계적으로 전술하는 학습론의 성격을 보이는가 하면, 한편으로는 자신의 삶과 관련하여 서의 가치와 궁극적 목적을 성찰하기도 한다. 법(法)의 측면에서 본다면, 전자의 경우에는 전통적인 고법(古法)을 강조하고 후자의 경우에는 법을 초월한 무법(無法)을 역설한다. 전통적인 고법은 역사적으로 검증된 학서의 표준으로서 학서자가 숙련해야 할 필수적 과정이며, 무법의 경지는 자득성가한 서가가 일체의 법을 초월하여 자오(自娛)하며 자유를 만끽하는 예술가의 이상세계이다. 즉 유법을 통한 무법의 실현을 목표로 삼고 있다. 이처럼 창암의 저술과 서첩에 남겨진 문장들을 세밀하게 고찰하면 그만의 득의처와 차별성을 부각할 수 있을 것이다. 그간의 연구들은 창암의 서예를 조명하는 한편 서론에 내포된 철학적 의미를 밝히는 데 치력해왔다. 다만 창암의 서예를 논할 때 문헌적 근거로 삼는 서론들을 변별하지 않음으로써 그 진의가 제대로 파악되지 않은 아쉬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기존의 연구성과를 존중하면서, 창암 서론의 구조적 체계에 주목하고 거기에 나타난 중요한 특징들을 분석함으로써 그의 예술관과 궁극적 지향점을 재검토하였다. Organized by Jeonju MBC in July, 1988, “Exhibition of Autographs of Deceased Changam Lee Sam-Man” was meaningful for shedding light on his calligraphy. Published at the same time as the exhibition, Book of Changam's Autographs introduced his life, his original works, and explanations for his works and built a foundation to figure out the world of his art. Since then, growing interest in the calligrapher has led to the continuous excavation of his scrapbooks, which helped to confirm that he had his own systematic calligraphy theory along with his calligraphy works. That is, the research conditions were met to shed total light on his aesthetics and values as well as his works as an artist. One would find structural systemicity of some sort while reading the theories on his calligraphy. One is his learning theory to transmit his technique of calligraphy, and the other is his art theory to figure out the technique himself and reach his own level. He developed a learning theory of mentioning the principles that he learned systematically for his pupils on the one hand and reflected on the values of calligraphy and the ultimate goals of art in relation to his own life on the other hand. From the perspective of principles, the former case emphasizes old traditional principles, whereas the latter highlights absence of principles that transcend principles. The old traditional principles represent the standards of calligraphy study that have been demonstrated historically and present an essential course that should be mastered by anyone who studies calligraphy. The level of absence of principles presents the ideal world of a calligrapher and artist that learned principles himself and reached his own level, transcending all principles to have a good time himself and enjoy freedom to his heart's content. That is, his goal was to practice absence of principles through their presence. A close look at the sentences in his writings and scrapbooks will help to highlight his own elation and differentiation. Previous studies focused on figuring out philosophical meanings in his calligraphy theory while examining his calligraphy works. They, however, did not consider the calligraphy theory as a literature ground to discuss his calligraphy works and accordingly failed to figure out his real intentions. Respecting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previous studies, the present study paid attention to the structural systemicity of his calligraphy theory, analyzed its crucial characteristics, and thus reviewed again his view of art and ultimate intention point.

      • KCI등재

        書體분석을 통한 蒼巖서예 考察

        김정남(Kim, Jung-Nam) 한국서예학회 2020 서예학연구 Vol.37 No.-

        This paper attempts to rediscover Changam calligraphy at this point through detailed analysis and examination of the overall typeface of Changam Lee Samman(李三晩). Changam is a calligrapher who worked with Chusa(秋史) in 19th century. In the meantime, the Korean calligraphy world has been all about the study on Chusa, and proper evaluation of Changam has been relatively insufficient. The reality is that some fragmentary Changam research are generalized and evaluated as all of him. Therefore, this study analyzed the typeface of Changam, which is the most basic of Changam research, in detail by period and type,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and changes of Changam typeface, the position and role of Changam in Korean calligraphy history, and Changam from a more objective and empirical perspective. First, Changam created various styles of the typeface, not just water-flowing style. Changam had a steady academic course until his 40s, and he met the time of passion in his 50s. used various forms of works. By combining styles of An Jin-kyung(顏眞卿), Wang Hee-ji(王羲之), Songdae(宋代), and Dongichang(董其昌) freely, various attempts were made. By the age of 60s and 70s, Changam s original typeface was implemented. The quality of his work is musculoskeletal that can not be felt in any of the previous works, but it is clear and elegant, creating a natural feelingy, and conveying a unique gift to calligraphy and aesthetics on the Korean peninsula. Second, Changam was only a local servant, but with innovative and subjective self-esteem, he made various efforts to overcome the bigoted Chosun calligraphy reality at the time. In his youth, the sad calligraphy culture reality of the time and the position of calligraphy culture in Chosun in the relationship with China were grasped. As one of the concrete methods to overcome this, He published the popular book Hwadongseo law at the age of 31. And, with the subjective attitude, he tried to discover not only Chinese calligraphers but also previous calligraphers of Chosun, and to invent the true typeface of Chosun by indulging their calligraphy. Third, Changam continued to play a role as successor to the spirit of Donggukjinche(東國眞體 精神) in Chosun, which has been going on since the 17th century. In other words, Changam is directly or indirectly connected to his teacher, Wongyo(圓嶠), and it is confirmed empirically in the typeface that he was the successor of the DonggukJinche Spirit of 許穆·李漵 from far away. Changam struggled to realize the characteristics that Wongyo ideally expressed from the early academic course to the day before his death, and there was no respect for Wongyo. However, Changam s calligraphy has already exceeded Wongyo, and in the case of Wongyo, his theory was generally sufficiently sympathetic, but in the case of his writing, he was criticized. In this case, Changam was able to overcome the teacher s writing by pioneering his new position silently by receiving his spirit rather than the attitude of criticism about the teacher Wongyo. As mentioned above, Changam has a unique position in calligraphy on the Korean peninsula. He created a unique the style of calligraphy that is not confirmed in the Korean peninsula or any other the style of calligraphy of China, such as Chusa, who was active in his contemporary times. As a result, the calligraphy culture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come richer and more diverse due to Changam and Chusa. This shows that the spirit of Donggukjinche, which was established on the Korean peninsula since the 17th century, began and expanded with Changam·Chusa in the 19th century. Based on this analysis of Changam font and its contents, I hope that mor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aesthetic research of Changam font will deepen. 본 논문은 창암 이삼만의 서체 전반에 대한 세부적 분석·고찰을 통해 창암서예을 오늘의 시점에서 재발견하고자 하였다. 창암은 19세기 추사와 같이 활동한 서예로, 그동안 한국 서예계는 온통 秋史에 집중되어 상대적으로 창암에 대한 연구가 미흡하였고, 창암에 대한 일부 단편적인 내용이 일반화되어 평가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이에 본 논문은 창암연구의 가장 기본이 되는 창암의 서체를 시기별, 종류별로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창암 서체의 특징과 변화과정, 그리고 창암의 한국서예사에 있어서의 위치와 역할 등에 대한 고찰, 좀 더 객관적·실증적 관점에서 창암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첫째, 창암은 단순한 行雲流水體 정도의 書가 아닌 다양한 서풍을 구현하여 그만의 독특한 창암체를 창출하였다. 창암은 40대까지는 착실한 학서과정을 거쳤고, 50대에 질풍노도시기를 맞이하여 안진경, 왕희지, 宋代, 동기창 등의 서풍을 자유자재로 접목시켜서 다양한 시도를 하였다. 60대와 70대에 이르러 창암만의 독창적 서체를 구현하였다. 그의 작품의 품격은 이전의 어느 시대 어느 누구의 작품에서 느낄 수 없는 근골이 있으면서도 맑고 유려하여 草率한 느낌의 서풍을 창출하여 한반도 서예사와 미학에 독특한 선물을 전수하였다. 둘째, 창암은 지방의 서생에 불과하였지만 혁신적·주체적인 자존감을 가지고 당시 편협된 조선 서예현실을 타개해 나가고자 다양한 노력을 하였다. 청년시절에 당시의 안타까운 서예문화 현실과 중국과의 관계에서의 조선의 서예문화 위치를 파악하고. 이를 극복하기 위한 구체적 방법의 하나로 31세에 대중적 서첩인『화동서법』을 발간하였다. 그리고 소중화사상에 입각한 주체적 자세로 중국의 서예가뿐만 아니라 조선의 역대 서예가를 발굴, 그들의 서법을 탐닉하면서 진정한 조선의 서체를 창신해 나가고자 하였다. 셋째, 창암은 17세기부터 이어져 온 조선의 동국진체정신의 계승자로서의 역할을 이어갔다. 즉 창암 書는 가까이는 그의 스승인 원교와 직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멀리는 許穆·李漵로부터 이어지는 동국진체정신의 계승자였음이 서체에서 실증적으로 확인된다. 창암은 초기 학서과정부터 서거직전까지 원교가 이상적으로 표현하고자 한 특징을 구현하고자 몸부림쳤고 원교에 대한 존숭의 자세도 그지없었다. 그러면서도 창암의 서법은 이미 원교를 넘어섰다. 원교의 경우에 그의 書論은 일반적으로 충분한 공감력이 있었으나 그가 쓴 書體의 경우는 일부 비판을 받았다. 그럼에도 창암은 스승 원교에 대하여 비평의 자세보다 그의 정신을 받들어 묵묵히 그만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여 스승의 글씨를 뛰어 넘을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창암의 書는 그동안 한반도 서예에 있어서 독특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그는 동시대에 활동하였던 추사와 같이 한반도나 중국의 여느 서풍에서도 확인되지 않는 독특한 서풍을 창신 하였다. 이로 인해 한반도 서예문화는 창암과 추사로 인해 더 풍성하고 다양한 열매를 맺어갔다. 이는 17세기 이후 한반도에 조성된 동국진체의 정신이 19세기에 이르러 창암으로 시작하여 추사와 함께 더욱 확장시켜 나갔다는 것을 보여준다. 필자는 이번 창암 서체분석과 그에 대한 고찰내용을 바탕으로 좀 더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창암서체의 미학적 연구 등이 깊어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蒼巖 李三晩의 書藝美學 고찰

        김도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2

        Changam, Lee Samman(1770~1845), who created his own handwriiting to be referred to as the three great write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nvented as the original 'Haengunyusu Typeface' and developed Calligraphy spirit of DonggugJinche in Honam province. He ultimately pursued the state of tonglyeong by raising the personality of 'writing is the person's personality' and the attitude of learning the old. Through the book chang-amseogyeol, he basically polished Haeseo of Han Dynasty and Wi Dynasty and emphasized that Haengseo and Choseo are done automatically when muscle strength and bone strength are established. And since calligraphy originated from ‘nature’, it goes through the stages of the old law through the ‘Beobcheongwijin’ spirit, which values nature's nature. After doing so, expressed the state of tonglyeong of '' mubeob-ibeob '', the stage of reaching. In addition, Changam showed the aesthetic that you can get the novelty by pursuing the philosophy of ‘Wu’ and the ‘beauty of Stupid and Lacking’ based on LaoTzu and ChuangTzu. 'True Wu', which Changam wants to say, is a philosophy of denial that denies everything that is prescribed, and 'Wu' of paradox. This is a philosophy that follows nature's logic to reveal nature's nature. And it is an aesthetic that protects his 'True Wu' without knowing and greedy. To realize this, expressed beauty of Stupid and Lacking logic that follows a philosophy that follows nature's logic that does not distinguish beauty from ugliness, goodness and evil. On the other hand, Changam promoted natural and vital beauty through force in the method of using the brush. He suggested the 'Push and Hard' of the Han dynasty, pushing it with force using this power properly. In particular, the feeling of an IlunMujeog brush in 『Changam Calligraphy-The cloud stays Poem』 overflows with the vitality and bizarre and strange dynamism of the spirit and typeface as eum-yang harmonizes with each other. In addition, the beauty of Push and Hard containing polyeoghamse is misaligned, but it has achieved a natural aesthetic without invading. This work demonstrates the real look of Changam choseo. In addition, the beauty of Push and Hard containing polyeoghamse is misaligned, but it has achieved a natural aesthetic without invading. Changam proves the real look of “Haedong's best Chose Maestro”. 蒼巖 李三晩(1770~1845)은 조선 후기 3대 명필로 일컬어지며, '行雲流水體'라는 독자적 서체를 창안하고, 호남지방에 東國眞體의 서풍을 계승·창달시킨 大書伯이다. 그는 ‘書如其人’的 人品高와 師古法를 통해 궁극적으로는 通靈의 경지를 추구하였다. 저서『蒼巖書訣』를 통해 기본적으로 漢魏 해서를 숙련하여 근골이 확립되면 행서와 초서는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고 강조하였다. 그리고 書는 무릇 ‘자연’에서 비롯되었으니 자연본성을 귀하게 여기는 法天貴眞 정신을 통하여 有法의 단계, 나아가 그 이후에 도달하는 단계인 無法而法의 通靈의 경지를 발현하였다. 또한, 蒼巖은 老莊의‘愚’의 철학과 거기에 근간한‘拙樸美’를 추구하여 신묘함을 얻을 수 있다는 심미관을 드러내었다. 蒼巖이 말하고자 하는 ‘참된 우(眞愚)’는 규정화된 모든 것을 否定하는 否定의 철학이자, 逆說의‘愚’이다. 이는 자연천성을 드러나게 하는 順自然의 철학이자, 무지무욕의 상태에서 자신의 眞愚를 지키는 미학이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美醜와 善惡을 不分한 順自然的인 愚拙美를 지면에 발현하였다. 한편, 蒼巖은 모든 필법에 力을 통하여 천연미와 생명미를 도모하였다. 이러한 力을 적절히 운용하여 힘 있게 밀고 나가는 漢代의 推展이라는 용필법을 제시하였다. 특히 『蒼巖書停雲詩』에서 逸韻無跡한 필의는 陰陽對待가 유연하게 조화를 이루면서 神體飛動한 생명력과 奇怪的 역동감이 넘친다. 또한, 抱力含勢의 推展美가 違而不犯하여 得筆天然의 심미경지를 이루었으니, 蒼巖이 “海東第一 草書의 巨匠”이라는 진면목을 여실히 증명하고 있다.

      • KCI등재

        蒼巖 李三晩의 學書 연마와 書藝論 고찰

        김도영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0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6 No.1

        조선 후기 3대 명필로 지칭될 만큼 독자적 서풍을 창안한 蒼巖 李三晩(1770~1845)은 ‘法古’를 중시하였는데, 漢魏代 서예를 근본으로 하고, 東國眞體를 완성한 圓嶠 李匡師를 마음의 스승으로 삼아 수련하였다. 만년에는 올바른 필법 전수를 위해 『蒼巖書訣』을 저술하여 보편적 서예의 기본원리와 자신의 서예관을 피력하였다. 蒼巖이 지향하는 서체는 楷書 筋骨의 확립을 통한 草書로 완결된다. 이를 위해 漢魏의 서체를 典範으로 제안하였는데, 穩厚簡遠한 漢 魏筋骨은 無爲自然的 無法의 경지를 보여준다. 이로 보아 蒼巖 서예론의 핵심이자 궁극적 지향점은 ‘自然’임을 알 수 있다. 이는 법의 극치에 이르러 다시 無法으로 돌아가는 것으로, 여기에서 陰陽이 생성되고 形·勢·氣가 부드러움을 도 모하면 奇怪함이 생겨난다고 보았던 것이다. 한편, 古法에 얽매이지 않고 愚拙한 自然天成을 발현하면 장법과 포치가 逸韻無跡한 得筆天然을 이룬다고 강조하였다. 우리는 이 연구에서 그의 서체가 자연을 예술로 승화하면서, 조선 고유 의 서예미를 끊임없이 접목·시도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리하여 근골이 풍부하고 생명력과 역동감이 넘치는 형세 를 이룬 逸韻無跡을 體化하였고, 得筆天然한 極工의 심미경지를 이루어 독창적인 '行雲流水體'로 구현하였고 마침내 호남지방에 東國眞體의 서풍과 서예정신을 더욱 창달시켰다. Changam, Lee Samman(1770~1845), who created his own handwriiting to be referred to as the three great write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the valued 'beobgo'. Based on the calligraphy of the Han-Wi era, Lee Kwangsa who completed DonggugJinche was regarded as the teacher of the heart. In his later years, he wrote 『ChangamSeogyeol』 to teach how to use the right brush, revealing the basic principles of universal calligraphy and his own calligraphy. The typeface of Changam is completed by choseo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haeseo geungol. For this, I valued Han-Wi's haeseo training, OnhuGanwon Han-Wi geungol shows a state without natural law. This shows that nature is the core and ultimate goal of Changam calligraphy theory. This is a return to the state of 'No law' at the height of the law, where eum-yang is created and bizarreness occurs when form, power and energy are promoted. On the other hand, he emphasized that jangbeob and pochi form IlunMujeog DeugpilCheonyeon when expressing naturalness as it is, without being bound by the old law. His typeface constantly tried to combine the beauty of Joseon's own calligraphy while sublimating nature into art. Thus, he acquired IlunMujeog, a body rich in geungol and full of vitality and dynamism. And DeugpilCheonyeon achieved aesthetics with the highest level of excellence, embodied as the original 'Haengunyusu Typeface', and further developed handwriiting and Calligraphy spirit of DonggugJinche in Honam province.

      • KCI등재후보

        蒼巖 李三晩의 書論 - 順自然의 양상을 중심으로

        김남형(Kim Nam-Hyeng)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06 동양한문학연구 Vol.23 No.-

          이 논문은 조선 후기의 빼어난 서예가이자 서예이론가였던 蒼巖李三晩(1770~1847)의 書論을 書藝觀, 學書論, 創作論으로 나누어 검토하고 그것이 지닌 서예사적 의의와 영향에 대하여 점검한 것이다.<BR>  조선시대 대부분의 지식인들과는 달리 이삼만은 ‘書는 자연에서 비롯된 것으로 작은 道가 아니다.’는 적극적인 서예관을 지니고 있었다. 이러한 서예관을 기반으로 창암은 ‘卽自然’을 바탕으로 한 구체적이고도 실제적인 ‘法自然’을 강조하였는데, 이는 인위적인 기교에 치중함으로써 자연스러운 生氣를 상실한 당대의 서풍에 대한 비판적 인식의 소산인 것으로 판단된다.<BR>  이삼만의 學書論에서 특별히 주목되는 점 또한 그것이 ‘法自然’을 이념적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예컨대 이삼만은 운필법을 위시한 구체적인 필법을 설명하면서 자연의 원리, 자연현상, 자연에 존재하는 사물의 특성 등을 援用하여 논리를 전재하고 있으며, 사물의 형상을 상징적으로 표현해내어야 함을 강조하였다.<BR>  창작론에서 이삼만은 전문적인 서예가의 작품이 갖추어야 할 가장 기본적인 조건으로 得筆과 逸韻을 지목하고, 한 걸음 더 나아가 ‘象自然’을 서예가 지향하여야 할 궁극적인 경지인 것으로 파악하였다.<BR>  이러한 이삼만의 서론은 ‘卽自然-法自然-象自然’으로 요약할 수 있으며 이는 서예에 있어서 자연성을 추구하는 심미의식의 발로로 그 기저에는 민족문화의 총체적 특성을 推動한 ‘順自然’의 이념이 자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삼만의 서론과 ‘行雲流水體’로 지칭되는 그의 書風은 호남지역의 후배 서예가뿐만 아니라 대구를 중심으로 한 영남지역 서예가들에게까지 전해져서 조선 말기 한국 서단에 정채로운 한 봉우리를 형성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view of calligraphy of Changam Sam-man Lee(1770~1847) who was a remarkable calligrapher and calligraphy theorist in late Chosun focusing on his view of calligraphy, theory of Hakseo and theory of creation, and to review its meaning and influence on the history of the calligraphy.<BR>  Unlike most of intelligence in Chosun, Sam-man Lee had positive view of calligraphy such as ‘Calligraphy is from nature and it is not a small asceticism’. Based on his view of calligraphy, he emphasized concrete and practical ‘Beopjayeon’ based on ‘Jeukjayeon’, which seems to be the output of critical perception on the contemporary calligraphic style that lost natural vitality by emphasizing artificial techniques.<BR>  The most attracting characteristic of his theory of Hakseo is that it is based in the ideology of ‘Beopjayeon’. For example, he developed his logic borrow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living things, theory of nature and natural phenomena when he explained the concrete calligraphic technique including ‘Wunpilbeop’ and he emphasized symbolical expression of the phenomena.<BR>  In his theory of Creation, he pointed ‘Deukpil’ and ‘Manwun’ as basic requirements that professional calligraphic works should have. Moreover, he proposed that ‘Sangjayeon’ would be the ultimate goal that the calligraphy should go for.<BR>  His theories can be summarized as ‘Jeeukjayoen-Beopjayeon- Sangjayeon’. It is judged that it is from his aestheticism of calligraphy under the which there seems to be the ideology of ‘Sunjayeon’ implied from our culture. His calligraphic style summarized as ‘Seoron’ and ‘Haengwunyusuche’ was descended to calligraphers in Yeongnam Area not to mention of his junior calligraphers in Honam Area and it made a vivid peak in calligraphy in late Chosun.

      • KCI등재

        蒼巖李三晩의 書風에 나타난 복고적 성향 고찰

        朴載福 동양고전학회 2012 東洋古典硏究 Vol.0 No.49

        작가는 작품을 통해 자신의 思惟와 志向을 드러내기 마련이다. 그런데 그동안 蒼巖에 대한 연구는 서론과 작품의 형태미를 중점적으로 논의하였을 뿐 작품에 내재되어 있는 사유에 대한 논의는 거의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었다. 특히, 창암의 작품은 李匡師의 서풍을 계승하면서 복고주의적성향이 매우 강해서 같은 시기 활동하던 북학파의 영향이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본고에서는 창암의 이러한 서풍을 ‘복고적 성향’이라고 명명하고, 그의 이러한 복고적 사유가 學書과정과 작품에 나타난 구체적 양상을 살펴보았다. 창암은 眞跡親筆자료들을 중시하면서 行草書를 즐겨 썼다. 그러나 학서과정에서 항상 필력을 강조하여 漢魏의 글씨에 근본을 두었고, 행초서를 쓰더라도 반드시 楷書를 먼저 익혀 그 필력을 얻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창암은 평생 동안 王羲之서풍의 小楷로 된 작품들을 많이 남겼는데, 이는 조선후기 東國眞體의 서가들이 왕희지의 해서, 특히 소해를 전범으로 하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이러한 경향은 마음의 스승인 이광사의 영향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창암은 또한 왕희지의 法帖글씨에 부족한 필세를 보완하고자 끊임없이 노력한 흔적들이 발견된다는 점에서 다른 서가들과는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는 먼저 서예이론에 있어서는 漢魏의 古法을 중시하여 蔡邕과 鍾繇를 근본으로 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 大楷에 있어서는<岣嶁碑>의 필세가 가미된 <瘞鶴銘>과 魏武帝의 글씨, 顔眞卿의 <大唐中興頌>과 金生글씨 등을 끊임없이 연마하였다. 특히, <구루비>와<예학명>의 筆意를 이용한 그의 말년 작품은 기본적으로 해서인 <예학명>의 字形에 <구루비>의 구불구불한 形勢를 취해 자신의 독특한 서풍을 보여주는 경지에 이를 수 있었다. An author is bound to reflect his or her own thinking and inclination in his or her works. The previous studies on Changam(蒼巖), however, mostly discussed the aesthetics in the forms of his introductions and works, hardly addressing his thinking reflected in his works. Recognizing that he had the "reactionism tendency" unlike the Bukhak-School(北學派), which was the cultural mainstream of the days, this study examined the specific patterns of the reactionism calligraphy style in his learning and calligraphy processes and works. He loved to write xing-cao-shu(行草書) with a focus on the materials written in one's own calligraphy, but he also emphasized that one should obtain the force of his or her calligraphy style by mastering kai shu before calligraphy xing cao shu . He thus left a lot of works in the xiao kai(小楷) of the Wang Xzhi(王羲之) calligraphy style throughout his life, which is attributed to the influences of the calligraphers of dong-guk-jin-che(東國眞體) in the latter half of Joseon(朝鮮) and those of Lee Gwang-sa(李匡師), his master in spirit. He is distinguished from the other calligraphers of the times in that he made lifelong efforts to compensate for the lacking stroke of the pen in the model calligraphy of Wang Xzhi. In the calligraphy theory, he put importance on the traditional method of Han-Wei(漢魏) and took Cai Yong(蔡邕) and Zhong Yao(鍾繇) as the fundamentals. For da kai(大楷), he constantly practiced the <yi he ming(瘞鶴銘)> with the stroke of the pen by <gou lou bei(岣嶁碑)> added to it, the letters of Wei(魏) Wudi(武帝), <da-tang-zhong-xing-song(大唐 中興頌)> by Yan Zhenqing(顔眞卿), and letters of Kim Saeng(金生). His late works using the intended conception of <gou lou bei> and <yi he ming>, in particular, present his unique calligraphy style that added the crooked forms of <gou lou bei> to the shapes of characters of <yi he ming> that were in the kai-shu(楷書) style. It is a limitation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calligraphy materials Changam studied or consulted were either reprint copy or block book rather than original rubbing edition due to time and space restrictions.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ose restrictions made an important contribution to his creation of his unique calligraphy style with deep local colors at the result of his constant efforts.

      • KCI등재

        창암蒼巖 이삼만李三晩 서예의 한국 서예사적 위상에 관한 고찰

        조민환 한국동양예술학회 2022 동양예술 Vol.56 No.-

        본 논문은 창암蒼巖 李三晩이 조선조 서예사에서 어떤 위상을 갖는가를 고찰한 것이다. 창암은 한국서예사에서 독특한 위상을 갖는다. 조선조 서예사에서는 대체적으로 유행한 왕희지의 진나라 서체와 조맹부의 촉나라 서체가 유행하는데, 창암은 한나라 서풍와 위나라 서풍을 강조하고 있기 때문이다. 흔히 한위서풍을 강조하는 경우에는 큰 틀에서는 중화미학을 벗어나지는 않지만 창암은 한위서풍을 강조하면서도 노장철학에 근간한 일종의 광기어린 서풍을 펼친다는 점에서 차별상을 보인다. 창암의 이런 사유에는 서예의 원형이 무엇인가와 관련된 서예미학이 담겨 있다. 창암은 기본적으로 유가의 중화미학을 거부하고 노장의 광기미학에 근간한 양강지미陽剛之美를 강조하는데, 이런 점은 동국진체 맥락에서 이해될 수 있는 부분도 있다. 즉 이광사를 잇고자 한다는 점에서 동국진체의 맥락에서도 이해될 수 있는 데, 창암이 궁극적으로 쓰고자 한 서체는 진체도 아니고 촉체도 아니다. 창암은 타고난 천연의 기질과 서예를 통한 통령通靈 사유에 기반한 주체적 예술정신을 펼치고자 한다. 창암은 서예창작과 관련된 ‘유당입진由唐入晉’ 사유를 거부하면서 고체서풍에 해당하는 ‘한위 서풍’을 본받을 것을 강조한다. 이에 기본적으로 채옹의 ‘서조어자연설書肇於自然說’을 강조한다. 구체적으로 이같은 사유는 도법자연에 입각한 일운무적逸韻無跡, 득필천연得筆天然’을 비롯하여 우졸愚拙 및 통령通靈을 강조하는 서예미학으로 전개된다. 이런 사유에는 서예의 근원에 대한 탐색을 통한 진아眞我 서풍을 지향하는 서예미학이 담겨 있다. 이같은 진아 서풍의 경향은 김생을 위대한 서예가로 높이고, 아울러 서예에서의 소중화小中華 의식을 통해 한국서예의 위대함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처럼 채옹의 ‘서조어자연설書肇於自然說’ 및 도법자연과 우졸을 통한 창신적 예술창작 정신을 제시하면서 서예창작의 주체성을 강조한 점에 창암 서예의 한국서예사적 위상과 그 가치가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