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경에서 만난 조선과 유구(琉球) 사신의 민간외교

        이성혜(Lee, Seong-Hea) 포은학회 2016 포은학연구 Vol.18 No.-

        이 논문은 이수광의 「유구사신증답록(琉球使臣贈答錄)」을 텍스트로하여, 북경에서 만난 조선과 유구 사신(使臣)간의 민간외교 활동에 관한 내용을 고찰한 것이다. 조선과 유구는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되어 있는 바와 같이 태조1년(1392)에 외교 관계를 수립했으나 1524년을 마지막으로 유구 사신의 조선 내빙이 끝나고 1530년부터는 북경을 통한 우회 외교가 시작되 었으며, 이 우회 외교도 1596년까지 만난 횟수가 겨우 3회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이수광이 북경에 갔던 1611년에 두 나라는 서로에 대한 정보도 부족했을 뿐만 아니라 외교적으로도 친밀하지 못했다. 이때 양국의 사신이 북경에서 만나 문답하고 시를 주고받는다는 것은 상대국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우호를 증진할 좋은 기회였다. 물론 공식적인 접촉은 아니지만 양국의 사신으로 민간 외교의 역할을 하기에는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북경에서 만난 조선 사신 이수광과 유구 사신 채견과 마성기는 서로에 대한 궁금증을 문답을 통해 일부 해결하고, 시를 주고받으면서 우호를 증진하는 민간 외교의 역할을 하였다. 시의 내용은 창화자가 양국의 사신이라는점에서 상대 나라와 사신에 대한 의례적 묘사와 칭송이 많다. 그러나 사신간의 만남과 창화는 두 나라의 우호를 증진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므로 내용 보다는 창화했다는 점에 무게를 두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ivate diplomatic exchanges between the envoys of Joseon and Yugu who met in Beijing, with reference to 「Yugu Sasin Jeungdaprok」 written by Lee Su-gwang. According to The True Records of the Joseon Dynasty, Joseon and Yugu made diplomatic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in the first year(1392) of king Taejo’s reign. But it was just until 1524 when Yugu directly sent its envoys to Joseon. Since 1530, the two nations made diplomatic exchanges in 1530. Even their contacts in this way were made only three times until 1596. Thus, the two countries had little information about and not diplomatic closeness to each other in 1611 when Lee Su-gwang visited Beijing. In that year, the envoys of the two countries met in Beijing and exchanged questions and answers and poems. This provided the opportunity for Joseon and Yugu to better understand and improve friendship with each other. Though informal, their meeting was presumedly enough to be regarded diplomatic exchanges between the private sectors of the two nations. At that time, Joseon’s envoy Lee Su-gwang and Yugu’s ones Chae Gyeon and Ma Seong-ki could partly solved what they wanted to know about each other through questions and answers. They also exchanged poems with each other to promote mutual friendship. Through these moves, the envoys of the two nations showed a good example of nongovernmental diplomacy. Meanwhile, those poems were mostly about the courteous depictions and admirations of each other and their respective country. However, more importance should be put on the fact that the envoys of two different countries read poems to each other and responded to it than on what the poems were about since their meeting and exchanges using poems were to improve frienship between the two nations.

      • KCI등재

        류구(琉球)의 공자묘 창건과 명륜당 건립의 의미

        이성혜 ( Lee Seong-hea ) 사단법인 퇴계학부산연구원 2019 퇴계학논총 Vol.33 No.-

        공자묘는 공자의 위패를 모시는 사당으로 사실상 유가사상의 상징물이다. 명륜당 역시 동양사상과 문화의 眞髓를 전하는 곳이다. 그러므로 한문학, 나아가 유가사상의 수용 여부와 관련하여 공자묘와 명륜당의 존재는 중요한 증거물이다. 유구에 공자묘가 창건된 것은 1674년이다. 1671년 겨울, 당시 쿠메무라 총역이자 紫金大夫인 金正春이 섭정인 向象賢을 경유하여 尙貞王에게 啓奏하고 허락을 받았다. 건립에 드는 경비는 왕자 이하 일반 선비들이 기부금 4천貫을 모았고, 부족분은 公費로 처리했다. 1672년에 廟地를 쿠메무라 泉崎橋頭로 정하고 곧바로 공사를 시작하여 1674년 11월에 준공했다. 유구의 명륜당은 1718년 쿠메무라의 공자묘 옆에 건립되었으며, 유구 최초의 공적 교육시설이었다. 유구 명륜당 창건의 계기는 1683년 尙貞王의 책봉사로 유구에 온 王楫의 학교설립에 대한 요청에 의해서이다. 이에 1717년 정순칙 등이 連名으로 건립을 요청했고, 다음해 건립되었다. 유구의 공자묘 창건과 명륜당 건립의 의미는 ①중국적 시스템 도입과 ②유가사상의 수용이다. 그러나 공자묘와 명륜당은 2차 세계대전의 와중인 1944년 10월 10일 나하대공습으로 모두 불탔다. 이후 社團法人久米崇聖會가 1975년 1월 25일 현재의 위치(나하시 若狹)로 옮겨 공자묘와 명륜당 낙성식 및 부흥 후 제1회 釋奠을 시행했다. 유구 명륜당에서는 현재에도 『논어』와 한시 강좌 및 쿠메무라역사 관련 공개강좌가 시행되고 있다. The mausoleum of Confucius(孔子廟) is a shrine where the tablet for the Chinese great saint is kept. It is in fact a fitting symbol of Confucianism. Myeongryundang(明倫堂) is a place where the essence of Eastern thoughts and culture is taught. Thus, the mausoleum of Confucius and Myeongryundang are both very important things proving the acceptance of Chinese classics and, further, Confucianism. It was 1674 when the mausoleum of Confucius was built up in Yugu. In the winter of 1671, Kim Jeong-chun(金正春) as general manager of Kumemura asked in writing King Sangjeong(尙貞王) via regent Hyang Sang-hyeon(向象賢) to approve the construction of that mausoleum, and got the approval. Expenses for the construction were partly donated by princes and scholars of the noble class and the balance was made up from public funds. In 1672, the construction was began immediately after its site was determined. And the mausoleum of Confucius was completely built up in November 1674. In 1718, Myeongryundang was built up by the mausoleum of Confucius at Kumemura. It was Yugu’s first institution of public education. The construction of the educational establishment was primarily due to request by Wang jeup(王 楫) ho went to Yugu in 1683 as messenger who would install King Sangjeong and, indeed, realized a year after Jeong Sun-chik(程順則) made a joint petition in 1717. The construction of the mausoleum of Confucius and Myeongryundang in Yugu is meaningful in two ways, or ①introduction of the Chinese systems and ②acceptance of Confucianism. By the way, the two Confucian facilities were burnt to ashes by Naha air raids in Oct. 10, 1944 during the 2nd World War. Later, the mausoleum of Confucius and Myeongryundang was completely reconstructed at a present place in Jan. 25, 1975 when ceremonies celebrating their inauguration and revival and the 1st Seokjeon(釋奠) were he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