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자 파도자기를 활용한 도자기 소지 개발

        이제일,박주석,이용석,이병하,Lee, Jea-Il,Park, Joo-Seok,Lee, Yong-Seok,Lee, Byung-Ha 한국세라믹학회 2009 한국세라믹학회지 Vol.46 No.6

        The yield is increasing as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of ceramics progresses, however, there are many ceramics of poor quality due to variables upon producing ceramics. Some of those waste ceramics are recycled by sanitary ware or tile manufacturers, but most of them are filled in making environmental problem. Therefore, a research begins to recycle waste ceramic ware as alternative to some imported ceramic ware materials and to reduce environmental pollution. This study, succeeding last study which applied waste white ware as ceramic body material, aimed to solve problems of environment and materials by recycling waste ceradon generated in specially formed areas for ceramic in Gyeonggi-do such as Icheon, Yeoju and Gwangju as the ceramic body material. Consequently, the addition of waste ceramic ware into the ceramic body was judged to have limit up to 30% according to plasticity measurement. As we added shredded waste ceramic ware as much as 30% into basic ceramic body and checked its features, the pore rate and absorption rate were good to be average 4% and 3% respectively. In addition, it showed strength more than 720 kgf/$cm^2$ which is higher than existing ceradon body on the market with good sinter state; so it is judged to be available or developed as new ceramic body.

      • ‘되기’의 과정으로서 몸 : 들뢰즈와 브라이도티의 ‘되기이론’을 중심으로

        윤서정 ( Seojungyoon )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20 陶藝硏究 Vol.- No.29

        본 연구는 고정된 사회적 기준에 따라 몸을 정의하는 관점에서 벗어나 다층적 차이를 통해 이해되는 몸을 토대로 주체성을 찾아가는 과정이다. 사회화를 거치면서 여러 문화적 코드들이 새겨지는 몸을 통해 우리는 보편적 규범을 따르는 존재가 된다. 여전히 우리는 제도에서 벗어나는 것에 두려움을 느끼고 안정된 삶을 추구한다. 그러면서 당연한 이치라고 생각하는 것들이 누구에게는 배타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사실에 무감각해진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하나로만 통합되지 않는 정체성의 다양한 측면을 담아낼 수 있 는 몸에 대한 연구를 실행하고, 예술로 구현될 수 있는 몸의 가능성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본문에서는 우선 주체를 유일한 특권으로 간주하게 한 이분법적 사고를 극복하고 몸을 재해석한 후기구조주의 철학자들의 이론을 논하였다. 몸을 고정된 존재 상태가 아닌 변화하는 욕망과 배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해석한 들뢰즈의 이론을 고찰함으로써 예술적 실천 방법을 사유하였다. 그리고 타성에 젖은 정체성을 탈피하고 새로운 배치 안에서 신체를 탈바꿈하는 방식인 ‘되기’ 개념을 통해 차이 생성으로서의 몸에 대한 연구를 심화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연구자는 여성주의 철학자 로지 브라이도티의 관점을 따라 여성-되기의 논점을 재고하고 성차화된 몸이 견고한 이항논리를 전복시킬 수 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녀의 이론은 생물학적, 사회적, 언어적인 것들의 교차 지점인 몸이 성차 자체를 본질주의로 환원시키지 않으며, 성차화된 주체를 규정하는 경계가 유동적임을 반증해준다. 따라서 욕망(섹슈얼리티), 삶의 방식, 문화적 요소가 다층적으로 체현되는 몸이 곧 되기에 열려있는 존재임을 이해하고자 하였다. 본고를 통해 연구자는 신체의 감각을 신뢰할 수 없는 불확실한 감각이 아니라, 다른 존재들에 닿아있음을 알려주고 신체의 에너지를 강화시키는 소중한 자산으로 바라보게 되었다. 이에 따라 연구자는 앞으로의 삶에 있어 그 에너지의 흐름들을 지속시키는 존재들로 거듭나길 희망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rocess through diverse values seek their subjectivity based on the entangled body, departing from the conventional definition of the body. Through socialization, we would follow the universal norms through the body where various cultural codes are inscribed. We prefer a stable life due to the fear of departing from the norm We also would become insensitive to the fact that what is deemed natural would act as an exclusive standard for others. Hence) the researchers attempted to research on the body that can capture various aspects of identity that are not integrated into one, and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the body that can be implemented as an art. For this purpose, I reviewed the theories of post-structuralist theories which overcame the dualism that made the subject to be privileged and reinterpreted the body. I figured out the practical method of art by considering Gille Deleuzes theory, which interpreted the body as something that could vary according to changing desires and arrangements, rather than a fixed presence. And through the concept of‘becoming’, which is a way to be depart from the routine identity to transform his self-ego, I wanted to deepen the study of the body which could generate differences. Furthermore; I discussed the view of feminist philosopher Rosi Braidotti to reconsider becoming-woman and reveal that a sexed-body can subvert solid binomial logic. Her theory supposes that the body which is the intersection of biological, social and linguistic things does not reduce the sex difference to essentialism, and it supposes that the boundary between sexes would be fluid. I wanted to understand that a body with a multi-layered body of desire (sexuality), lifestyle would be diversified. Through this paper, I was able to see the body not as an uncertain and faithless sense but as a valuable asset informing us of other things contacting it and reinforcing energy from the bodies. Thus I wish to be reborn into a being continuing the flow of energy.

      • 주체로 살아가기 : 몸(Body)에서 몸(Soma)으로

        조영선 이화여자대학교 도예연구소 2022 陶藝硏究 Vol.- No.31

        본 논문은 우리가 몸을 수치심으로 느끼는 인식을 긍정적으로 변화하는 과정을 담은 논고이다. 인간은 태어나면서 성(性)이 결정되어 진다. 어릴 적 가정과 학교에서는 성에 관해 폐쇄적으로 교육하며,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안에서 몸에 대한 부정적인 사고가 우리 안에 자연스럽게 스며든다. 이로 인해 우리는 몸에 대하여 완전히 이해하지 못한 채 살아가고, 더 나아가 두려움, 불안함과 같은 부정적인 감정들이 기저를 이루기에 몸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기 어렵다. 주체성이 상실된 대상으로 여겨지는 사고에서 벗어나 몸을 자연스러운 존재로 바라볼 수 있도록 인식을 변화하고자 한다. 성에 대한 고정된 인식으로 인하여 신체를 대하는 두려움의 근거를 탐구해보기 위해 바바라 프레드릭슨(Barbara Fredrickson)과 토미안 로버츠 (Tomian Roberts)의 자기 대상화 경험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이는 몸을 사회문화적으로 규정되어 온 틀 안에서 주체성이 결여된 두려움의 대상으로 바라보았기 때문이라는 점을 확인해준다. 또한, 두려움과 수치심이라는 감정에서 벗어나고 싶었던 과정들을 아리스토텔레스의 카타르시스 이론 안에서 살펴보고자 한다. 감정의 변화 이후 몸 자체에 대하여 받아들일수 있는 근거가 되어준 토마스 하나(Thomas Hanna)의 몸학(Soma) 이론을 통해 몸을 주체성을 가진 긍정적인 존재로 전환하고 인식하여 신체 자체를 자연스럽게 수용하게 된다. 이처럼 경험에 의한 작가들의 다양한 관점을 예술작업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그리고 몸의 변화에 대한 두려움, 수치심과 같은 감정들이 기저가 되어 조형 언어로 나타내며, 여성의 몸에서 잘 드러나지 않는 부분을 끊임없이 표현하는 행위를 통해 부정적인 감정을 표출함으로써 몸을 긍정적인 인식으로 전환하고자 한다. 이러한 유연한 생각의 변화를 통해 몸을 자연스러운 존재로 받아들이게 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작업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성에 대한 폐쇄된 틀 안에서 몸에 대하여 수치심, 두려움으로 인식되는 감정들을 마주하고 해소하며, 이를 통해 몸을 긍정적으로 대하는 전환된 인식의 과정을 볼 수 있다. 그리고 몸은 그 자체로‘나’라는 것, 그리고 몸(Body)으로서가 아닌 능동적이고 주체적인 몸(Soma)으로써 자연스러운 존재로 수용하게 되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나아가 무엇이든 고정된 사고로 바라보지 않고, ‘자연스러움’으로 받아들이는 인식과 태도가 삶과 연결되어 긍정적 사고방식의 확장을 기대해보고자 한다. This study is an article about the process of positively changing the perception of the body that we feel as shame. A person's sex is determined at birth. Education about sex in childhood homes and schools is not open. In this social atmosphere, negative thoughts about the body naturally permeate into us. Because of this, we live without fully understanding the body, and furthermore, it is difficult to perceive the body positively because negative emotions such as fear and anxiety form the basis. I want to change our perception so that we can look at the body as a natural being, away from thinking that is regarded as an object that has lost its subjectivity. The researcher intends to study based on the empirical theory of self-objectification of Fredrickson& Roberts in order to explore the basis of fear in dealing with the body due to the fixed perception of sex. This study confirms that it is because the body was viewed as an object of fear lacking subjectivity within the framework that has been defined socially and culturally. Also, I would like to examine the processes of humans who wanted to escape from the emotions of fear and shame in Aristotle's catharsis theory. After purifying negative emotions about the body, through Thomas Hanna's Soma theory, which became the basis for accepting the body itself, the body itself is naturally accepted by changing the perception of the body as a positive being with subjectivity. Based on the experiences I felt as a woman and the way I looked at things, I would like to examine the various perspectives of the artists who produce them through their artistic work. In addition, emotions such as fear and shame about changes in the body become the basis and are expressed in formative language, and by expressing negative emotions through the act of constantly expressing the hidden parts of a woman's body, I want to transform the body into a positive perception. This work is the process of accepting the body as a natural being through this flexible change of thinking. Through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face and resolve the emotions perceived as shame and fear for the body within the closed frame of sex, and through this, we can see the process of converted perception to treat the body positively. And I would like to place significance in the fact that the body itself is 'I' and that it is accepted as a natural existence as an active and subjective soma, not as a body. Furthermore, we would like to anticipate the expansion of a positive mindset in which perceptions and attitudes that are accepted as 'natural' rather than looking at anything as fixed thoughts are connected to life.

      • KCI등재

        세라믹소지에 생성되는 석회에 의한 백화현상분석

        이기강,Lee, Ki-Gang 한국결정성장학회 2006 韓國結晶成長學會誌 Vol.16 No.3

        The efflorescence mechanism of ceramic bodies with different sintering temperature was studied by quantitative analysis for the effect of various metal ions and anions. SEM and EDS characterization for efflorescenc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eramic body showed that the main components of the efflorescence were Ca and S atoms. Leaching concentrations of various metal ions and anions for the ceramic bodies prepared by wet mixing with pH 7 and pH 10 were evaluated by ICP and IC analysis. The results of leaching test showed that the concentration of Ca ion at pH 7 body was eight times more than that of pH 10 body. Ca-rich efflorescence was not formed on the surface of ceramic body which prepared at pH 10 and sintered over $1100^{\circ}C$. 세라믹소지에 발생하는 온도별 백화생성기구를 백화를 형성하는 양이온과 음이온을 분석하여 규명하였다. 백화가 발생된 세라믹 소지의 표면을 SEM과 EDS 분석을 하여 백화의 주 성분은 Ca와 S임을 확인하였다. 세라믹소지를 pH 7과 pH 10에서 각기 습식혼합 하였으며, 이때 여과된 액을 ICP와 IC 분석을 하여, 양이온 및 음이온 농도분석을 하였다. pH 7에서 제조된 세라믹 소지의 Ca 이온농도는 pH 10에서 제조된 세라믹소지의 Ca 이온농도의 8배 값을 보였으며, pH 10에서 제조된 세라믹소지는 $1100^{\circ}C$ 이상으로 소결된 소지에서도 백화가 발견되지 않았다.

      • KCI등재

        현대도예에서 발생하는 현상학적 공간 연구

        허이서,이하린 한국기초조형학회 2022 기초조형학연구 Vol.23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on the occurrence of phenomenological space is to explains design principles of new space in contemporary ceramics in order to solve the question of how we can perceive, understand, explain, and describe the constantly changing concept of new space in contemporary ceramics. In this process, it aims to present the necessity of progressive theoretical research based on the specificity of ceramics, to suggest directions for interpretation of works, and finally to broaden the basis of expression and appreciation of ceramic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the phenomenological space that occurs in contemporary ceramics. To explore the new spatial concept and formative expression methods of contemporary ceramics based on Maurice Merleau-Ponty's body phenomenology, we used to reveal the correlation between ceramics and the phenomenological space. By adding Gilles Deleuze's theory of sensation and haptic space concept, it is divided into the perspective of artists who are the subject of expression and viewers who are the subject of acceptance, and separately explains the phenomenological space occurring on both th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of the work. As a case study, the phenomenological space that occurs in contemporary ceramics are divided into two types: occurrence by expression based on physicality and occurrence in haptic space. The results of this study, ceramic art and Merleau-Ponty's phenomenology are based on physical perception in understanding and expressing the essence of the world in common.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direction of interpretation of works based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eramic art and the phenomenological space is suitable for in-depth understanding and explanation of the new spatial concept of contemporary ceramics.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hat the independent status of ceramic art, which had been blurred by borrowing interpretations from other media, will be restored, and the discussion in this study will serve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o broaden the concept of ceramics in the future production of actual works.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도예에서 끊임없이 변화하는 공간 개념을 우리가 어떻게 지각하고 이해하고 설명하고 기술할 수 있는가에 대한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현상학적 공간의 발생에 대한 연구를 통해 현대도예의 새로운 공간 개념의 독자적인 조형적 원리를 설명하는 것이다. 이 과정에서 도예의 특수성에기반한 발전적인 이론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 작품 해석의 방향을 제안하며 최종적으로는 도예의표현과 감상의 지반을 넓히는 것을 목표로 한다. 연구의 대상은 현대도예에서 발생하는 현상학적 공간이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현대도예의 새로운 공간 개념과 조형적 표현 방법들을 모리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y)의 신체 현상학에 근거하여 설명하기 위해 도예의 장르적 특수성과 현상학적 공간 간의 상관성을 밝히고 질 들뢰즈(Gilles Deleuze)의 감각론과 촉지적 공간 개념을 더해 작품과 얽혀 있는 표현 주체인 도예가와 수용 주체인 관람자의 입장으로 나누어 작품의 표현과 감상 양측에서 발생하는 현상학적 공간을 구분하여 설명한다. 사례연구는 현대도예에서 발생하는 현상학적 공간을 신체성에 기반한 표현에 의한 발생과 촉지적 공간에서의 발생으로 방식을 나눠 작품에 적용하여세부적으로 분석을 진행해 현대도예 작품 속에서 보이는 현상학적 공간을 구체적으로 기술해 본다. 연구의 결과, 도예와 메를로퐁티의 현상학은 공통적으로 세계의 본질을 파악하고 표현함에 있어 신체적지각을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도예의 장르적 특수성과 현상학적 공간의 상관성에 기반을 둔 작품해석의 방향이 현대도예의 새로운 공간 개념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하는데 적합함을 확인했다. 이를통해 다른 매체의 해석을 빌려 희미해졌던 현대도예의 독자적인 지위를 회복하고 앞으로 실제 작품의제작에 있어 본 연구에서의 논의가 도예라는 장르의 개념을 넓혀주는 이론적 배경이 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정수슬러지를 사용한 조합토의 개발

        정재진,이용석,이병하,Jeong, Jae-Jin,Lee, Yong-Seok,Lee, Byung-Ha 한국세라믹학회 2014 한국세라믹학회지 Vol.51 No.4

        People could not imagine living without tab water. However, the water filtering process at a purification plant used to produce tab water creates tons of sludge, which is generally wasted. This sludge waste consists of (1) mineral elements, such as sand, (2) organic materials, and (3) a coagulant, which agglomerates the two. As an enormous amount of sludge waste is generated every year, numerous studies have been carried out to identify how to deal with this problem. Currently, however, most of the sludge waste is directly discarded in landfills. In the present study, water-purified sludge waste received a heat treatment at $1300^{\circ}C$ and was then ground into particles to be used as a ceramic material. Next, the resultant particles were compounded with chamotte substitutes to produce grogged clay that is suitable for wheel-throwing ceramics. Consequently, the plasticity of the sludge waste decreased as the content of calcination increased. Thus, it is considered that wheel throwing is available only up to PBF-3. Thus, it is available for wheel throwing and has a high strength of 864 $kgf/cm^2$ with less than 0.2 percent of porosity and absorption ratio were displayed in PBF-2 at $1280^{\circ}C$ with 20 percent of calcination from the purified sludge. Therefore, the PBF-2 body produced in this study was considered to be capable of replacing grogged clay in the market.

      • 다이아몬드 공구에 의한 세라믹스의 가공 메카니즘에 관한 연구

        김광민(Kwang-Min Kim),최성대(Seong-Dae Choi),홍영배(Young-Bae Hong) 한국생산제조학회 2011 한국생산제조시스템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2011 No.4

        In this study, the wear of diamond tools carried out drilling of sintered alumina ceramics. Thickness were observed by video microscopy equipment multimedia tool wear generated during drilling. Effect of tool wear and tool rotation speed is the speed with increasing speed and processing tools, tool wear rate decreased. The quality of the roundness of the hole, it was getting worse with increasing tool rotation speed, according to the increase in processing speed, the standard deviation of roundness of the hole better.

      • Study on Emotional Evaluation Tool Focused on Ceramic Surface Texture

        ( Ji Hyun Kim ),( Min Jeong Song ) 한국감성과학회 2015 추계학술대회 Vol.2015 No.-

        The texture of ceramic surface is not only an important factor which affects its purchasing but also closely related to consumers’ visual and tactual sense because ceramics are sorts of product that people touches every time. The ceramic texture is a result from the combination between a selection of ceramic body and a glaze, to create an emotional value to consumers. Many previous researches about emotional sensibility of ceramics are focusing on visual impressions subjectively rather on textual sensibility. This research determined developing an evaluation tool to measure of emotional sensibility on the texture of ceramic surface by extracting visual and tactual affective objectives to match with certain combination of a ceramic body and a glaze. Totally 16 ceramic samples are created with the consideration of ceramic color, glossiness and roughness. These 16 samples are the combination between four ceramic bodies (White porcelain, Celadon, Sancheong and Black soil) and four glazes (Transparent, Matt transparent, Black & Matt black glaze). Visual and Tactual objectives are refined as results of the following activities: collecting design concept description and marketing materials of various ceramic companies, and comparing with the Classification of Adjectives. The author interviewed 50 samples with 16 ceramic samples for fi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bjectives and real aspect. In summary, the evaluation tool for measuring emotional sensibility on the ceramic surface texture is proposed. It may help designers and companies to understand how related to elicited emotional sensibility from the combination of the ceramic body and the glaze. This may also lead designers’ intention to the user’s emotion and specify the emotional words for their marketing purpose. This research was supported by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MOTIE), KOREA, through the Education Program for Creative and Industrial Convergence. (Grant Number N0000717)

      • KCI등재

        세라믹 골두 골절에서 금속 대 폴리에틸렌 관절면 재치환술 후 발생한 Metallosis

        이경재(Kyung-Jae Lee),정수원(Su-Won Jung),조철현(Chul-Hyun Cho),민병우(Byung-Woo Min)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4

        세라믹은 마찰계수 및 마모에 대한 저항성에 있어 금속-폴리에틸렌 관절보다 우수 하지만 소성 변형 범위가 매우 적어(brittle) 깨지기 쉬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알루미나 세라믹 골두의 파손은 드물게 보고되고 있으며 골두 파손 시 대퇴 스템의 Morse taper의 소성 변형으로 인해 금속-폴리에틸렌 관절면을 이용한 재치환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은 결과를 보인다고 보고되고 있지만 재치환술 후 남아있는 세라믹 입자에 의한 관절면의 마모에 대한 보고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양측성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로 세라믹-세라믹 관절면을 이용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 후 세라믹 골두 골절이 발생한 환자에서 금속-폴리에틸렌 관절면을 이용하여 재치환술을 시행하고 추시 관찰 중 남아있던 세라믹 입자에 의한 제 3개체 마모(third body wear)로 발생한 과도한 metallosis 1예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A ceramic articulation thought to be superior to metal-on-polyethylene due to its extremely low coefficient of friction and its potential for resistance to wear. But ceramic is brittle, which makes it theoretically susceptible to fracture. Although many authors have reported that metal-on-polyethylene articular pairing had good results after a ceramic head fracture, there have been few reports about complication due to the remaining ceramic particles after revision surgery. We report here on a case of severe metallosis that was thought to be due to third body wear by the remaining fractured ceramic particles after revision total hip arthroplasty.

      • KCI등재

        현대 도자미술의 ‘내러티브’에 관한 연구- 연구자의 도자 작품을 중심으로 -

        방창현 한국도자학회 2017 한국도자학연구 Vol.14 No.2

        The discourses on the dilemma of contemporary ceramic art haven't been finished yet. During the last half century in which the specificity of ceramic art has made itself alienated from the mainstream of fine art, the solutions that Garth Clark, Howard Risatti, Bruce Metcalf, Larry Shinner, and Glenn Adamson have suggested contradicted themselves or returned to the starting point being attracted into the history of traditional craft. This research suggests the alternatives through the narrative arts that returned in the late 20th century, diagnosing the problems of contemporary ceramic art as the excess of aestheticism and indiscriminate acceptance of narrowish Greenberg's modernism. As the research method, literature research was conducted centering on Bruce Metcalf's 「Replacing the Myth of Modernism」, Cragg Owens' 『The Art of Art History: A critical Antholog y』, Glenn Adamson's 『Thinking through craft』and Ronald Schleifer's『Rhetoric and Death-The language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Discourse Theory』and the artist to be analyzed for empirical cases was conducted centering on researcher's artworks. The characteristics of researcher's artworks are categorized into 'Thanatos', 'metaphor', 'black humor', and 'body' through the analysis. Firstly, 'Thanatos' is a consistent theme in the researcher's artworks that Freud mentioned as death impulse. 'Thanatos' can be interpreted into the return of 'the repressed' or the indulgence in trauma. Secondly, 'Metaphor' is a rhetoric that refers to one thing by mentioning another thing. The meaning of the researcher's artworks are conveyed indirectly through the swine's emotion. Thirdly, 'Black Humor' connotes disapproval that overthrows institutions and customs through satire and humor. Fourth, 'Body' refers to the body art that attracted the most attention because of the influence of postmodernism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swines' body in the researchers' artworks is the venue of criticism on Cartesian metaphysics. These new languages in the researcher's artworks are important elements of the narrative art sublating aestheticism and modernism, and this paper will be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diversity of ceramic art. 현대 도자미술의 딜레마에 관한 담론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 도자미술만의 특수성들이 오히려 순수미술에서 더욱 소외되는 상황을 야기했던 지난 반세기 동안 가뜨 클락, 하워드 리자티, 멧 칼프, 래리 쉬너, 글렌 아담스 등이 제시한 해결책들은 스스로의 모순에 빠지거나, 전통 공예라는 역사의자장에 끌려 다시 원점으로 회귀하는 양태를 보여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대 도자미술의 문제점을 전통 공예가 추구했던 유미주의의 과잉과 협소한그린버스식 모더니즘의 무분별한 수용으로 진단하고, 그 대안으로 20세기 후반에 복귀한 내러티브미술을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은 부르스 멧칼프의 「Replacing the Myth of Modernism」, 크렉 오웬스의 『The Art of Art History: A critical Anthology』, 글렌 아담슨(Glenn Adamson)의『Thinking through craft』와 로날드 슈라이퍼의 『Rhetoric and Death-The language of Modernism and Postmodernism Discourse Theory』를 중심으로 문헌 연구를, 실증적 사례를 위한분석대상은 본 연구자의 작품을 중심으로 했다. 이를 통해서 분석한 본 연구자의 내러티브 작품의특징은 ‘타나토스’, ‘은유’, ‘블랙 유머’, ‘몸’으로 분류되었다. 첫째, ‘타나토스’는 프로이트가 언급한 죽음에 관한 충동으로 연구자의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일관적인 주제이다. 타나토스는 문명사에 가려진 억압된 것들의 회기이자 트라우마의 탐닉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은유’는 원관념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보조관념을 등장시키는 수사법이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인간의 감정을 직설적으로 나타내지 않고 보조관념인 돼지를 통해서 비유적으로 표현된다. 셋째, ‘블랙 유머’는 카니발 그로테스크의 가장 핵심적인 언어로 풍자와 해학을 통해서 제도와 관습을 전복시키려는 함의를 지니고 있다. 넷째, ‘몸’은 20세기 후반 포스트모더니즘의 영향으로가장 주목받은 신체미술을 의미한다. 연구자 작품 속에 등장하는 돼지의 몸은 모더니즘의 데카르트적 형이상학에 대한 비판의 장이다. 연구자의 작품에서 발견되는 이러한 내러티브의 언어들은공예적 유미주의와 모더니즘의 형식주의를 지양한 새로운 시각언어로서 도자미술 표현의 다양성에기여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