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JOB SHADOWING을 활용한 중학생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신미진,유형근,조용선 한국진로교육학회 2008 진로교육연구 Vol.2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job shadowing for enhancing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maturity. To achieve this purpos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the following; First, What are the contents of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job shadowing? Second, How effective is the program? In this study, the middle school students' career development, career education, existing career group-counseling program and job shadowing for improving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reviewed. The components of this program were extracted from the leading research.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program followed the Park In-Woo(1995)'s systematic counseling program development model and the program was consisted of total 10 sessions. In order to validate the constructed program, 14 students randomly among 39 applicants were selected and distributed equally to a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Each group was conducted pre-test and carried out the career exploration group-counseling program using job shadowing for 70 minutes to the experiment group over 10 times for 5 weeks, and conducted post-test; As measuring instruments, the 'Career Maturity Test' developed by Korea Occupational Ability Development Service(2001) was used. Data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MANCOVA using SPSS. And in order to complement the shortage of quantitative analysis, the observation of participants, job shadowing report and results of satisfaction test were analysed additio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job shadowing for enhancing career maturity of middle school students can be constructed with four components: Self-Understanding→Work and Job Understanding→Career Decision-Making→Career Plan, and consists of job shadowing in domain of 'work and job understanding'. Second, the test score of experiment group members was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ing with that of control group members. It shows that the constructed program is effective for career maturity.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의 진로 성숙도 향상을 위한 job shadowing을 활용한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에 따른 연구문제는 첫째, Job shadowing을 활용한 중학생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떠한 내용으로 구성할 것인가? 둘째, Job shadowing을 활용한 중학생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는 어떠한가? 이다. 선행 연구 고찰을 토대로 프로그램의 구성요소를 도출했으며, 박인우(1995)의 체계적 상담 프로그램 개발 모형에 기초하여 프로그램을 구안하였다. 구안된 프로그램은 10회기의 자기이해→일과 직업세계의 이해→진로의사결정→진로계획의 구성요소로 구안되었다. Job shadowing은 ‘일과 직업세계의 이해’의 영역에 포함시켰다. 구안된 프로그램을 중학생에게 실시한 결과 실험집단의 진로성숙도가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본 연구는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직업체험이라는 실질적이고 적극적인 방법을 활용하여 학교생활과 직업생활의 연관성을 찾을 수 있도록 조력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인터넷․스마트폰 과의존 고등학생의 자기통제력과 진로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김은희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2023 미래청소년학회지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internet․smartphone overdependence The research subjects were 88 high school students. Out of these, 44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44 were assigned to the control group. Both groups underwent pretest and posttest assessment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 ANCOVA was conducted using pretest scores as the covariate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wo sub-factors of self-control, self-discipline and concentration.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greater improvement in their self-contro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at received no treatment. Secondly, the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led t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in the sub-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namely concern, curiosity, and confidence. The experimental group displayed greater improvement in their career adaptabilit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basic data supporting the effectiveness of a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rnet․smartphone overdependence, and demonstrates that the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can be fruitfully utilized to help individuals exercise self-control, adapt to a dynamic environment, and plan their career path.

      • KCI등재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중년여성 성인학습자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

        김영자(Youngja Kim),정소희(Sohee Jeo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7

        본 연구는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중년여성 성인학습자들의 진로적응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소재 D전문대학에 재학 중인 중년여성 성인학습자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 중 15명은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여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기반한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을 10회기 진행하였고, 통제집단 15명은 진로상담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았다. 두 집단 모두 프로그램 실시 전과 실시 후 진로적응성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공분산분석(ANOVA)을 이용하여 사전사후 점수 차이를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에는 SPSS 18.0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진로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여성 성인학습자가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진로적응성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또한 진로적응성의 8가지 하위요인(책임감, 목표의식, 창의성, 대인관계, 개방성, 주도성, 직무능력, 긍정적 태도 등) 모두에 있어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한 향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중년여성 성인학습자를 위한 진로상담프로그램에 대한 연구, 개발이 더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상담현장 및 평생교육기관 등에서 중년 여성을 위한 진로상담프로그 램을 더 많이 실시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nalyze the effects of career group-counseling programs on the career adaptability of middle-aged female adult learners. To that end, 30 middle-aged female adult learners attending D College located in Daegu Metropolitan City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Among them, 15 subjects were selected as an experiment group and 10 sessions of a group career counseling program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were implemented and 15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did not participate in career counseling program. Both groups underwent career adaptability tests before and after implementing the program and the differences in scor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were analyzed using covariance analyses (ANOVAs). SPSS 18.0 was utilized in statistical analyses. Based on the results, the career adaptability of those female adult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career counseling program was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all eight sub-factors of career adaptability (sense of responsibility, goal consciousness, creativity, interpersonal relations, openness, initiative, job ability, and positive attitude)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results as such, this researcher suggested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of career counseling program for middle-aged female adult learners should be more actively conducted and counseling fields and lifelong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implement more career counseling programs for middle-aged women.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진로성숙도, 진로동기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방희원,손승민,조규판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6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의 목적을 위해 부산광역시 소재 D대학교 학생 23명을 선정하여 12명은 실험집단, 11명은 통제집단에 배치하여 실험집단에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진로성숙도 전체와 하위요인인 결정성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진로동기 전체와 하위요인인 진로정체감, 진로통찰력, 진로탄력성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탐색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진로준비행동 전체와 하위요인인 정보수집활동, 목표달성활동에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대학생의 진로탐색 집단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 향상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성숙도, 진로동기, 진로준비행동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진로관련 인지적, 정의적, 행동적 특성을 포함한 다양한 진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지원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on the career maturity,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23 students from D University in Busan were sampled and 12 were placed o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11 were placed on control group.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effect on career maturity and sub-factor which is career decision-making. Second,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effect on the career motivation and sub-factors which are career identity, career awareness, and career elasticity. Third,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effect on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and sub-factors which are information gathering activities and goal-fulfillment activities. In conclusion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effects on increase career maturity, career motivation,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in order to promote those characteristics, it is necessary to develop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including cognitive, affective, and behavioral aspects.

      • KCI등재

        도예활용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지적장애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

        정현구,천성문 한국교육치료학회 2019 교육치료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 using ceramic art activities career on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r that,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H Special School in Busan were selected to participate in the ceramic art activity group counseling. The 20 participa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consisted of 10 sessions in total; it was conducted twice a week and each session was 80 minutes. For the analysis of the results, both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ook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test and pre- and post- tests of career maturity. Using SPSS/WIN +23.0. statistical program, the analysis of covariance(MANCOVA) was performed with the pre-test scores as a covariate to verify the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To make up for the limit of quantitative analysis, the reports of 10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collected and their change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ports of each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Secondly, the career matur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conclusion, this program can be effective to improve the career decision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Limitations of the current study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장애학생을 대상으로 도예활용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B시에 위치한 H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지적장애학생으로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20명을 대상으로 희망자와 학부모의 참가 동의를 받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하여 실험집단에는 주 2회 80분씩 총 10회기의 도예활용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의 사전-사후검사를 실시하였고, SPSS/WIN 23.0 통계프로그램으로 공분산분석(ANCOVA)과 다변량공분산분석(MANCOVA)을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회기별 소감문을 바탕으로 참여자의 효과를 분석한 내용 분석을 병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도예활용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참여하지 않은 통제집단보다 프로그램에 참여한 후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진로성숙도가 향상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과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취업중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에 미치는 효과

        김훈숙(Kim, Hun-Suk),김형균(Kim, Hyung-Gyun) 공주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18 敎育論叢 Vol.55 No.3

        이 연구는 취업중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과 대학생의 진로태도 성숙도와의 관계를 설명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예산군 소재 K대학의 학부과정 학생 중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 31명과 프로그램에 참여하지 않는 동일계열의 같은 학년인 비교집단 31명을 대상 선정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한 프로그램은 한국고용정보원의 CAP+(Career Assistance Program)를 K대학 학생들의 실정과 요구에 맞게 재구성한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분석에 적용된 방법으로는 진로태도 성숙도와 하위요인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의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고, 독립표본 t-검정을 실시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크론바하 알파 계수를 이용하였으며, 일반적으로 크론바하 알파계수가 0.7 이상이면 신뢰도가 비교적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대학생의 진로태도성숙도에 미치는 효과를 연구하여 분석하고, 대학생 진로태도 성숙도에 영향을 미치는 하위변인인 결정성, 준비성, 독립성, 목적성, 확신성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았다 This study aimed to verify the effect of job-oriented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n university students career attitude maturity. Selection was made for experimental group 31 students in Yesan-gun who participated in a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and for comparative group 31 students in the same grade and same course who did not participate in the program, and an analysis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application of the program. For this study, CAP+ (Career Assistance Program) of the Korea Employment Information Service was reconstituted to satisfy actual situations and requirements of students at the K University. Statistical method used for the analysis calculated the average and a standard deviation of prior test and post test of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sub-factors and then, an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Cronbach s Alpha coefficient was used in order to verify this. Following is conclusion drawn from the research result; First, career attitude maturity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who did not participate therein. Second, according to investigation of sub-variables influencing on career attitude maturity of students, it was found that such sub-variables as determination, preparedness, independence, finality, and confidence had statistical significance. Following is a suggestion based on the research result; First, it is expected to utilize this study as basic data for career guidance of university students. Second, it is expected for this study to show how respective activities of structured program used in this study make results and then, to be utilized as useful reference data for practical workers and researchers who participate in development and processing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Third, it is required for subsequent studies to consider through which technique and process group leaders reached the session target per session and which relations they had with effect factors.

      • KCI등재

        부모와 함께하는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

        황정은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009 청소년상담연구 Vol.1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program utilizing parents' participation in career group counseling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assess and validate its effect on their career maturity. Main objectives are as follows : Developing an effective way to construct the program for parents and children to participate in career group counseling : Validating its effect of the career maturit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0 sophomore, junior students attending 'B' middle school in Seoul. For this research, thirty students who wanted to participate the career exploration group counselling program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 15 students with their par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5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This program is based on Consultation Program Development Model by Park In-u(1995). In terms of study procedure, we conducted the program to experimental group after class twice a week(60-90 minutes per session) which total to twelve sessions and took no measure to control group. It was administered three times, pre, post and follow test by CMI(Career Maturity Inventory) and were analyzed by 'Mixed ANOVA', 'Paired t-test' from SPSS/Window 12.0. Also the analysis of experience reports by session and counselor observation contents was indicated to supplement the limitations in the reliability of quantitative data. Results indicat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Content analyses further reveled that participants in the Program with parents demonstrated positive reactions towards the effectiveness of the intervention. Overall a positive effect was found in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parents' participating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supporting the hypothesis that the program may be beneficial for improving career maturity in middle school students. 본 연구는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부모참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시하여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고자 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부모참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안되어야 할 것인가. 둘째, 부모참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진로성숙도 향상에 효과가 있는가를 밝히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서울특별시 강북구에 소재하는 ‘B' 중학교 2․3학년 학생들 중 부모가 함께 참여 가능한 희망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험집단 15명과 통제집단 15명으로 구성하였다.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부모참여 진로집단 상담프로그램은 박인우(1995)의 상담프로그램 개발 모형을 바탕으로 구안되었으며, 검사도구로는 Crites가 제작한 CMI(Career Maturity Inventory)를 한국행동과학연구소에서 번역한 것(1984)으로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Window 12.0에서 혼합변량분석 및 대응표본 t검증을 사용하여 통계적 결과를 분석하였다. 또한 매 회기별 부모설문을 통해 부모가 지각하는 자녀의 진로인식 변화에 관한 점수를 학생별로 누가 기록한 후 그 변화추세를 살펴보았고, 상담자의 관찰내용과 집단원의 경험보고서, 그리고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 소감문을 분석하여 통계적 검증에 따른 연구 결과를 보완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참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처치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진로성숙도 변화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내용 분석 결과에서도 실험참가자들이 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하여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부모참여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를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 KCI등재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김종학 ( Jong Hak Kim ),김성봉 ( Sung Bong Kim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3 청소년복지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진로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대학교 1학년, 2학년 남녀학생 24명을 대상으로 실험집단에 12명, 통제집단에 12명을 배치하였고, 사전-사후 실험설계를 하였다. 자료분석은 사후에서 사전을 뺀 증가분을 이용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간의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실험결과 첫째,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진로성숙 전체와 진로결정성, 진로관여성, 진로독립성, 진로타협성, 진로성향성 다섯 영역에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둘째,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진로의사결정유형 전체와 직관성, 의존성에는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반면, 합리적 유형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셋째,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한 실험집단은 통제집단보다 진로의사결정능력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에서는 Holland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시사점과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on career maturity and career decision-making of college students. The subjects consisted of 24 male and female college freshmen and sophomores, 12 selected a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respectively. Then, pre- and post-experimental designs were conducted. For data analysis,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performed by using an increase between the pre- and the post-experimental design.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t took part in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there was a more significant increase in five fields, career decisiveness, involvement, independence, compromise and propensity, as well as total career maturity,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showed no significance in all career decision-making styles, career intuition and dependence, whereas it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rational styles. Thir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more significant increase in career decision-making abilities,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In view of the results, accordingly, this study discussed a proposal for implications and further studies of Holland career group counselling program.

      • KCI등재후보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폐광지역 전문계 여고생의 진로결정수준 및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임윤자,유형근,조용선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8 敎員敎育 Vol.2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폐광지역 전문계 여고생의 진로결정수준과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강원도 폐광지역 D여자고등학교 전문계열 2학년 학생 20명을 무선표집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각 10명씩 배치한 후 5주에 걸쳐 총 10회기의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진로결정수준의 변화를 측정하기 위한 검사도구로는 Harren(l979)이 개발하고 Buck과 Daniels(l985)가 수정한 진로의사결정검사척도를 사용하였고,진로 준비행동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한 검사도구로,김봉환(997)이 대학생의 진로준비행동을 검사하기 위하여 제작한 것을 연구자가 전문계 고등학생에 적합한 수준의 용어로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진로 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은 교육인적자원부(2003)의‘중등학교용 진로지도를 위한 지침서’를 기본 틀로 하여 전문가의 자문을 받아 연구대상의 특성과 연구목적에 적합하게 재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진로결정수준점수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진로결정수준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결정수준의 하위요인인 학교적응,직업계획,전공계획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 되었으며,그 중 직업계획이 가장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둘째,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에 참가한 실험집단의 진로준비행동점수가 유의하게 증가되어 진로준비행동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경제적·지역적으로 소외되어 교육 환경이 열악한 폐광지역의 전문계 여고생의 특수성에 입각한 진로준비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그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s of a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hich was to improve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girl students in abandoned mine territor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consisted of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by 10 students respectively in D high school, Kanwondo, Korea. 10 sessions of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were carr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60 minutes each.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first, the career decision level scores of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tatistically more increased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It was proved that the program revealed great effects on improvement of the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dicated to significantly enhanced in the scores for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proved that the career preparation group counseling program showed the positive effects on career decision level and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high school girls in abandoned mine territory. This study should be enough considerations in the way that providing high school girls with appropriate group counseling program in abandoned mine territory.

      • KCI등재

        중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활동내용 분석

        안세지(Ahn Se-Ji),김세일(Kim Se-Il),강은주(Kang Eun-ju) 경성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2 인문학논총 Vol.29 No.-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활동을 내용분석하여 프로그램개발에 대한 이론적 학문적 근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이루기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의 공통된 구성요소를 추출하고 분석절차를 결정하였다. 분석의 절차는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이론적 배경 및 연구문제를 형성하고 선정기준에 따라 연구대상을 선별하였다. 이에 연구동향 파악을 위해 선별된 대상연구의 수는 131편이었고, 활동 내용분석을 위해 선별된 대상연구의 수는 67편이었다. 그 중 20편을 먼저 요약정리한 다음에 분석의 기초가 되는 활동의 범주를 설정하였다. 나머지 프로그램을 모두 목표에 따라 요약 정리하여 결정된 활동의 수는 42개이다. 결정된 활동은 활동의 내용과 선행연구에서 자주 쓰인 활동명으로 통일하여 조작적 명칭을 부여하였다. 상담심리전공 박사이상 전문가 3인의 검토를 통해 신뢰도와 타당도를 입증하고 선행연구의 범주를 참고로 결정된 19개의 하위범주에 따라 분류하였다. 이를 구성요소 5가지인 자아이해, 일과 직업의 세계, 일과 직업에 대한 태도 및 습관 형성, 일과 학습, 진로계획에 따라 분류하여 각 요소에 따른 활용빈도를 확인하였다. 이에 따른 결과를 SPSS 18.0을 통해 빈도분석 하였다. 프로그램을 요약 정리한 데이터를 토대로 각 활동들이 활용된 회기를 빈도분석하여 주된 활용회기를 확인하였다. 또한, 중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년도, 학년, 성별, 집단원 수, 회기 수, 시간을 형식적 분석을 통해 특성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에서 살펴본 바에 따라 중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활동 내용분석에 대한 결과를 통해 교육적 의의를 찾아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 진로탐색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연구 수는 2004년 이후로 줄어들고 특정주제를 활용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이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은 자아이해, 진로계획, 일과 직업의 세계, 일과 직업에 대한 습관형성, 일과 학습 순서로 비중을 두고 연구되고 있었다. 셋째, 중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활동은 활용된 회기가 뚜렷한 활동과 연구목적에 따라 유연성 있게 활용되고 있는 활동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중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정서적, 신체적 발달과 진로발달과업을 고려하여 개발되고 있으나 진학탐색을 위한 활동이 부족함을 반영한다. 그리고 학교에서 학기 중에 실시되는 것과 재량활동시간 및 방과 후 시간을 활용함으로써 생기는 제한점을 보완한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개발 · 실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제시된 활동의 회기 내 활용비중과 활용회기는 앞으로 중학생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개발 및 수정의 이론적 근거를 제공하여 프로그램의 효율성과 유용성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tents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provide the rationale for development of these programs. A total of 67 MA and PhD theses(2001-2011) which include contents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 of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for this study. The criteria for analysis included the following aspects of theses: the components of career group counseling and the current status of the programs in middle schools. Through content analysis, 42 various contents were categorized according to 19 subcategories of 5 main items that are composed of ‘self understanding’, ‘career planning’, ‘work and occupation’, ‘formation of good habits on work and occupation’ and ‘work-based learning’. First, research of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s of middle school students have decreased since 2004. Whereas developments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based on specific themes have increased. Second,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s of middle school students put emphasis on ‘self understanding’, ‘career planning’, ‘work and occupation’, ‘formation of good habits on work and occupation’ and ‘work-based learning’, in that orders. And lastly, among the activities in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s of middle school students, some are used in particular sessions and others are used flexibly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show that career group counseling programs of middle school students have been developed based on their physical and emotional development but activities for exploring advanced schools are more needed. Finally, limitations of present study and suggestions were discussed for further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