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카메라 디자인의 디지털과 아날로그 인터페이스 방식에 관한 소비자 선호도에 관한 연구

        장중식,김관배,정도성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12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12 No.3

        카메라는 최초 발명 이후 필름을 중심으로 많은 부분 현상소에서 현상기법을 중심으로 표현하지 못하는 부분이 개발되어 각광받았다. 다만 오늘에 이르러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그 해상도와 다양한 테크놀로지가 개개인의 휴대용 카메라에 소장됨으로써 과거 현상소에서 해결할 수밖에 없었던 부분을 개개인이 스스로 처리할 수 있게 되었으며, 휴대용 PDA가 발전됨으로써 범용성에 입각하여 카메라의 기술이 사용되어 보다 일반적인 측면으로 변화하게 된다. 이는 과거 카메라의 획일적인 선택의 기준을 넘어서 다양한 선별의 기준을 발생시키게 했다. 카메라는 전문인을 위한 카메라, 개인용 스냅사진기 등으로 나누어 현재 활용되고 있다. 이에 하이테크놀로지의 부가서비스 창출로 인하여 다기능을 컨트롤하기 위해 다양한 측면의 고려가 요구되는 것이 오늘의 카메라 인터페이스가 지녀야하는 새로운 직면과제이기도 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카메라를 중심으로 과거 아날로그 인터페이스와 디지털 인터페이스의 소비자 선호도를 측정하고 이를 중심으로 비교, 평가, 분석하여 연구하였다. 그 결과 카메라 선호도 측정으로는 디지털 카메라 방식을 선호하였으며, 인터페이스 방식은 과거의 향수를 느낄 수 있는 아날로그 방식이지만 정리된 인터페이스를 선호하였다. 또한 과거 아날로그 방식의 카메라로 활용할 경우 전문현상소로부터 새로운 작업공정을 필요로 하여 오히려 디지털 방식으로 영구소장 하는 것을 많은 이들이 원했으며, 버튼의 크기와 위치가 그 중요기능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 있어서 작업의 흐름을 중심으로 카메라와 같은 복잡한 기기의 인터페이스는 정리가 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Camera was hailed by its detailed expression with various processing laboratories since its invention. But, today digital camera enables people to solve various problems on their own which were once solved in a processing laboratory for high definition and various technologies in the portable camera, and the development of portable PDA makes general use of camera technology. It creates various selection criteria beyond a single criterion of selection of camera in the past. Camera divides some for professional, and others for personal snap camera. Thanks to high technology additional services, various considerations are required to control multiple functions, which is a new task to solve today's camera interface. This study examined consumers' preference of analog interface and digital interface in camera and analyzed it. As a result, consumers, of course, preferred digital camera, and they preferred past interface method which they had nostalgia in terms of interface method. They preferred permanent possession by digital method as they need a processing laboratory if they use analog camera. It also showed that as button size and location play an important role, the interface of complicated devices such as camera must be arranged.

      • KCI등재

        몰래카메라 범죄방지를 위한 스마트폰 연동 기반의 IR 열카메라 탐지기 개발

        강영길,조필구,김영곤,Kang, Young-Gil,Cho, Pil-Gu,Kim, Young-Gon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21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21 No.6

        몰카범죄의 증가에 발맞추어 은닉형 카메라는 스마트폰의 기술발전 속도에 따라 소형화 및 기술 집적이 고도화되어 성능이 날로 발전하고 있다. 이러한 외적인 네트워킹 컴퓨팅 환경이 고도화 되고, 활동이 많은 현대인의 생활양상이 다양화됨에 따라 일반 안전용 카메라외에 은닉형 카메라에 노출 또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반면 은닉형 카메라를 탐지하고 예방하기 위한 기술은 이러한 은닉형 카메라 기술발전과 속도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일반영상과 열화상 이미지 합성기술을 바탕으로 적외선 열 방식의 탐지기술을 이용하여 은닉카메라의 발열을 감지하고, 주변 온도 차이에 따른 각 파장의 반사율을 분석하여 오탐율도 줄이도록 하였다. The performance of hidden camera cameras is improving day by day due to miniaturization and advanced technology integration according to the speed of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smartphones. As this external networking computing environment is advanced and diversified, exposure to hidden cameras in addition to general safety cameras is also increasing. On the other hand, the technology for detecting and preventing hidden cameras is not keeping up with the development and speed of these hidden camera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heat of the hidden camera was detected using infrared thermal detection technology based on general image and thermal image synthesis technology, and the reflectance of each wavelength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ambient temperature was analyzed to reduce the false positive rate.

      • KCI등재

        필름카메라의 귀환 -자기표현과 여가활동으로서의 사진문화-

        라연재(Ra, Yeon-jae) 실천민속학회 2021 실천민속학연구 Vol.38 No.-

        2010년대 후반 무렵부터 레트로라는 단어는 주류 문화로 편입했다. 복고(復古)는 시대를 불문하고 나타나지만, 레트로라는 말로 과거에의 회귀를 표현한 것은 최근에 해당한다. 연령대에 따라 다소의 인식 차이를 보이지만 1990년대~2000년 이전에 소비되었던 문화의 속성을 ‘레트로’로 통칭하는 편이다. 연식이 오래된 장소를 방문하고, 레코드판으로 지나간 음악을 듣고 필름카메라로 일상의 모습을 남기는 모습은 더는 과거에만 고정되어 있지 않은 당면한 현재이다. 따라서 디지털카메라와 휴대폰 · 스마트폰 카메라가 널리 사용되고 기능이 고도화된 현 지점에서도 여전히 필름카메라를 소유하고 사용하는 사람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어릴 적부터 관성적으로 필름카메라를 사용해온 사람들과 더불어 필름카메라를 한 번도 만져본 적이 없던 연령대가 새로 진입하면서 필름카메라 문화의 지형도를 그리고 있다. 사진은 자아를 표현하는 수단이며, 카메라를 작동해 원하는 사진 이미지를 실물로 재현하는 행위는 놀이이자 취미의 일환이기도 하다. 특히 필름카메라는 물려받거나 중고로 구매하는 과정에서부터 일련의 자기 서사를 구축한다. 필름카메라는 고유의 조작감을 실제로 느끼는 한편 그 자체로 미학 오브제(objet)의 기능을 맡고 있으며 필름카메라로 찍힌 이미지는 디지털카메라나 휴대폰(특히 스마트폰) 카메라와의 차별성을 가져다준다. 또한, 사진은 사람들에게 손쉽게 접근할 수 있는 예술의 영역으로 여겨진다. 흔한 디지털카메라와 휴대폰 카메라를 두고, 예스러운 느낌을 생산하는 필름카메라를 선택하는 이유에는 취미의 영역인 한편 개인 주체가 실천하는 예술 행위와 맞닿아 있다. 또한, 과거의 이미지를 해석해 현재의 사진을 생산하고 소비하는 주체들의 감성은 사진에 시각적으로 반영되어 있다. 필름카메라 사진문화를 즐기는 층위는 디지털카메라 대중화 시기 이전부터 지속해서 필름카메라를 소유하고 취미로 즐기는 유형, 2010년대 후반 들어 필름카메라 제반 상황이 갖춰지면서 다시 혹은 새롭게 필름카메라를 취미로 갖게 된 유형, 필름카메라를 소유하고 있지 않으나 필름카메라로 찍은 것처럼 효과를 내고 싶은 유형 등으로 나뉜다. 이는 사진을 찍을 수 있는 장수가 제한된 필름카메라로 사진 한 장마다 공을 들일 수 있는 수고로움과 진정성을 어떻게 재현할지에 대한 시도로 읽을 수 있다. 그러나 필름카메라를 직접 소유하고 있는지는 중요하게 작용하며, 이미지 안에 예스러움과 친숙함을 의도하며 디지털적 무개성에서 탈피하려 하는 과정에서는 사진문화를 주도적으로 이끌어가는 계층의 시각성이 담기게 된다. 필름카메라는 디지털과 대비되는 지점에서 예스러움을 기반으로 소유로 촉발되는 물성과 함께 능동적인 실천을 유도하면서 고유의 시각성을 재현하는 장을 열고 있다. 이 글에서는 근대에 유입되어 대중문화로 자리 잡은 현대 생활문화라는 측면에서 정체성의 형성에 지대한 역할을 담당하는 취미 · 여가문화를 파악하기 위해 대중들이 어떻게 사진문화의 장에 개입하고 있는지를 살폈다. 한때 주류였던 필름카메라 기술문화가 디지털의 등장으로 인해 사양으로 접어들었음에도 ‘지금 여기’에 재현되고 있는 이유는 1) 자기표현의 도구로 이용되는 레트로 감성의 표출 2) 미디어의 영향 3) 필름카메라가 지닌 특성의 재발견과 예술성의 재현 4) 시장에서 새롭게 형성되는 상품 가치 등의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Since ‘Retro(spective)’ culture have been prevailed in Korea around the late 2010s, it utterly became mainstream. Almost in every period, paying homage to past epoch is taken for granted, however, Korean media labeled the term ‘retro’ as the one part of daily consumption culture for going through any period only before 1990–2000s. Recent ‘retro’ culture also contains the film camera which is considered as the tool of constructing visuality. In contrast to digital photography, so called as ‘analog photography’ or ‘film photography’ brings the new perspectives on imaging and visual culture embracing film camera manias from early days and people who have never touched the film camera before. Even young generations holding film camera consider themselves hipster. Camera users represent themselves via the images as self narrative. Also they performed the sort of play building concrete image from the abstract concept. Even from the way to hold the film camera(hand-me-down or second hand), people have their own narratives. In the matter of material itself, film camera users desire the sense of control from pulling over lever or clicking the shutter. It has also distinctive features such as various appearances functioning aesthetic object or film grains. People who enjoy the film camera position themselves between artist and amateur. Digital photography realized the motto ‘everyone who hold camera is all photographers’ since 2000s. Film camera users(also performers/photographers) are the leading figures who interprets the nostalgia from the past, consume the retrospective images, and produces the real images. It is also related to the phrase that “Why film photographers insist to use film cameras besides all the efforts?” Film camera users feel authenticity and craving for controlling (analog) techniques in the limited shoots. Based on active performs and the sense of antique-ness, recent film photography forms retro-visuality. This article examined that how public have engaged with photography as modern lifestyle and they formed self through camera. There are several reasons such as 1) revealing retro sense from using camera as self-expression 2) the influence of media 3) re-discovering the characters of film camera and making ‘aura’ and ‘authenticity concept 4) reforming the value of commodities in socio-economical base.

      • 기준 백색 선택에 따른 비디오 카메라의 전달 특성

        김은수,박종선,장수욱,한찬호,송규익 대한전자공학회 2004 電子工學會論文誌-SP (Signal processing) Vol.43 No.3

        일반적으로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도구로 사용되고 있는 비디오 카메라는 동일한 피사체의 XYZ 3 자극치에 대한 RGB 출력 신호가 카메라마다 각각 다른 기기 의존적인 특성을 가진다. 카메라로 촬영한 원 피사체의 XYZ 3 자극치와 카메라 RGB 출력 신호 사이의 변환 관계인 카메라 전달 특성을 알 수 있다면 다양한 디스플레이 시스템에서의 기기 독립적 색 재현이 가능하다. 카메라 전달 특성 조사 방법에 대한 연구는 두 가지 형태로 나뉘어서 진행되어 왔다. 첫 번째 방법은 카메라의 RGB 필터 분광 특성을 파장별로 구하여 CIE 칼러 매칭 함수로 표현하는 것과 알고 있는 색 타겟, 즉 샘플색의 XYZ 3 자극치를 카메라로 촬영하고 출력되는 RGB 신호 간의 변환 행렬을 구하는 방법이다. 실험이 용이하여 일반적으로 많이 이용되는 두 번째 방법은 동일한 카메라에 대해서도 촬영 조건에 따라 매번 60개 이상의 시험색을 촬영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특정 촬영 조건 하에서 구한 카메라 전달 특성 변환 행렬을 이용하여, 촬영 조건이 바뀌었을 때 달라지는 카메라의 전달 특성을 추정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한 방법은 먼저 다항식 모델링을 이용하여 특정 화이트 밸런스에서의 카메라 전달 특성 3×3 변환 행렬을 구하고, 이 변환 행렬로부터 카메라의 인광체 좌표를 추정한다. 마지막으로구하고자 하는 기준 백색에 따른 카메라의 채널 이득을 계산하여 특정 기준 백색에 화이트 밸런스가 맞춰진 카메라의 전달 특성을 구하였다. 실험 결과 제안한 방법에 의해 구한 카메라의 전달 특성은 기존의 방법으로 구한 3×3 변환 행렬보다 더 좋은 성능을 가지면 카메라의 화이트 밸런스가 달라질 때마다 모든 시험색을 환영하여 구해야 하는 기존의 변환 행렬과 비슷한 성능을 가지는 3×3 변환 행렬을 손쉽고 간단하게 구할 수 있다.장, 간장, 비장 및 맹장 등 체내 장기로부터 접종균의 회수율은 WL이 일령 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나 다른 품종들 보다는 현저히 낮았던 반면에 RIR은 80~90% 이상으로 매우 높았으며 WL$\times$RIR 교배종은 WL보다는 다소 높았으나 RIR보다는 상당한 차이로 낮았다. 항체 양성을에 있어서는 WL$\times$RIR이 WL 및 RIR보다도 높게 나타났다 2. Hyline white$\times$ Hyline brown(HwHb) , Hw$\times$ Isa brown(HwIb), Isa white$\times$Ib(IwIb), Iw$\times$Hb(IwIb) 및 Ib$\times$Iw(IbIw) 등 합성 교배종의 가금티푸스에 대한 질병 저항성 HwHb, Hwlb, Iwlb 및 IwHb 등 4가지 합성품종과 IbIw의 역교배종을 공시하여 6주령 시험계에 감염후 2주간에 걸쳐 폐사율, 증체량, 접종균 회수율 및 응집 항체 양성율 등으로 가금티푸스에 대한 질병 저항성을 비교 시험하였던 바, 공시 품종 모두가 가금티푸스에 대해 현저한 질병 저항성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었으며 품종간 비교에서는 HwHb가 공시한 다른 품종들보다 더 강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었다.의 이미지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본 연구가 지지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1) 본 연구에서는 자극의 조건을 실험대상자가 소유하고 있는 의복에 한계를 두었다. 다양한 이미지의 의복을 선정하지 못한 점이 앞으로 더 연구하여야 할 점으로 본다. 2) 장소선정에 있어서 강남과 강북 서울중심과 지방 등으로 좀 더 세분화하면 다른 결과가 나을 수 있으리라 예상된다. 따라서 성격이나 가치관, 구매성향에 대해 좀 Video camera can be a useful tool to capture images for use in colorimeter. However the RGB signals generated by different video camera are not equal for the same scene. The video camera for use in colorimeter is characterized based on the CIE standard colorimetric observer. One method of deriving a colorimetric characterization matrix between camera RGB output signals and CIE XYZ tristimulus values is least squares polynomial modeling. However it needs tedious experiments to obtain camera transfer matrix under various white balance point for the same camera. In this paper, a new method to obtain camera transfer matrix under different white balance by using 3${\times}$3 camera transfer matrix under a certain white balance point is proposed. According to the proposed method camera transfer matrix under any other white balance could be obtained by using colorimetric coordinates of phosphor derived from 3${\times}$3 linear transfer matrix under the certain white balance point. In experimental results, it is demonstrated that proposed method allow 3${\times}$3 linear transfer matrix under any other white balance having a reasonable degree of accuracy compared with the transfer matrix obtained by experiments.

      • KCI등재

        수단-목적 사슬이론에 의한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 카메라의 소비자 가치단계도(HVM): APT 래더링을 중심으로

        송기인 ( Gee In Song ) 한국지역언론학회 2008 언론과학연구 Vol.8 No.4

        본 연구의 주목적은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 카메라에 대한 사용자의 가치단계도를 구성해 보고, 그에 따른 소비자의 가치구조를 이해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 카메라 제품 각각에 대한 소비자 가치단계도의 단계별 중요 항목 및 항목 간 연결 관계 규명과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 카메라 제품 각각에 대한 소비자의 가치단계도(HVM)를 구성하는 것이었다. 조사 방법은 새로운 래더링 기법으로 평가받고 있는 APT 래더링이었고, 총 189명으로부터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로, 가장 중요한 디지털 카메라의 각 단계별 연결 관계는 속성과 기능적 혜택단계에서 <카메라 휴대성-휴대의 편리>관계, 기능적 혜택-심리적 혜택단계에서 <고화질 사진인화-촬영의 만족감>관계, 그리고 심리적 혜택-가치 단계에서 <촬영의 만족감-성취감>관계였다. 필름 카메라의 결과는 속성과 기능적 혜택단계에서 <카메라 크기 및 무게-휴대의 편리>관계, 기능적 혜택-심리적 혜택단계에서, <노출 조정의 손맛-촬영의 만족감>관계, 그리고 심리적 혜택-가치 단계에서 <촬영의 만족감-성취감>관계였다. 더불어, 디지털 카메라에 대한 가치단계도에서 가장 중요한 래더는 <카메라 휴대성-휴대의 편리-촬영의 즐거움-삶의 즐거움>의 래더였고, 필름 카메라에 대한 가장 중요한 래더는 <카메라 크기 및 무게-휴대의 편리-촬영의 즐거움-삶의 즐거움>의 래더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최종적으로 디지털 카메라와 필름 카메라에 대한 소비자의 개인적 가치단계도를 구성할 수 있었다.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truct the consumer`s HVM(Hierarchical Value Map) about digital camera and film camera, and to understand the consumer. The research questions are to test the association among levels of Means-end chain theory, and to construct each HVM about Digital camera and Film camera. The method of research is APT laddering which is evaluated with a new laddering technique, and data was collected from 189 respon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run as follows: a) the most important the association among levels about digital camera is <carrying camera-convenience> association in attribute-functional consequence level, <having better picture-satisfaction of taking photograph> association in functional consequence-psychological consequence level, and <satisfaction of taking photograph-accomplishment> association in psychological consequence-value level. And the most important the association among levels about film camera is <size and weight of camera-convenience> association in attribute-functional consequence level, <hand feeling of exposure-satisfaction of taking photograph> association in functional consequence-psychological consequence level, and <satisfaction of taking photograph-accomplishment> association in psychological consequence-value level. b) In HVM about digital camera, the most important ladder is <carrying camera-convenience-enjoyment of taking photograph- enjoyment of life>, and in HVM about film camera, the most important ladder is <size and weight of camera-convenience-enjoyment of taking photograph-enjoyment of life>.

      • KCI등재

        이종 카메라를 이용한 스테레오 카메라 시스템

        신형철(Hyoungchul Shin),김상훈(Sanghoon Kim),손광훈(Kwanghoon Sohn) 한국방송·미디어공학회 2011 방송공학회논문지 Vol.16 No.4

        In this paper, we propose a hybrid stereoscopic camera system which acquires and utilizes stereoscopic images from two different camera modules, the main-camera module and the sub-camera module. Hybrid stereoscopic camera can effectively reduce the price and the size of a stereoscopic camera by using a relatively small and cheap sub-camera module such as a mobile phone camera. Images from the two different camera modules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aspects of color, angle of view, scale, resolution and so on. The proposed system performs an efficient hybrid stereoscopic image registration algorithm that transforms hybrid stereoscopic images into normal stereoscopic images based-on camera geometry. As experimental results, the registered stereoscopic images and applications of the proposed system are shown to demonstrate the performance and the functionality of the proposed camera system.

      • KCI등재후보

        스마트 카메라 디자인의 발전방향 연구

        진병욱,황성걸 한국인더스트리얼디자인학회 2013 산업디자인학연구 Vol.7 No.3

        In this digital age, the camera has also been transformed into ‘the smart camera’ by digital technology. While this newly-born camera genre provides new services with various wireless networks, the demand for it is increasing fast just like other IT devices today. Accordingly, in order to open this new genre called ‘smart camera’ wide, related businesses should prepare new marketing strategies with absolutely differentiated products and usability. For example, unlike conventional camera products, today’s smart cameras are now able to be sold and purchased via network providers, instead of consumer electronics shops or specialized camera stores. It means, from the point of network providers including mobile careers, they have just got a new product that can broaden their business markets, and at the same time, from manufacturers and buyers’ viewpoint, such intense competition in distribution means taking the advantageous position in prices. When it comes to chronological changes, there was an explosive technological convergence in the smart device in the late 90s. Camera modules began to be mounted on mobile phones, gaming consoles, electronic dictionaries and GPS navigations, and a camera itself started to equip WiFi and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features. In fact, with the birth of the digital camera in the early 80s, photo journalists and cameramen who mainly produce news photos would bring bulky extra computing equipments with them for swift news reporting. But now in the 2010s, built-in WiFi cameras enable ordinary users to easily transmit photo images to mobile phones, sharing the images with their friends and acquaintances. What’s more, the entrance of the smart phone, which are fully equipped with advanced camera performance and photo-editing applications, has made many users enthusiastic photographers with tremendous passion for photos. This phenomenon decreases the low-priced compact camera market and increases the demand for advanced, luxury cameras, while reorganizing the industry. Only manufacturers who own authentic camera producing know-hows, such as excellent lens technology, and brand reliability can survive now. In this transitional phase, the smart camera was born as a sort of survival strategy of the camera industry. In order for the smart camera, the most innovative camera genre ever, to establish a strong foothold in the market, it should aim at smartphone-friendly users as the main target. Futhermore, to make a successful landing on the telecommunication distribution network, there may be mainly three choices for the smart camera – 1. adopting mobile phone feature in the camera, 2. reinforcing WiFi application for those who are unsatisfied with current camera performance of the smart camera, and 3. establishing system smart camera that is expandable with various types of lens or additional accessories. Based on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pplied to each of the three suggestions, these choices might show some minor differences. However, what is in common here is that the smart camera will continuously emphasize camera’s own features, evolving with better portability and easy usability. 본 연구는, 휴대용 디지털 디바이스에 컨버젼스(Convergence)화 가 급격히 진행되면서, 휴대폰 제품이 통신기능 외에도 이미지를 생성하고, 재미있게 편집하거나 공유하는 기능을 더욱 발전시켜 감에 따라 점차 잠식되어 가는 카메라 시장에서의 생존전략에 의해 탄생한 ‘스마트카메라’의 향후 발전방향에 있어서 디자인의 발전방향을 예측 해 보고자 한다. 시대적으로 스마트단말기의 컨버젼스화 가 폭발적으로 일어났던 90년대 후반에는 휴대폰, 게임기, 전자사전, 네비게이션등에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기 시작했고, 카메라에는 근거리 통신기술(WiFi)과 GPS수신기술이 적용된 제품들이 출시되기 시작했다. 사실, 80년대 초 디지털카메라 시스템이 탄생할 때부터 사진전문기자등 보도사진을 다루는 분야에서는 취재현장에서 촬영한 이미지의 빠른 전송을 위해 별도의 컴퓨팅기기등 많은 부대장비들을 동원하였던 것이, 2010년에 이르러서는 카메라에 간단히 내장된 근거리 통신기술 WiFi의 활용으로 일반 사용자들도 간편하게 카메라로 촬영한 이미지를 휴대폰과의 연결을 통해 친구와 지인들에게 곧바로 전송할 수 있게 되었다. 이후, 우수한 카메라의 성능과 재미있게 영상을 편집할 수 있는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으로 무장된 스마트폰의 탄생에 의해 일반 User가 일상에서 사진을 찍는 활동이 급격히 늘어나게 되었고, 좋은 사진을 찍고자 하는 요구도 그만큼 확대되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저가격대의 콤팩트 카메라 시장수요는 점차 축소되고 있는 반면, 고기능의 고급형 카메라 수요는 증가하고 있어서 우수한 렌즈기술 등 카메라 본연의 기술과 브랜드 신뢰성을 확립한 메이커만이 살아남게 되는 업계전반의 재편이 빠르게 이루어 지고 있는 가운데, 카메라 업계에서는 나름대로 생존전략의 일환으로 ‘스마트카메라’ 라고 하는 새로운 장르의 제품을 개발하게 되었다. 카메라가 발명된 이후 가장 혁신적인 모습으로 재탄생을 하게된 스마트카메라가 자신의 영역을 확고하게 구축해 가기 위해서는 디자인의 역할이 클 것으로 생각되어, 관련기술의 발전에 의한 디자인의 발전방향에 대해 예측 해 보고자 한다.

      • KCI등재

        Gamma-PF 보드를 이용한 아날로그 감마카메라의 디지털화 연구

        김희중,소수길,봉정균,김한명,김장휘,주관식,이종두,Kim, Hui-Jung,So, Su-Gil,Bong, Jeong-Gyun,Kim, Han-Myeong,Kim, Jang-Hwi,Ju, Gwan-Sik,Lee, Jong-Du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8 의공학회지 Vol.19 No.4

        아날로그 감마카메라에 비해 디지털 카메라는 Q.C가 편리하고, Calibration과 조작이 매우 쉬운 장점들을 갖고 있어 영상 질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진단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더욱이, 디지털 카메라로 획득한 디지털 영상은 PACS(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뿐만 아니라 원격진료에도 활용될 수 있다. 그러나, 많은 병원들이 아직도 아날로그 카메라를 사용하고 있고 이들을 디지털 카메라로 대체하기는 어려운 상황에 있다. 본 연구는 아날로그 감마카메라를 디지털화 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보는 것이었다. 카메라를 디지털화 한 후 균일도 계수능력 등의 물리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임상에서의 사용 가능성을 보기 위해 아날로그 시스템과 디지털 시스템을 동시에 연결하여 임상 데이터들을 획득하였다. 이들의 결과는 임상환경에서 아날로그 카메라를 디지털화 하 수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Digital gamma camera has many advantages over analog gamma camera. These include convenient quality control, easy calibration and operation, and possible image quantitation which results in improving diagnostic accuracies. The digital data can also be utilized for telemedicine and picture archiving and communication system. However, many hospitals still operate analog cameras and have difficult situation to replace them with digital cameras. We have studied a feasibility of digitalizing an analog gamma camera into a digital camera using Gamma-PF interface board.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that we have measured are spatial resolution, sensitivity, uniformity, and image contrast. The patient's data obtained for both analog and digital camera showed very similar image quality. The results suggest that it may be feasible to upgrade an analog camera into a digital gamma camera in clinical environments.

      • KCI등재

        애니메이션 카메라 무브먼트의 비물질적 특성과 공간 연출

        박민주 ( Min Ju Park ),이주훈 ( Joo Hoo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애니메이션 연출에 있어서의 카메라의 역할과 카메라 무브먼트의 개념적 특성을 정의하고, 그 표현의 방법과 의미를 연구 분석하는 데 있다. 디지털 영상 시대에 접어들면서 카메라는 더욱 설득력 있는 극적인 도구가 됨과 동시에 ‘카메라이기’를 거부하기 시작하였다. 많은 실사영화에서 카메라 무브먼트는 물리적 카메라로 촬영된 것이 아닌 애니메이팅된 카메라 무브먼트이다. 애니메이션은 처음부터 실제로 존재하는 카메라가 아닌 그려진 카메라의 움직임으로 연출되는 매체였다. 애니메이션에서의 카메라 앵글과 무브먼트는 가상의, 즉 상상의 산물이며, 실재의 카메라가 연출할 수 없는 불가능한 공간을 넘나들며 영화의 극적 효과를 극대화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상상의 카메라가 단순히 관객의 눈을 즐겁게 하는 시각적 효과만을 위해 쓰여 지는 것은 아니다. 애니메이션에서 카메라 무브먼트는 가상의 공간이 가지고 있는 다의성을 보여주고 나타내며, 이러한 공간은 그 자체가 코드화된 의미작용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물질적 카메라의 역할과 의미를 살펴보고, 그것이 가져온 새로운 미학적 영역은 어떠한 것인지를 연구하였다. 또한 2D와 3D 애니메이션에서 카메라 무브먼트의 의미를 각각 정의하고 구체적 사례분석을 통해 최근의 카메라 무브먼트에 대한 개념을 명확히 하였다. 그 결과 애니메이션의 비물질적 카메라 무브먼트는 관객들의 생각과 의식을 확장시키며 카메라에 대한 관습적 개념에 새로운 지각적 경험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제 카메라가 재현하지 못하는 공간을 넘나들며 캐릭터의 극적 심리상태와 같은 내러티브의 요소에 적극적으로 개입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role of camera movement and its conceptual characteristics, and to analyze its ways and meanings. Since the digital film era began camera has become a much more powerful tool, but at the same time it has started denying itself as ‘being camera’. Lately camera movements in a number of live action films were ‘animated camera movements’, rather than the ones shot with actual cameras. The animators have used animated camera movements since the beginning of the animation history because it is the distinctive characteristics, which differ it from live action films in production process. The camera movements that are able to go through the impossible places are animated and imaginary in animation, and they maximize the dramatic effect of the film. However, they are not just for the visual fun that entertains audiences. They tell the multiple meanings that the imaginary spaces have, and the spaces themselves could be the coded interactions. Therefore, this paper studied the role and meaning of the imaginary camera movements and the esthetics that they have brought. Also, it defined the meaning of camera movement in both 2D and 3D animation, and clarified its concept through specific examples. As a result, the imaginary camera movements give a new perceptual experiences to audiences and enlarge their thoughts and visions. In addition this research found out that the camera movements involves to the narrative structure like character development as the camera goes back and forth to the impossible places where a physical camera can’t go into.

      • KCI등재

        드론 카메라와 고프로(GoPro) -탈체현적 디지털 카메라와 다큐멘터리의 확장-

        김지훈 한양대학교 현대영화연구소 2017 현대영화연구 Vol.13 No.4

        This paper discusses the impacts of the drone camera and GopPro as new recording apparatuses afforded by digital technology on the conceptual and aesthetic dimensions of the documentary camera and on the spectatorship of documentary. Considering the traditions of documentary cinema, the technological advancement of recording apparatuses since the introduction of lightweight 16mm cameras has developed the anthropomorphic model of the documentary camera which embodies a cinematographer’s perception. While acknowledging that digital video(DV) cameras and smartphone bulit-in cameras have contribued to proliferating and amplifying the concept of the anthromorphic, embodied camera, this paper argues that the technical features of the drone camera and GoPro allow for a different model of the documentary camera, namely, a disembodied, posthuman camera. Providing the remote-controlled vertical aerial view and targeting its object from a distance, the drone camera activates the digital apparatus’ trancendental gaze that is not totally attributed to the intention of its operator. Moving in accordance with not simply a human body in motion but also any vechile to which it is attached, GoPro is liberated from the traditioal camera’s imperatives to framing and focusing, therefore making it possible to record the posthuman world in which a camera’s body is decentralized and exists equally in things. Drawing on Omer Fast’s 5,000 Feet is the Best (2011) and Sensory Ethnography Lab’s Leviathan (2013), this paper demonstrates the ways in which the disembodied, posthuman vision of the drone camera and GoPro stimulates the viewer’s embodied perception and thereby expands the knowledge of our contemporary world. 이 논문은 디지털 기술이 도입한 새로운 카메라 장치들인 드론 카메라와 고프로(GoPro)가 다큐멘터리 카메라의 개념적, 미학적 차원과 다큐멘터리의 관람 경험에 미친 영향을 논의한다. 다큐멘터리 영화의 전통을 고려할 때, 디렉트 시네마와 시네마 베리테, 자서전적 다큐멘터리와 에세이 영화는 16mm 경량 카메라의 도입 이후 촬영자의 지각을 체현한 의인화된(anthropomorphic) 카메라의 모델을 발전시켜 왔다. DV와 스마트폰 빌트인(bulit-in) 카메라는 의인화된 체현적 카메라 개념의 강화와 확산에 기여한다는 점을 인정하면서도, 이 논문은 드론 카메라와 고프로의 기술적 특성들이 이러한 개념과는 변별적인 탈체현적(disembodied), 탈인간적(posthuman) 카메라 모델을 낳는다고 주장한다. 원격으로 제어되고 수직적인 항공 조망과 목표물에 대한 초점화를 가능하게 하는 드론 카메라는 조작자의 의도에 온전히 귀속되지 않는 디지털 장치의 초월적 응시를 활성화한다. 행동하는 인간의 신체는 물론 어떤 종류의 움직이는 장치에도 부착되어 가동하는 고프로는 촬영자의 프레이밍과 초점화로부터 벗어난 순수 운동의 기록, 카메라의 신체가 탈중심화되어 사물 내에 동등하게 공존하는 탈인간적 세계의 기록을 가능하게 한다. 이 논문은 드론 카메라와 고프로의 이러한 탈체현적, 탈인간적 시각이 관람자의 체현적 지각을 활성화하고 현실에 대한 지식을 확장하는 방식을 오메르 파스트(Omer Fast)의 <최적 고도 5,000피트(5,000 Feet is the Best, 2011)>과 감각민속지랩(Sensory Ethnography Lab)의 <리바이어던(Leviathan, 2012)>을 분석함으로써 입증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