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MMI 기반 군 항공기 인터콤 탑재용 제어 소프트웨어 개발에 대한 DO-178C 적용 연구

        윤인복,Yoon, In-Bok 한국전기전자학회 2015 전기전자학회논문지 Vol.19 No.3

        미국 FAA에서 민간 항공기에 대한 감항인증 시 채택되고 있는 DO-178C 가이드가 최근 국내에서도 군 항공기 감항인증을 위한 가이드로 채택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것은 군항공기 감항인증 담당자가 소프트웨어 개발 문서들을 점검할 때 모든 문서들이 DO-178C 가이드에 따라 검증되었는지 여부를 검토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군항공기용 인터콤 장비의 국산화 개발 시 DO-178C 가이드 준용 요구사항이 없었기 때문에 우리는 군 항공기 인터콤 제어 소프트웨어를 CMMI 레벨3에 따라 개발하였다. 따라서 우리가 인터콤 시스템의 감항인증을 고려할 때 추가적으로 필요한 소프트웨어 산출문서들을 준비하기 위해 CMMI 레벨3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이 DO-178C 가이드와 얼마나 다른지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CMMI 레벨3과 DO-178C 간 차이점들을 분석하고 DO-178C 가이드와 비교하여 CMMI 레벨3상의 어떤 데이터들이 항공기 감항인증 준수에 필요한지를 제시한다. 분석 결과를 통해 감항인증 시 참조되는 DO-178C 가이드 대비 CMMI모델에서 필요한 데이터가 무엇인지를 알 수 있고 향 후 CMMI 모델 환경에서 감항인증 준수를 고려한 항공기 구성품 탑재용 소프트웨어 개발시 본 연구결과를 적용할 수 있다. The DO-178C guide, which is referenced as the software development guide when a certification of the airworthiness in the commercial airplane is acquired by FAA in US, is recently referenced for the local military aircraft airworthiness. This indicates that when the auditor of the military aircraft airworthiness looks over the software development documents, the auditor reviews if all of the documents are verified in accordance with the DO-178C guide. However, when we developed the military aircraft intercom, We developed its control software in accordance with the CMMI level 3, since there were no requirements for the compliance of the DO-178C guide. Therefore, When we consider the airworthiness of this intercomm system, The analysis for how much the software development based on the CMMI level 3 is different from the DO-178C guide is needed to prepare the essential software documents additionally. Thus, This study analyzes the differences between CMMI level 3 and DO-178C guide and provides that which data on the CMMI level 3 is necessary for the compliance of the aircraft airworthiness comparing with the DO-178C. The analyzed result can be applied at the software development of the other military aircraft avionics equipment based on the CMMI model environment considering the compliance of the military aircraft airworthiness.

      • KCI등재

        CMMI 성숙도 2단계 GP와 SP간 상호 연관성 분석 및 적용 효율성 검증

        이민재(Min Jae Lee),류성열(Sung-Yul Rhew),김성태(Sung Tae Kim)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7 No.6

        CMMI는 구조 및 구성 상, 프랙티스들간 상호 연관된 부분들을 많이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면 프로세스 개선 활동을 보다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이와 관련한 구체적인 연구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CMMI 성숙도 2단계 프로세스 영역별 공통 프랙티스(GP)와 고유프랙티스(SP)를 대상으로 상호 연관성을 χ²의 독립성 검정 방법을 사용하고, 그 결과를 현장에 적용하여 성과를 파악하였다. 그 결과, 프로세스 영역별 각 10개의 공통 프랙티스가 전체 48개 고유 프랙티스 가운데 17개 고유 프랙티스와 연관성(약 35%)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연관성을 고려하여 적용 효율성을 파악한 결과, 기존의 접근 방법을 사용했을 때보다 CMMI 적용 효율이 36.5% 향상되는 성과를 보였다. In the characteristics of CMMI architectures and components, there are many relations among CMMI practices. The organizations can be more efficiently improving their processes if they understand relationship among CMMI practices. However, there are no researches regarding this topic yet. In this paper we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ic Practices and Specific Practices of each process areas in CMMI Maturity Level 2 by using Chi-square test of independence. As a result, we demonstrated that 10 Generic Practices in each process area are related 17 out of 48 Specific Practices (35% relationship). Using this result to improve the organization's processes, we achiev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36.5% in CMMI appraisal result.

      • KCI등재

        CMMI 기반의 XP를 위한 형상 관리 프로세스 구축 지침

        한동준 ( Dong Joon Han ),한혁수 ( Hyuk-soo Han ) 한국인터넷정보학회 2008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Vol.9 No.2

        Agile 소프트웨어 개발의 대표적인 방법론인 XP(eXtreme Programming)에서는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아주 기본적인 프로세스만을 정의하고, 개발 그 자체에 집중하여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그러나 XP의 실천사항들은 개발에 집중되어 있어 개발 산출물에 대한 관리는 간과되기 쉬우며, 또한 관리적인 부분에 대한 지침이나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하여 미흡한 실정이다. 개발 과정 중 합의된 산출물의 변경과정에 대한 절차나, 지속적인 통합과 리팩토링을 위한 적절한 절차도 정의되어 있지 않아 산출물의 무결성을 보장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주요 산출물들에 대한 형상관리가 요구된다. XP에 형상 관리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CMMI의 형상 관리 프로세스 영역을 참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MMI는 형상 관리의 요건을 정의하고, 그 구현은 환경에 맞게 조정하는 것을 권장하기 때문에, 각 개발방식의 특성에 맞추어 적용할 수 있다. XP 방법론을 채택한 조직들에게 XP의 특성을 살리면서 CMMI에 기반한 형상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지침이 제공 된다면, XP의 지속적인 통합과 리팩토링, 짧은 릴리즈 주기와 같은 기민함을 유지하면서 산출물들의 무결성도 보장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CMMI를 기반으로 XP에서 적용될 수 있는 형상 관리 프로세스 요소를 추출하고, 그 요소들을 기반으로 XP의 형상 관리 활동을 위한 적용 지침을 개발하였다. The XP, the representative methodology of Agile software development, maximizes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ment by focusing on development itself and using primitive and basic process definition that can be easily implemented in the fields. However, the most of XP`s practices came from those of engineering and the management practices of work products tend to be overlooked. The research on the implementation of those management practices has not been performed enough. Because of deficiency of processes that guide the change control over major baselines of work products and that describe proper continuous integration and refactoring in XP, the integrity of those work products is difficult to be guaranteed. To fulfill this work product integrity, CM(configuration management) should be hired and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is considered to be the best references for that purpose. CMMI defines the required practices of CM and leave implementation details to the organization so that it could customize those practices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its development methods. The CM process implementation guidelines based on CMMI could provides work product integrity with a way of keeping XP`s agility that includes continuous integration, refactoring and small release. In this research, we selected CM process factors applicable to XP among CMMI`s CM practices and based on them we developed the CM implementation guidelines.

      • KCI등재

        CMMI의 정량적 프로젝트 관리에 기반한 S/W 개발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

        이돈희,오재곤,김정준,Lee, Don-Hee,Oh, Jae-Kon,Kim, Jeong-Joon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2018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 논문지 Vol.18 No.3

        최근 소프트웨어 개발시 CMMI 수준에 관한 인증 여부는 조직 경쟁력의 핵심적인 요인으로 그 중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고 있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개발시 CMMI에 기반한 프로세스 개선 활동을 활발하게 적용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논문에서는 정량적 프로세스 관리 단계인 CMMI Level 4에 기반한 프로세스 개선활동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조직구성이나 프로세스의 적용방법에 대한 내용을 실제 개발시 실적용을 통해 연구한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이로써 기준만 제시하고 있는 모델에 대한 실제 적용 방법을 쉽게 이해 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정성적 프로젝트 관리가 아닌 정량적 프로젝트 관리에 따른 그 개선 효과를 나타내고자 일정/공수 분석, 동료검토활동을 통한 결함관리의 적용 사례분석을 수행하였다. 끝으로 실제 적용에 따른 문제점과 개선방향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CMMI에서 언급하고 있는 정량적 프로세스 관리의 효과부분을 검증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으며, 향후 CMMI에 기반한 프로세스 개선을 도입 예정인 조직에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In order to The certification of CMMI level is positioned as the most important part of software development company competitiveness. From that point, you will be able to find the various CMMI based process improvement activities of the companies in the above. This paper presents the activity method, such as organization, process application method for the CMMI based process improvement, through the field application. Based on that, this paper enables you to understand the model application method. And we also carry out the application case analysis of defect management with the schedule/effort analysis and colleague's check activity to show the improvement effectiveness, based on the quantitative analysis. And we present the problem and improvement part of real application. The result of this paper will be used to understand the effectiveness of quantitative process management, mentioned in the CMM. And furthermore, we also expect this paper to be useful for the organization to improve the process based on CMM in the future.

      • CMMI V2.0 기반 개발 프로세스 개선 및 인증 획득 사례

        남명순,최윤서,이병림 국방기술품질원 2021 국방품질연구논집 Vol.3 No.1

        This is case on the achievement of CMMI-DEV V2.0 Level 5 certification based on the organization's process improvement and the improved process quality capabilities according to the CMMI model upgrade. To build a CMMI-DEV V2.0-based R&D process, a gap analysis between CMMI –DEV V2.0 model and HSC process was performed. The identified improvements were divided into processes and systems, and improved to satisfy CMMI-DEV V2.0 requirements. In order to improve the quantitative R&D project measurement system, a R&D project data book and a quantitative performance management tool were developed. The quantitative performance management tool is included in the R&D project measurement system so that the performance of the project can be managed together with the R&D indicator measurement. In order to monitor whether the improved process is being properly implemented, an internal audit was conducted, and the process implementation status was monitored and guided to improve the identified problems so that the process could be stably maintained. In addition, an online education and CMMI-DEV, V2.0 Handbook were developed and trained to improve the level and understanding of the company-wide development process which made it possible to achieve “CMMI-DEV V2.0 with SAM” Level 5 certification for the first time in Korea.

      • KCI등재

        CMMI와 PMBOK의 비교 분석을 통한 정량적 프로젝트 관리

        김경환,김흥재,박용범,Kim Kyong H.,Kim Heung J.,Park Young B.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정보처리학회논문지D Vol.12 No.4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젝트에 있어서 품질, 비용, 개발기간의 개선은 매우 중요하다. 소프트웨어의 품질, 비용, 개발기간의 개선을 위해서는 프로젝트의 결과물만을 다루어서는 안되고 소프트웨어 개발프로세스의 기획과, 프로세스 자체의 개선이 포함되어야 한다. SEI의 CMMI와 ISO/IEC 15504(SPICE)에는 프로젝트 관리를 위한 프로세스가 정의 되어있다. 또한 인력, 자금, 스케줄 등을 포함하여 프로젝트 전체의 진행상황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PMBOK가 도입 되었다. PMBOK은 프로젝트 관리 방법에 관해서 CMMI, SPICE보다 상세하게 그리고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어 있어 많은 기업들이 CMMI 혹은 SPICE 에 PMBOK을 통합시켜서 프로젝트 관리를 시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CMMI와 PMBOK를 통합하여 프로젝트 관리에 근W를 따르면서도 PMBOK의 구체적인 관리 방법을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고 그에 필요한 매트릭스를 제시한다. It is very important to improve qualify, cost and the necessary period for production in software development project. In order to improve software quality, cost and period, final product as well as a project planning and process itself are concerned. In CMMI of SEI and ISO/IEC 15504 (SPICE), the process for the project management is specified. Recently, as a method of total management - including man power, budget, and schedule - PMBOK is introduced. The detailed and specific management method in PMBOK results in multiple experiments that apply PMBOK to enterprise environment. In this paper, hybrid method of CMMI and PMBOK is proposed to obey CMMI, at the same time, to apply the detailed and specific management method in PMBOK and develop metrics for the method.

      • KCI등재

        CMMI(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의 SP(Specific Practice)와 GP(Generic Practice)간 연관성 분석을 통해 도출한 개선안을 조직에 적용한 성과 검증

        이민재(Min Jae Lee),류성열(Sung-Yul Rhew) 한국정보과학회 2011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8 No.9

        CMMI for Development v1.2는 구조 및 구성 상, 프랙티스들 간 내용의 유사성이 있어 이를 개선하면 CMMI를 보다 효과적으로 조직에 적용할 수 있다는 가정 하에 CMMI의 전체 5개 성숙도 단계의 프로세스 영역별 고유 프랙티스(SP)와 공통 프랙티스(GP)의 상호 연관성을 χ²의 독립성 검증 방법으로 분석한 결과, 21.4%의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나 SP와 GP간 내용 상 유사한 부분이 있음을 확인 하였다. 연관성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유사한 부분을 중복적으로 적용하게 되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해 SP와 GP간 연관성이 높은 7개의 GP를 중복성과 유사성의 관점에서 재구조화하여 1) 정형화된 템플릿 기반의 프로젝트 계획서 작성, 2)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프로젝트 작업 산출물 통제 및 경험 자산화 기반 구축 그리고 3) 독립적인 품질보증 조직의 운영과 측정 지표를 활용한 프로젝트 관리자 및 상위 관리자의 프로젝트 모니터링 및 검토 활동 강화란 3가지 유형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제안한 방안을 국내 IT서비스 기업인 H사에 통합 적용한 결과, 적용하기 전과 비교하여 적용 후의 결함이 33% 감소했으며, 납기 지연율은 25% 감소하였고 프로세스 적용에 대한 사용자 만족도는 11% 증가하는 성과가 있었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Assuming that the Capability Maturity Model Integration for Development v1.2 (CMMI) could be applied to an organization more effectively if the content similarities among practices were improved in terms of structure and composition, this paper presents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s between the CMMI Specific Practices (SP) and Generic Practices (GP) for the Maturity Level 5 Process Areas using the Chi-square independence test. According to the analysis, a 21.4% correlation was observed. To minimize the problem of repeatedly applying similarities, 7 GPs that a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SPs were grouped together. Then, three different improvement plans - 1) development of a standard template-based project plan, 2) establishment of a 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 based on open source software to control work products and leverage experience, and 3) establishment of project assurance through an independent quality assurance-based organization and intensive review using project specific measures by project and higher-level management - were defined and applied to a Korean IT service software development organization, ‘H’ corporation. The resulting performance indicated that defect density decreased by 33% after the improvement plan was applied while delivery delay rates declined by 25%. In addition, user satisfaction on the use of processes increased by 11%,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 KCI등재

        대학정보화 거버넌스를 위한 계단형 프레임워크 개발

        최재준,김치수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 공학 Vol.8 No.8

        In order to improve the level of the IT organization, CMMi played a lot of roles in improving the IT efficiency and quality step by step. In a university organization if you use a customized IT governance framework for the concept of CMMi, it will be a university IT governance to realize the vision of the university. In this paper, we propose Staged Framework for the university developed for applying to university with reference to this staged model of CMMi. The university has applied its own process step by step and it can be uses in the university field. So it can be applied to university IT plan and budget in compliance with not only the person in charge of IT service center but the person in charge of university headquarters. The staged framework is classified into the maturity and process of university IT project and suggests ways to apply it to the improvement of university IT system levels. 조직의 정보화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CMMi는 단계별로 정보화의 효율성 및 품질 향상에 많은 역할을 하였다. 대학 조직에서도 이러한 CMMi의 개념에 맞춤형 IT 거버넌스 프레임워크를 활용한다면 대학 고유의 비전 실현을 위한 대학정보화 거버넌스로 자리 잡게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CMMi의 staged model을 참고하여 대학 정보화에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대학정보시스템의 단계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한다. 먼저 대학 고유의 프로세스를 단계별로 적용하였고 실제로 대학 현장에서 접근하여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화 업무담당자 뿐 아니라 대학 본부의 업무 담당자 입장에서도 이를 준수하여 대학정보화 계획 및 예산에 적용할 수 있다. 계단형 프레임워크는 대학정보화 성숙도 및 Process로 분류하고 이를 대학정보시스템 수준 향상에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한다.

      • KCI등재

        CMMI 기반 시스템공학과 프로젝트관리 통합 프로세스 아키텍처 개발

        최영길(CHOI, Young-Gil),정호전(Jung, Ho-Jeon),이재천(Lee, Jae-Ch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6

        시스템의 규모와 요구기능은 점점 대형화되고 복잡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스템 개발 프로젝트의 성공적인 수행을 위해서는 프로세스에 따른 체계적인 시스템공학(SE)과 프로젝트관리(PM) 활동이 요구되고 있다. 시스템 개발 조직에서는 SE&PM 프로세스 개선 및 능력평가 모델인 CMMI를 채택하여 SE&PM 능력 확보에 노력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조직의 비즈니스 특성에 맞는 조직 표준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적용하고 있다. 하지만 시스템 개발조직 현장에서는 CMMI 프로세스 영역 간 상호연관성에 대한 충분한 이해부족으로 조직 프로세스 구축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또한 SE와 PM활동은 시스템 개발에 있어서 상호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에 SE와 PM 프로세스는 상호 통합 및 연계성이 확보되어야만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프로젝트 수행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개발 조직에서 CMMI 기반 조직 프로세스 구축에 참조되고 활용될 수 있는 조직의 SE&PM 통합 프로세스 아키텍처를 제시한다. The scale and required functionality of modern systems have increased and become more complicated. To successfully carry out the systems development projects, appropriate systems engineering (SE) and project management (PM) activities are required for the underlying process. In a system development organization, it is an effort to secure the SE & PM capability by adopting the CMMI is an evaluation model of improvement and ability of SE&PM process. To achieve the goal each organization establishes and uses its own organizational standard process, which satisfies the business characteristics. However, in practice, due to the lack of sufficient understanding on the interrelationship among different CMMI process areas, there still exist some difficulties with constructing organization processes. In systems development, the activities of SE are closely related with those of PM. Thus, the processes of SE and PM need to be fully integrated and explicitly linked to each other in order to complete the projects successfully. In this paper, we propose a SE&PM integration process architecture of organization that can be utilized in the system development organization is referenced in the construction of CMMI-based organizational process.

      • KCI등재

        CMMI 성숙도 3단계 SG간 상호 연관성 분석을 통한 표준 프로세스 정의 생산성 향상

        이민재(Min Jae Lee),류성열(Sung-Yul Rhew),박남직(Nam Jik Park) 한국정보과학회 2010 정보과학회논문지 : 소프트웨어 및 응용 Vol.37 No.12

        CMMI는 전체 5개 성숙도 단계, 22개의 프로세스 영역이 있고, 각 프로세스 영역은 SG와 GG로 구성돼 있다. 프로세스 영역 간에는 상호 연관된 부분들이 많아 조직의 표준 프로세스를 정의할 때, 중복적인 내용이 반영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피어슨상관분석을 통해 CMMI 성숙도 3단계 프로세스 영역의 전체 528개 SG중, 총 60개(약 11%)가 연관성이 높음을 파악하고 이 연관성을 고려한 표준 프로세스 정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또한 제안한 방안에 따라 표준 프로세스를 정의한 결과, 기존의 접근 방법을 사용했을 때 보다 생산성이 25% 향상되는 성과를 보였다. CMMI is composed of 22 process areas by 5 maturity levels and each process area consists of specific goals and generic goals. Since there are many relations among process areas, organizational standard processes tend to contain overlapped contents. In this paper we demonstrated that 60 out of 528 specific goals are highly related (11% relationship) in CMMI maturity level 3 process areas by using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proposed to a scheme for defining organizational standard processes based on the results. As a result of defining organizational standard processes by using proposed a scheme, we achiev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f 25% in process defining produ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