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브랜드 스페이스에서의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SUXD) 전략 -현대카드 파이낸스샵 사례를 중심으로-

        이민아 ( Min A Lee ),이정교 ( Jung Gyo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1

        개성화된 소비자의 심리적 만족까지 고려해야 하는 소비 환경에 대응하기 위해, 브랜드 문화 경험을 통해 브랜드와 커뮤니케이션 할 수 있는 브랜드 스페이스의 역할이 중요시되고 있다. 공간 디자인 영역에서 사용자의 복합적인 경험으로 니즈에 부합하는 사용자 경험(UX) 디자인의 적용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브랜드 스페이스의 대표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브랜드 스페이스에서의 ‘UX 디자인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통한 사용자와 브랜드 커뮤니케이션 영향인자에 대하여 연구한다. 이를 위해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SUXD)의 특성요인이 적용된 브랜드 스페이스에 대한 개념 정립의 이론적 선행연구 분석과 사례 공간 SUXD의 공간구성, 공간표현의 영향인자 연구로 이루어졌다. 사례 공간은 선행연구로 진행하여 제안한 SUXD분석 매트릭스를 기준으로, 사용자 경험관찰 결과를 분석하여 영향인자를 추출 검증한다. 연구 결과, 문화적 행위에 의한 비일상성, 감성자극성, 상호작용성 인자의 영향으로, 간접적인 브랜드 표현과 브랜드 문화 공유의 공간으로 디자인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SUXD의 영향인자를 통해서, 공간의사용자는 브랜드 인식 확장, 기업은 브랜드 아이덴티티 구축에 영향을 받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므로 브랜드 스페이스 계획 시 SUXD에서 추출된 영향인자를 적극 적용하여 공간 디자인 되어야 할 것이다. 즉, 브랜드 커뮤니케이션확대를 위해 물리적 공간만이 아닌 고객의 문화적 사유와 비전의 영감을 충족시킬 수 있는 문화적 향유 공간 창출을 위하여 SUXD가 필요하다. The role of brand space which can communicate with brand through brand culture experience becomes important to cope with consumption environment that should consider psychological satisfaction of consumers. Application of User eXperience(UX) design that meets the needs by users`` multiple experience in space design area is needed. This study investigates factors which influence communication between users and brands by analyzing representative cases of brand space and inquiring ``characteristics of UX design’ in brand space. This study consists of analysis of theoretical advance research to establish concept of brand space which characteristics of Spatial User eXperience Design(SUXD) are applied and research on factors which influence spatial composition and spatial expression of SUXD in example space. Influential factors are extracted and verified by analyzing the result of observing user experience based on SUXD analysis matrix proposed as far as example space is concerned. This study found that brand space was designed as space which expresses brand in an indirect manner and shares brand culture influenced by non-dailiness, stimulation of emotion and interaction arising from cultural activities. This study revealed that users in space are influenced absolutely in expansion of brand awareness and enterprises are influenced absolutely in building brand identity through influential factors as far as SUXD is concerned. Therefore, it is advisable to design space by actively applying influential factors extracted from SUXD when planning brand space. In other words, SUXD is necessary to create space which users can enjoy culture and which can satisfy customers‘ cultural needs and inspiration of vision beyond physical space to expand brand communication.

      • KCI등재

        스페이스 마케팅의 전략적 요소를 적용한 백화점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공간 VMD에 관한 연구

        최승연 ( Choi Seungyeon ),이정교 ( Lee Jeonggyo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의 팬데믹과 급속한 발전에 의해 소비자들의 패션이나 인테리어 등의 영역에 대한 인식이 변화되어 자신의 취향과 개성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러한 배경에서 새로운 형식의 취향을 갖는 소비자들에게 새로운 삶의 방식을 제안하는 라이프스타일 브랜드들이 등장했다.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공간은 여러 영역의 상품군을 다루는 만큼 단순히 상품들을 진열하고 판매하는 공간이 아닌 소비자들의 니즈를 충족시키고 감성을 자극할 수 있으면서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전달하고 메시지, 즉 스토리텔링으로 공감될 수 있는 공간으로 꾸며져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스페이스 마케팅의 전략적 요소 특성을 적용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공간의 사례 분석을 통해서 전략적 요소를 추출하고 효율적인 VMD 전략을 도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 본 연구는 스페이스 마케팅과 VMD의 주요 개념과 특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공간의 사례 분석을 통해 스페이스 마케팅의 전략적 요소를 적용한 브랜드 공간 VMD 특성에 대해 도출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사례로 선정한 공간은 총 4곳이며, 현장 방문, 인터넷 자료 조사, 선행 연구 고찰 등의 방법을 통해 결과를 도출한다. (결과) 10 꼬르소꼬모와 프레드 시갈은 해당 브랜드만의 개성과 이미지가 뚜렷하게 드러났고, 상품의 진열이나 연출 요소 역시 소비자들의 감성을 자극해 호기심과 흥미를 이끌어내기 충분했다. 이에 비해 더 콘란샵과 아르켓은 공간에 차별화된 요소나 특성이 없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매력성이 낮게 나왔다. 또한 프레드 시갈은 모든 공간을 잘 활용하여 상품들이 눈에 잘 들어오고 동선 또한 편리했기 때문에 공간의 기능성이 높았다. 각 브랜드마다 제안하는 상품들과 전체적인 공간 연출이 브랜드의 정체성과 이미지에 적합했기 때문에 적합성은 대부분의 브랜드에서 높게 나타났고, 전달성은 브랜드별로 상품들을 분류해놓고 브랜드마다 설명을 적어 상품 정보를 확실하게 전달하고 신뢰성을 주었던 10 꼬르소꼬모가 가장 높은 점수로, 매장의 규모에 비해 상품과 브랜드에 대한 설명이 부족했던 더 콘란샵은 비교적 낮은 점수로 나타났다. (결론)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공간에는 브랜드만의 아이덴티티와 브랜드가 추구하는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는 차별화된 요소가 있어야 소비자들의 감성과 호기심을 자극할 수 있다. 또한 여러 브랜드의 상품들을 모아놓은 공간이기 때문에 각각의 브랜드와 상품에 대한 기본적인 정보를 제공하면 소비자들에게 신뢰를 주고 이해도를 높일 수 있어 더욱 호감을 가지게 된다. 따라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공간에는 이러한 요소들이 포함되어야 소비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With the recent coronavirus pandemic and rapid development, consumers’ perception of fashion and interior design has changed, and they have begun to express their preferences and individuality more openly. Against this background, a lifestyle brand that suggests a new way of life for consumers who have new forms of preferences has emerged. The lifestyle brand space should be where consumers can meet their needs, stimulate their emotions, convey brand identity, and empathize with messages or storytelling rather than simply displaying and selling produc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tract strategic elements and derive an efficient VMD strategy through a case analysis of the lifestyle brand space by applying the strategic element characteristics of space marketing. (Metho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key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space marketing and VMD, this study was conducted by deriving brand space VMD characteristics that apply strategic elements of space marketing through case analysis of lifestyle brand space. A total of four spaces were selected as examples, and results were derived through field visits, Internet data surveys, and prior research. (Results) It was observed that 10 Corso Como and Fred Segal clearly showed their individuality and image, and the display and production elements of the products were sufficiently interesting to stimulate consumers' sensibility and arouse their curiosity and interest. Conversely, The Conran Shop and ARKET were relatively less attractive to consumers because there were no differentiated elements or characteristics in the space. Additionally, Fred Seagal made good use of all the spaces, and the functionality of the space was high because the products were visible and the flow line was convenient. The product and overall space production proposed by each brand matched the brand’s identity and image; therefore, the suitability was high in most brands. In terms of communicability, 10 Corso Como, which categorized products by brand and provided reliable information by writing explanations by brand, received the highest score, and The Conran Shop, which did not provide an explanation for products and brands, received relatively low scores. (Conclusions) In the lifestyle brand space, consumers’ sensibilities and curiosity can be stimulated only if there are differentiated elements that convey the identity of the brand and the image that the brand pursues. Furthermore, since the space is a collection space of commodities of a plurality of brands, basic information on each brand and commodity can be provided to engender trust among consumers, enhance their understanding, and further give them a favorable impression. Therefore, consumers can be satisfied when these elements are included in the lifestyle brand space.

      • KCI등재

        국내 기업의 공간을 활용한 브랜딩 활동 트렌드 분석 - 맥심플랜트, 아모레성수, BEAT360을 중심으로 -

        박민희 ( Park Minhee ),조항만 ( Zo Hangma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8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는 브랜딩에 많은 관심을 두고 있다. 감성과 문화를 소비하는 사회적 변화로 인해 기업들은 매출 상승과 동시에 브랜드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브랜딩 활동을 펼치고 있다. 건축공간에서도 다양한 방식으로 브랜딩의 모습이 나타나 왔다. 기업들의 건축공간은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홍보하고 브랜드를 감성적으로 체험하게 하는 등의 다목적 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업 소유 브랜딩 공간을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도출해낸 브랜딩의 5가지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맥심 플랜트, 아모레성수, BEAT360의 프로그램과 건축공간 디자인 전략, 웹 페이지를 분석함으로써 브랜딩 공간의 최근 경향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키워드인 브랜딩을 이해하기 위해 문헌 조사와 선행연구를 토대로 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관련된 주요 개념들을 살펴보고, 브랜딩 공간의 5가지 구성요소를 도출해낸다. 마케팅의 관점에서 바라본 공간 유형과 브랜딩 공간의 구성요소를 사용하여, 웹페이지 조사와 현장 조사를 통해 연구 대상인 브랜딩 공간에서 표현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프로그램과 건축적 특징을 분석한다. 사례분석을 종합하여 국내 기업에서 사용하는 공간을 활용한 브랜딩의 트렌드를 밝힌다. (결과) 맥심플랜트는 사례 중 유일하게 생산 공간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소비자들에게 공감각적인 체험을 유도하며, 브랜드 고유의 색상을 버리고 고급스러운 색으로 디자인했다. 그 이유로 건물에서 브랜드를 한 번에 알아차리기 어렵다. SNS를 통해 소비자와 소통하며 문화적 요소와 더불어 공간 대여 서비스도 제공한다. 아모레성수는 판매 이익을 위한 공간보다는 체험을 유도함으로 소비자와 소통 하려 하는 공간으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기존 로고 색상인 파란색은 사용되지 않았지만 자체개발 폰트를 사용하면서 공간을 통해 브랜드를 인식시킨다. SNS를 통해 소비자들과 소통하고 있으며, 간헐적 문화 이벤트가 열린다. 공간대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BEAT360은 기아자동차 고유 색상과 자동차의 움직임을 모듈을 이용해 건물의 외관에 사용하였다. 매개 현실기반의 차량 체험을 제공한다. 전문성을 가진 직원을 통해 소비자와 직접적 소통을 하여 차량 구매까지 이어지도록 했다. 다양한 문화적 요소가 있으며, 공간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결론) 최근의 브랜딩 공간은 소비 공간과 소비자 혜택 공간이 융합된 구성을 가졌다. 체험성이 강하게 나타나며, 특히 복합적이고 공감각적인 체험을 유도한다. 온라인은 브랜딩 공간을 보완해주는 역할을 맡고 있다. 인테리어를 벗어난 다양한 건축적 특징이 기업이 설정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공간으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써 활용되고 있다. 온라인 예약을 통해 공간 대여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소비자에게 기업의 공간을 나도 쓸 수 있다는 ‘공유’라는 관계를 형성했다. (Background and Purpose) Modern society is very interested in branding. Due to the social changes that consume sensibility and culture, enterprises are engaging in branding activities to increase brand value. Branding has also appeared in various ways in the architectural space. The architectural space of enterprises is being transformed into multi-purpose spaces such as promoting brand identity and allowing the consumer to experience the brand emotion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trends of space branding by analyzing programs, architectural space design strategies, and web pages of Maxim Plant, Amore-seongsu, and BEAT360 based on the five components of branding derived from prior research. (Method) To understand the keyword of the study, Branding, we examine a theoretical consideration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and prior research as well as derive the five components of branding space. Using these components and space types from a marketing perspective, brand identity, program, and architectural features expressed in the study are analyzed through a web page survey and a field survey. The case analyses are combined to reveal the trend of branding space used by domestic enterprises. (Results) Maxim Plant is the only case that has a production space. It encourages consumers to experience synesthesia. It is designed with luxurious color, throwing away the unique color of the brand, making it hard to initially notice the brand inside the building. It communicates with consumers through SNS and provides space rental services along with cultural elements. Amore-seongsu has a strong character as a place that communicates with consumers by inducing experiences rather than a space for sales profits. It does not use blue, the current color of its logo; however, it uses self-developed fonts. It communicates with consumers through SNS, holding intermittent cultural events and providing a space rental service. The BEAT360 used Kia Motors' unique colors and car movements on the exterior of the building using modules. It provides a vehicle-driving experience based on virtual reality and directs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through skilled employees to sell vehicles. Various cultural elements and space rental services are provided. (Conclusions) Recently, branding space has experienced the fusion of consumption space and consumer benefit space, which can induce complex and synesthetic experiences. Online features play a role in supplementing branding space. Various architectural features that are not limited to interior design are used as devices to make the brand identity set by the enterprises feel as space. Providing space rental services through online reservations, it allows consumers to have a sense of "sharing" and “belonging” that allows them to use the corporate space as well.

      • KCI등재

        브랜드 이미지 전달을 위한 코스메슈티컬 에스테틱 공간 디자인 개발-C브랜드 에스테틱숍 디자인 프로젝트를 중심으로-

        이주형 ( Juhyeong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5

        (연구배경 및 목적) 과학의 발전과 사회 트렌드의 변화로 건강과 미에 대한 관심과 함께 화장품의 소비가 날로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 두드러지는 경향은 심각한 환경문제인 미세먼지와 전자파노출 등 피부에 유해한 스트레스가 증가함에 따라 코스메슈티컬이라는 분야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것이다. 코스메슈티컬이란 화장품(cosmetic)과 의약품(phamaceutial)을 합친 새로운 단어이다. 코스메슈티컬은 전문적인 피부 상담과 개선이 필요하므로 주로 에스테틱숍과 피부과 병원을 통해 판매하는 유통 경로로 출발하였다. 따라서 고객과의 접점인 에스테틱숍의 공간디자인은 고객에게 치유에 대한 믿음과 신뢰를 전달할 수 있는 이미지가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또한 브랜드 이미지를 긍정적으로 전달하여 브랜드 인지도 확보와 바이럴 마케팅(viral marketing)을 통해 고객을 확장하여 제품판매를 원활하게 하는 것이 가장 큰 목적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코스메슈티컬 브랜드인 C브랜드의 에스테틱숍 디자인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코스메슈티컬 브랜드인 C브랜드에서 운영하는 에스테틱숍의 공간디자인을 제안하므로, 먼저, 코스메슈티컬과 에스테틱의 의미와 공간구성에 대해서 이론적 고찰을 한다. 이론적 고찰에서 도출된 공간과 C브랜드 에스테틱숍에서 요구하는 공간을 접목하여 최종적으로 필요공간요소를 도출한다. 디자인 단계에서는 C브랜드에 대한 기본조사로서 로고와 심벌 그리고 브랜드컬러 등 브랜드분석을 하고 분석결과에 따라 실내공간에 접목할 디자인 아이템을 개발한다. 개발된 디자인 아이템을 각 공간별로 접목하여 실질적인 디자인을 구성한다. (결과) 본 연구는 코스메슈티컬 브랜드 이미지를 전달하는 로비와 안정적인 심리로 에스테틱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에스테틱 공간으로 크게 구분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주로 보여주는 로비 공간에서는 브랜드이미지를 표현하는 시각적 아이템을 공간디자인으로 승화하여 입면에서 보여지는 시각이미지를 통해 브랜드의 의도를 전달받을 수 있게 구성하였고 에스테틱 공간은 프라이버시가 확보되고 고객과 직원이 편안한 행동이 가능하도록 타입별 룸구성과 유동적인 파티션을 이용한 기능적인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코스메슈디컬을 판매하며 스킨케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에스테틱숍이라는 새로운 분야에 대한 공간디자인을 제안하여 브랜드 이미지를 향상시키고 고객이 브랜드에 대한 신뢰감과 편안한 공간체험을 유도하는 기능적인 공간디자인 방향의 제안으로서 의의가 있다. 향후 코스메슈디컬과 관련된 브랜드인지도 향상을 위한 공간디자인을 계획하는 데 있어 본 연구의 내용이 기초자료로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Changing social trends are reflected in the increased interest in health and beauty and increasing consumption of cosmetics. With the increase in sources of stress that harm the skin, such as fine dust as a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 and exposure to electromagnetic waves, interest in the cosmeceutical area is also increasing. “Cosmeceutical” is a new word from the combination of “cosmetics” and “pharmaceuticals.” Given the necessity of providing professional skin counseling and improvement, cosmeceutical services have mainly been conducted in aesthetic shops and dermatology clinics. Therefore, for the space design of aesthetic shops, as a point of contact with customers, an image that conveys reliability and trustworthiness is paramount. Another important purpose is to enable the smooth sales of products by expanding the customer base through the strengthening of brand image and viral marketing. This study aimed to suggest an aesthetic shop design for C brand, a cosmeceutical brand in Korea. (Method) First, this study performed a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the meanings of cosmeceuticals and aesthetics, as well as of spatial composition. Second, by combining the space drawn from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that demanded by the aesthetic shop of C brand, we drew the necessary space elements. In the design stage, as basic research of C brand, we analyzed its logo, symbol, and brand color.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e design items applied to the interior space were developed. The actual design was composed by applying the developed design items to each space. (Results) We divided the space into a lobby that delivers the image of the cosmeceutical brand and the aesthetic space in which customers receive aesthetic services in the stable psychology. The lobby space was composed to deliver the intention of the brand through the visual image of elevation, by subliming the visual items expressing the brand image into the space design. To secure the privacy and comfort of customers and staff, the aesthetic space was composed of different types of rooms, with the functional space using flexible partitions. (Conclusion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its contribution to improving brand image by suggesting a new area design for an aesthetic shop offering cosmeceutical products and skincare services. The findings suggest the proper direction of functional space design for inducing customers’ trust in the brand and comfort in their experience of the spac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planning space design for the improvement of brand awareness related to cosmeceuticals.

      • KCI등재

        사회적 공간 사유와 전유로서의 브랜드 공간

        신혜원,김주연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4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2 No.3

        오늘날 사회를 구성하는 대표적인 산물이 ‘브랜드(공간)’ 임을 부인할 수 없으며, 현대 사회의 소비의 중심에서 끊임없 이 생성되고, 유지되며, 때로는 소멸된다. 게다가 한국은 급 성장한 경제 발전과 한류의 영향으로 종전의 브랜드(공간)의 수용자 측면에서 보급자 측면으로 그 입지가 바뀌고 있다. 이 에 본 연구는 일상적, 공생적 관계에 놓인 브랜드 공간을 복 제된 잉여공간으로 파편화하거나, 마케팅 전략 위주로 바라 보기 보다는 사유를 통하여 참여하는 각각의 주체로서 상호 작용하고, 무장소성(Placelessness)이 아닌 토포필리아(Topo philia)의 장(場)으로써 전유(Appropriation)의 관점을 모색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산업 브랜드와 장소 브랜드이며, 선행 연구 의 배경은 르페브르와 하비의 ‘변증법적 공간론’, 투안과 렐프 의 ‘현상학적 장소론’, 짐멜의 ‘상호작용 문화론’으로 분석하 였다. 이러한 사유는 브랜드 공간의 ‘공간-생산하기’와 ‘장소-만들기’의 원천이 되며, 주체에 따른 병렬구조와, 맥락에 따 른 순환구조로 종합된다. 연구의 결과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간 생산의 수행자가 주체가 되는 실천으로서 양식, 기억, 지역성, 문화정체성 등이 상호 침투되는 다원적·창조적 전유이다. 둘째, 장소의 사용자가 주체가 되며, 장소에서의 현 상적이고 경험적인 행위와 활동은 곧 장소애(愛)로 이어지는 현상적·경험적 전유이다. 셋째, 수행자-매개자-사용자가 서 로 상호작용하는 공유적·문화적 전유이다. 이 세 가지 측면은 상업적인 전략 보다는 전유의 관점으로 접근될 때, 산업사회 와 도시사회에서 서로 소외되지 않으면서 상보적으로 나아가 는 가치를 지닌다. 이러한 관점을 통해 ‘K-Culture 신한류 3.0 시기’에 도래한 지금 유산으로서의 가치와 자산을 가진 브랜 드 공간의 생산에 있어서 방향 설정에 기여하고자 한다. It is commonly accepted that Brand (space) is one of the products of modern society, being generated and disa ppeared continuously in the center of modern consumptio n life. Moreover, as a result of succeeding in economic an d cultural development, Korea has been changed the stat us from the importer of brand space to exporter of it. Th us, in these circumstanc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brand space, which is laid on daily life, sh ould not be a placelessness but be a true topophilia by int eraction between the principal agents and by practical ap propriation, being away from the point of view of conven tional marketing strategies focused look. The range of this study is industrial brand and space br and, and this thesis is based on major preceding researc h: the theoy of Dialectical Theory of Space by Henri Lefe bvre and David Harvey, phenomenological place theory b y Yi-Fu Tuan and Edward Relph, and book of Interactio n and Sociological Aesthetics by Georg Simmel. These cognitions are based on the resources of space-producti on and place-creation of brand space, and the cognitio ns can be parallel structure by the principal agents, but have integrated clue for realizing brand space. The integr ated clues are followings. Frist, the brand space is both pluralistic and creative appropriation where the space pro viders can be the principal agents and the style, memory, locality, and cultural identity can be interacted each othe r. Second, the brand space is both usual and unusual exp eriential appropriation where the space users can be the principal agents and the action and activity can become topophilia. Third, the brand space is sharing and cultural appropriation and the space providers, intermediaries, and users can be interacted, These three aspects can be valua ble not from the viewpoint of commercial strategy but fro m the viewpoint of appropriation. By this point of view, I expect, when K-culture has become populated and ‘new Korean wave 3.0’ has been emerged, this research to be at least a methodology to create a brand space where hu man beings are not alienated in modern industrial, urban society, but human begins can have complementary appr opriation of the space.

      • KCI등재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스페이스에서의 사용자 만족도 향상을 위한 디자인 연구

        마군 ( Ma Jun ),남경숙 ( Nam Kyungsoo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1

        (연구 배경 및 목적) 현대 사회에서는 소비의 개념이 점점 변화하고 있다. 소비는 더 이상 구매 행위에 머무르지 않고 자신의 개성을 인식하고 심리적 만족감을 얻는 과정으로 인식된다. 상품의 기능보다 브랜드의 이미지와 가치가 소비행위에 중요하게 작용하고 소비 대상과 사용자 간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형성되는 경험은 갈수록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브랜드 스페이스에서의 사용자 경험 디자인의 개념과 특성을 살펴보고, 브랜드 스페이스에서 사용자의 행위를 관찰하고 분석하여 해당 공간에 적용된 사용자 경험 디자인 방안을 도출한다. 이는 공간 디자인 계획할 때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 적용을 통해 사용자의 행동을 예측하고 이에 대응할 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방법) 첫째, 이론적 고찰 부분은 사용자 경험 디자인과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스페이스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고 경험 마케팅의 특성을 파악하여 이를 바탕으로 라이프스타일 브랜드 스페이스에서 적용된 사용자 경험 디자인 전략의 특성을 도출한다. 이와 관련하여 분석 기준으로서 번트 H 슈미트 (Bernd H Schmitt)의 경험 마케팅 분류 방식을 바탕으로 설문조사 항목을 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 관찰법에 대한 이론을 파악하고, 그중에 현장 노트작성법(Field note-taking)을 바탕으로 공간에서 관찰대상자의 행위나 사용패턴을 관찰하는 구체적인 항목을 도출한다. 둘째, 선정된 브랜드 스페이스에서 설문조사를 통해 사용자의 만족도를 조사한 다음 사용자 관찰법을 통하여 브랜드 스페이스에서 경험된 사용자의 행동 패턴을 검토하고 해당 공간에 적용된 공간 사용자 경험 디자인에 대한 의견을 제시한다. (결과) 연구 결과에 따라 3개의 공간에서 사용자 만족도를 높일 영역을 파악할 수 있었고, 각 사용자 그룹별로 요구하는 차이점도 알아볼 수 있었다. 따라서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용자 경험디자인은 브랜드의 특성, 우세와 신뢰도를 사용자에게 극대화 하여 전달해야 한다. (결론) 현대 사회는 효과적이고 차별화된 브랜드만의 경쟁력이 있다. 그래서 브랜드 스페이스에서 소비자에게 감각적, 감성적으로 만족을 줄 수 있는 공간 경험 형성은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변화에 맞추기 위해서 브랜드 스페이스에 담겨 있는 브랜드 고유의 가치와 문화를 극대화 발전시켜야 한다. 동시에 사용자 인지도를 높여 브랜드에 충성도를 높일 수 있는 사용자 그룹별 심리를 맞추는 경험 디자인을 활용해야 한다. 사용자 그룹에 따라 다양한 브랜드 체험 공간과 디자인을 제공해야 한다. 브랜드 스페이스의 모든 제품을 직접 만지고 사용해보며 체험할 수 있도록 전시 제품들에 대한 제약을 두지 않아서 한가지 제품이 여러 쇼룸 공간을 통해 반복적으로 노출되면서 제품의 다양한 활용성을 전달 할 수 있다. 제품의 가격, 소재, 픽업 위치 등의 물리적 정보만을 전달하는 제품 디자인이 아니라 제품의 활용 방법, 디자이너 정보 등을 함께 전달하여 차별화된 마케팅요소로 활용해야 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Consumption's concept is gradually changing. It is no longer considered a buying behavior, but a process of recognizing one's individuality and gaining psychological satisfaction. The value of a brand is influenced by the interaction between the consumer and the user, a factor that is gaining incasing attention, rather than the function of a product. In this backdrop,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user experience design and user behavior in brand space to derive user experience design measures applied in that space. The study recommends strategies to predict and respond to user behavior through the application of spatial user experience design when planning space design. (Method) First, the theoretical part analyzes prior research on user experience design and lifestyle brand space and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experiential marketing to deduce the characteristics of user experience design strategy applied in lifestyle brand space. In this regard, survey items are presented according to Bund H Schmidt's experience marketing classification as the basis of the analysis. The theory of user observation is understood, and specific items are derived to observe the behavior or usage patterns in the space, based on-field note-taking. Second, user satisfaction is examined through a survey in the selected brand space, and subsequently, through the user observation method, the user's behavior patterns experienced in the brand space are reviewed and opinions are presented on the spatial user experience design applied in the space. (Results) The results of the study highlighted areas in three spaces that would enhance user satisfaction and identified the differences between each user group. Consequently, user experience design that can meet the diverse needs of users should maximize the characteristics, superiority, and reliability of the brand to the user. (Conclusions) Given that modern-day society is competitive with only effective and differentiated brands, it is very important to form a space experience that can satisfy consumers sensibly and emotionally in brand space. To keep up with these changes, we need to maximize the brand's unique values and culture contained in brand space. Simultaneously, it should utilize its user experience design to match the psychology of each group of users to increase loyalty to the brand by raising user awareness. Various brand experience spaces and designs should be provided depending on users. Without restrictions on display products, a single product can be repeatedly exposed through multiple showroom spaces, delivering a wide range of product usability, allowing one to touch, use, and experience the product. The product design, which only conveys physical information such as price, materials, and pickup location of the product, should be used as a differentiated marketing element by communicating the method and designer information together.

      • KCI등재

        브랜드 공간에 적용된 VMD의 색채감성요인(色彩感性要因)에 관한 연구 -중국에서의 글로벌 SPA 패션 브랜드를 중심으로-

        왕동걸 ( Dong Jie Wang ),이정교(교신저자,교수) ( Jung Gyo Lee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3

        (연구배경 및 목적) 현대사회는 급증하는 브랜드와 다양한 소비자에 대응하기 위해 소비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그리고 소비자는 심리적·감성적 욕구 만족을 원하는 감성 소비 경향을 보인다. 이러한 환경 변화에 따른 소비자를 위한 마케팅 방안으로 VMD의 색채 감성 표현이 중요시 된다. 특히 현대 중국의 패션산업을 주도하고 있는 글로벌 SPA 패션 브랜드는, 빠른 트렌드 변화에 반응하는 SPA 브랜드의 특성과 함께 소비자를 만족시키는 감성 표현에 집중하고 있다. VMD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SPA 패션 브랜드의 브랜드 공간에 적용된 소비자의 심리적이고 감성적인 충족을 가져올 수 있는 VMD의 색채감성요인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 공간의 개념 및 특성에 대한 이론 연구를 진행하고, VMD의 공간적 구성요소와 VMD 색채에 대한 선행연구 분석과 참고자료를 활용하여 색채조화론과 공간디자인 관점에서의 색채감성요인을 도출하였다. VMD의 공간적 구성요소와 색채감성요인을 구조화한 브랜드 공간 분석 매트릭스를 기준으로 하여, 중국 북경 서단 지역에 있는 글로벌 SPA 패션 브랜드로 범위를 한정하여 브랜드 공간을 사례분석 하였다. (결과) 첫째, 브랜드 공간의 VMD 공간요소 대부분이 난색조로 연출되어 상품의 다양한 색채를 부각시키기 위해 공간적으로 시각적 부드러움과 편안함 부여를 위한 고명도와 저채도의 유사범위의 색상으로 표현되어 있었다. 둘째, 대량 생산과 판매를 목표로 하는 SPA 패션 브랜드 전략으로의 VMD의 색채감성요인은, 색채조화론 관점에서 명도, 채도에 의한 질서성과 유사성을 중심으로 적용되고 다양한 범위의 색상을 포인트로사용하며 시각적 감성을 자극하는 브랜드 공간으로 표현되어 있었다. 셋째, 공간디자인 관점에서의 VMD 색채감성요인은 공간의 접근성과 편안성을 중점적으로 반영되어 있었는데 이는 동일하고 유사한 색채 연출을 통한 심리적 접근성을 통해 공간으로의 유입을 유도하며 감성적 편안함을 공간 속에서 유지시켜주는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이를 통해 VMD의 색채감성요인은, 브랜드 공간에서의 공간디자인을 통한 소비자 중심의 감성 충족 공간에서의 커뮤니케이션 채널 역할을 수행하는데 필수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consumption environment in the modern society is changing in response to fast-growing brands and a variety of consumer tastes. And consumers show an emotional consumption trend to satisfy thei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desires. As a marketing method for consumers in the environment change, expressing the color emotion of VMD has great importance. In particular, Global SPA Fashion Brands leading the fashion industry of modern China are concentrating on the emotional expression to satisfy consumers in response to the fast trend change. For maximization the effect of VMD, the authors draw the color emotional factors of VMD applied to the brand space of the SPA fashion brands for consumers to ge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atisfaction. (Method) In this study, the authors conduct theoretical research on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brand space, and draw the color emotional factors from the color harmony theory and the spatial design perspective by analyzing preceding research and utilizing references on spatial components of VMD and VMD colors. On the basis of brand space analysis matrix which structuralize spatial components and color emotional factors of VMD, the case study on the brand space of the global SPA fashion brands limited in Xidan, Beijing, China, was conducted. (Results) First, most of spatial components of VMD in the brand space is presented in earth tone in order to highlight a variety of different colours of products, and is expressed in analogous colors of high brightness and low saturation in order to bring visual softness and sense of comfort into the space. Second, from the color harmony theory perspective, the color emotional factors of VMD as a SPA fashion brand strategy targeting mass production and sales are applied for the order and the similarity by using brightness and saturation, are using a wide range of colors as a point, and are expressed for the brand space to stimulate the visual emotion. Third, from the spatial design perspective, the color emotional factors of VMD are used to reflect mainly the accessibility and the sense of comfort of the space in which the effect of inducing access to the space and of maintaining emotional comfort in the space is made through the psychological accessibility by presenting the same and the kind of colors. (Conclusion) Through this, the color emotional factors of VMD are found to be essential factors in playing a communication channel role in the consumer-centric space for emotional satisfaction through the spatial design in the brand space.

      • KCI등재

        브랜드 체험공간의 감성적 특성 분석에 관한 연구 - 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를 중심으로 -

        이수아,김수정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0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8 No.4

        오늘날 경험에 가치를 두는 가치소비 시대로 변화하였다. 다수의 브랜드와 기업들은 제품을 구매하지 않아도 경험할 수 있는 브랜드 체험공간을 통해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지속 적인 소통을 시도하고 있다. 이에 브랜드와 소비자간 지속적 소통을 위한 브랜드 체험공간 감성전략의 방향성을 제시 하 고자 한다. 브랜드 체험공간의 분석을 위해 ‘공간의 상징성’, ‘공간의 비일상성’, ‘공간의 체험성’, ‘공간의 행태지원성’ 총 4 가지를 분석틀로 사용하였고, 강남 가로수길의 자연주의 천 연화장품 브랜드 플래그십 스토어 5곳의 브랜드 체험공간을 연구범위로 선정하였다. 이를 직접방문을 통한 정성평가 방 법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분석하였고 각 브랜드의 감성적 특 성과 차이를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 번째, ‘공간의 상징성’ 이 천연화장품 브랜드가 체험공간에서 전반적으로 추구하는 특성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 브랜드 체험공간에서 단순히 시 각적인 조형성과 콘텐츠, 체험 수 보다 체험요소의 활용 형태 에 따라 고객의 감성 자극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세 번째, 유희적 체험의 제공은 특별한 경험으로 이어 지게 하여 비일상성 감성을 자극한다. 따라서 브랜드 체험공 간을 통해 타 브랜드에서 경험하지 못하는 유희적 형태의 체 험을 제공할 수 있어야한다. 본 논문을 통해, 브랜드와 소비 자의 지속적인 소통을 위한 자연주의 화장품 브랜드 체험공 간의 감성전략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 예상한다. It has changed to the era of value consumption, which values experience today. Many brands and companies are attempting to communicate with consumers and brands t hrough a brand experience space that they can experienc e without having to purchase products. Therefore, we wo uld like to present the direction of the brand experience space emotional strategy for continuous communication b etween the brand and consumers. A total of four types of analysis frames were used to analyze the brand experien ce space, symbolism of space, unusuality of space, e xperience of space, and supporting behavior of space, and five brand experience stores of naturalistic cosmetics brands in Garosu-gil, Gangnam were selected as the sco pe of their research. The survey was analyzed by conduc ting a qualitative assessment method through a direct vis it and examined the emotion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 nces of each brand. The first analysis showed that the s ymbolism of space is a characteristic that natural cosme tics brands generally pursue in the experience space. Sec ond, we could see that the brand experience space affects customers' emotional stimulation based on the type of us e of experience elements rather than simply visual compo sition, content, and number of experiences. Third, the pro vision of a playful experience leads to a special experienc e that stimulates non-daily sensibilities. Therefore, the br and experience space should provide a playful form of ex perience that other brands do not experience. Through thi s paper, we expect to present the direction of emotional strategy of naturalistic cosmetics brand experience space for continuous communication between brands and consumers.

      • KCI등재

        자동차 브랜드 공간의 전략적 체험 특성에 관한 연구

        정희탁,양지윤,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5

        (연구배경 및 목적) 과거 오프라인 공간을 위주로 이루어지던 소비가 현대 사회에서는 온라인 소비가 늘어남에 따라 가격과 제품을 넘어선 오프라인 브랜드 공간의 새로운 방식의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이제는 단순히 판매가 아닌 소비자와 브랜드 간의 소통을 하는 시대가 되었고 따라서 오프라인 매장이 온라인과 차별화의 되는 오프라인 브랜드 공간만의 공간마케팅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간 마케팅의 가장 큰 무기는 ‘경험’이다. 공간 마케팅의 특징을 보면 브랜드의 정체성이나 이미지를 직접적인 체험을 통하여 소비자가 브랜드에 대한 경험과 친밀도를 높일 수 있다. 기업의 브랜드 오프라인 매장은 감각적인 경험을 소비자들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기업 브랜드의 이미지나 정체성을 소비자에게 전달할 수 있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전략을 적용해 자동차브랜드 공간의 체험마케팅은 차별화와 브랜드 공간의 이미지를 재정립하는데 중요한 요소가 되었다. 본 연구는 국내·외 자동차 브랜드 공간 사례분석을 통해 체험적 특성을 밝힘으로서 자동차 브랜드 공간 디자인의 지향성과 확장성을 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선행연구로 브랜드 공간에서의 체험마케팅의 중요성과 브랜드공간에서 체험 요소에 관한 이론 고찰을 하고 자동차브랜드공간에서의 Bernd H. Schmitt‘체험 마케팅’과 Pine & Gilmore‘체험4요소(4Es)’분류 방식을 적용된 체험마케팅의 구성요소를 분석 및 그 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체험 특성이 적용된 국내외 자동차 브랜드의 국내 브랜드 공간을 답사해 체험마케팅이 적용된 연출 방식을 바탕으로 공간 구성의 기준을 세우고 분석을 통하여, 국내 자동차 브랜드 공간 연출 요소에 체험마케팅이 적용된 효율적인 연출 요소가 적용된 공간의 방향성과 발전 가능성을 제안한다. (결과) 분석결과 체험마케팅의 전략 중 4Es에서는 일탈적 체험 요소가 가장 잘 나타나있고 다음으로 오락적 체험 요소가 뒤를 이었다. 일탈적 체험으로 소비자는 공간에서의 비일상적 체험을 통해 좀 더 몰입감 있는 브랜드에 대한 경험을 제공한다. 또한 오락적 체험으로 오감을 통한 감각적 체험을 흡수한다. SEMs에서는 감각 체험 마케팅과 감성 체험 마케팅 요소가 뒤를 이었다. 감각적, 감성적 체험 마케팅의 요소는 고객의 자발성과 감정 이입 되며 더욱 효과적인 체험 마케팅의 요소로 보여 진다. (결론) 이를 통해 자동차 브랜드 공간은 공간 내에 체험 요소를 활용한 체험마케팅의 차별화와 브랜드 공간과 브랜드 이미지를 재정립하는데 중요한 요소로써의 방향성과 확장성을 제시 할 수 있을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large amount of consumption shifts from offline to online spaces in the contemporary society, a new approach toward offline brand space is essential. Since communication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is requisite at this juncture, and not just for sales, space marketing for offline brand spaces is imperative where offline stores have been differentiated from online ones. A major means of such type of space marketing is experience. If you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marketing through direct experience of brand identity or image, consumers can enhance their experience and involvement with the brand. A company's offline brand store serves to deliver a pleasant experience to consumers while also offering the desire direction image or identity of a corporate brand to consumers. By applying this strategy, experience marketing in the automobile brand space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differentiating and redefining the image of the brand spa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direction and expandability of the automobile brand space design by elucidating its characteristics through a case analysis of the domestic and foreign car brand space. (Method) This study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experience marketing in brand space and the elements of experience. In the automobile brand space, we will analyze the components of experience marketing by applying Bernd H. Schmitt's experience marketing and Pine & Gilmore's experience 4 factors (4Es) classification method and examine its characteristics. By exploring the brand spaces of domestic and foreign automobile brands with experience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production method applied with experience marketing, the standard of space composition is established and analyzed. Future direction and potential of development are recommended. (Results)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4Es among the strategies of experience marketing showed the most deviant experience elements, followed by recreational experience elements. With a deviant experience, the consumer provides a more immersive brand experience through an extraordinary experience in space. It also absorbs sensory experiences as entertainment experiences. In SEMs, the elements of sensory and emotional experience marketing are followed. The elements of sensory and emotional experience marketing are considered as elements of a customer's spontaneity and emotions, and an effective experience marketing of the space. (Conclusions) By means of this study, the automobile brand space can present direction and scalability as an important factor in differentiating experience marketing using experiential elements in the space and re-establishing brand space and brand image.

      • KCI등재

        자동차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의 아이덴티티 형성에 관한 연구 - 중국 상하이 지역을 중심으로 -

        등서산 ( Deng Shushan ),김영진 ( Kim Young Jin ),김경숙 ( Ghim Ghyung Sook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7

        (연구배경 및 목적) 21세기 이래로 중국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신차 시장이 되었다. 그 중에서도 자동차 구매 수량이 73.6782만 대를 기록한 상하이는 중국 자동차 판매 1위 시장이 되었다. 이에 따라 자동차 브랜드 수는 증가하고 있으며 브랜드 간의 경쟁도 점점 치열해지고 있다. 이러한 시장 경향을 살펴보면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는 특히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국 소비자들의 세계 대표 자동차 브랜드에 대한 인지를 통해 소비자의 인지에 영향을 주는 자동차 플래그쉽스토어 공간 구성 요소와 브랜드 속성 간의 상관성을 연구했다. 연구의 목적은 자동차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 구성 요소가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자동차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 구성 요소와 브랜드 아이덴티티 간의 상관성을 연구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공간 구성 요소를 찾아내 브랜드 지명도를 높이고 더욱 차별화된 브랜드 이미지를 구축하는 활용방법을 제시함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2020년 발표된 중국 자동차 순위에 따라 연구 대상을 선정하였다. 자동차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의 공간 구성 요소와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대표적인 어휘를 통해 두 차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 대상은 25~35세 중국 소비층이다. 빈도 분석을 통해 두 차례의 설문지의 종합 평가를 비교한 결과 공간 구성이 브랜드 아이덴티티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 다음에 상관 분석과 회귀 분석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공간 구성 요소의 상관성을 검증하고 브랜드 아이덴티티 형성에 영향을 주는 주요 공간 구성 요소를 확정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 메르세데스 벤츠, 도요타, 폭스바겐, 비엠더블유 4개 브랜드의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 요소가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모두 긍정적인 경향을 보였다. 그중에서도 메르세데스 벤츠가 가장 뚜렷했으며, 포르쉐는 다소 약했다. 상관 분석 결과 메르세데스 벤츠 브랜드의 공간 구성 요소와 브랜드 아이덴티티의 강한 상관성이 확인되었다. 또한 회귀 분석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 형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공간 구성 요소는 파사드 공간, 로고 표지판, 상담 공간, 그리고 서비스 공간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자동차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은 기업과 소비자의 접촉점으로서,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전달하는 중요한 매개체이다. 본 연구에서 자동차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는 플래그쉽 스토어 공간 구성 요소가 파사드 공간, 로고 표지판, 상담 공간, 서비스 공간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공간 디자인을 향상시켜, 소비자들이 보다 차별화된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더욱 특색 있는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구축해야 한다. 이에 자동차 브랜드 플래그쉽 스토어의 아이덴티티 형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미래 자동차 플래그쉽 스토어의 브랜드 공간 디자인에 시사적인 역할을 하기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Since the 21st century, China has become the world's largest new car market. Shanghai, which the number of car purchases reached 736,782, became the largest auto sales market in China. As the number of car brands increases, so does the competition among brands. By observing these market trends, it is particularly important to strengthen the brand identity. Therefore, this study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patial components of the automobile flag stores and the brand attributes through the Chinese consumers 'cognition of the world's representative automobile brand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spatial components of the automobile flagship stores on the brand image formation, to find the spatial components to improve the brand awareness, and to build a more distinctive brand image. (Method)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on the flag store space components and brand logo representative vocabulary of the top five automobile brands in China released in 2020. Chinese consumer groups aged 25-35 years was the questionnaire object and they completed the questionnaire in two times. Through the results of the two batches of questionnaires, the positive influence of the components of automobile space on the formation of brand image is confirmed. Subsequently, the correlation between brand identity and spatial components was verifi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and the specific main spatial components affecting the formation of brand identity were identified. (Results)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flagship store space elements of Mercedes-Benz, Toyota, Volkswagen and BMW all show a positive tendency to the brand logo. Mercedes-Benz was the most obvious, with Porsche slightly weaker. The relevant analysis results confirm that the spatial components of the Mercedes-Benz brand are strongly correlated with the brand identity. In addition,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the spatial components that have a great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brand image are the facade space, signs, consultation space and service space. (Conclusions) As a connection between enterprises and consumers, the automobile flagship store is an important carrier to convey the brand identity. This study confirms that the space components that form the automobile brand identity are facade space, sign space, consulting space, and service space. It’s necessary to improve the design of these spaces, so that consumers can have a more differentiated experience, and build a more distinctive brand identity. Based on this background,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identity formation of automobile brand flagship stores, hoping to inspire the brand space design of automobile flagship stor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