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생수브랜드의 패키지디자인 유형 분석에 관한 연구

        이지선,이연준,임효정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17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15 No.4

        The domestic water market has grown nearly fourfold from 2005 to 2016 and is expected to expand in the coming years. The continuously expanding and competitive water market is in need for an appealing package design that is distinctive from the existing products. Through literature review, this research explored the concept of package design, the shapes, and materials behind bottled water brands, and also the definition and components in label design. Domestic and imported bottled waters were classified under the four shapes being: standard, curvy, slender and modern shape. Then the bottled water brands were selected relevant to the domestic retailers’ sales ranks. 12 bottled water brands were analyzed for the case studies to reveal results on how label designs (the label design mainly consists of logotype, illustration, color, and layout) followed the shapes of the bottled water. The results showed that bottled water package designs having more curvatures and ridges on the container mostly applied band labels. And those having fewer curvatures or no ridges at all revealed label designs emphasized on illustration or typography. Through this research, the categorization of the domestic and foreign bottled water package designs derived from this study can be employed as a fundamental research to provide a direction in bottled water package design development. 국내 생수시장의 규모는 2005년에서 2016년 까지 4배 가까이 성장하였고 앞으로 더 커질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생수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국내 백화점에는 다양한 프리미엄 생수를 만날 수 있는 ‘워터바’가 등장하여 먹는샘물, 탄산수, 미네랄워터, 해양심층수 등 다양한 종류의 생수를 접할 수 있게 되었다. 그렇기에 이제는 기존의 제품과는 차별화 될 수 있는 생수 패키지디자인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생수 패키지디자인과 라벨디자인의 개념을 살펴본 뒤, 선행연구를 토대로 국내외 생수의 용기 형태를 네 가지(일반형, 굴곡형, 슬림형, 모던형)로 분류하고 12종의 제품을 선정하여 패키지디자인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형태에 따라 적용된 라벨디자인(로고타입, 일러스트레이션, 컬러와 레이아웃)이 다르게 디자인 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외에 제품들의 친환경 패키지디자인을 재질과 라벨의 종류로 분석하였고, 인체공학적 패키지디자인을 굴곡과 요철로 구분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국내외 생수용기에 따른 라벨디자인의 한계점과 가능성을 정리하여 생수용기 패키지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굴곡과 요철이 많이 부여된 생수용기는 띠지 형식이고, 반면 굴곡과 요철이 적게 부여되거나 또는 굴곡과 요철이 없는 생수용기는 일러스트레이션과 타이포그래피와 같은 그래픽 요소로 라벨디자인에 강조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국내외 생수용기 디자인 범주화는 생수용기 패키지디자인 개발 시 방향성 수립에 기초적 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경량화 지수를 이용한 페트병의 패키징 설계 기준

        김선종,나스타란 모히미,장시훈,박수일 한국포장학회 2016 한국포장학회지 Vol.22 No.3

        In this study, we analyzed the empty body weight and nominal volume of different types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bottles commercialized in Korean market. Over 780 PET bottles were collected and classified into four types, heat resistance bottle, normal resistance bottle, pressure resistance bottle, and long period using bottle. Each PET bottle’s lightness index was established using bottle weight and nominal volume. Based on the index value, “acceptable” and “optimum” criteria for design guideline of PET bottle were summarized for each PET bottle type. In this paper, we suggest the use of PET bottle lightness index as a design guideline for material resource reduction of PET bottle for Korean beverage industries and bottle makers. For example, we can achieve 2~4 g weight reduction in normal pressure bottle for 500 mL drinking water.

      • KCI등재

        패키지디자인에 나타난 친환경적 표현 요소 특성 연구 - Bottle Design을 중심으로 -

        이원진 ( Lee Won-ji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16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57 No.-

        산업화 시대에 문명의 발전이 가증될수록 인간은 자연으로부터 소외된다. 그러나 발생의 근원인 자연으로 회귀하고 싶어 하는 인간의 욕구도 동시에 커져가고 있다. 따라서 디자인의 역할은 자연성의 반영을 통해 인간미의 회복을 추구함을 목표로 해야 할 것이다. 본 작품 논문은 자연성을 시각화할 대상으로 가공식품인 `식용유의 용기 디자인`을 선정하였다. 용기 디자인에 내재되어 있는 친환경적 조형요소의 특성을 식용유의 용기 디자인에 반영하여 자연성이 반영된 디자인을 도출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외의 식용유 용기 디자인을 분석해보고 자연성을 상징할 연관 개념을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자연의 상징성을 가진 조형요소들을 반영하는 작업을 진행한다. 이를 위해서 자연이라는 단어로부터 연관어를 조사하고 이들로부터 네 가지의 관념구(觀念句)를 추출하여 이를 조형적 요소로 시각화하였다. 이는 자연의 선물, 자연의 활력, 자연의 빛, 자연의 품격이다. 자연의 선물은 부드러운 곡선과 볼륨감을 통해, 자연의 활력은 중첩된 라인과 상승하는 곡선을 통해, 자연의 빛은 원과 부드러운 곡선을 통해, 그리고 자연의 품격은 수직과 수평의 직선을 통해 디자인에 반영하였다. 이러한 특성은 용기 형태의 기본적인 디자인 모티브에 반영되었으며, 그 결과 간결하고 기능미를 잃지 않으면서도 자연친화적 컨셉을 은유적 표현과 더불어 심미적 가치를 연구 작품에 반영할 수 있었다. 이로 인하여 인간과자연 모두에게 이로운 디자인, 지속가능한 미래를 위한 패러다임의 변화에 기여하길 바란다. As civilization is more progressed in the period of industrialization, humans are alienated from nature. However, humans` desire to go back to nature which is the root of occurrence is also growing at the same time. Thus, design should aim for pursuing the recovery of humanity through the reflection of naturality. This paper has selected the `design of cooking oil container` as a subject to visualize naturality. It aims to draw design reflecting naturality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eco-friendly formative elements inherent in container design to the design of cooking oil container. Therefore, after analyzing domestic/international designs of cooking oil container and then extracting associative concepts symbolizing naturality, the formative elements with the symbolism of nature are reflected. Researching associative words from the word `nature` and then extracting four conceptual phrases, they were visualized with formative elements. They are the gift of nature, vitality of nature, light of nature, and dignity of nature. The gift of nature was reflected to the design through smooth curves and volume while the vitality of nature was reflected to the design through overlapped lines and rising curves. The light of nature was reflected to the design through circles and smooth curves while the dignity of nature was reflected to the design through vertical/horizontal straight lines. Such characteristics were reflected to the basic design motif of the container shape, and in the results, the simple, functional, and eco-friendly concept could be reflected to the research work on top of the metaphorical expression and aesthetic value.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hanges in paradigm for the sustainable future and design beneficial to both human and nature.

      • KCI등재후보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에서의 PET BOTTLE에 대한 사용성 평가 연구

        김상식 한국콘텐츠학회 2005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5 No.5

        While use of a pet bottle with use it is light recently and convenient increases quickly, it is used from the child, also diffusing the user to a pet bottle to people of various classes, such as an old person, a woman, a male, the man in the street, and a disabled person. However, those who are standardized on the basis of the common man with the plan energy of a pet bottle, and cannot attain to the standard, That is, a child and a disabled person may be condemned to the vague situation that a lid cannot be opened or a contents thing cannot be drunk without external help. And the characteristic of a material and production which are called PET Even if convenience is emphasized for the cost reduction of COST, a design is chosen easily, and even if it calls it the man in the street, the point of coming to experience a situation with the difficult time of use can be found well. In research of a book, problem derivation which classifies entering school and a preschool boy and girl child for a child drink for an object first by the viewpoint of universal design paying attention to such problems, and leads the actual use example of a pet bottle was carried out in true heart, and various notional approach was shown by the solution method. 최근 가볍고 사용이 편리한 PET용기의 사용이 급속도로 증가하면서 PET용기에 대한 사용자도 어린이부터 노인, 여성과 남성, 일반인과 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로 확산되어 사용되어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PET용기의 설계도 건강하고 평범한 남자를 기준으로 표준화되어있어 그 기준에 못 미치는 사람 즉, 어린이나 장애인은 CAP을 열 수 없거나 외부의 도움 없이는 마실 수 없는 막연한 상황에 처해지는 경우가 많다. 또한 PET라는 소재의 특성과 생산 COST의 원가절감 때문에 편리성이 강조되더라도 쉽게 디자인을 선택하여 일반인이라 해도 사용 시 곤란한 상황을 겪게 되는 점을 자주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착목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의 관점에서 우선 어린이음료를 대상으로 취학 및 미취학 남여 어린이를 구분하여 사용사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문제점에 대한 정성적 분석을 하기 위하여 신뢰성 높은 관찰 방법과 유니버설디자인 원칙에서 결과를 지적하고, 그 대안으로써 PET BOTTLE 디자인을 유니버설디자인의 개념적 접근에서 제시하였다.

      • KCI등재

        중국 생수 브랜드 '농부산천'의 디자인 판매 전략 통합 분석 - 패키지 디자인을 중심으로 -

        포효정,이혜원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9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37 No.4

        The study begins with the prospect that China's bottled water industry will continue to grow and the bottled water market will grow further in the future. Recently, with the recent emergence of various water brands and water packages one by one, the time has come for a differentiating strategy within the bottled water industry, with sales of the Nongfu Spring continuing to dominate high market sales without shrink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consumer's needs for Nongfu Spring bottled water package and the reason why sales volume of farmer's spring is maintained through survey and package design analysi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Nongfu Spring bottled water package and package preference of consumers. The results and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the characteristics and market status of Chinese bottled water were examined and the analysis of Nongfu Spring package was summarized. Second, a preference questionnaire was conducted for the Chinese people to understand consumer responses. In addition, the comparison between Nongfu Spring and general bottled water container design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asons why Nongfu Spring continues to be number one and the connection of general container design. The survey found that all types preferred by consumers were reflected in Nongfu Spring's package. Since 2015, Nongfu Spring has launched new packages every year to keep consumers fresh and increase sales volume. Nongfu Spring was able to consistently gain a high market share in the Chinese market because consumers met their preference for bottled water. Based on these findings, we believe that there is a continuing need for research on sales strategies that can differentiate them from others through active package design. 본 연구는 중국의 생수 업계가 지속적인 성장을 보 일 뿐만 아니라 생수 시장 규모가 향후 더 증가할 것 이라는 전망에서 시작되었다. 최근 다양한 생수 브랜 드와 생수 패키지가 하나둘씩 등장하면서 생수 업계 내에 차별화 전략이 필요한 시기가 되었는데, 이러한 배경 속에서 농부산천의 판매량은 줄어들지 않고 계 속해서 높은 시장 판매율을 차지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설문 조사와 패키지 디자인 분석 을 통해 농부산천 생수 패키지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 는 무엇이며 어떠한 원인으로 농부산천의 판매량이 지속적으로 유지되고 있는지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농부산천 생수 패키지와 소비자들의 패키 지 선호도와의 상관성을 알아보고자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및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생수 의 특성 및 시장 현황을 살펴보고 농부산천 생수 패 키지에 대한 분석을 정리하였다. 둘째, 소비자 반응을 파악하기 위해 중국인을 대상으로 선호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농부산천과 일반 생수 용기 디자인 의 비교를 통해 농부산천이 계속 1위를 차지하는 이 유와 일반 용기 디자인의 연계성을 살펴보고자 하였 다. 조사 결과를 보면, 소비자의 선호도는 대부분 농 부산천의 생수 패키지에 반영되어 있었으며, 농부산천 은 소비자 니즈와 판매량 촉진을 위해 2015년도부터 매년 새로운 패키지를 출시하는 등 지속적으로 디자 인 판매 전략을 준비하고 추진해 오고 있었다. 즉, 소 비자들의 생수 패키지에 대한 선호도를 충족시킨 농 부산천은 중국 시장에서 꾸준히 높은 시장 점유율을 차지할 수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적극적인 패키지 디자인을 통해 타 브랜드 와 차별화할 수 있는 판매 전략의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 KCI등재

        무라벨 친환경 패키지디자인을 활용과 탄산음료 브랜드인지도에 관한 연구- 한국 소비자의 브랜드 인지도 중심으로 -

        왕의난,최원재 사단법인 한국브랜드디자인학회 2023 브랜드디자인학연구 Vol.21 No.1

        With the widespread use of plastics, plastic pollution has become a worldwide problem. Among them, plastic packaging accounts for about 42% of waste plastics. Plastic PET bottles are often used in carbonated beverage packaging. To make PET bottles easier to recycle, many carbonated drink brands use eco-friendly packaging and label-free PET bottles. Therefore, this study takes Korean carbonated beverages as the object, assuming that the packaging design of carbonated beverages currently being produced and sold does not use labels, and investigates how consumers distinguish carbonated beverage brands without labels. And on this basis, we try to find out the design elements of the brand identity of unlabeled carbonated drinks. First, the packaging design of carbonated beverages in Korea is analyzed in the context of no label. Second, the survey and analysis of consumers' awareness of the three elements of unlabeled carbonated beverages (bottle shape, cork, and beverage color). Thir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the plastic bottle design and improvement plan of the label-free carbonated beverage was proposed. According to the research results, unlabeled carbonated beverages will cause a decline in the awareness of consumers of all ages to a certain extent. In the case of no label, consumers are more sensitive to the color of the beverage, and judge the approximate brand by the color of the beverage. In terms of packaging, consumers are more aware of the color of the bottle cap, that is, the brand color, than the shape of the bottle. 플라스틱의 광범위한 사용으로 플라스틱 오염은 전 세계적인 문제가 되었다. 그 중 플라스틱 포장은 플라스틱 폐기물의 약 42%를 차지한다. 플라스틱 페트병은 탄산음료 포장에 자주 사용된다. 페트병을 보다 쉽게 ​​재활용할 수 있도록 많은 탄산음료 브랜드는 친환경 패키지디자인과 무라벨 페트병을 사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현재 생산 및 판매되고 있는 탄산음료의 패키지 디자인이 라벨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가정 하에 한국산 탄산음료를 대상으로 하여 소비자들이 무라벨 탄산음료 브랜드를 어떻게 구분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무라벨 탄산음료의 브랜드 인지 디자인적 요소를 찾아내고자 한다. 첫째, 국내 탄산음료의 패키지 디자인을 무라벨 배경에서 분석하였다. 둘째, 무라벨 탄산음료의 3요소(병의 형태, 마개 색상, 음료 색상)에 대한 소비자 브랜드 인지도 조사 및 분석. 셋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무라벨 탄산음료의 페트병 디자인 및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무라벨 탄산음료는 전 연령대 소비자의 인식을 어느 정도 저하시킨다. 무라벨 경우 소비자는 음료의 색상에 더 민감하며, 음료의 색상으로 대략적인 브랜드를 판단하게 된다. 포장에 있어 소비자들은 병의 형태보다 병마개의 색상, 즉 브랜드 색상을 더 많이 인지한다.

      • KCI등재

        페트병커피 라벨디자인의 시각적 요소 분석과 디자인 연구- 코로나19 시기 국산 페트병커피의 라벨디자인사례를 중심으로-

        Jing Ren,이창욱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0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소비자의 소비활동은 점차 고급화 및 다양화되는 추세를 보인다. 최근 몇 년간 커피는 기호 음료로서 그 시장은 급속도로 확대되었고 맛과 종류 또한 나날이 다양해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시기 커피 개봉 후 공기 중 세균의 침입을 줄일 수 있는 레디 투 드링크(Ready-To-Drink, RTD)(이하 RTD) 커피의 판매량이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2019년에서 2021년까지의 RTD 커피 시장 판매량 상위 3위 브랜드인 롯데칠성음료, 동서식품과 매일유업의 페트병 커피 로고 디자인을 중심으로 탐구했다. 연구 방법은 선행연구와 문헌분석을 토대로 브랜드 로고, 컬러, 일러스트, 레이아웃과 시각적 요소를 연구 기준으로 삼고, 커피 소비자 1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Likert척도 분석법을 통해,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세 가지 디자인 재단장 안 중 디자인 관련 전공 석박사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재단장 안 A가 가장 실현 가능성이 높다는 결론이 나왔다. 그 결과 lesby 브랜드의 페트병 커피 컬러에 대한 개선점이 제시되었다. 해당 개선점이 보완된다면 lesby 브랜드의 경쟁력 확대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During the 21st century, consumer behavior has shown a trend towards sophistication and diversification. Coffee, as a beloved beverage, has experienced rapid market expansion in recent years, with an increasing variety of flavors and types.Although the COVID-19 period affected the daily habits of most people, it did not stop the nation's coffee consumption habits. Due to the impact of the COVID-19 epidemic, ,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ales of ready-to-drink(RTD) coffee, aiming to minimize contact between opened bottles and airborne viruses. To study the design of coffee label of pet bottle and make a new design in order to strengthen the market competitiveness.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label design of PET bottle coffee for the top three brands in the RTD coffee market between 2019 and 2021, which are Lotte Chilsung Beverage, Dongsuh Foods, Maeil Dairies. The research methodology is based on prior studies and literature analysis, focusing on brand logos, colors, illustrations, layout, and other visual elements as research criteria. A Likert scal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involving 100 coffee consumers,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Among the three design renewal schemes, 50 masters and doctors of design-related majors are selected as the survey objects to conduct A questionnaire survey, and finally it is concluded that the renewal scheme A is the most feasible.The findings indicate the need for updating the PET bottle coffee label design for the lesby brand to enhance its competitive edge.

      • KCI등재후보

        음료용기의 사용자 만족도 조사 연구- Cap이 달린 유리 및 PET용기를 중심으로 -

        김상식 한국콘텐츠학회 2006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6 No.11

        유니버설디자인은 사물을 관찰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일상에서 무심코 사용하고 있는 음료용기를 통해 지금까지 발견할 수 없었던 모순이나 불합리성을 인식하고 유니버설디자인을 실천하기 위하여 문제점 도출과 방법에 대하여 사례를 통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최근 음료용기에 대한 사용자는 어린이와 노인, 여성과 남성, 일반인과 장애인 등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제품들과 마찬가지로 음료용기의 설계는 건강하고 평범한 남자를 기준으로 표준화되어있어 그 기준에 못 미치는 사람 즉, 어린이나 장애인은 Cap을 열 수 없거나 외부의 도움 없이는 마실 수 없는 상황에 처하는 경우가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들에 착목하여 유니버설 디자인의 관점에서 음료용기를 대상으로 어린이에서부터 고령자에 이르기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로는 문제점에 대한 정량과 정성적 평가를 하였으며 정량적으로는 설문지 결과를 토대로 빈도분석, 카이스퀘어 검증(X²)을 활용하였고 정성적으로는 선행연구결과 자료를 통하여 유니버설디자인 원칙에서 결과를 지적하였다, 그 대안으로써는 음료용기디자인을 하기 위하여 유니버설디자인의 방법을 개념적 접근에서 사례를 통하여 제시하였다. Universal designs begins from observing things. This paper understands contradiction and irrationality about drink bottle used unintentionally in our common life. Those have not found out until now. So an example observation about problem derivation and a practice method of Universal design is presented. People of various classes, such as a child, an old person and a woman, a male, the man in the street, and a disabled person, have been using drink bottle recently. However, the design of drink bottle has become on the basis of the fine and common man, so the other people, for example, children or handicapped persons experience many situations which cannot open cap or cannot be drunk without external help. This research posed questions from the children to the elders about drink bottle by the viewpoint of universal design paying attention to such problems. In the research result, the fixed quantity and qualitative quantity about problem are commented. And the fixed quantity utilized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verification (X²) for the questionnaire result on the basis, and the qualitative quantity pointed out result in the universal design principle through the data of a precedence research result. An alternative plan for drink bottle's design is presented through case observation of conceptual approach to method of Universal design.

      • KCI등재

        막걸리시장 트랜드변화에 따른 Map분석을 이용한 용기디자인개발

        이승용(Seung-Yong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3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3 No.4

        오늘날 우리나라의 주류문화는 일반주류와 기능성주류로 분류할 수 있는데, 이 연구에서 기능성주류시장이 특용작물 및 과채류 주류시장에서 농작물(곡류)을 원료로 한 발효주류 시장으로 급격하게 변화하고 있는 것을 인식하게 되었다. 현재, 막걸리 수요는 계속 증가하는 반면 기존 막걸리 용기디자인은 소비자의 욕구 및 현 소비시장의 트렌드에 맞지 않는 용기디자인이 난무하고 있는 실정이다. 당장 주류시장에서 다른 상품과 경쟁하려면 막걸리 용기디자인의 개발이 불가피하다. 이에 따른 현재 생산되는 막걸리 용기디자인이 어떠한 종류들이 있으며, 지금까지 어떻게 변화되어 왔고, 얼마나 경쟁력이 갖추고 있는지를 조사 분석하여, 현, 소비자 트렌드에 부합하면서 막걸리라는 주류의 특성을 고려한 기능성과 실용성을 겸비한 용기를 개발하고자 한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급속한 주류시장의 변화에서 경쟁력을 갖는 디자인적인 형태와 막걸리라는 특성에 맞는 기능적인 형태 구조를 제시하고자 한다. Todays liquor culture in Korea is basically divided into a general liquor culture and a functional liquor culture. In particular, the market of the latter has been going through a rapid change. In the previous days, it was a crop for a special purpose or a fruit which was mostly used to make liquor but now, many other regular crops are being used in the liquor market. At present, while the demand for Makgeolli has risen sharply, the designs of Makgeolli bottles have never satisfied needs from consumers nor the trends in the consumer market. As a result, Makgeolli industry should come up with new designs for the bottles immediately if it dose not want to lose in a competition with other liquor products. The study has looked into existing designs of Makgeolli bottles, investigating how the designs have changed over the past years and how competitive they are in the market. Based on results from the investigation, the study focuses on finding out designs which would fit the trends in the consumer market to develop Makgolli bottles which would be equipped with both functionality and practicality. In other words, to make Makgeolli survive in these rapid changes in the liquor market, the study works on offering a Makgeolli bottle design which is appropriate for certain characteristics of Makeolli and also competitive over other liquor bottles.

      • The Effect of Disposal Slot Shape of Trash Box on PET Bottle Segregated Collection

        ( Takuya Izumi ),( Hyuji Yoshida ),( Fumitake Takahasi )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5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3RINCs초록집 Vol.2015 No.-

        PET bottles are collected for recycle by local municipalities in Japan. However, collected PET bottles usually have low quality.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visual effect of trash box, in particular disposal slot shape, for proper PET bottle collection and recycle. 4 series of trash box were designed. Collection experiment using them was conducted. In addition to collection experiment, questionnaire investigation was also conducted to clarify which disposal slot shape was more understandable for proper PET bottle disposal.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regard to disposal slot shape of trash box, between actual behaviors and awareness as understandability. Consumers did not behave as expected by questionnaire investigation. It is assumed that unwillingness to dispose of PET bottle with segregation surpassed visual effect of disposal slot shap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writing (Direction Word) was more effective than image (disposal slot Shape) in terms of cap removal action. In contrast, direction word near disposal slot increased amounts of mixed foreign materials a little. To conclude the design effect of trash box on PET bottle segregated collection, some consideration about other factors such as set condition of trash box will be nee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