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SCOPUS

        Bipolar Hemiarthroplasty i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ith an Effective Wiring Technique

        ( Jae-hwi Nho ),( Gi-won Seo ),( Tae Wook Kang ),( Byung-woong Jang ),( Jong-seok Park ),( You-sung Suh ) 대한고관절학회 2023 Hip and Pelvis Vol.35 No.2

        Purpose: Bipolar hemiarthroplasty has recently been acknowledged as an effective option for treatment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Trochanteric fragment nonunion can cause postoperative weakness of the abductor muscle and dislocation; therefore, reduction and fixation of the fragment is essenti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erform an evaluation and analysis of the outcomes of bipolar hemiarthroplasty using a useful wiring technique for management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Materials and Methods: A total of 217 patients who underwent bipolar hemiarthroplasty using a cementless stem and a wiring technique for management of unstable intertrochanteric femoral fractures (AO/OTA classification 31-A2) at our hospital from January 2017 to December 2020 were included in this study. Evaluation of clinical outcomes was performed using the Harris hip score (HHS) and the ambulatory capacity reported by patients was classified according to Koval stage at six months postoperatively. Evaluation of radiologic outcomes for subsidence, breakage of wiring, and loosening was also performed using plain radiographs at six months postoperatively. Results: Among 217 patients, five patients died during the follow-up period as a result of problems unrelated to the operation. The mean HHS was 75±12 and the mean Koval category before the injury was 2.5±1.8. A broken wire was detected around the greater trochanter and lesser trochanter in 25 patients (11.5%). The mean distance of stem subsidence was 2.2±1.7 mm. Conclusion: Our wiring fixation technique can be regarded as an effective additional surgical option for fixation of trochanteric fracture fragments during performance of bipolar hemiarthroplasty.

      • KCI등재

        고령 환자의 대퇴 전자간부 불안정성 골절의 치료 :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내고정술과 시멘트 양극성 반치환술의 결과 비교

        박명식 ( Myung Sik Park ),정우철 ( Woo Chul Jung ),박혁 ( Hyuk Park ),황병연 ( Byung Yun Hwang ),임영진 ( Young Jin Lim ),정명국 ( Myung Guk Jung ),조홍만 ( Hong Man Cho ) 대한골절학회 2009 대한골절학회지 Vol.22 No.2

        목적: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 환자에서 대퇴 전자간부 불안정성 골절의 압박 고 나사못을 이용한 내고정술과 시멘트 양극성 반치환술을 시행한 집단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대퇴 전자간부 불안정성 골절로 수술을 시행한 60세 이상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 73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시멘트 양극성 반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34예를 A군,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내고정술을 시행한 환자 39예를 B군으로 분류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중 출혈량 및 수술시간을 분석하였고, 술 후 임상 결과와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중 출혈량 및 수술 시간 모두 두 군 간 통계학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임상 결과는 일상생활 기능 평가에서 A군에서의 결과가 더 양호하였다. A군에서 고관절 탈구 1예, 대전자부 불유합 1예, 감염 1예, 대퇴스템의 해리 1예를 보였으며, B군에서는 8예에서 고정물 실패와 1예에서 수술 부위 감염을 보였다. 결론: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 환자의 대퇴 전자간부 불안정성 골절 치료 시 시멘트 양극성 반치환술의 단기 추시 결과는 우수하였지만, 인공관절 수명을 고려해본다면 장기간의 추시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Purpose: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results of internal fixation using compression hip screw and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i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elder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1 to October 2006, we reviewd 73 patients, who were treated surgically for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ith a minimum of 2 years follow up. The patient`s age was older than 60 year ol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evaluated, retrospectively. One group was treated with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Group A, 34 cases), and the other group was treated with compression hip screw (Group B, 39 cases). We evaluated the amount of intraoperative bleeding, operative time, clinical results and complic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amount of intraoperative bleeding and operative tim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Group A showed a better result than Group B for clinical outcome using Johnson Daily Activity of Life. Complications in the group A were comprised of dislocation (1 case), nonunion of greater trochanter (1 case), infection (1 case) and loosening (1 case), and those in the group B were comprised of loss of fixation (8 cases) and infection (1 case). Conclusion: We found that short-term outcomes of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for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ere satisfactory. However, a longer-follow up period is necessary to clarify the efficacy of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 KCI등재

        고령 환자의 대퇴 전자간부 불안정성 골절의 치료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내고정술과 시멘트 양극성 반치환술의 결과 비교

        박명식 ( Myung Sik Park ),정우철 ( Woo Chul Jung ),박혁 ( Hyuk Park ),황병연 ( Byung Yun Hwang ),임영진 ( Young Jin Lim ),정명국 ( Myung Guk Jung ),조홍만 ( Hong Man Cho ) 대한골절학회 2009 대한골절학회지 Vol.22 No.3

        목적: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 환자에서 대퇴 전자간부 불안정성 골절의 압박 고 나사못을 이용한 내고정술과 시멘트 양극성 반치환술을 시행한 집단의 임상적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1년 1월부터 2006년 10월까지 대퇴 전자간부 불안정성 골절로 수술을 시행한 60세 이상 환자 중 2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환자 73예를 대상으로 하였고, 시멘트 양극성 반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34예를 A군, 압박 고 나사를 이용한 내고정술을 시행한 환자 39예를 B군으로 분류하여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수술 중 출혈량 및 수술시간을 분석하였고, 술 후 임상 결과와 합병증을 분석하였다. 결과: 수술 중 출혈량 및 수술 시간 모두 두 군 간 통계학적 유의성은 보이지 않았다. 임상 결과는 일상생활 기능 평가에서 A군에서의 결과가 더 양호하였다. A군에서 고관절 탈구 1예, 대전자부 불유합 1예, 감염 1예, 대퇴스템의 해리 1예를 보였으며, B군에서는 8예에서 고정물 실패와 1예에서 수술 부위 감염을 보였다. 결론: 골다공증을 동반한 고령 환자의 대퇴 전자간부 불안정성 골절 치료 시 시멘트 양극성 반치환술의 단기 추시 결과는 우수하였지만, 인공관절 수명을 고려해본다면 장기간의 추시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Purpose: To perform comparative analysis between the results of internal fixation using compression hip screw and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in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elderly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From January 2001 to October 2006, we reviewd 73 patients, who were treated surgically for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ith a minimum of 2 years follow up. The patient`s age was older than 60 year old. The 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evaluated, retrospectively. One group was treated with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Group A, 34 cases), and the other group was treated with compression hip screw (Group B, 39 cases). We evaluated the amount of intraoperative bleeding, operative time, clinical results and complications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amount of intraoperative bleeding and operative tim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 the two groups. Group A showed a better result than Group B for clinical outcome using Johnson Daily Activity of Life. Complications in the group A were comprised of dislocation (1 case), nonunion of greater trochanter (1 case), infection (1 case) and loosening (1 case), and those in the group B were comprised of loss of fixation (8 cases) and infection (1 case). Conclusion: We found that short-term outcomes of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for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s were satisfactory. However, a longer-follow up period is necessary to clarify the efficacy of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 KCI등재후보

        치매환자에서의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예방적 외반 보조기의 효용성

        윤의성 ( Ui Seoung Yoon ),민학진 ( Hak Jin Min ),서재성 ( Jae Sung Seo ),김윤종 ( Yoon Jong Kim ),원종화 ( Jong Hwa Won ),선승민 ( Seung Min Sun ) 대한고관절학회 2006 Hip and Pelvis Vol.18 No.4

        목적: 치매환자의 대퇴골 경부 골절로 시행한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탈구방지를 위한 예방적 보조기의 착용과 이의 효용성에 대하여 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한 환자 중 수술 전 치매를 동반하고 있는 30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시 환자의 나이는 평균 80.4세(68~92)였고, 여자가 20예, 남자가 10예였다. 술 전 치매 환자의 MMSE-K는 평균 14.2(8~20)였다.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시의 원인 질환은 전 예에서 대퇴 경부 골절이 었다.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예방적 보조기를 착용한 환자에서 술 후 합병증인 탈구의 빈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경과 관찰까지의 기간은 평균 2년 2개월이었다.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예방적 보조기를 착용한 전례에서 술 후 고관절 탈구가 발생한 경우는 없었다. 결론: 30예의 치매환자에서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예방적 보조기를 착용한 경우 술 후 탈구는 발생하지 않았다. 따라서 술 후 재활훈련의 습득이 어려운 치매환자에서 예방적 보조기의 착용이 양극성 인공 고관절 반치환술 후 발생하는 탈구의 발생을 상당부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To evaluate the efficacy of the preventive abduction brace in dementia patients after bipolar hemiarthroplasty of the hip. Materials and Method: A review of 30 patients who had dementia prior to bipolar hemiarthroplasty of the hip. 20 females and 10 males were evaluated and their mean age was 80.4 years old (range, 68 to -92 years old). The average MMSE-K in dementia patients was 14.2 (range, 8 to 20). The reasons for the bipolar hemiarthroplasties were femoral neck fractures in all the cases. We analyzed the dislocation rates of those who had preventive abduction braces applied prospectively. Results: The average follow-up period after hemiarthroplasty was 2.2 years. All 30 patients had preventive abduction braces and no dislocations occurred after the bipolar hemiarthroplasties. Conclusion: Hip dislocations were not detected in those patients who preventive abduction braces applied. The present findings suggest that having a preventive abduction brace will definitely reduce the dislocation rate in dementia patients who have difficulties with rehabilitation after their operations.

      • KCI등재

        재탈구된 시멘트형 이극성 고관절 반치환술의 도수 정복 중 발생한 Polished Tapered 대퇴 주대의 이탈

        윤호현(Ho Hyun Yun),안길영(Gil Yeong Ahn),남일현(Il Hyun Nam),문기혁(Gi Huk Moon),이정익(Jung Ik Lee) 대한정형외과학회 2008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3 No.5

        이극성 고관절 반치환술의 재탈구는 단순한 합병증이 아니다. 이극성 고관절 반치환술의 재탈구 시 관혈적 정복 술은 반드시 고려해야 한다. 탈구된 시멘트형 인공 관절 치환술의 정복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원하지 않은 견인력으로 인한 대퇴 주대의 이탈이 polished tapered 대퇴 주대를 사용한 경우에 합병증으로 발생할 수 있다. 본 저자는 polished tapered 대퇴 주대를 사용한 시멘트형 이극성 고관절 반치환술 환자에서 재탈구 후 도수 정복 중 대퇴 주대의 이탈을 경험하고, 재탈구된 이극성 고관절 반치환술 환자를 치료 시 현재 상태에 대한 충분한 분석을 통한 도수 정복 및 관혈적 정복 술에 대한 사전 고려가 필요하며 특히 polished tapered 대퇴 주대를 사용한 시멘트형 인공 고관절 치환술에서 대퇴 주대 이탈이 정복과정 중 발생할 수 있으므로 예방 및 치료 방법에 대한 주의가 요한다고 여겨진다. Redislocation of bipolar hemiarthroplasty is not a simple complication. When redislocation of bipolar hemiarthroplasty occurs, open reduction must be considered. Displacement of the polished tapered femoral stem could occur through the unwanted traction force during the reduction of the dislocated cemented hip arthroplasty as a complication. We experienced displacement of the polished tapered femoral stem during closed reduction of a redislocated cemented bipolar hemiarthroplasty. We suggest that preoperative analysis for the cause and status of the dislocation is essential and open reduction should be considered if closed reduction is not thought to be suitable for a polished femoral stem.

      • KCI등재
      • KCI등재

        Effects of Trunk Control Rehabilitation Robot Training on Dynamic Balance, Lower Extremity Strength, Gait Ability and Pain in Bipolar Hemiarthroplasty

        양현관,임형원 대한물리치료학회 2019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31 No.2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runk control rehabilitation robot training (TCRRT) on the dynamic balance, lower extremity strength, gait ability and pain for bipolar hemiarthroplasty. Methods: Hemiarthroplasty (n=28)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trunk control rehabilitation robot training group and control group. Results: The TCRRT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improvement in the MFRT, MMT, 10MWT, TUG, and VAS compared to that before intervention (p<0.05). In addition, all test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CRRT is feasible and effective for improving the dynamic balance, lower extremity strength, gait ability, and pain efficacy after bipolar hemiarthroplasty.

      • KCI등재

        Effects of Trunk Control Rehabilitation Robot Training on Dynamic Balance, Lower Extremity Strength, Gait Ability and Pain in Bipolar Hemiarthroplasty

        Yang, HyunKwan,Lim, Hyoungwon 대한물리치료학회 2019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31 No.2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runk control rehabilitation robot training (TCRRT) on the dynamic balance, lower extremity strength, gait ability and pain for bipolar hemiarthroplasty. Methods: Hemiarthroplasty (n=28)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trunk control rehabilitation robot training group and control group. Results: The TCRRT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improvement in the MFRT, MMT, 10MWT, TUG, and VAS compared to that before intervention (p<0.05). In addition, all test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CRRT is feasible and effective for improving the dynamic balance, lower extremity strength, gait ability, and pain efficacy after bipolar hemiarthroplasty.

      • KCI등재

        Effects of Trunk Control Rehabilitation Robot Training on Dynamic Balance, Lower Extremity Strength, Gait Ability and Pain in Bipolar Hemiarthroplasty

        ( Hyunkwan Yang ),( Hyoungwon Lim ) 대한물리치료학회 2019 대한물리치료학회지 Vol.31 No.2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runk control rehabilitation robot training (TCRRT) on the dynamic balance, lower extremity strength, gait ability and pain for bipolar hemiarthroplasty. Methods: Hemiarthroplasty (n=28)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randomized into two groups: trunk control rehabilitation robot training group and control group. Results: The TCRRT group showed significantly more improvement in the MFRT, MMT, 10MWT, TUG, and VAS compared to that before intervention (p<0.05). In addition, all tests were significantly greater in the experimental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TCRRT is feasible and effective for improving the dynamic balance, lower extremity strength, gait ability, and pain efficacy after bipolar hemiarthroplasty.

      • 고령에 발생한 대퇴 전자부 불안정 골절에 대한 일차성 고관절 반치환술

        손종민,장주해,하난경,조성태,최광영 대한골절학회 2003 대한골절학회지 Vol.16 No.1

        목 적 : 고령의 골 조송증이 심한 불안정 대퇴전자간 골절의 치료에 있어서 일차성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한 집단과 압박고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한 집단의 결과를 비교분석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일차성 고관절 반치환술의 임상적 유용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1992년 1월부터 2000년 12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성모자애병원 정형외과에서 대퇴골 전자간부 불안정 골절 진단하에 수술을 시행 받은 환자중 1년 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93례를 대상으로 하여, 70세 이상으로 Singh's Index 3.0이하의 골 조송증이 동반된 경우 또는 동반질환이 있거나 전신상태가 불량한 경우에서 일차성 고관절 반치환술을 시행한 34례(Group Ⅰ), Group Ⅰ과 동일한 조건에서 압박고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한 20례(Group Ⅱ), 70세 이상이면서 Singh's Index 4 이상인 경우에서 압박고 나사못 고정술을 시행한 39례(Group Ⅲ)를 대상으로 하여 치료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결 과 : Group Ⅰ(n=34) 및 Group Ⅱ는 대퇴 골두 천공 4례, 불유합 10 례, 금속판 및 나사못 이완 2 례 등 19 례, Group Ⅲ는 경도의 내반고 변형 1 례, 지연유합 2 례 등 총 8 례에서 합병증을 보였다. 결 론 : 70세 이상 고령의 불안정성 대퇴 전자간 골절 환자에서 특히 골 조송증이 심한 경우, 70세 미만이지만 동반질환이 존재하거나 전신상태가 불량한 경우에서 장기간의 침상안정으로 발생할 수 있는 술후 합병증을 감소시키고 조기보행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양극성 고관절 반 치환술이 일차적 치료법으로 제시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advantage of bipolar hemiarthroplasty in treatment of unstable femoral intertrochanteric fracture in elderly parients. Materials and Methods : We reviewed 93 patients and followed up more than one year. Group Ⅰ(n=34, Singh indexⅡ<3 with more than 70 year old) were treated by bipolar hemiarthroplasty. GroupⅡ(n=20) with same condition were treated by compression hip screw. Group Ⅲ (n=39, Singh index >4 with more than 70 year old) were treated by compression hip screw. Results : Group Ⅰ and Ⅲ patients showed satisfactory result over than good by merle D' Aubigne hip rating scale. Among Group Ⅱ(n=20), 16 cases showed under 'poor' according to dunctional scale. Complication was 1 cases in group Ⅰ, 19 cases in group Ⅱ and 8 cases in group Ⅲ. Conclusion : We suggest bipolar hemiarthroplasty as first choice of treatment for osteoporotic elderly patients with unstable intertrochanteric fracture, especially who have combined medical problems or poor general con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