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창의적 인재양성을 위한 대학의 교양 디자인 교과목 현황

        김준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7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2 No.6

        (Background and Purpose) University education requires global talent to lead the 21st century knowledge fusion society. To this end, education for fostering creativity that can innovatively pioneer the future by accepting and forecasting changes in the global age is an important issue. Therefore, the importance of universal liberal arts education that can manifest creative ability is emphasized.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design subjects that contribute not only to aesthetic style education but also to problem solving abilities and creativity improvement in liberal arts education. (Metho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nine universities selected from among the top 15 universities in the total ranking of 2015 four-year university evaluations in the Joongang Ilbo. By analyzing subjects selected for the liberal arts curriculum of selected universities, only curriculum related to design education was classified and selected to define the current state of design curriculum. (Results) As a result of a comprehensive case study of the design education curriculum of nine colleges and universities, including Kyunghee University, the average number of design subjects in nine universities was 7.7 subjects and 21.9 credits. Also, in the distribution of design subjects searched through keywords, there were 47 design courses and 132 design credits. The college with the least number of open design subjects and credits is Yonsei University, with three credits and nine classes, whereas the school with the most is Hanyang University. The highest grade is Korea University. By the end of term, the first semester courses included 117 credit points in 41 curriculum subjects. In the second semester, 142 credits were opened in 50 subjects, meaning that more subjects were opened in the 2nd semester. Analysis by semester shows that the second semester has about 142 credits with 50 courses or 18% more than the 41 courses and 117 credit points of the 1st semester. In addition, there were differences depending on the areas of core education, major-related education, selective education, liberal arts selections, and liberal arts. (Conclusions) 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design education is an important field of education that distinguishes it from art. Design education is a discipline necessary for a knowledge-based society in the 21st century that enables creative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along with comprehensive and analytical thinking through reasoning. Considering the recent situation of university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on design education and develop design curriculum with various design contents in the future.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대학교육은 21세기 지식융합사회를 주도할 글로벌 창의인재를 요구한다. 또한 이를 위해 글로벌 시대의 변화를 수용하고 예측하여 미래를 창조적으로 개척할 수 있는 창의성 함양 교육이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따라서 창의적 역량을 발현할 수 있는 대학 교양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교양교육에서 미적 스타일 교육뿐만 아니라 문제 해결 능력 향상과 창의력 향상에 기여하는 디자인 교과목의 현황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의 대상은 중앙일보에서 실시하였던 2015 4년제 대학평가 종합순위 상위 15위까지의 대학교 중에서 다수의 디자인관련 교과목이 개설된 9개교를 조사 대상 대학교로 선정하였다. 선정된 대학교의 교양교과목으로 개설되어 있는 과목을 분석하여 디자인교육과 관련된 교과목만을 분류하여 디자인교양교과목으로 선정하여 디자인교과목의 현황을 파악하였다. (결과) 경희대학교를 비롯하여 총 9개 대학교 교양교육 디자인교과목의 종합적인 사례분석결과, 9개 대학교에 개설된 디자인과목수의 평균은 7.7개 과목이며, 21.9학점으로 나타났다. 또한 키워드로 검색된 디자인교과목의 분포에 있어서도 디자인은 47개 과목, 132학점으로 제일 많은 디자인교과목이 개설되어 있었다. 디자인교과목과 학점이 최소로 개설된 대학은 연세대학교로 3과목 9학점이며, 과목수로 가장 많이 개설된 학교는 한양대학교이고, 학점이 가장 높게 개설된 학교는 고려대학교였다. 개설학기별로 살펴보면, 1학기에 개설되어 있는 교과목은 41개 교과목 117학점이었다. 2학기는 50개 교과목에 142학점이 개설되어 2학기에 좀더 많은 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기별로 분석해보면, 2학기가 50과목 142학점으로 1학기의 41과목 117학점보다 약 18%가 더 많이 개설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대학마다 핵심교양, 전공관련교양, 선택교양, 교양선택, 자유이수 등 개설된 교양편성영역에 따라서 차이가 발생하였다. (결론) 교양교육과정에서 디자인교육은 예술 또는 미술 영역과는 구분되는 중요한 교육분야이다. 디자인교육은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배양시키고 추론적 사고방식을 통한 종합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 필요한 학문이다. 창의적 사고를 통한 융합형인재를 키우는 것이 중요한 최근 대학교육의 상황을 고려할 때, 향후에도 디자인교양교육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다양한 디자인콘텐츠를 지닌 디자인교과목의 개발이 요구된다.

      • KCI우수등재

        환경설계교육에 있어 조형예술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 한국과 프랑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

        오웅성 한국조경학회 1999 韓國造景學會誌 Vol.27 No.4

        Creative spatial production in Environmental design relies, in large part, on the artistic talent of the designer(s) that is applied to the design solutions or schematic plans. This study proposes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use of 'Plastic Arts" or the technique of artistic manipulation and definition of space in Environmental Design studio programs. This fundamental design approach is currently lacking in Korean design studio programs. Moreover, the current trend of interdisciplinary design (that is, between landscape architecture, architecture, urban and environmental planning)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such techniques. "plastic Arts" techniques can serve as a basic code of communication between design disciplines and can in itself be a common approach. The method of this study is based on the empirical datas, that is, the educational performances which are executed in Landscape studio programs of some Korean Universiti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ogram, "Plastic Arts" Should be included in the basic organization of Landscape design studio programs. 2. Unlike France where "Plastic Arts" program is implemented through out Landscape Architecture programs in Korea, "Plastic Arts" should be intensified and continued for longer period of time for students in the initial years. 3. In creation of "Plastic Arts" programs for Korean Landscape Design studios, the traditional and contemporary values of aesthetic of the Nature should be taken in consideration. 4. In order to confirm the necessity of "Plastic arts" program in the organization of landscape curriculum, more studies should be done, with empirical datas.pe curriculum, more studies should be done, with empirical datas.

      • KCI등재

        AHP기법을 활용한 디자인의 이해 교양교과목 개발

        김준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Background and Purpose) Liberal arts education provided by universities is basic education that enables intellectuals to live in society. In the liberal arts education, design education is an important subject that cultivate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ies and enables comprehensive and analytical thinking through reasoning. Therefore, the design education curriculum plays a more important role in cultivating creative talents than simple aesthetic style education.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 foundation for liberal arts curriculum on the “Understanding of Design.” The focus is on the concept of design, the development of design, types of design, and an overall understanding of design. (Method) The educational contents of courses and related textbooks that present a design curriculum were analyzed. AHP analysis was then carried out by questionnaire survey on the importance of each item. Finally, a model of understanding undergraduate curriculum was presented based on the factors derived from the results of AHP analysis. (Results) In terms of importance through analysis of AHP, the importance of analysis in the top item was 0.296 in design theory, 0.258 in design history, 0.254 in design concept, and 0.192 in design field. This means that the theory of design is the most important. In the sub-items, the design concept is harmony, balance, rhythm, and emphasis. The principle of design is 0.248, which is the most important item to address. Next, design criteria, design factor, design classification, and design definition were listed.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HP questionnaire, I was able to construct the contents of the 15th clas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situation of each university. If there is on-the-spot learning and presentation of each task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lecture, it can be revised. the Understanding of Design is an important subject in liberal arts education that can allow students to express their creative abilities through creative thinking. Therefore,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ntinue research on design-related liberal arts curriculum and to develop curriculum with various design contents. (연구배경 및 목적) 대학의 교양교육은 지성인으로서 사회를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기초교육이다. 특히 교양교육에서 디자인교육은 창의적 문제해결능력을 배양시키고 추론적 사고방식을 통한 종합적이고 분석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하는 중요한 교과목이다. 따라서 디자인교양교과목의 역할은 단순한 미적스타일의 교육이 아닌 창의적 인재양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리생활에 밀접한 관련을 맺으며 이에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대학의 창의적 인재양성에 기여하는 디자인관련 교양교과목 중에서 디자인이 무엇인지, 디자인의 개념, 디자인의 발전, 디자인의 종류, 디자인의 역할 등 디자인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디자인의 본질을 이해할 수 있는 ‘디자인의 이해’ 교양교과목의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구체적으로 3단계로 진행하였다. 먼저 첫 번째 단계에서 선행연구를 통해 디자인의 이해 교양교과목이 개설되어 있는 강좌 및 관련 교재의 교육내용을 분석하여 상위항목과 하위항목을 도출하였다. 두 번째 단계에서는 도출된 각 항목별 중요도를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AHP분석을 실행하였다. (결과) AHP분석을 통한 중요도를 볼 때, 상위항목에서 분석의 중요도는 디자인의 이론 0.296, 디자인의 역사 0.258, 디자인의 개념 0.254, 디자인분야 0.192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디자인의 이론이 가장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위항목에서 디자인의 개념은 조화, 균형, 율동, 강조 등의 디자인의 원리가 0.248로 가장 중요하게 다뤄야할 항목이다. 그 다음으로 디자인의 조건, 디자인의 요소, 디자인분류, 디자인의 정의 순으로 나타났다. (결론) AHP설문 결과를 바탕으로 15주차 교육내용을 구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15주차 교육내용은 각 대학의 상황에 맞게 수정될 수 있으며, 교수자의 강의내용에 따라서 현장학습, 팀별과제발표 등이 있을 경우, 수정이 가능하다. 디자인의 이해는 많은 학생들이 선호하는 교양교과목이며, 창의적 사고를 통한 창의적 역량을 발현할 수 있는 교양교육의 중요 교과목이다. 따라서 향후에도 디자인관련 교양교과목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다양한 디자인컨텐츠 교양교과목의 개발이 요구된다.

      • KCI등재

        초기 모더니즘 가구와 동시대 회화의 조형적 유사성에 관한 연구

        이영춘 ( Young Choo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5 기초조형학연구 Vol.16 No.5

        초기 모더니즘 사조가 성립되었던 20 세기 초 유럽에서는 산업혁명에 따른 사회적.문화적 변화 속에서 새로운 가치와 요청이 쇄도하였고, 예술 전 분야에서 과거의 답습을 부정하며 인간의 내적 본질에 대한 탐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기 시작하였다. 당시의 이러한 예술적 흐름은 비단 한 지역이나 분야에 국한된 현상이 아니라 회화, 조각, 건축, 디자인 등 전 분야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나타나며 동시대 예술경향과의 상호 연관성을 갖는 결과를 낳았는데 이는 초기 모더니즘 시대의예술 작품들을 연구하고 분석함에 있어 중요한 기준이 된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기 모더니즘 가구디자인의 조형적 원리와 이론적 기틀 정립을 논함에 있어 동 시대 미술과의 이념적.철학적 연관성을 확인함으로써, 동시대 미술과 가구디자인의 조형적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함에 연구 목적을 두었다. 연구 범위와 연구방법으로는 큐비즘과 러시아 구성주의로부터 시작되어 비엔나 분리파와 데 스틸 그룹에 이르는 초기 모더니즘 시대의 미술이 초기 모더니즘 운동이 시작되었던 19 세기부터 모더니즘 가구디자인의 조형적 원리와 기틀이 마련되었다고 할 수 있는 독일 바우하우스 시대에 이르기까지 어떠한 상관관계와 조형적 유사성을 지니고 있는지 작품사례를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동시대 미술과 상호성을 가지며 발전해온 초기 모더니즘 가구디자인의 특징을 분석하여 도판과 함께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초기 모더니즘 가구디자인의 조형세계는 동시대 회화, 건축 등 다양한 분야와의 연관성을 가지며 발전해 왔으며 이를 통해 가구 본연의 의미와 가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며 오늘날 가구디자인의 기틀이 되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Europe when the trend of early modernism was established, new values and demand on these values were drastically increased amidst the social and cultural change caused by the industrial revolution and actual exploration on the internal essentials was realized in full-scale while refusing to follow the past in the entire field of arts. Such artistic trend was not limited to a particular area or field but the phenomenon that showed similar patterns in all areas including painting, sculpture, architecture, and design while resulting in correlation with the contemporary artistic trend. Such characteristic is said to be a significant criterion to study and analyze the artworks of the early modernism. Thus in this study, it intended to prove the formative correlation between contemporary arts and furniture design by verifying the ideological and philosophical relationship with the contemporary arts when it came to discussing formative principles as well as its theoretical foundation of furniture design in the early modernism. The arts of the early modernism started from cubism and Russian Constructivism to Vienna Secession and De Stijl group. In consideration of such fact, the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and formative similarity of the arts in the early modernism through artworks from the 19th century when the movement of the early modernism began until the period of the Bauhaus in Germany that was said to provide the formative principles and foundation of modern furniture design. In addition, the originalities of mordernism furniture design in 20th century that had developed through mutuality with the contemporary arts were analyzed and related illustrations were suggested. As a consequence,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furniture design in the early modernism was developed with contemporary arts such as painting, architecture, and so on. Also, this has established the basic formation of modern furniture design.

      • KCI등재
      • KCI등재

        20세기 초 바우하우스 기초조형교육에 영향을 받은 텍스타일 디자인 연구 - 직물공방과 패션텍스타일의 비교를 기반으로 -

        서은영,박선경 한국패션디자인학회 2016 한국패션디자인학회지 Vol.16 No.4

        본 연구는 텍스타일의 새로운 방향을 확립하는데 크게 기여한 바우하우스 직물공방과 당시의 패션텍스타일 디자인에 관한 연구이다. 기초조형교육을 통한 바우하우스의 직물공방의 텍스타일은 ‘예술과 기능성의통합’을 추구하며 창조적이며 혁신적으로 성장·발전하였다. 직물공방의 특성으로 첫째, 텍스타일의 예술성과독립성을 인정하면서 직조가를 단순한 기능인이 아닌 창작자의 차원으로 끌어 올렸다는데 그 의미가 크다. 둘째, 수평, 수직의 줄무늬와 기하학적 구성의 표현이 자유롭게 이루어졌다. 셋째, 직물의 규칙적인 조직 상태에서 벗어나 얽기와 같은 자유로운 구조의 섬유표현을 이룩했다. 패션텍스타일의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 바우하우스를 기점으로 패션에서의 자수의 활용이 많아졌으며 자수가를 창작자의 차원으로 끌어 올렸다. 둘째, 복식의 단조로움을 소재나 문양에서 보상 받으려는 흐름에 따라 기하학적이고 규칙적인 문양을 강렬한색상대비를 통해 표현하고 있다. 셋째, 소재에 대한 개발로 기능적인 소재가 새로이 등장했다. 이와 같이 바우하우스 직물공방의 특성과 패션텍스타일 디자인 간에는 상당한 유사점과 더불어 섬유의 구조에 대한 차이점 또한 발견이 된다. 본 연구는 이 차이점에 주목한다. 바우하우스 직물공방에서는 근본적인 텍스타일의구조와 구성요소를 중요하게 다루고 발전시키는데 반해, 패션텍스타일에서는 깊이 있게 조명하고 있지는 않음을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자는 그 이유를 재료의 특성에 대한 실험과 분석을 다루었던 기초조형교육에서발견할 수 있었다. 변화의 중심에 있는 현대 텍스타일을 20세기 초 바우하우스의 교육이념과 텍스타일 디자인과의 연결성 속에 성찰해 볼 때, 단순한 미와 기술적 문제에 집착하는 것보다는 창의기반사회에 걸맞게끊임없는 탐구 정신과 창의성을 바탕으로 혁신적 변화의 모색이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를 통해 텍스타일의새로운 이념과 방식을 찾아 나가는 노력이 더욱 요구된다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a weaving workshop at Bauhaus that established a new direction for textile and those days' fashion textile design. Textile of the Bauhaus weaving workshop pursued integration of art with functionality through basic formative education, developing creatively. As for characteristics of the weaving workshop, firstly, it made a weaver be a creator while acknowledging artistry and independence of textile. Secondly, expression of a geometrical composition was done freely. Thirdly, free-structured textile expression like tangling was achieved escaping from regular organization of textile. As for characteristics of fashion textile, firstly, embroidery was used frequently for fashion and embroiderers ascended to creators. Secondly, geometrical and regular patterns were expressed through strong color contrast. Thirdly, it shows the advent of functional materials through development. This study found out not only some similarities between characteristics of the weaving workshop and fashion textile but a difference in textile structure. It pays attention to such a difference. Bauhaus weaving workshop put stress on the structures of textile but fashion textile did not. It originated from basic formative education where experiments with and analyses on material characteristics were done. Considering rapidly changing contemporary textile in terms of connection of educational ideals of the early 20th century's Bauhaus and textile design, it is required to grope for innovative change based on continual exploration rather than clinging to simple aesthetic and technical matter. Besides, more efforts are needed to find out a new idea and method of textile.

      • KCI등재

        조형과 디자인 사고의 데이터 재고찰 -통계와 그 수행성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민수홍,황수홍 한국기초조형학회 2018 기초조형학연구 Vol.19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more conative ways of understanding numerical data, driving us plan the basic design and art activity, in addition to judge, estimate, guess the conditions & situations of it will have. For this, this research will try conceptual reframing on Statistics, now the most concrete data form, not just only activating the concernments and issues to basic design and art but also practical and theoretical approaches to it. Statistical thinking through enumerating and the aftermath of it has given us, in other words, taken away the conceptual & practical boundaries not only of design object settings, measurement for their creation, but also institutional and financial backings, the scopes or levels of tests and justifications; Products as design would lie at the basis of reasonable choice made by officials. Any decision, risk analysis, environmental impact or any design strategy cannot be appeared without decision making couched in terms of probabilities today. By covering opinion with a concept of objectivity, we would place judgment by computation. Embodiment and development of Statistics through the enumeration has forged our cognition to world and the ways of conceiving the others, as much the influences for design activities. In historical context, for this have become possible, three grand cultural movements should have been underpinned; "Erosion of determinism", "Discovery for regularities of people and their habits", and "Avalanche of numbers". This sort of study for humane understanding and epistemological consideration to design data-Statistics could be insightful for enhancing reflective & creative research capacity for the design science. 이 연구의 목적은, 오늘날 조형 및 디자인 활동의 설계와 수행, 그에 대한 평가와 분석 외에도, 그러한 평가와 분석을 가능하게 하는 기준을 제시하는 정량화된 수치 데이터 및 우리가 그것을 대면하는 태도 그 자체에 대한 보다 성찰적인 이해의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조형 활동에 관한 고민과 문제제기, 여러 가지 실무 및 이론적 접근과 실천을 추동하는 가장 형식적이고 구체적인 자료라고 할 수 있는 통계에 대한 인식론적 분석과 재고찰을 수행한다. 수치화계량화에 따른 통계적 접근, 그것이 확인해주는 ‘사실’과 ‘현상’들은, 오늘날 조형 활동의 목표 설정과 실현도의 계측 뿐 아니라 그것을 위한 제도적 접근, 구체적인 물리적 실험과 해석의 당위성, 그 범위와 수준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제한하기도 하는 양가적 특성을 지닌다. 조형의 결과물은, 현상의 판단과 분석, 평가와 전략 등 확률의 관점에서 표명된 의사결정의 이론, 그리고 통계적 사례의 참조에 따른 지식의 형성과 구성작동을 통해 등장하거나 사라지기 때문이다. 이는 모든 조형 프로세스에 작용하고 있는 통계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으며, 특정의 견해에 전문성과 객관성의 개념이 덧붙여짐으로써, 의사결정은 거듭 수치 산출로 대체된다. 수치화를 통한 통계와 통계학의 구체화와 그 발전은 우리로 하여금 오늘의 세계 그 자체를 인지시키고 이해시키는 수준에 이르렀으며 그만큼 조형 활동의 설계와 수행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이것이 가능해지기까지에는, 역사적인 맥락에서, 다음 세 가지의 큰 문화적 변동 즉, “결정론의 퇴색”, “인간의 행동들에 대한 규칙성의 발견”, “인쇄된 숫자들의 쇄도”의 뒷받침이 있었다. 이러한 통계 데이터에 관한 인문학적 이해와 인식론에 관한 재고찰은 조형 활동의 비평적창의적 연구 역량을 높이는 데 유용한 실천이 될 수 있다.

      • 교육공학적 측면에서 본 국내 건축 기초디자인교육의 특성에 관한 연구 - 교육공학이론의 교수설계를 중심으로 -

        유현석(Yoo, Hyeon-Seok),구영민(Koo, Young-Min) 대한건축학회 2019 대한건축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Vol.39 No.2

        Most of the design professors, except full-time professors at educational institutions, have rarely received professional training as educators, not architects, but the impact on the students as educators is infinite. The success or failure is often determined by ability and guid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architectural basic design education in Korean universities and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of pedagogical aspects, and to draw implications for domestic architectural education. As part of the researcher"s long-term research, we will use it as the basic data for the subsequent research, which is to develop a basic design education program through spatial composition experiments.

      • KCI등재

        한국기초조형학회 성장기의 운영정책과 성과 고찰 - 2004~5년 실태를 중심으로-

        이길순 ( Kil Soon Lee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3 기초조형학연구 Vol.14 No.1

        한국기초조형학회는 1999년 7월 창립한 이후 13년을 지내오는 동안 다른 학회와 비교하여 빠르고 건실한 학술적 성장을 하였다고 평가받고 있다. 이는 학회창립 후 최단기간에 학술지 ‘기초조형학 연구’가 한국연구재단 등재학술지로 승인되었으므로 이와 같은 평가는 적절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또 학회의 창의적인 경영과 재정 건실성도 다른 학회와 비교하여 우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은 운영방법이 학회 가운데 모범적인 사례가 되고 있고 일부 다른 학회들이 운영을 모방을 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고 사료된다. 그래서 이러한 모범적인 성장이 어떻게 하여 가능하게 되었는지 조사, 분석하고 이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다고 사료되어 본 연구를 하게 되었다. 학회는 성장기에 발전적인 사업정책을 펼쳤으며 그중에서 회원정보 명확화 추진, 학회 홈페이지 개선, 학술지의 연4회 증간 등을 정열적으로 추진하였다. 이 정책 추진의 성과로 학회의 성장이 도모되었다. 특히 소통을 잘 할 수 있는 인적요소는 학회 발전에 긍정적으로 작용하였으며 이러한 배경에서 당 학회의 성장기 발전이 가능하였고 그런 환경 속에서 발전을 촉진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사업들이 유익하게 전개되었다고 판단되었다. 당 학회가 성장기 발전의 촉매 역할을 한 것이 무엇인지 연구하는 것은 후속세대를 위해서도 가치 있는 일이 될 것이다. The Korean Society of Basic Design & Art(KSBDA) was founded in July 1999. Since then, KSDBA has recognized as its academic growth during 13 years, has been more robust and faster, compared with other academic societies This Society journal ``Research of Basic Design & Art Studies`` was approved to listed journals by Korea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within the shortest period, after the founding KSDBA. In addition, This Society`s creative management and fiscal health are more superior, compared with other societies. Such management method of KSBDA is the best case about academic society management, and seems to be the case also appears to mimic the operation of other Socie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how these exemplary growth had been made possible by research and analysis on the KSBDA`s management. And then evaluation will be needed to find out. Society has promoted growth in the development of business policies. The Society had propelled project and planned policy for internet site improvements, clarification of membership information and a journal published at four times during the year. This project had been pursued passionately, and Society had been made significant advances by this policy. In particular, the human elements that can communicate well, had positiv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the Society. And Society`s rapid growth had been made possible. In such an environment, Society`s project which can facilitate the development had been deployed. This study has to research on per Society of the role as a catalyst in the development of growth. I just think it`s worthwhile for subsequent gener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