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百濟 武王代 對新羅戰의 추진과 그 전략 -‘한강 유역 공격’에 대한 비판적 검토를 중심으로-

        박종욱 고려사학회 2020 한국사학보 Vol.- No.78

        This paper is about the war strategy and process against Silla by king Mu(武王) of Baekje. In king Mu period, according to the records, most of the battles between Baekje and Silla took place between the Sobaek mountain chain and west of SungJu·Hapcheon. It can prove that king Mu tried to take away the territory around Gayagoji(加耶故地, ex-Gaya’s territory), like the previous studies. However, there is relatively little evidence of ‘battles around Han River basin’ or ‘Bukbanggoto(北方故土, lost territory of Baekje in northern area) recapture’, that was regarded as one of the main war strategy of Baekje in King Mu period. Compared with battles for occupying Gayagoji, the frequency of battles for capturing Bukbanggoto is significantly low. In addition, there were only three battles were mentioned as evidence of the ‘battles around Han River basin’: Gajamsung(椵岑城) battles, Neuknohyun(勒努縣) raid, and Woongjin (熊津) military st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considering each of those battles that mentioned as evidence of the ‘battles around Han River basin’ in detail and further identify whether those were actually related to the ‘battles around Han River basin’. The goal of the battles in Gajamsung has been known to restore the Han River basin and block traffic from Silla to China because many papers regarded that Gajamsung was located around Juksan in Ansung. However, according to recent papers that Gajamsung was located in Muju or Yeongdong, the goal of the Gajamsung Battle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To be specific, considering to the rebellion and suppression process of People in Bodeocksung(報德 城) recorded in the biographies of Kim Yung Yun(金令胤) in Samguksagi, it can be assumed that Gajamsung was located on traffic route east side of Iksan rather than on the Han River basin. As for the military station in Woongjin in 627, it is not possible to be cited as the main evidence of the battles around the Han River basin as there were no actual attacks. Moreover, given the records that Baekje carried out another invasion of Silla’s west side at the same time of Woongjin militaty stration, military station in Woongjin can be understood as a feint operation to divert Silla’s attention and a deceptive strategy to create tensions in northern region. Therefore in king Mu period, ‘Neuknohyun raid’ is the only battle taken place near the Han River. But, it is not enough to be assumed that ‘battles around Han River basin’ or ‘Bukbanggoto recapture’ is the strategy of war against Silla in kin Mu period. In conclusion, Baekje seems used the strategy focused on major transportation route to Silla with only creating military tension in the north or northeast area. This Baekje’s war strategy took into account Silla’s situation which must check Goguryeo in the north of Sinju(新州) and Baekje in the south of Sinju(新州) and Baekje’s situation that could arise after Baekje occupy the Han River basin. This strategy has made the battle point increased between Baekje and Silla, adding to the burden of Silla in terms of building defense systems and moving troops. As a result, Baekje got the upper hand in the war against Silla by unilaterally attacking toward Silla since the middle of the 7th century. 본고는 백제 무왕대 對新羅戰의 전략 구상과 그 수행과정을 살펴보기 위한 글이다. 무왕대 백제・신라의 전투 지점을 살펴보면, 대부분의 전투가 소백산맥 일대부터 성주・ 합천 以西지역에서 벌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지적처럼 가야고지 방면으로 진출하기 위해 대신라전을 추진했던 경향이 뚜렷하게 파악된다. 반면 무왕대대신라전의 또 다른 軸으로 이해해왔던 ‘한강 유역 공격’ 혹은 ‘北方故土수복’ 관련 사건은 비교적 소략한 편이다. ‘가야고지 방면 진출’에 비해 전투의 발생 빈도나 시간적간격이 현저히 떨어지며, 그마저도 椵岑城전투・勒努縣습격・熊津주둔 등 일부 사건에 국한된다. 가잠성의 경우, 대체로 그 위치를 안성 죽산으로 이해해왔으나, 최근 전북 무주나 충북 영동 양산으로 비정한 견해가 주목된다. 특히 684년 報德城民의 반란및 진압 과정을 고려하면, 가잠성은 북쪽의 한강 유역 방면보다는 익산 동쪽 방면의 교통로상에 위치했을 것으로 여겨진다. 627년 웅진 주둔의 경우, 실제 공격이 단행되지않았다는 점에서 한강 유역 공격의 주요 단서로서 큰 의미를 부여하기 어렵다. 오히려같은 달에 신라 서변 침공을 동시에 추진했던 사실로 볼 때, 당시 웅진 주둔은 북방 지역에서 군사적 긴장감을 조성하고 신라의 관심을 돌리기 위한 군사적 양동작전으로 이해된다. 결국 무왕대 한강 유역 방면 공격은 늑노현 습격 1회에 불과한데, 이를 근거로무왕대 대신라전의 전략으로서 ‘한강 유역 공격’이나 ‘북방고토 수복’을 상정할 수는 없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당시 백제는 북방・동북방 방면에서 군사적 긴장감만 조성하고실질적으로는 신라 왕경으로 향하는 주요 교통로를 집중 공략해나가는 전략을 구상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新州의 위아래로 고구려・백제를 방어해야 하는 신라의 상황및 한강 유역 장악 이후 예상되는 환경을 고려한 실리적인 정책이라 하겠다. 이에 기반한 무왕대 대신라전 수행은 확대된 전선을 모두 방어해야 하는 신라에게 군사적 부담을 가중시켰고, 그 결과 백제가 신라를 일방적으로 공격하면서 전쟁의 우위를 점할수 있게 되었다.

      • KCI등재

        5~6세기 왜의 백제에 대한 경제적 지원과 그 배경

        우재병 한국고대학회 2024 선사와 고대 Vol.- No.76

        5세기 후엽~6세기 전엽경이 되면, 백제의 수장묘와 해안제사유적에서는 백제인과 더불어 왜인들에 의한 의례행위도 추가된 양상이 확인된다. 백제 서남부지역 수장묘에는 5세기 후엽경부터 분구를 장식하기 위한 왜양식 원통형토기가 등장하였다. 이들은 왜양식은 분명하지만 재지공인에 의해 제작된 사례이다. 이렇게 원통하니와(圓筒埴輪)로 수장묘를 장식하는 왜양식 무덤 문화가 백제 수장묘에 부분적으로 재현된 것은 참석한 왜 사신‧상인을 의식한 행위로 보인다. 즉 이 행위는 의도된 친왜정책의 표현 수단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왜 조문사 뿐만 아니라 이 장례식에 참석한 각국 조문사에게도 백제의 친왜정책을 알리는 행위이기도 하였다. 이들 왜양식 원통형토기는 백제와 왜 사이의 긴밀한 정치적 연대를 과시하기 위해 연출된 기념물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6세기 후엽 무령왕 시기가 되면 백제 서남부지역 수장묘에는 왜양식 무덤 문화의 추가 현상이 목격된다. 전방후원분이라는 왜의 최고급 무덤 양식이 일부 수장묘 무덤양식으로 채용된다. 더욱이 왜에서 수입한 금송 목재로 만든 목관이 무령왕릉 뿐만 아니라 중앙 고위급 무덤, 백제 서남부지역 수장묘에도 사용되는 양상이 목격된다. 즉 5세기 후엽에 비하여 6세기 전엽이 되면, 백제와 왜 사이의 강화된 외교관계를 시사하는 고고학적 자료는 명료하게 증가한다. 왜에서도 6세기 전엽 게이타이(繼體) 정권기가 되면, 백제양식 횡혈식석실이 중앙지역 수장묘 무덤 양식으로 채용된다. 더욱이 이들 수장묘에서는 금동제 장식대도, 금제 귀걸이 등 수입된 백제산 위신재가 부장된 흔적이 종종 확인된다. 양국 사이에는 상대국의 무덤 문화를 채용하고, 상대국 특산의 위신재를 수입하는 등, 이 시기 양국간 동맹관계가 매우 강화되었음을 보여준다. 이들 행위를 통하여 백제와 왜는 고구려를 비롯하여 주변국, 그리고 자국의 수장층에게 양국간의 긴밀한 외교관계를 명료히 알리려 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양국이 상호 위신재를 매수‧판매하는 과정을 관찰하여보면 특이한 점이 관찰된다. 왜 측이 백제산 고급 위신재 구입에 더 많은 경제적 비용을 투입하는 양상이 뚜렷하다. 이것은 왜가 고구려‧신라 측의 견제를 피하면서 백제를 경제적으로 지원하는 방식이었다고 추정된다. 왜는 낙동강 하구지역에 위치하는 금관가야의 국제적인 교역항에서 이루어진 고구려‧신라 측의 전략무기 통제를 피할 수는 없었을 것이다. 따라서 왜는 용병과 철제 무기, 갑옷을 왜 교역선에 싣고 백제로 향하는 전략은 실행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왜산 금송 목재 등 특산물을 싣고 백제로 수출한 후, 금동제 장식대도, 금제 귀걸이 등 백제산 위신재, 특산물을 왜로 수입하는 전략을 실행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 상호적인 교역으로 포장한 백제와 왜 사이의 해상 교역은 고구려‧신라 측이 통제하는 금관가야의 국제적인 교역항을 무사히 통과할 수 있었을 것이다. 즉 이 시기 백제와 왜 사이의 불평등한 해상교역은, 왜가 고구려‧신라 측의 견제를 피하면서 직접적인 군사지원이 아닌 경제적인 방식으로 백제를 지원한 전략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From the latter half of the 5th century to the first half of the 6th century, there are cases in Baekje that imitate the Wa's tomb style. On the contrary, in Wa, there are cases where Baekje's tomb style is imitated. For example, in the latter half of the 5th century, some of the chief tombs in the southwest region of Baekje were decorated with cylindrical haniwa. In addition, in the early 6th century, some of the tombs of heads of the southwestern regions of Baekje were constructed with Keyhole tombs. During this period, wooden coffins made of Japanese umbrella pine imported from Wa also appear in the tombs of king Muryeong and chiefs of Baekje. In the early 6th century, Baekje-style horizontal stone chambers were built in the tombs of the heads of the central region of Wa. In particular, inside this horizontal stone chamber, prestige goods imported from Baekje, such as gilt-bronze swords and gold earring, are also buried. These phenomena, which appeared at the same time between the two countries, suggest a close alliance between the two countries. Moreover, the export of expensive prestige goods from Baekje to Wa brought many economic benefits to Baekje. The unequal trade between the two countries was an attempt to avoid checks by Goguryeo and Silla. This seems to have been Wa's trade strategy to support Baekje. At that time, there was trade control by Goguryeo and Silla at the international port of Geumgwan Gaya. Therefore, Wa attempted economic support instead of military support to Baekje. The purpose of Wa's economic support includes providing Baekje with the necessary expenses for the war against Goguryeo.

      • KCI등재

        백제의 대외 교류사 인식에 대한 단상

        김영관 한국고대사탐구학회 2017 한국고대사탐구 Vol.26 No.-

        This article has examined Baekje history and culture from the viewpoint of external relations and cultural exchanges in order to examine why the public perception of the Baekje history and culture has been biased in Korea. In order to activate Baekje research and enable it to be widely informed to the public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to correct the biased perceptions so far and to apply fair judgment standards to Baekje history research. It should also be based on extensive and detailed research. To that end, there are some problems to be solved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train specialist Baekje history researchers. Currently, there are about 88 full-time professors teaching ancient Korean history at Universities in Korea. Among them there are only 20 professors majoring in the Baekje history: 9 professors study history through texts and 11 through archeology. It is difficult to educate Baekje researchers properly with such a small number of personnel. Even though there are three Baekje research institutes in Korea, there are few full-time workers. The institutes are just unsubstantial.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interest of the central government in Baekje studies. Until now, research on Baekje history was usually conducted within the old area of ​​Baekje. Most of the research papers on Baekje mentioned above were published at Universities in Baekje area. This was the background where the Baekje history has been studied from a biased viewpoint of local history. Indifference of central government also resulted in area-based research. Efforts should be made to get out of it. Third, it is an underrepresented fact that there are few Baekje researchers at central government or historical research institutes. There is no researcher majoring in Baekje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 and the Northeast Asian History Foundation. The same goes for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the Buyeo National Museum, and the Gongju National Museum. Although there are curatorial researchers who are classified as professional researchers, there are no researchers getting a Ph.D. in Baekje history. It is essential for these institutions to expand the researchers of Baekje history. Thus, research of Baekje is not well established. Future prospects are not bright at the present time. After being based on specialized research on the history of Baekje, you should be able to educate Baekje culture widely both in and out of country. However, it is insufficient at the moment. It is difficult to publicize and educate broadly Baekje history and culture without expanding its research base. 백제세계유산센터에서 구축한 디지털 아카이브에 따르면, 지금까지 백제에 대해 약 50편의 박사 논문, 600편의 석사 논문이 제출되었다. 관련된 학술 연구 논문도 1,823편을 넘나든다. 이러한 논문 제출 건수는 신라에 비해서는 적지만 고구려에 비하면 적은 편이 아니다. 오히려 고구려를 능가한다고 볼 수 있다. 고구려와 신라에 비해 연구 자료가 부족하고 관심이 덜한 백제에 대해 이런 연구 성과를 낸 것은 아이러니한 결과이다. 본고에서는 백제의 역사와 문화에 대한 인식에 대해 대외관계와 문물교류라는 차원에서 살펴봄으로써 백제 문화에 대한 대중의 인식이 편향되게 흐른 까닭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앞으로 백제 연구를 활성화하고 대중들에게 널리 알리려면, 지금까지 드러난 편향된 인식을 바로잡고 공정한 잣대를 백제사 연구에 들이대어야만 할 것이다. 또한 광범하고 치밀한 연구가 바탕이 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려면 몇 가지 풀어야 할 문제가 있다. 첫째로, 전문 백제사 연구자의 양성이 필요하다. 현재 한국고대사를 강의하는 전임 교수 숫자는 대략 88명이다. 이중 백제사 전공 교수는 20명뿐이며, 9명이 문헌사 전공이고, 11명이 고고학 전공자이다. 이처럼 소수의 인원으로 백제사 연구자를 제대로 양성하기는 어렵다. 백제사 전문 연구 기관이 3곳이 있지만, 전임 인력이 거의 없다시피 하다. 백제 연구기관은 허울뿐인 것이다. 둘째로, 백제 연구에 대한 중앙 정부의 관심 확대이다. 백제사 연구가 이제까지는 대개 백제의 고토지역 내에서 이루어졌다. 앞서 언급한 백제에 대한 연구 논문 대부분이 백제 지역 소재 대학에서 간행되었다. 이는 백제사를 향토사적인 시각에서 편향되게 바라보고 연구하게 된 배경이 되었다. 지역 중심의 연구는 중앙의 무관심이 낳은 결과이기도 하다. 이를 탈피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셋째로, 중앙정부 또는 역사 연구기관에 백제사 전문연구자가 거의 없다는 것은 드러나지 않은 사실이다. 국사편찬위원회, 동북아역사재단 등에 백제사 전공자는 없다. 백제 역사와 문화 보급을 위해 세워진 국립중앙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도 마찬가지이다. 전문연구자 그룹으로 분류되는 학예연구사와 학예연구관들이 있지만, 백제사를 전공한 박사급 인력은 아예 없다. 이들 기관에 백제사 연구자의 확충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처럼 백제에 대한 연구는 기반이 튼튼하지 못하다. 앞으로의 전망도 밝지 못하다. 백제의 역사에 대한 전문적인 연구를 토대로 백제 문화를 국내외에 널리 교육하고 알릴 수 있는 것인데, 지금으로서는 부실하기만 하다. 연구기반의 확충 없이 백제 역사와 문화를 널리 알리고 교육하기는 어렵다.

      • KCI등재

        무덤과 祭祀遺蹟을 통해 본 5~6세기 百濟와 倭

        우재병(Woo, Jae-pyoung) 고려사학회 2011 한국사학보 Vol.- No.45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mbs and Ritual Sites related to Wa that appear in the southwestern region of Baekje and southern coastal region of Baekje and Gaya during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For this, the paper first looks at the aspects of the tombs and Ritual Sites related to the marine trade route in the southern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during the first and fourth centuries. Then, it compares and analyzes the features of the trading system betwee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Japanese Islands during the first and fourth centuries with that during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In this respect, the following conclusion regarding the trading system in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was attained. First, the emergence of a new trading system which reinforced the interaction between Baekje and Wa during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was caused by the political transformation around the Korean Peninsula spread by attacks from Goguryo on Keumguan Gaya and Baekje. Second, the new trading system between Baekje and Wa in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mainly used the southern coastal trade route that places the Gaya region as an intermediary. This southern coastal trade route was able to be established based on the amicable diplimatic relationship among Baekje, Gaya, and Wa. Thirdly, the Wa-style keyhole-tombs applied in some of the master tombs of the southwestern Baekje region and the traces of the Wa-style ritual activities found in the Chukmakdong Ritual Site of Baekje are assumed to be the results of the reorganization of the trading system between Baekje and Wa in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Fourth of all, the representative historical remains that were found in the southern coastal trade route connecting Baekje, Gaya, and Wa in the fifth and sixth centuries are the Geoje Jangmok Tomb, Sacheon Sunjinli Tomb, Goheung Andong Tomb, Shinan Baenale Tomb Noo.3, and so on. The owners of these tombs seem to be the maritime powers that had economically developed through the invigorating process of the international southern coastal trade route, initi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s of Baekje, Gaya, and Wa. Especially the fact that a Baekje gilt-bronze crown was excavated from the Goheung Andong Tomb signifies that the main strategic goal of the central government in Baekje during this time was to secure a stability in the southern coastal trade route.

      • KCI등재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 백제인식

        유준상 북악사학회 2025 북악사론 Vol.21 No.-

        이 글은 조선시대의 백제에 대한 인식을 조선왕조실록에 기록된 내용을토대로 각 세기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15세기에는 조선의 건국되고 나라의 기틀을 다지던 시기로, 고려시대의백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어느 정도 재고되는 측면도 있었다. 태조 이성계가 즉위한 후 차령 이남의 인재를 등용하지 말라는 태조의 훈요 10조가 철저히 지켜졌다면 고려가 망하지 않고 조선왕조가 들어서지 못했을 것이라는발언은 역설적으로 조선왕실의 관향인 전주가 옛 백제지역이라는 사실과 맞물려 백제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조금이나마 재고될 수 있는 여지를 보여주었다. 그리고 세종은 신라왕조의 사당에만 치제하자는 의견을 물리치고 삼국을 동등하게 사당을 정비하고 치제하라는 명령을 내렸다. 그러나 세종실록지리지에서는 여전히 삼국에 대한 역사인식은 여전히 신라를 중심으로 서술되었다. 광주・양주・충청도를 백제의 영역으로 인정하고 있으나, 진흥왕의 한강유역 진출과 삼국통일 과정에서 백제를 신라의 영토로 편입되는 과정을 중심으로 묘사하였다. 그리고 성종조에는 경국대전이 편찬되는등 조선이 국가의 틀을 갖추어가는 과정에서 백제는 부정적으로 인식되었다. 그러나 16세기로 들어서면서 사림의 진출과 사화의 극복을 계기로 백제성충의 충심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후 선조의 즉위를 전후로 한 시점에서사림이 정국을 주도함에 따라 백제는 계백과 성충의 충절이 긍정적으로 재평가 받게 되었다. 그리고 임진왜란이라는 국가적 위기상황을 맞이하여 성충과계백과 같은 국가에 충심을 바친 인물들이 조명되고, 남한산성이 수도방어의요지로 주목받으며 백제의 옛 수도라는 점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17세기에는 남한산성에 수어청이 설치되는 등 남한산성이 중요한 방어시설로 인식되었다. 아울러 병자호란 이후에는 남한산성에 백제 시조 온조왕의사당을 짓고 관리하였으며, 남한산성 축성의 책임자인 이서를 함께 배향하였다. 이는 병자호란 이후 조선왕실과 지식인들은 북벌론의 대두와 같은 반청의식의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옛 남한산성의 주인이라 여겨지던 백제의 시조 온조왕에 대한 존숭의식을 투영시키며 백제에 대한 관심을 이끌어가는 모습을 보였다. 18세기 이후로는 북한산성의 수축으로 조선후기 남한산성, 강화돈대와 함께 수도방어의 체제가 마련되고 조선과 청나라간의 정축약조라는 외교적 문제를 해결되는 등 조선후기의 정치, 군사, 외교적 성과가 나타났다. 아울러사학사적 측면을 생각할 때 북한산성의 축성을 추진했던 근거의 하나가 백제근초고왕 때 이루어진 천도였다는 점도 지나칠 수는 없는 요소였다. 이를 통해 병자호란 이후 북벌론과 반천의식의 대두와 함께 백제의 시조에 대한 예우가 지속되고 이는 백제에 대한 인식이 상향되는 경향이 있음을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경향은 영・정조대에도 이어졌다. 영조는 고려왕조의옛 능과 단군, 기자, 신라, 고구려, 백제 시조의 능을 수축하라고 명하였고 정조대에는 백제 시조의 묘호를 숭렬전으로 격상시키기에 이른다. 조선왕조에 들어 백제에 대한 역사인식은 15세기 조선의 건국, 16세기 사림정치의 전개와 임진왜란을 배경으로 성충・계백의 충절에 대한 부각, 17세기 병자호란을 전후로 한 남한산성 수축 및 온조와 이서의 배향, 18세기 북한산성의 수축과 백제묘호의 격상 등으로 점차 상 ... This article classified and analyzed the perception of Baekje in the Joseon Dynasty by each century based on the contents recorded in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 In the 15th century, Joseon was founded and the foundation of the country was laid, and the negative perception of Baekje in the Goryeo Dynasty was somewhat reconsidered. Paradoxically, the statement that if Taejo's 10th Article of King Taejo's decree not to appoint talents south of Chaeryeong had been thoroughly followed after Taejo Lee Seong-gye ascended the throne, the Joseon Dynasty would not have been established without Goryeo's collapse, was combined with the fact that Jeonju, the Joseon royal family's official residence, was a former Baekje region, and showed room for a little reconsideration of the negative perception of Baekje. Sejong rejected the opinion that only the Silla Dynasty should be memorialized, and ordered the three kingdoms to be renovated and reigned equally. However, in 「Sejong Silokjiri」,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the three countries is still described around Silla. Although Gwangju, Yangju, and Chungcheong Province are recognized as Baekje's territory, it was described focusing on the process of King Jinheung's entry into the Han River basin and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countries, which led to Baekje's incorporation into Silla's territory. In addition, Baekje was perceived negatively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national framework for Joseon, such as the compilation of the Gyeongguk Daejeon in King Seongjong's reign. However, in the 16th century, the loyalty of Baekje's adults began to emerge as a result of Sarim's advance and the overcoming of the private life. Later, around the time of King Seonjo's accession, Sarim led the political situation, and Baekje's loyalty to Gyebaek and Seongchung was positively reevaluated. In the face of the national crisis of Imjin War, the figures who devoted themselves to the state, such as the adult and Gyebaek, were highlighted, and Namhansanseong Fortress was noted as the main point of capital defense, and the former capital of Baekje began to emerge. In the 17th century, Namhansanseong Fortress was recognized as an important defense facility,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sign language office at Namhansanseong Fortress. In addition, after the Byeongja Horan, a shrine to King Onjo, the founder of Baekje, was built and managed at Namhansanseong Fortress, and Lee Seo, the head of the Namhansanseong Fortress construction, was oriented together. After the Byeongja Horan, the Joseon royal family and intellectuals showed the same tendency of anti-Cheongui style as the rise of Northern Beolon. In addition, it showed a sense of respect for the founder of Baekje, King Onjo, who was considered the owner of the former Namhansanseong Fortress, and led interest in Baekje. Political, military, and diplomatic achievements of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achieved after the 18th century,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a system of capital defense along with Namhansanseong and Ganghwa Dondae in the late Joseon Dynasty due to the contraction of Bukhansanseong Fortress. In addition, it cannot be overlooked that one of the grounds for promoting the construction of Bukhansanseong Fortress during the reign of King Geunchogo of Baekje was Cheondo. Through this, it can be seen that after the Byeongja Horan, with the rise of the Northern Verbal theory and the anti-Cheon ritual, the respect for the founder of Baekje continued, and this tended to raise awareness of Baekje. This trend continued in the Yeong and Jeongjo periods. Yeongjo ordered the old tombs of the Goryeo Dynasty, Dangun, Gija, Silla, Goguryeo, and Baekje to be reduced, and during the Jeongjo period, the Myoho of the founder of Baekje was upgraded to Sungryuljeon. In the Joseon Dynasty, the historical perception of Baekje gradually increased due to the founding of Joseon in the 15th century, the development of Sarim politics in the 16t...

      • KCI등재

        지방무용 콘텐츠개발을 위한 백제악무 연구

        황희정,한경자 무용역사기록학회 2019 무용역사기록학 Vol.55 No.-

        This paper aims to develop the content of local dance through music and dance in the Baekje period.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research articles on musical instruments during the period. According to precedent research, there are either nine or eight types of wind instruments: jeok, so, saeng, ji, dopipilul, makmok, kak, wu, and baekje-saenghwang; seven types of string instruments: pa, wanham(3 strings), konghoo, sukonghoo, keum, jaeng, and baekje 8 hyonkeum; and two types of percussion: ko and yoko. These instruments number eighteen or seventeen in total, and the tones are clear and elegant. Today there are A-ak and dance in the ancestral ritual for Woongjin Baekje five kings as the content of music and dance in the Baekje period. The resource of them was brought from A-ak of Kook-jo-o-re-ui written 800 years after the Baekje period. However, the time period between them is too distant, and several instruments among A-ak had not existed in the Baekje period. There are few Korean references which can be traced back to the Baekje dance. Therefore we could should refer to Japanese dances such as Sinsoriko and Onintei, created by people a man from Baekje and originated in Baekje. Those dances are still practiced and passed down to new generations in Japan, thus we can develop the content of the Baekje court dance incorporating elements of the two Japanese dances. The Baekje court dance can be choreographed with some constraints. Music should be played by three to five musicians, dancers should consist of two to six performers, and the range of movements is also guessed. This content will be different from established works and unique, if it is utilized for the pre-ceremony dance of the Baekje ancestral ritual, or for performances about Baekje. 본고는 백제의 악무를 연구하여 지방무용의 콘텐츠를 개발하는데 목적을 둔다. 먼저 무용에 필수적인 백제의 악기에 대한 지금까지의 자료를 살펴보면 관악기 적․소․생․지․도피필률․막목․각․ 우․백제생황 9종(혹은 8종), 현악기 곡경비파․완함(백제3현)․공후․수공후․금․쟁․백제8현금 7 종, 타악기 고․요고 2종까지 총 18종(혹은 17종)으로 맑고 청아한 음색이다. 현행되고 있는 백제악무의 콘텐츠는 백제문화제의 웅진백제 5대왕 추모제의 아악 및 식전무용을 들 수 있다. 이것은 800년뒤에 편찬된 조선시대의 『국조오례의』의 아악을 가져온 것이다. 그러나 둘 사이의 시대가 지나치게 떨어져 있고 아악의 몇몇 악기는 백제 시대에 존재하지 않았다는 문제가 있다. 그러므로 백제인에 의해서창작되고 백제에서 기원한 <신소리코(進蘇利古)>와 <오닌테이(王仁庭)> 같은 일본 무용을 참고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 무용들은 여전히 일본에서 전승되고 있으므로 이를 토대로 백제 궁중무용 콘텐츠를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일정한 제약을 두어 백제 궁중무용을 안무할 수 있다. 음악은 3~5인의 소규모연주였을 것이고 무용은 2~6인의 무인들로 구성되었을 것이다. 그리고 작품의 움직임 범위 또한 유추할 수 있다. 이를 백제문화제의 백제왕 추모제 식전행사, 백제 관련 공연물 등에 활용한다면 기존 춤과는 차별적인 콘텐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墓制를 통해 본 漢城期 百濟의 地域相-龍院里遺蹟圈을 中心으로-

        이현숙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2 百濟硏究 Vol.55 No.-

        This paper is related to the identity of Baekje local regions in the 4th~5th century. The case analysis was tried, through archeological material analysis,centering on the remains of Yongwon-ri which shows local identity best among 31 regions recognized as the basic units of Baekje local society. The local identity of Baekje in Hanseong Period was tried to be found centering around tomb relics. As the result of the analysis, each local aspect could be reviewed in 31 regional units based on relic statues and topological conditions of 69 tombs of 4th~5th century. In these regional units, various distributions and transitions of tombs could be identified in each region, and it could be inferred a cultural domain showing local characteristics might exist in various scales ranging from 8~17km in each regional unit. That is, it could be known that each regional society maintained its independent cultural tradition and native order for a long term despite its subject position ruled by the central political power of Baekje. The case analysis was tried, centering on the remains of Yongwon-ri. The remains of Yongwon-ri is a tomb complex of the native group based on the pit-tombs, and through this relics, it is recognized how the material culture within the region changed due to the effect of Hanseong styled pottery of Baekje. This change was not limited to groups having equal tomb complexes, but also might affect the surround ng groups. That is, the hierarchic process of local society confirmed centering around the remains of Yongwon-ri is presumed to have proceeded with through the redistribution of prestige goods to groups of surrounding Hwaseong-ri region. Thus, based on this fact, it can be determined how local society underwent a hierarchic process based on horizontal rank. Together, this native group is determined to be a pit-tomb-centered group thatrapidly underwent the establishment of the order of rank and structural change of tombs such as the stone-lined tomb and stone-chamber tomb. However, a fact requiring another attention is that these new tomb structures related to stone-lined tombs and stone-chamber tombs have regional native attributes and various forms in which regional tomb type traditions of local society were reflected, rather than showing building regularity. The excavated artifacts come from hierarchically classified tombs mainly consist of prestige goods collected through the relationship with central region of Baekje, and from this view point, it can be comprehended that the hierarchic process of local society was a change occurring by local central forces actively establish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central region of Baekje. The pluralistic and opened country attributes of Baekje that incorporated multiple regional governing groups will be able to be comprehended through understanding various local identity and local cultures of Baekje as suggested before. There is limitation in examining the local identity of Baekje of 4th~5th century through the location analysis and patternization of tomb distribution areas, where the analysis and patternization are conducted based on material relics found in the limited regions. Nevertheless, this paper tried to understand even part of identity of local societies that remain unclear today, based on an idea that the growth of ancient country, Baekje, was be enabled not only by the central political power but also by the efforts of local societies to establish the relationship actively and the engagement policy and effective ruling of central force of Baekje. 본고에서는 중서부지역의 4~5세기대 묘제를 중심으로 백제의 지역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또한 사례연구의 일환으로 묘제변화와 지역상이 뚜렷하게 확인되는 금강유역권의 천안 용원리유적권을 중심으로 지역상을 분석하여 한성기 백제 지방사회의 동향과 특징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성기 백제의 지역상 검토는 한강 이남의 중서부지역에서 조사된 4~5세기대 고분자료 69지점의 유적현황과 지형분석을 통하여 31개의 지역상을 추론할 수 있었다. 각각의 지역별로 다양한 묘제의 분포와 변화상이 확인되었으며, 각 지역단위는 8~17㎞ 내외의 다양한 규모로 문화적 영역범위를 추론하였다. 이와 같이 지역별로 다양하게 확인되는 묘제전통을 통하여, 백제의 지방사회는 중앙과의 관계형성에도 불구하고 오랫동안 독자적인 문화전통과 재지질서를 유지하고 있었음을 추론할 수 있다. 개별 지역상에 대한 사례연구는 용원리유적권을 중심으로 하였다. 용원리유적은 토광묘를 중심으로 하는 재지집단의 고분군으로, 백제 한성양식 토기와 같은 백제 중앙의 물질문화와 변화상이 인지될 뿐 만 아니라, 재지전통이 강하게 남아있는 토광묘중심 묘제에서 수혈식석곽묘와 횡혈식석실묘와 같은 새로운 묘제로의 변화와 계층화가 빠르게 진행된 집단이다. 이러한 계층화는 동일묘역을 조성하는 집단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인근의 화성리지역 집단에 대한 위세품의 재분여와 같은 형태로 확인된다. 따라서 이러한 모습을 통하여 수직적 위계에 기반한 지방사회의 계층화 과정을 파악할 수 있다. 특히 수혈식석곽묘ㆍ횡혈식석실묘와 같은 새로운 묘제는 구조의 규칙성을 보이기보다는 지방사회의 재지 토광묘제 전통이 반영된 토착성과 구조의 다양성이 확인된다. 이러한 묘제의 다양성은 백제의 지방사회가 재지사회의 문화전통에 기반한 상태에서 백제 중앙과 적극적인 관계를 형성하면서 변화된 모습으로 이해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백제지방사회의 다양한 지역상과 지역문화를 이해함으로써 다수의 지역정치집단을 포괄하고 있는 백제의 다원적이고 개방적인 국가 성격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제한된 지역에서 확인된 고고자료를 중심으로 분포영역에 대한 입지분석과 유형화를 통하여 4~5세기대 백제의 지역상을 검토하는데 있어서 나름의 한계도 적지 않다. 그러나 본 논문은 백제라는 고대국가의 성장이 중앙의 정치세력 중심만이 아닌, 지방세력의 능동적인 관계형성의 노력과 광역의 지방세력에 대한 백제의 포용과 효과적인 통제로 가능하였을 것이라는 생각에, 아직 미답의 형태로 있는 백제 지방사회에 대하여 일부 단면만이라도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 KCI등재

        백제의 금동대향로와 해양실크로드

        최광식 한국고대학회 2023 선사와 고대 Vol.- No.73

        The Maritime Silk Road was recognized as only a sea route from Rome to China. However, according to historical documents and artifacts, it was confirmed that it was a route that not only reached China through India and Southeast Asia, but also through the Korean Peninsula to Japan. In particular, Baekje connected China with various countrie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even transmitted culture to the Japanese country. In the early days of Baekje, foreign civilization was accepted with the help of Nakranggun and Daebanggun. When the Nakrang and Daebang armies were destroyed and Goguryeo took over maritime rights in the West Sea, King Geunchogo attacked Goguryeo, took control of the Hwanghae-do region, pioneered a trans-Yellow Sea route, and took control of maritime rights in the West Sea. However, when King Jangsu transferred the capital to Pyeongyang and captured Hanseong, it was difficult to use the trans-Yellow Sea route. But King Muryeong attacked Goguryeo and recovered the Han River basin, utilizing the trans-sea route again and carrying out active cultural exchanges with the Yang Dynasty of the Southern Dynasty in China. Therefore, becoming a powerful country again means that it has become a maritime power again by taking control of the maritime rights of the Yellow Sea. At this time, cultural relics were exchanged with the Bunam and Im-eup kingdoms in Southeast Asia and passed on to the Japanese kingdom, and direct exchanges began by dispatching the monk Gyeom-ik to India. When King Seong transferred the capital to Sabi in 538 and the Han River basin was taken over by Silla in 553, the Yellow Sea Slant Route was pioneered in the late 6th century, leading to direct exchanges with the Yang Dynasty. Direct exchanges with Southeast Asian countries could be confirmed through crocodiles and elephants among the animals from the southern region depicted on the Baekje gilt-bronze incense burner. And we were able to broaden our perspective by learning that the kings of Bunam and Im-eup were using gilt-bronze incense burners in their palaces, which were used during the Han Dynasty and not seen during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In addition, referring to the case of the incense burner that Emperor Seongmu of Japan used during his reign and contributed to the tomb after his death,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of Baekje was also considered to have been used by King Seongmu and contributed to the tomb temple after his death. Therefore, the production period of the gilt-bronze incense burner was considered to be between 523 and 554, during the reign of King Seong, and between 538 and 554 after the transfer of the capital to Sabi. King Seong, who revived Baekje, wanted to show off the majesty of global Baekje by placing animals from not only the Northern and Southern Dynasties, but also Southeast Asia, on the incense burner. A large amount of glass beads has been excavated from the Baekje region, and soda glass of various colors has been introduced since the 4th century. Considering that glass of various colors was excavated not only in Gongju and Buyeo, but also in areas close to the coast such as Hampyeong and Haenam, this shows that glass from Southeast Asia was continuously introduced into Baekje via the Maritime Silk Road. Baekje's navigation and shipbuilding skills, which enable such maritime activities, were discovered through the existence of the ‘Baekje Road’ and ‘Baekje Ship’, and the importance of the port and Tamna State on the southwestern coast could be confirmed. 백제는 중국과 한반도의 여러 나라를 연결시키고, 왜국에까지 문물을 전해주었다. 백제 초기에는 낙랑군과 대방군의 도움으로 외국 문물을 받아들였으나 낙랑군과 대방군이 소멸되고 고구려가 서해의 해상권을 차지하자, 근초고왕이 고구려를 공격하여 황해도 지역을 장악하고 황해 횡단항로를 개척하여 서해의 해상권을 장악하였다. 장수왕이 평양 천도를 하고 한성을 함락시키자 황해횡단 항로를 이용하기 어려웠으나 무령왕이 고구려를 공격하고 한강유역을 수복하여 횡단항로를 다시 활용하여 중국의 남조 양나라와 활발한 문물 교류를 행하였다. 따라서 다시 강국이 되었다는 의미는 황해의 해상권을 장악하여 해상의 강국이 다시 되었다는 뜻이라 하겠다. 이 때에 동남아시아의 부남국과 임읍국과 문물을 교류하여 왜국에 전해주기도 하였으며, 승려 겸익을 인도에 파견하여 직접적인 교류를 시작하였다. 특히 성왕이 538년 사비로 천도하고, 553년 신라에게 한강 유역을 빼앗기자 6세기 후반 황해 사단항로를 개척하여 양나라와 직접적인 교류를 하였다. 백제금동대향로에 부조된 남방지역의 동물들 중 악어와 코끼리를 통하여 동남아시아 국가들과 직접적인 교류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한대에 사용되고 남북조시대에는 보이지 않는 금동으로 만든 금동향로를 부남국과 입읍국 왕이 궁궐에서 사용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되어 우리의 시야를 넓힐 수 있었다. 아울러 일본의 성무천황이 재위시 사용하다가 사후에 공헌한 향로의 사례를 참고하여 백제의 금동대향로도 성왕이 사용하다가 사후에 릉사에 공헌한 것으로 보았다. 따라서 금동대향로의 제작 시기는 성왕의 재위기간인 523~554년 사이이며, 사비 천도 이후로 보아 538년에서 554년 사이로 보았다. 백제를 중흥시킨 성왕은 북조와 남조와 교류하였을 뿐만 아니라 동남아시아와 교류하여 동남아시아의 동물들도 향로에 부조하여 글로벌 백제의 위용을 과시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백제지역에서는 유리구슬의 출토량이 많으며, 4세기 이후 다양한 색상의 소다유리가 유입되었다. 다양한 색상의 유리가 공주와 부여 뿐만아니라, 나주와 함평 등 해안가에 가까운 지역에서 출토되는 것을 볼 때 이는 동남아시아의 유리가 해양실크로드를 통해 지속적으로 백제에 유입되었다는 것을 말해 준다고 하겠다. 이러한 해상활동을 할 수 있는 백제의 항해술과 조선술을 ‘百濟路’와 ‘百濟舶’의 존재를 통해 알아보고, 서남해안의 항구와 탐라국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백제의 고창·영광지역 지배 과정과 그 추이

        최영은 ( Choi Young Eun ) 백제학회 2023 백제학보 Vol.- No.44

        Baekje’s regional expansion process and strategy change of domination is the main issue of Baekje’s local governance study.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change in relations between central Baekje and local polities and the trend of Baekje’s local governance focusing on Gochang and Yeonggwang region. Toward the latter half of the 5th century, ancient tombs in Bongdeok-ri were built in the Gochang regions, which reflect the political relationship between local polities and Baekje. The group who built the Bongdeok-ri tombs accommodated a new graveyard, stone chamber and received prestige goods from Baekje such as gilt-bronze shoes which were found buried inside. This became possible by combining the internal growth of local polities and the strengthening of political influence of the Baekje Kingdom. The Baekje Kingdom sought to take advantage of stabilizing its control over the north of the Noryeong Mountains and securing transportation routes to the Wa(倭) of Japanese archipelago and Yeongsan River basin. During the late Hanseong-period, the confrontation between Baekje and Gogureyo raised international conflict surround the West sea. The role of Gochang and Yeonggwang regions as the port of the West Sea coastal route became highlighted. The key-hole shaped tombs built near the Beopseongpo because of increasing geopolitical importance on the West Sea coastal route. After moving its capital to Ungjin, Baekje sought to reorganize its control over the southern provinces. The aim was to organize the entire region through a uniform system, not by preferential treatment to particular local forces. The bronze seal of the Oho-ri tomb suggests the existence of local officials that dominated the area and traffic route. In the Sabi-period, Baekje implemented a prefecture system for all provinces. Gochang and Yeonggwang regions were under the control of Jungbang that was centered on Gobu. The tombs and the production system became standardized in this period. In this respect, the Gochang and Yeonggwang regions became organized as complete ‘provinces’ of Baekje.

      • KCI등재

        5~7世紀 中國王朝들의 百濟에 대한 認識과 外交 戰略의 變化

        방향숙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3 百濟硏究 Vol.57 No.-

        During the 5th Century, 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南北朝) were confronted with each other in China, while three nations were settled on the Korean Peninsula. Such circumstance had called the needs for nations to establish multilateral diplomatic policy. Each nation contacted and cooperated only with partners who were beneficial to it according to its own benefit. Baekje (百濟) requested Beiwei (北魏) to conquer Goguryeo (高句麗). They also asked Sui (隋) and Tang (唐) Dyansty to go on an expedition against Goguryeo. Since the request had been based extremely on the diplomatic strategy, Beiwei, Sui and Tang Dynasty constantly suggested that the two nations become amicable without interfering directly. The reason why the nations rejected to conquer Goguryeo was because Gogurye was still paying them tribute and had done nothing to cause trouble with them. It was very important to find a justifying reason to conquer another nation. When Goguryeo was conquered by Tang, they asserted that it was because the land where Goguryeo was established had been initially installed as Jizi (箕子). In case of Baekje, the war, which led to an end to them was brought about without any visible cause. With regard to the characteristics of Baekje's diplomatic policy against China during We․Jin (魏晉) Dynasty‧Southern and Northern Dynasties (南北朝) and Sui (隋)‧Tang (唐) Dynasty, Baekje had cultural exchange with Southern Dynasties(南朝), while had non-cultural exchange with Northern Dynasties (北朝). It was one of the essential diplomatic strategies for Baekje to contact with Nan Dynasty, which was not only culturally developed but also easier to access geographically. Meanwhile, Huabei (華北) area of China had not been an interest to Baekje for 130 years of 5hu (五胡) 16guo (十六國) Dynasty. Baekje still had prejudice over the area that they were under nomadic monarch, even after they were united into Beiwei in 439. In 472, they tried to exchange with Beiwei once on a military basis that was different from cultural exchange made among nations in Nan Dynasty. As Baekje's suggestion to form a military alliance was refu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nations have become apart, which had been continued to Beiwei, Xiwei (西魏) and Dongwei (東魏) Dynasty. Even though Baekje contacted with Beiqi (北齊) and Beizhou (北周) a few times in the early years after foundation of the two nations, Sui Dynasty had become the partner of Baekje as they collapsed and united into Sui Dynasty. The emergence of a unified Dynasty, which was continued by Tang dynasty had made Baekje one of the nations of China's diplomatic partners. It was Baekje's first experience to establish relations with a great empire, Sui․Tang Dynasty. The appearance of a strong empire had caused a tremendous geopolitical situation of China. Many regions had been incorporated into Tang's Jimi Prefectures (羁縻府州). The collapse of Baekje had also been the result of the incorporation procedure of Tang Dynasty. The collapse of Baekje is related to Northern Dynasties (北朝)' misunderstanding of Baekje, which was also continued by Sui‧Tang Dynasty and the appearance of Tang's Jimi district system. Baekje Dynasty had come to an end as the emergence of unified dynasties brought the expansion of surrounding regions. 한반도에 있던 고대국가인 백제나 신라는 모두 중국의 위진남북조 시대와 수‧당대에 중국과 밀접한 외교관계를 맺고 있었다. 5세기 경 중국에는 남북조가 대립하고 있었고, 한반도에는 삼국이 정립되어 있었다. 이러한 국제환경은 다자간의 외교정책을 필요로 했다. 각국은 각자의 국익에 따라 유리한 외교적 파트너를 선택적으로 접촉하고 협조를 요청하였다. 百濟는 北魏에게 高句麗의 정벌을 요청하였다. 隋, 唐朝에게도 계속해서 고구려에 대한 제압을 요청하였는데. 이것은 대단히 외교적인 책략에서 나온 것이다. 이에 대해 북위, 수, 당조에서는 일관적으로 화해를 권유하며, 직접적 개입을 하지 않았다. 이 국가들이 고구려 토벌을 거절하였던 이유는 고구려가 여전히 조공을 보내고 있고, 본조와의 관계에 문제가 될 만한 잘못을 하지 않았으므로 정벌할 수 없다는 것이다. 이것은 매우 중대한 일이다. 外征에는 반드시 그에 걸 맞는 名分이 필요하다. 당나라가 고구려를 정벌할 때에는 “고구려는 본래 기자가 책봉되었던 땅이고,…” 라는 명분이 내세워졌다. 백제의 경우는 그런 명분도 없이 전쟁에 휘말려 순식간에 멸국이라는 운명을 맞이하게 되었다. 위진남북조・수・당 시기 백제의 대중국 외교의 특성에 대해서는 먼저 남조와의 문화적 교류, 북조와의 비문화적 교류라는 특성을 지적할 수 있다. 문화적으로 발달되어 있으며 무엇보다 지리적으로 접근하기 좋은 남조와의 교류는 백제로서는 필수적인 외교 책략이었을 것이다. 이에 비해 혼란을 거듭하고 있던 130년간의 5호 16국 시대동안 중국의 화북지대는 백제의 관심지역이 되지 못했으며, 북위에 의해 통일된 439년 이후에도 화북은 여전히 遊牧君主의 治下라는 편견이 있었을 것이다. 그나마 472년 한 차례 북위와의 통교를 시도하였지만, 그 통교는 남조의 나라들과 해 왔던 문화적 교류와는 거리가 있는 것이었으며, 거의 군사적 동맹을 권하는 내용에 가까웠다. 백제의 이 제의가 거절되면서 백제와 북위는 멀어졌고, 이러한 사정은 北魏, 西魏, 東魏의 시대까지 이어졌다. 北齊와 北周가 건국된 후 몇 차례의 접촉이 있었지만 우호관계를 갖기도 전에 양국이 멸망하고, 중국은 수 왕조에 의해서 통일됨으로써 이제 백제의 상대국은 수 왕조가 되었다. 계속해서 당 왕조로 이어지는 중국 통일왕조의 등장은 백제의 대중국 교섭국을 하나로 만들었다. 수・당 왕조의 등장으로 백제는 처음으로 대제국과의 관계를 경험하게 된다. 중원에 등장한 강력한 제국은 주변지역에 대한 엄청난 흡입력을 가지고 있어서 삽시간에 많은 지역이 당의 羈縻府州로 편입되기에 이른다. 백제의 멸망은 당이 당제국의 동변을 기미부주로 편입하는 과정에서 벌어진 일이다. 여기에는 대대로 화북에서 등장했던 北朝계열 왕조들이 가지고 있었던 백제라는 상대에 대한 몰이해와 그 북조의 세력을 계승한 수・당정권의 등장, 그리고 당의 기미지배체제의 등장이 관계되어 있다. 중국에서의 통일왕조의 재등장은 주변부에 대한 팽창을 가져왔고 결국 백제는 멸국의 길을 가게 되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