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북극해에 대한 국제법적 규율 ‒ 유엔해양법협약 제234조를 중심으로 ‒

        김민경 국제법평론회 2019 국제법평론 Vol.0 No.52

        With Arctic Sea ice melting at a faster rate than ever before, global climate change is opening up the Arctic region to increased navigation,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Such changed situation in the Arctic requires a legal regime to effectively deal with 'opportunity' and 'challenge' in terms of effective governance for the Arctic. Opportunity means an utilization of the melting Arctic for the purpose of navigation, exploration and exploitation of natural resources, while 'challenge' means potential degradation of Arctic environment caused by 'opportunity', more specifically by human activities. With this in mind, this thesis explores the framework for a legal regime in the Arctic under international law by identifying and assessing the already existing international agreements that govern the Arctic space and human activities in the Arctic. This thesis finds that the UNCLOS, relevant international treaties and soft laws have been mutually reinforcing each other to function as a legal regime for effective Arctic governance. Consequently, this thesis comes to a conclusion that the Arctic governance can be better realized under the current legal regime represented by the UNCLOS along with other relevant international treaties and soft laws. In this respect, this thesis will especially focus on the article 234 of the UNCLOS, which is the only article that is related to the Arctic.

      • KCI등재

        북극의 지정학적 특성과 국제협력: 러시아의 북극항로(Arctic Route) 활성화 정책과 제약점을 중심으로

        윤지원 육군군사연구소 2018 군사연구 Vol.- No.145

        Due to the acceleration of global warming in post-Cold War period, the interest in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Arctic Route is increasing. Especially, it is prospected that the sailing route will be completely open due to the rapid environmental changes of the Arctic region and the development of its resources will become further activated. The commercial opening of the Arctic Route will allow sailing for six months from 2020, and from 2030, the complete opening of the Arctic Route and the development of its resources is prospected to become further activated. The coastal countries of the Arctic have used the Arctic Route as a marine route for the transportation of cargo for 100 years. The Arctic Route provides a considerable contribution to the reduction of marine traffic between Europe and Asia as an international route due to the melting of the Arctic Sea. The most actively used area of the Northeast Passage is the ‘Northern Sea Route’, which is effectively governed by the Russian government. Russia is initiating an aggressive development policy and the expansion of budget for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Arctic resources, environmental protection and the commercialization of the route. There is a need for the search and cooperation of various policies to overcome the restrictions of safety based on the expansion of icebreakers for the activ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the Arctic Route. 탈냉전기 지구온난화의 가속화로 인해 북극지역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북극의 지정학적 특성의 중요성이 부상했다. 무엇보다도 빠른 환경 변화로 인해 북극항로(Arctic Route)의 완전 개통과 자원개발이 더 활발해지고 있다. 북극항로의 상업적 개설은 2020년 6개월 정도 항해가 가능해지고, 2030년부터 북극항로의 완전 개통과 자원개발이 더 활발해질 전망이다. 북극 연안국가들은 100여 년 전부터 화물수송을 위해 북극항로를 해상항로로 이용해왔다. 북극항로는 북극해 해빙으로 국제항로로서 유럽과 아시아의 해상교통로 단축에 상당한 기여를 할 수 있다. 북동항로의 일부분에서 가장 활발하게 이용되는 곳이 ‘북극해항로’(Northern Sea Route)이며, 현재 러시아 정부가 실효적으로 지배하고 있다. 러시아는 북극자원 개발, 환경 보호 그리고 북동항로의 상업화를 위해 예산 확충과 공세적인 발전 정책을 추진 중이다. 북동항로 이용과 활성화에 가장 적극적인 러시아는 주요 정책 실행과 더불어 항로 이용의 경제성 증대를 위해 필수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제약점과 방안 모색에 주력 중이다. 향후 국제물류 해상노선으로 북동항로의 활성화를 위해 쇄빙선 확충과 기타 이용에 따른 안전 등 제약점을 극복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 모색과 국제협력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북극에 관한 러시아 언론분석 및 한국의 대응전략

        계용택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5 한국시베리아연구 Vol.19 No.2

        북극의 경우 남극과 달리 연안국의 영토와 배타적 경제수역(EEZ)에 대부분 속해 있어 비북극권 국가로서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연안국과의 협력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특히 북극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러시아와의 협력은 북극연구에 있어서 절대적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 한국은 북극양 항로개발에 관심을 두고 있다. 북극양 항로개발은 단기적으로 러시아 북극양 연안의 석유, 천연가스, 원목 등 자원개발과 수송을 위해서 요구되고 있으며, 장기적으로는 유럽과 아시아, 북미 서해안을 연결하는 최단 해운 항로로 활용될 전망으로 한국에 필요한 자원수입 및 수출입화물 운송로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또한 북극에서의 막대한 양의 석유 및 가스를 보유한 러시아와의 자원개발사업 참여에 많은 기대를 가지고 있다. 특히, 러시아가 영유권을 주장하는 로모노소프 해령 인근에는 무려 1,000억 톤에 이르는 석유와 가스가 묻혀 있는 것으로 추정되고 있어 러시아와의 협력이 매우 중요하다. 그밖에 한반도의 기후와 관련되어 러시아령 북극에 대한 연구는 여러 분야에서 그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북극은 지구의 기상, 기후, 해류의 순환 등 지구의 환경에 커다란 영향을 주는데, 북극의 차가운 대기가 한반도의 기후 변화에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북극권에서의 오존 감소, 기온상승에 따른 해빙감소 및 기류변화 역시 한국의 기후변화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다. 이밖에도 북극연구 분야에는 쇄빙선 건조 등의 과학기술 분야, 수산자원 확보 분야, 지도와 해도 제작 등 북극권의 공간 정보 구축분야, 극지운항 선박의 안전항행 기술 및 극지용 해양플랜트 기술 개발 등의 산업분야를 비롯한 다양한 분야에서의 러시아와의 협력이 요구 되고 있다. 한국이 북극 연구 및 개발에 있어 러시아와의 협력을 이루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러시아가 북극에 대해 어떠한 분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지를 파악해야 한다. 한 국가가 어떠한 주제에 대해 관심을 가지고 있는지를 파악하기 위한 대표적인 방법 중의 하나는 그 나라의 언론매체에서 나오는 관련 기사를 분석하는 것으로, 신뢰성 높은 정보를 얻을 수 있다. 1백만 건 이상의 대량의 언론매체 기사를 분석하기 위해서는 전산작업을 이용하는 빅테이터 분석 방법이 요구된다. 이와 더불어 키워드 텍스트 분석일 경우 빈도수 분석에 있어서 데이터마이닝 기법등도 동원된다. 본 논문은 지난 1년 3개월간의 러시아에서 발간된 북극관련 기사 1백만 건 중 기사제목을 키워드 검색으로 추출한 다음 키워드 빈도수를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빈도수 분석방법과 더불어 기사 내용분석을 통하여 러시아의 언론에 나타난 북극에 대한 러시아의 관심정도를 파악하고 북극관련 러시아의 정책에서 어떠한 분야에 중점을 두는지를 고찰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언론기사에 반영된 러시아의 북극에 대한 주요 관심사로는 북극지역의 안보 및 군사력 강화가 우선순위로 대두되었다. 다음으로는 북극지역의 인프라 건설 등의 지역개발이었다. 그밖에 북극 대륙붕 영유권 확보가 러시아의 외교 현안으로 부상되었으며 한국이 관심을 기울이는 북극의 석유가스등의 자원개발은 4번째 순위에 머물렀다. 마지막으로 북극에 대한 학술 연구 활동이 러시아 언론의 주목을 받았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에 따라 북극에 대한 한국의 대러시아 정책은 북극 군사안... In order to overcome the status limitation of a non-Arctic nation, S. Korea needs a cooperation with the arctic neighboring nations more than anything else. In particular, the cooperation with Russia which occupies a large part of the Arctic can be essential in the Arctic study. S. Korea recently has begun to pay attention to the Arctic sea route. The Arctic route plays a crucial role as a marine transportation route for importing necessary resources and import or export of cargos. Also, Korea has an interest in joint resource development projects with Russia which holds huge amount of oil and gas in the Arctic. Moreover, the study of Arctic in various fields in relation to climate of the Korean peninsula is another area to cooperate with. In addition the cooperation with Russia has been demanded in various fields such as marine plant technology development and construction of Arctic space information. To achieve the cooperation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which fields of the Arctic Russia is interested in. It may be generally possible to comprehend what kinds of topics they are interested in if we analyze media articles. The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media articles uses the research methods of big data processing. I also use the data mining techniques in the frequency analysis of keywords. This study conducts keyword search and contents analysis from the articles published in Russia. Major concerns of Russia for the Arctic are security, military forces and regional development, such as infrastructure constructions. The conflict of the Arctic continental shelf, the resource development such as oil & gas, and the academic research activities have attracted the attention of Russian media.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Korean policy toward Russia in the Arctic can be divided into the five areas such as military security of the Arctic, development of the Arctic region, Arctic territorial issues, Arctic resource development, Arctic academic research. 1) The area of military security a) marine base construction, military camp construction, military airfield construction, military harbor base construction. b) joint development of helicopters for polar regions and unmanned aircrafts. 2) The area of Arctic region development - a) nuclear power plants construction, communication facilities construction. b) nuclear icebreaker building, making special suits for polar and aquatic rescue equipments and caterpillar robots for exploration. 3) The territorial conflict in the Arctic continental shelf – Korea needs to raise its diplomatic influence on Russia by showing an active participation in United Nations and the international organizations related to the Arctic. 4) The development of Arctic resources - a) participating in the Arctic continental shelf survey and Arctic oil & gas development. b) joint development of various equipments needed for oil development. 5) The Arctic scientific research areas - a) Both private and governmental sectors in Korea are requir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Russian Arctic exploration projects. b) Participating in joint research with Russia on Arctic geology, Arctic biology, Arctic ecology. c) The technology and capital cooperation in high-tech fields such as an Arctic earthquake center, an Arctic space center, an observation satellite for the Arctic.

      • KCI등재

        북극해의 지리적 특성과 유엔 해양법 협약을 통해서 본 관할권

        박종관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 2018 독도연구 Vol.- No.25

        The environmental and climate problems represented by global warming and a sharp decline in Arctic sea ice have led to global interest in the Arctic, centered on new sea routes(trade routes) and vast hydrocarbon resources(oil and natural gas) on the Arctic coast. This led to concerns and anxiety that sooner or later the Arctic will be an arena of competition and conflict for resources and routes, a forum for discussion on environment and climate. However, the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UNCLOS), the "Constitution of the Oceans", provided the legal framework for the rapidly changing Arctic Ocean governance. In this paper,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vention and the Arctic jurisdiction, the Arctic Ocean region will be divided into five as follows. ①Atlantic Arctic Gateway, ②Eurasian Arctic, ③Pacific Arctic Gateway, ④North American Arctic, ⑤Central Arctic Ocean. The four issues addressed by the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are particularly relevant to the Arctic. ①Article 234 of the Convention(ice-covered areas), ②PART Ⅲ of the Convention(international straits), ③PART XIII of the Convention(marine scientific researc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 EEZ), ④PART Ⅸ of the Convention(regional cooperation). The issues related to the jurisdiction of the Arctic Ocean region are summarized as follows. ①the regime for the maritime boundary and baselines, ②the regime of islands(Article 121), ③the hydrocarbon resources of the continental shelf(Article 76), ④Arctic Ocean beyond national jurisdiction There are only four important jurisdiction problems in the Arctic, apart from two maritime boundary disputes between Canada and its neighbors. The first is a duplicate claim on the continental shelf beyond the EEZ of Russia and Denmark. Canada will soon join this case. The second is a dispute between "internal waters" and "international straits" surrounding the right of passage through the Straits of the Northern Sea Route(Russia) and the Northwest Sea Route(Canada). The third dispute is the status of the EEZ and the continental shelf of the Svalbard archipelago. The fourth issue is the status of the United States, a non-Party to the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as a potential claimant to the seabed beyond the EEZ. Therefore, despite some issues, the present and future governance of the Arctic Ocean can be provided by the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which provides a comprehensive legal order of the oceans. 지구온난화와 더불어 진행되어 온 북극 해빙의 급격한 감소는 최근 들어 새로운 항로(무역로)와 북극해 연안의 광대한 탄화수소 자원(석유 및 천연가스)에 대한 전망뿐만 아니라 환경과 기후에 대한 지구적 관심을 야기 시켰다. 이러한 현상은 21세기 이래 북극이 자원과 항로에 대한 경쟁과 갈등, 환경과 기후에 대한 토론과 논의의 장이 될 것이라는 우려와 염려로 이어졌다. 그렇기는 하나 자원과 항로에 대한 국제적 우려는 엄밀히 말하면 “해양의 헌법”이라 할 수 있는 유엔 해양법협약(UNCLOS)을 통해 불식시킬 수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또한 급격하게 변화하는 북극해의 거버넌스를 위한 법적 틀을 마련해 주었다. 본 논문에서는 ‘협약’과 북극해 관할권 간의 관계를 보다 명확히 밝히기 위해 북극해 지역을 다음과 같이 5개로 구분하여 검토할 것이다. ①북극해 대서양 통로, ②유라시아 북극해, ③북극해 태평양 통로, ④북미 북극해, ⑤중앙 북극해. 해양법협약이 다루는 네 가지 쟁점은 특히 북극과 관련이 있다. ①얼음으로 덮인 지역(협약 제234조 ice-covered areas), ②국제 해협(협약 제3부 international straits), ③EEZ의 해양 과학 연구 및 환경 보호(협약 제13부 marine scientific research and environmental protection in the EEZ), ④지역협력(협약 제9부 regional cooperation). 북극해 해양지역의 관할권과 관련된 쟁점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북극해의 해양경계와 기선(Baselines), ②군도(섬제도, Islands)에 대한 레짐(협약 제121조), ③대륙붕(continental shelf)(협약 제76조)과 대륙붕의 탄화수소 자원(Hydrocarbon resources), ④북극해 통과 해상루트의 항해, ⑤국가의 관할권 너머에 있는 북극해. 북극에는 캐나다와 그 이웃국가들 간의 관리된 2건의 해양경계 분쟁 외에 단 4건의 중요한 관할권 문제만 있다. 첫째는 러시아와 덴마크의 EEZ를 넘어선 대륙붕에 대한 중복된 주장이다. 이 건에는 캐나다가 곧 합류하게 될 것이다. 두 번째는 북방항로의 해협(러시아)과 북서항로의 채널(캐나다)을 통과하는 통항 권리를 둘러싼 “내수(internal waters)”와 “국제해협”의 분쟁이다. 세 번째 분쟁은 스발바르 군도의 EEZ와 대륙붕의 지위 문제다. 네 번째 쟁점은 EEZ를 넘어선 해저에 대한 잠재적인 청구국으로서 아직은 해양법협약의 비당사국인 미국의 지위 문제다. 따라서 몇몇 쟁점에도 불구하고, 북극해의 현재와 미래 평화 유지는 해양의 포괄적인 법적 질서를 제공하는 해양법 협약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 KCI등재

        북극 소수민족에 대한 러시아 언론의 보도내용 및 성향 분석: ‘타스 통신사’의 뉴스 기사 텍스트를 중심으로

        계용택 경희대학교(국제캠퍼스) 국제지역연구원 2022 아태연구 Vol.29 No.2

        This paper analyzed the news published in Russia and tried to examine the thoughts of the Russian people and the government on minorities living in the Arctic. The results of the analysis help identify the actual intentions of the Russian people and the government toward minorities, and may also serve as basic data for predicting the possibility of extinction of indigenous minorities living in the Arctic. In order to analyze the content of news articles, this study visualized the network structure of keywords and the contents of the entire news article text using a simultaneous word frequency analysis technique, and analyzed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entire news article text based on this. In this study, R’s TM package was used for text mining. The essential intention of the article was inferred by analyzing the text of the ‘TASS News Agency’ searched as ‘Arctic and Ethnic’ by word frequency (word cloud presentation) analysis, network analysis between words, correlation analysis, and n-gram analysis metho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t can be seen th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words of the Arctic native minority is very low compared to the Arctic development project. These studies show that the key keywords in the entire article are ‘Socioeconomic Development in Russia’ and ‘Language Rights of Minorities in the Arctic’, and that the issue of minorities in the Arctic is only a small part of Russia’s Arctic development process in full text. Russia’s “2035 Russian Arctic Policy Basic Principles” guarantee the quality and welfare of Arctic residents, and medical support, talent training, and improvement of Arctic residents’ lives, but there seems to be no consideration for the lives of minority residents whose native culture is destroyed by Arctic development. Considering the attitude of the Russian people and the government toward the Arctic indigenous minorities, the implementation of this policy is expected to further accelerate the demographic decline and the dissolution or destruction of the ethnic culture of the Arctic. 본 논문은 러시아에서 발행되는 뉴스를 분석하여 러시아 국민 및 정부가 북극에 거주하는 소수민족들에 대한 생각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뉴스기사 텍스트마이닝 기법에서 R 소프트웨어의 TM 패키지를 이용하였으며, 내용 분석을 위하여 단어 빈도수(워드클라우드 제시) 분석, 단어 간의 네트워크 분석, 상관분석(Correlation Analysis), 엔그램(n-gram, 바이그램 및 트라이그램) 분석 방법 등으로 ‘북극 및 민족’으로 검색된 ‘타스 통신사’ 뉴스 기사 텍스트 본문을 분석하여 기사 내용의 본질적인 의도를 추론하였다. 분석결과 북극토착소수민족 단어들의 상관도는 북극개발 프로젝트에 비하면 매우 낮은 수준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로 볼 때 전체 기사의 핵심 키워드는 ‘러시아 북극지역 사회경제적 개발’ 및 ‘북극지역 소수민족 언어 권리’이며, 전체 텍스트 문맥상 북극의 소수민족 문제는 러시아의 북극개발 과정에 있어 아주 작은 부분에 지나지 않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북극토착소수민족들에 대한 러시아 국민 및 정부의 태도를 감안하면, 이러한 정책시행으로 북극에 거주하는 토착소수민족들의 인구감소 및 민족문화의 해체나 소멸이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 KCI등재

        인도의 북극정책: 러시아와의 협력 가능성과 문제점

        이은선,김정훈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3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7 No.1

        The Arctic is changing to a region of reflection on the international order amid the disruption of Arctic Exceptionalism caused by the Ukraine-Russia crisis and Finland's and Sweden's accession to NATO and the freeze of the Arctic Council. The Arctic is now splitted into two halves, with an “the A7 of Western state”(Canada, Denmark, Finland, Iceland, Norway, Sweden, and the US), on one side, a "Non-Western states" of Russia, China and India. In particula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is paying attention to India-Russia relations. India unveiled its first Arctic policy, ‘India and the Arctic: building a partnership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olicy embodied India's approach in various fields encompassing economics and diplomacy, and lays down five missions and six pillars focusing on 'scientific and environmental research', 'economic and human development', and 'international cooperation'. It implies India's growing awareness and increasing interest in the Arctic region. Furthermore, India seeks to expand its engagement and influence power in this region. Regarding India's growing involvement in the Arctic, Russia is seeking to enhance ties and cooperation with India amid the recent deterioration of relations with the Western State and the expansion of China's influence. In this context, this paper analyzes the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to further cooperation between India and Russia in the Arctic geopolitics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the Korean government to establish strategies for the New era in the Arctic region. 2022년 우크라이나 전쟁, 핀란드와 스웨덴의 NATO 가입 시도로 기인한 북극이사회의 동결은 국제정치와 북극지정학 간의 경계를 무너뜨리며 예외적인 공간이었던 북극지역에서 새로운 협력 구도의 형성을 야기했다. 러시아를 제외한 북극이사회 7개국, 러시아와 중국, 인도의 비서방국 협력 구도가 형성되고 있는 와중에 최근 국제사회가 주목하고 있는 것은 북극 지역의 신흥 참여국인 인도와 러시아아의 북극 협력 발전 가능성이다. 옵서버 국가인 인도는 지난해 3월 첫 정책 문서 「인도의 북극 정책: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파트너쉽 수립(India’s Arctic Policy: Building a Partnership for Sustainable Development)」을 발표했다. 해당 정책에서 인도는 과학·환경연구, 경제 및 인적 개발, 국제 협력 등 세 가지 범주에 초점을 맞춘 5대 목표와 6대 기둥을 선정하여 경제 및 외교 분야를 망라하는 광범위한 활동과 이니셔티브를 제시했다. 북극에 대한 비전과 접근방식을 공식화하며 이해관계를 드러냈다는 것은 북극권에서의 인도의 참여와 역할이 확대될 것임을 시사한다. 한편 러시아는 서방과의 대립 심화, 중국의 영향력 확대에 대응하기 위해 대러 관계에서 실용주의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는 인도와의 북극 협력을 적극 추진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에 본고는 북극질서의 새로운 축인 인도-러시아 관계에 주목하여 두 국가의 전략적 이해관계가 일치하는 분야로 ‘에너지’, ‘북극항로’, ‘과학연구’, ‘원주민 사회’를 제시하고 향후 협력 발전 가능성과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시도했다. 아울러 인도와 러시아의 협력 관계를 조망함으로써 변화하는 북극공간에서 한국이 취해야 할 접근방식과 새로운 진출 전략 수립을 위한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했다.

      • KCI등재

        중국의 북극 진출 정책과일대일로 ‘빙상 실크로드’ 전략의 내용 및 함의

        표나리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8 중소연구 Vol.42 No.2

        Since China pronounced on “Polar Silk Road” idea on July 2017, China’s long-standing attention on Arctic was finally unveiled. After that, China again published a white paper titled “China’s Arctic Policy” which formulates China’s strategy of Arctic drilling. As its hands strike with Russia, China took a stable step for a ‘non-Arctic state’ to engage in competition on Arctic. China’s Arctic drilling was not a simple conception to follow the global trend, but a deliberate strategy made by researches and non-disclosure investigations over a long period of time. China unveiled its Arctic policy only several months ago, but the biggest project of “One Belt One Road” from 2013 is “Yamal megaproject” on Arctic, Silk Road fund already put 1400 million USD or more into the project. This performance shows the significance of Arctic drilling on “One Belt One Road” strategy. However China has no geopolitical asset on Arctic, it has a radical limit that China can be involved Arctic issue only from cooperations with Arctic states. Moreover Arctic got no international organization or related act which has strong binding force, 5 major Arctic states has undergone in arguments and disagreement for the benefits of each. In these circumstances, China’s participation is an unwelcome situation to all. Even China claims that “should ensure that the benefits are shared by both Arctic and non-Arctic States”, but the reality is that how well China minimize negative publicity around the Arctic States will shape China’s success or failure in the Arctic. This paper first summarizes the process of China’s participation in the Arctic from 1925 to 2018; and presents the background and meaning of legislation on China’s Arctic policy; then examines relations between China and its partner states(or potential partners). From this, paper shall dwell on the meaning of China’s Arctic drilling and an opportunity for Korea to extend its New Northern policy. 2017년 7월 ‘빙상 실크로드’의 발표와 함께 중국의 북극 진출에 대한 진출이 가시화된 이후, 2018년 1월 26일 국무원 명의의 『중국의 북극정책 백서』가 발간되면서 중국의 북극 개발 전략이 공식화되었다. 중국은 러시아와 북극 개발 협력을 약속함으로써 북극에 지정학적 자산이 없는 국가치고는 안정적으로 북극을 둘러싼 경쟁에 참여하게 되었다. 중국의 북극개발은 단순히 국제 사회의 트렌드를 좇기 위해 제시된 것이 아니라 오랜 기간의 연구와 비공개 조사의 결과물로서 공개된 정책이다. 중국이 對북극 정책을 가시화한 것이 불과 수개월 전임에도 2013년부터 추진해온 일대일로 전략의 출범 이후 가장 큰 규모의 사업이 야말 에너지 프로젝트이고, 실크로드 기금에서 이미 14억 달러 이상의 자금이 투입된 사실은 일대일로 전략에서 북극 개발이 차지하는 위치를 가늠케 한다. 그러나 중국은 결국 북극 관련 국가들과의 대외 협력을 통해서만 개발과 참여가 가능하다는 근본적 한계를 안고 있다. 더욱이 북극은 조약이나 강력한 구속력을 행사할 국제법 기관 및 국제 정치 기구가 부재하는 지역으로서, 북극해 연안 5개국이 각자의권익 추구를 위한 논쟁과 대립을 거듭하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중국의 참여는 북극 국가들 모두에게 그다지 반갑지 않은 일이다. 중국은 북극의 이익에 대해 “전 세계가 공유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지만, 현실적으로는 북극 국가들의 중국에 대한 부정적 여론을 얼마나 극복하느냐가 결국 참여의 가부를 결정짓는 잣대가 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1925년부터 2018년까지 중국이 북극 사무에 참여하는 과정을 총체적으로 살펴보고, 북극 진출의 정책화 배경과 의의, 그리고 중국과 중국의 협력국(혹은 잠재적 협력국) 간의 관계에 대해서도 살펴본다. 이를 통해 중국의 북극 진출이 갖는 의미와 함께 우리의 역할 및 북방 진출의 기회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고자 한다.

      • KCI등재

        한·중·일의 북극 전략과 협력 거버넌스의 구축 필요성

        박영민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5 중소연구 Vol.39 No.1

        21세기 이후 지구 온난화로 인한 북극권 환경변화가 심화되면서 북극권은 국제적 ‘위기’와 ‘이해’의 장으로 변모하고 있다. 북극의 해빙은 장기적으로 지구적 생태계 변화를 초래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어 글로벌 위기요인이 되고 있다. 반면 북극항로의 상용화, 북극권 자원개발에 따른 기회요인을 창출한다. 따라서 북극권변화는 ‘협력’과 ‘이익’이 병존하는 북극정치(arctic politics)를 수립하게 될 것으로전망되고 있다. 이러한 북극 딜레마(arctic dilemma)는 국가들 간의 전략적 태도와대응 방식에 따라 국제정치적 역학관계로 치환될 수 있다. 그 동안 북극 의제는북극 이사회(Arctic Council)가 주도해 왔다. 그러나 최근 ‘지속 가능한 개발’ 문제가 대두되면서 북극 거버넌스(arctic governance)의 변화 가능성이 감지되고 있다. 북극권 변화는 동북아 지역질서 변화에도 영향을 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동북아국가들에게 북극 해빙은 기존의 인도양과 수에즈 운하를 통과하는 남방항로에 새로운 물류회랑(logistic corridor)이 출현하게 됨을 의미한다. 이는 자원수송에 따른높은 비용 지불, 즉 아시아 프리미엄(Asian premium)을 해소시키는 편익을 제공하게 된다. 2013년 한․중․일은 북극이사회 정식 옵서버(permanent observer) 지위를 부여받은 이후 북극 거버넌스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있으며, 쇄빙선 건조와북극항로 항행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본 연구는 한․중․일이 향후 북극 해빙에따른 새로운 항로 및 자원개발 과정에서 협력적 제도화를 이룰 수 있을 것인지를 검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한․중․일보완한 것임.성, 그리고 과제를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는 한․중․일 사이의 북극 협력을 제도화 하는 조건으로서 세 가지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한․중․일 간의 북극권 정보 공유 및연구협력과 연구용 쇄빙선의 공동 활용이다. 둘째, 북극 글로벌 거버넌스에서 협력의제를 발굴하여 공동 제안하는 동시에 지역적 거버넌스 형성을 위한 협력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 셋째, 북극 연안국들의 국내 입법 과정에 대한 모니터링을 강화해공동으로 대응해 나가야 한다. As the environment changes in the Arctic Circle have become intensified due to global warming since 21st century, the Arctic Circle has become the global center of crisis and understanding. It is expected that the thawing of the Arctic will cause ecosystem changes throughout the globe and become a factor of global crisis in the long term. It also creates opportunity factors according to the commercialization of North Pole Route and the resource development in the Arctic. Therefore, it is predicted that the changes in the Arctic Circle will lead to the establishment of arctic politics with coexistence of cooperation and profit. Such arctic dilemma may be displaced with the dynamics of international politics between countries according to the strategic attitudes and response method of countries. Meanwhile, the Arctic Council has been taking the lead in the Arctic agenda. Due to the recent issue of sustainable development, the possibility of change in arctic governance is being detected. It is predicted that the changes in the Arctic Circle will also influence a change of regional order in Northeast Asia. The thawing of the Arctic means the appearance of new logistic corridor on the southern route which passes the previous Indian Ocean and the Suez Canal to Northeast Asian countries. This provides the benefit to resolve the problem to pay high costs for transporting resource, in other words, the payment of Asian premium. In 2013, three countries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are actively participating in the arctic governance since receiving the position of permanent observer on the Arctic Council as well as competitively conducting the construction of icebreaker and sailing of North Pole Route.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ree countries including Korea, China and Japan can conclude the cooperative institutionalization in the development process of new route and resources according to the thawing of the Arctic in future or not. For this, the policies of three countries regarding the Arctic are examined and the conditions, possibility and tasks for the establishment of arctic governance in Northeast Asia are searched. In this study, three tasks are presented as conditions for the institutionalization of cooperation between three countries regarding the Arctic as follows: The first task is to share information on the Arctic Circle and utilize icebreaker for research jointly between three countries. The second task is to find and propose cooperative agenda in the global arctic governance jointly and seek the cooperation for establishing regional governance. The third task is to reinforce monitoring legislation process of coastal states in the Arctic and take responses jointly.

      • KCI등재

        러시아의 북극전략: 북극항로와 시베리아 거점항만 개발을 중심으로

        예병환,배규성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16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0 No.1

        Recently, the Arctic emerged as an internationally important pivot area. As the melting of Arctic glaciers and sea ices due to climate change and global warming have opened new routes, and it became easier to develop rich energy and mineral resources of the seabed of coastal areas, the conflicts of national interests, such as military, political, security, economic,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interests among the Arctic coastal and non-coastal countries were inevitable. Now, the Arctic Ocean has become hot. Ironically, Russia to which nearly half the land area of the Arctic Circle and more than 40% of the Arctic coastline belongs, was the first nation that triggered international competition on the Arctic. A Russian expedition deposited a titanium Russian flag on the seabed at the North Pole on 2 August 2007 and Since 2008, Russia has adapted a national security strategy for the Arctic. Russia’s first and foremost interests in the Arctic are commercial interests. Russia’s written strategy for the Arctic is basically based on, altogether, five documents. On the highest level and as a kind of vision setting, lies 「the Russian Federation’ 2009 Strategy for National Security Up to 2020」. As more detailed planning and implementation, though it is still on overall level, there are 「the Energy Ministry’ 2009 Energy Strategy Of Russia For The Period Up To 2030」and「the Transport Ministry’ Transport Strategy Of the Russian Federation Up to 2030」. On the basic level, lies the influential Russian national Security Council’s strategy from 2009, 「Foundation of the State Politics of the Russian Federation on the Arctic for 2020 and in the Longer Perspective」which links development in the Arctic with Russia’ national security. Both strategies show the general lines and interests rather than specific strategies for reaching the goals. On the most detailed level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Russian seaports and its infrastructure in the Arctic, lies the Ministry of Transport's 「the Russian Federation' Strategy for Seaports Infrastructure Development up to 2030」. Ultimately, the strategic imperative for the Russian Arctic policy is to guarantee Russia’ position as an energy superpower. In the Arctic strategy, the ultimate goal is to make the Arctic area of the Russian Federation as a strategic resource base. The Russian national interests in the Arctic can be defined as follows. Firstly, to use the natural, primarily oil and gas, resources in the region, to promote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Secondly, to maintain the Arctic as one of peace and cooperation, Thirdly, to preserve the unique ecological and environmental systems of the Arctic, Fourthly, and last, to have the northern sea route recognized as a national transportation route and to develop international ship traffic route. For all these goals, and from the practical point of view, Seaports Infrastructure Development is very important. 최근 북극이 국제적으로 중요한 지역으로 떠올랐다. 기후변화와 지구온난화로 북극권의 빙하와 해빙이 녹자 새로운 항로가 열리고, 연안지역의 풍부한 해저 에너지 및 광물자원의 개발이 용이해짐에 따라 북극권을 둘러싼 국가들 간의 정치적 군사안보적 경제적 생태․환경적 이해관계가 충돌하게 되고, 북극해는 뜨거운 바다가 되었다. 아이러니컬하게도, 북극권의 경쟁을 촉발한 국가는 북극권 육지면적의 40% 이상과 북극권 해안선의 거의 반을 차지한 바로 러시아였다. 2007년 8월 2일 러시아의 심해 잠수정 미르Mir가 핵추진 쇄빙선 로시아(Rossiya)와 해양연구선 아카데믹 페도로프(Akademik Federov)의 지원을 받아 해저 4,300미터의 북극점(the North Pole)에 티타늄으로 만든 러시아의 국기를 심었다. 러시아는 2008년 이래 국가안보전략(national security strategy)에 북극을 포함했다. 북극에서의 러시아의 최우선 관심사는 상업적 이해관계(commercial interests)였다. 러시아는 북극해 연안국들 중 가장 긴 해안선을 가지고 있고, 이들 해안은 가까운 미래에 연중 더 많은 기간 동안 선박통행(ship traffic)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그리고 지금까지 접근이 불가능했던 연안지역의 개발 가능성이 높은 자원을 이용할 수 있다는 기대가 커지고 있다. 문서화된 러시아의 북극전략은 총 5개의 문건, 즉, 최고위 수준에서, 비전설정의 의미를 지닌 그리고 장기적인 관점에서 북극개발과 러시아의 국가안보를 연결하고 있는 2009년 러시아 국가안보회의의「러시아연방 국가안보전략 2020」, 그리고 여전히 모호하긴 하지만, 좀 더 구체적인 계획과 실행의 일반적인 노선과 이해관계를 보여주는 같은 해 러시아 연방정부 에너지부의「러시아 에너지전략 2030」과 2008년 러시아 교통부의「러시아 교통전략 2030」, 그리고 가장 기본적인 계획으로서 러시아 국가안보회의의 2009년 「러시아연방 북극정책 기초 2020과 장기전망」, 그리고 러시아의 해운항만 및 인프라 개발과 관련된 구체적인 전략으로서 러시아 교통부의 2010년 「러시아 해운항만 인프라 개발 전략 2030」에 기초해 있다. 전반적으로 보면, 러시아의 북극전략의 전략적 명령은 에너지 초강대국(energy superpower)으로서의 러시아의 지위를 보장하는 것이다. 따라서 러시아의 북극전략에서 북극에서의 러시아의 궁극적인 정책목표는 러시아의 북극지역을 전략적 자원기지(strategic resource base)로 활용하는 것이라는 점은 명백하다. 북극에서의 러시아의 국가이익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첫째, 러시아의 경제개발을 위해 이 지역의 천연자원, 주로 석유와 가스를 활용하는 것, 둘째, 북극을 평화와 협력(peace and cooperation) 지대로 유지하는 것, 셋째, 북극의 독특한 생태학적 시스템을 보존하는 것, 넷째, 북방항로(Northern Sea Route)를 러시아의 국내 수송루트(national transportation route)로 인정받고, 국제적인 해운 항로로 발전시키는 것이다.

      • KCI등재

        러시아 북극지역의 안보환경과 북극군사력의 성격

        이영형 ( Lee Yeoung Hyeong ),박상신 ( Park Sang Shin ) 배재대학교 한국-시베리아센터 2020 한국시베리아연구 Vol.24 No.1

        본 논문은 러시아의 북극정책과 북극군사력이 갖는 의미를 밝히고 있다. 지구 온난화 현상으로 인해 북극해를 통한 인적 및 물적 교류가 가능해지게 되면서 러시아는 다양한 형태의 안보문제에 고민하기 시작했다. 전통적인 군사안보 문제에 더해, 인적 및 물적 교류가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지면서 나타나는 다양한 형태의 비정치적인 안보문제에 대응해야 만 했다. 러시아가 북극개발정책을 본격화하면서, 북극지역 안보를 위해 북극지역 군사력 강화조치를 취하면서 국제적으로 커다란 반항의 기운이 감돌기 시작했다. 러시아 북극전략들 중에서 북극지역 군사력 증강 문제가 가장 논란의 여지가 많은 분야이다. 러시아의 북극전략을 설명할 때, 가장 많이 논의되는 주제이기도 하다. 러시아의 북극군사력 증강 움직임은 낙후된 시설복구와 방어용 전력 배치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러시아의 북극군사력 증강 움직임은 군사안보 영역보다 경제안보 영역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면서 추진되고 있다. 북극군사력은 북극권 국가들 간의 공존과 협력을 위해 개방되고 있다. 러시아의 북극정책은 북극지역에서의 국제경제협력을 지원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paper clarifies the meaning of Russian Arctic policy and Arctic military power. As global warming has enabled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through the Arctic Ocean, Russia has begun to worry about various forms of security. In addition to traditional military security issues, they had to cope with various forms of non-political security issues that emerged as conditions for human and material exchanges were created. As Russia pushed ahead with its Arctic development policies, a great deal of rebellion began to emerge as the Arctic forces stepped up to secure Arctic security. Arctic military policy is the most controversial area of Russian Arctic strategies. It is also the most discussed topic when explaining Russia’s Arctic strategy. Russia’s Arctic force buildup focuses on the recovery of outdated facilities and deployment of defensive power. Russia’s Arctic force buildup is being driven by a greater focus on economic security than on military security. Arctic military power is being used for coexistence and cooperation among Arctic countries. Russia’s Arctic policy is moving towards supporting international economic cooperation in the Arctic.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