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육사와 청마 시에 나타난 아나키즘 연구

        민명자(Min Myung-ja) 한국비평문학회 2008 批評文學 Vol.- No.29

        Anarchistic thinking comes to rise into the surface of a society that looks for a new form of society because ideas on anarchism are based on 'freedom, autonomy and nature." Anarchism has had a negative meaning that implies an ideology that deny the government ruling entity but authentic meaning of anarchism aims at autonomous mutual assistant community based on absolute freedom for harmony with nature. Anarchism challenges political power structure and inequality that oppress these ideas. Anarchism that was introduced to South Korea through China and Japan in 1880 faces Japanese colonial era. For Korean who were under the Japanese imperialism, anarchism means subversion of colonial power and justifies anti-imperial fight by defining imperialism as the original oppressive power. That is, anarchism endows justification of resistance as an exit of national liberation. This paper examines how these characteristics of anarchism are reflected in literature, specifically in poems of Yuksa Lee Wonrok and Cheongma Yu Chihwoan. This paper discusses Yuksa's 36 poems that he left for his very short time of life after he died in 1944 at the age of 41 as well as Cheongma's poems that were published before 1950's. Yuksa and Cheongma both write about humans' absolute freedom that is one of the core points of anarchism. While Yuksa's poems are more close to socialistic anarchism, Cheongma's to individualistic anarchism. The former expresses revolutionary spirit, will, realistic criticism, resistant spirit, and construction of an ideal world that people can help each other as subjects. Meanwhile, the latter delineates primitive community based on original freedom by self-observation, Wu-wei and honest poverty and love of life. Yuksa's mutual assistant community are based on freedom and autonomy and Cheongma's primitive community, human's nature and wild freedom. The way of Yuksa that challenge the power is described as a situation that he stands on 'a blade of a sword' in frozen soil like 'needle ice' and Cheongma's is "silence' through self-examination of 'compassion.' The two poets show difference viewpoints on the world and freedom, which is related to their autobiographical facts. Yuksa, as a member of Geukwuhooe that is a Japanese anarchist group mainly resisted Japanese government in China and arguing that 'for him, only actions are meaningful,' he appreciated revolutionary spirit very much. Cheongma accepts anarchism when he studied in Japan and are influenced by individualistic anarchism, which puts individuals over a group. Generally, poets who advocate anarchism exclude symbolism and use everyday language to describe the reality as it is because in terms of principles of anarchism, for poets to hide their intentions on purpose by using symbols means creating another authority. However, since poems and metaphors are under unseparable relationship, it is impossible to read poems on anarchism without realizing symbols and metaphors. The two poets's poems partially express direct tendency but overall, use symbols and metaphors in many lines, which provides aesthetical success to them. This study has a limitation that it focuses on Cheongma's poems that were written before 1950's, so it does not examine his poetic change afterwards. I will do this in a later study.

      • KCI등재

        이육사의 사상적 실천 의지와 시적(詩的) 아나키

        조동범 한국비평문학회 2023 批評文學 Vol.- No.87

        Lee, Yuk―Sa is widely known as a nationalist literary man and also an independence activist. However, his anarchistic activities have not been fully known. Even though there are some researches on the anarchistic characteristics of Lee, Yuk―Sa’s poetry, his poetry has been just known as nationalism literature in the literary world and the site of education. Of course, certainly, Lee, Yuk―Sa’s life and poetry hold onto the nationalism. However, when Lee, Yuk―Sa’s poetry was interpreted only in the nationalistic perspective based on the resistance, the possibility of other interpretations was declined. The close connection between Lee, Yuk―Sa’s life and anarchism is the empirical fact that has been widely known without objections. Even though the relation between Lee, Yuk―Sa’s life and anarchism has been historically recognized, his life as an anarchist has not been specially noticed. As Lee, Yuk―Sa’s life was in the spotlight in the perspective of nationalism, Lee, Yuk―Sa became widely known as a nationalist poet. The general public’s awareness of Lee, Yuk―Sa’s anarchistic activities is very insignificant. However, the fact that Lee, Yuk―Sa joined the Heuguhoe when he was studying in Japan, or that fact that he participated in the independence movement as a member of heroic corps proves that he had a deep self―consciousness as an anarchist. In Lee, Yuk―Sa’s life, the anarchism was not fully highlighted because of the destiny of anarchism that disappeared in the history. The anarchism refusing the systematic organization gradually lost its power and then disappeared in the history, which is led to the evaluation of Lee, Yuk―Sa in the perspective of nationalism, instead of anarchism. Due to the declined anarchism, the Korean history of anarchistic independence movement has been reduced than the reality. However, the Korean anarchism and the Korean history of anarchistic independence movement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nd the liberated space, had the considerably wide base and competence.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a lot of intellectuals and writers worked as anarchists and anarchist literary men by sympathizing with the anarchism and anarchism literature. Therefore, the fact that Lee, Yuk―Sa devoted himself to the anarchism is important in relation to the independence movement and national consciousness. It was extremely natural for Lee, Yuk―Sa who took the anarchism as the ideological basis to contain his desire for independence in his works. Therefore, Lee, Yuk―Sa’s longing and will for liberty should be interpreted in the perspective of anarchism. 이육사는 민족주의 문학인이자 독립운동가로 널리 알려졌다. 그가 아나키즘과 관련하여 사상적 실천 의지를 드러냈음에도 불구하고 이 부분에 대한 연구는 미흡했다. 아나키즘을 토대로 한 문학적 지향 의지에 대한 연구 역시 다르지 않다. 오히려 아나키즘 문학의 관점은 철저히 배제되었다. 이육사 시의 아나키즘적 특성에 관한 일부 연구 성과가 있지만 이육사의 시는 그동안 문학계, 교육현장, 학계 등을 가릴 것 없이 대부분 민족주의 문학의 입장에서 다루어졌다. 이육사의 시를 저항을 기반으로 한 민족주의적 관점으로만 해석함으로써 아나키즘을 비롯한 다른 관점은 철저히 배제되었다. 이육사의 생애와 아나키즘이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는 것은 실증적으로 잘 알려진 사실이며 이견이 없다. 하지만 이육사의 삶과 아나키즘의 관계가 역사적으로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육사의 아나키스트로서의 생애는 특별한 주목을 받지 못했다. 이육사의 아나키스트 활동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인식은 매우 미약하다. 하지만 이육사가 일본 유학 시절 흑우회에 가입하여 활동한 것이나 의열단 단원으로 독립운동에 가담한 것은 아나키스트로서의 자의식이 깊었다는 것을 방증한다. 하지만 이육사의 생애는 민족주의의 관점에서 집중적인 조명을 받았다. 또한 이육사 시에 대한 한국 문단의 입장 역시 마찬가지여서, 이육사는 민족주의 계열의 대표적 시인으로 한국문학사에 각인되었다. 이육사의 생애에서 아나키즘이 제대로 조명받지 못한 것은 역사 속으로 사라진 아나키즘의 운명 때문이었다. 아나키즘은 일제강점기 독립운동사를 비롯한 사회 전반에 상당한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지만 마르크시즘, 민족주의 진영과의 대결에서 패배한 뒤 급속이 세력이 약화되었다. 더구나 아나키즘은 조직을 거부하고 무강권주의를 주창하는 등 일반적인 진영의 세력화와 배치되는 입장을 지니고 있기도 했다. 이런 이유로 인해 해방 이후 1950~60년대까지 명백을 유지하던 아나키즘은 사실상 사라지게 되었다. 아나키즘 문학의 운명 역시 아나키즘과 다르지 않았다. 일제강점기 많은 작가, 지식인에게 반향을 불러일으켰지만 마르크시즘 문학 진영, 민족주의 문학 진영의 공격을 받으며 한국문학사에 간단히 언급되는 수준으로 전락했다. 마르크시즘 문학 진영으로부터는 당파성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받았으며, 민족주의 문학 진영으로부터는 몽상가라는 비난받았다. 물론 이것은 아나키즘과 아나키즘 문학에 대한 몰이해 때문이었다. 더구나 해방 이후 아나키즘 문학 진영에 속한 작가들의 작품이 타 진영으로 한국문학사에 소개되는 경우가 있었다. 이육사의 생애와 문학 역시 아나키즘, 아나키즘 문학이 아닌 민족주의, 민족주의 문학으로 분류된다. 하지만 일제강점기와 해방공간의 한국 아나키즘과 한국 아나키즘 독립운동사는 상당히 넓은 저변과 역량을 가지고 있었다. 일제강점기 상당수의 지식인과 작가가 아나키즘과 아나키즘 문학에 동조하여 아나키스트와 아나키즘 문학인으로 활동했다. 따라서 이육사가 아나키즘에 투신했다는 것은 독립운동, 민족의식과 관련하여 중요한 사실이다. 아나키즘을 사상적 기반으로 삼았던 이육사가 해방에 대한 열망을 담아 아나키즘에 입각한 작품을 쓴 것은 지극히 자연스러운 것이다. 따라서 이육사의 작품에 나타난 해방에의 갈망과 의지는 아나키즘의 관점으로 해석...

      • KCI등재

        한국형 아나키즘과 아나키스트 사회이론: 사회학자 김성국의 아나키즘 택용과 재구성의 궤적

        김영범 한국이론사회학회 2012 사회와 이론 Vol.21 No.-

        Sociology or social theory has been in far distance from anarchism with no encounter for a long time. And yet, at the end of 1980s, Kim Seung Kuk, a Korean sociologist, found that anarchism would become enough an ideological alternative promising a radicalization both of the civil society theory and of the civil movement, and was more and more fascinated with the indefinite possibility of anarchism. Such a finding and belief compelled him to stand thereafter in the forefront of theoretical flag-bearers for revival of anarchism. As a result of that positioning, he eventually came to make up the category of “postmodern anarchist social theory”, by grafting postmodern social epistemology and the Laoism on the modern type of western anarchism. Taking notice of this point, the author in this paper traces and investigates the overall path from Kim’s entrance into anarchism to innovative reconstruction via selective acceptance of it, as well as the trajectory of the related discursive practices. In addition, he tries to extract and examine the achievements and significances of those steps. Kim’s thought which had started from the theoretical scheme of “civil society against state” was being oriented to the maximization of individual liberty rather than of social equality. However, he attempted to combine liberalism and anarchism(especially, anarcho-communism) on the purpose of overcoming the limits of the former, which gave birth to the idea of libertarianism. On the basis of that idea, he could construct the theory of “libertarian communal society” which might get over the general limits of communitarianism. Also the “social lifestyle anarchism” was presented by him as a product of hybridization intended to an articulative compatibility of the two anarchisms of contrary tendencies. Through such a chain of processes, he succeeded not in simple acceptance but in creative reinterpret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archism, which resulted in making of Kim Seung Kuk’s, or his style of, anarchism, sufficient to be called “the fourth way”. The anarchist Kim Seung Kuk’s spirit of “creative destruction” was throughly displayed also by unique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equivalent to overturning of the common view, of some of the late Korean anarchists and that tradition. At the same time, this work also carried a meaning of advancing bravely to a creation of a Korean model of anarchism. Without stopping there, Kim attempted to construct a new social theory pivoted both on the principle of hybridization and on the logic of minimization, by fusing the postmodernist social cognition with the East and West anarchist logic, the outcome of which was realized as the theory of post-power minimal state. After all, we can say that the trajectory of Kim’s adoption and reconstruction of anarchism was a sort of making of own theory of the Korean sociology. 오랫동안 사회학 또는 사회이론과 아나키즘은 먼 거리에 있어왔다. 그런데 1980년대 말에 사회학자 김성국이 시민사회론‧시민운동의 급진화를 위한 이념적 대안의 하나로 아나키즘을 발견하고, 그것의 무한한 가능성에 점점 매료되어 아나키즘 재흥의 이론적 기수로서 최선두에 섰다. 그리고 근래에는 탈근대적 사회인식론과 노자사상을 서구 근대의 아나키즘에 접목시킴에 의해 ‘탈근대 아나키스트 사회이론’ 범주를 구성하기에 이르렀다. 이 점에 주목하여 이 글에서는 김성국의 아나키즘 입문에서 선택적 수용과 혁신적 재구성까지의 전반적 행보, 그것과 관련되는 담론적 실천의 궤적을 추적하여 살펴보고, 그 성과와 의의들도 추출하여 검토해보고 있다. ‘국가 대 시민사회’의 구도로부터 출발했던 김성국의 이론적 사고는 평등보다 자유의 극대화로 지향되고 있었다. 그러나 자유주의의 한계는 극복되어야 했기에 그것과 아나키즘(특히 아나르코 코뮤니즘)과의 결합을 꾀하였고, 그로부터 자유해방주의 이념을 생성시켰다. 그리고 다시 그것에 터하여, 공동체주의의 일반적 한계를 넘어서는 자유공동체 사회론을 구축할 수 있었다. ‘사회적 생활양식 아나키즘’ 역시, 상반되는 경향의 두 가지 아나키즘을 접합-양립시키는 의도적 잡종화의 산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그는 서구 아나키즘의 단순 수용이 아닌, 창조적 재해석과 변용에 성공하였고, 그 결과는 ‘제4의 길’로서의 김성국식/의 아나키즘 제조였다. 아나키스트 김성국의 ‘창조적 파괴’ 정신은 한국의 유명 아나키스트들과 아나키즘 전통에 대한 통설을 전복시키는 독창적 해석과 평가로도 발휘되었다. 그것은 한국형 아나키즘의 창출로 용진한다는 의미도 띠었다. 거기서 멈추지 않고 김성국은 탈근대적 사회인식과 동‧서양 아나키즘의 논리를 융합시킴에 의해 잡종화 원리와 최소화 논리를 기축으로 하는 새로운 이론 구성을 시도하였다. 그 성과는 일단 ‘탈권력 최소 국가론’으로 나타났다. 결국 김성국의 아나키즘 택용과 재구성의 궤적은 한국 사회학의 자기 이론 만들기로 수렴되는 성질의 것이기도 했다.

      • KCI등재

        유치환의 정치적 실천 의지와 시적(詩的) 아나키 - 유치환 시의 사상적, 정치적 근거와 아나키스트로서의 생애 연구 -

        조동범 ( Cho Dong-beom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7

        이 논문은 그동안 알려진 바 없는 유치환의 생애와 사상적, 정치적 면모를 새롭게 발굴하여, 유치환 시의 이론적 근거와 새로운 시적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그동안 아나키스트로서 유치환의 생애와 문학에 대한 연구는 명확한 근거를 제시하지 못함으로써 논의를 확장시키지 못했다. 본 논문은 단주 유림이 주도하여 창당한 독립노농당과 유치환 사이의 관계 등을 밝힘으로써, 유치환의 생애와 문학에 나타난 아나키즘적 특성을 파악하고자 했다. 또한 유치환이 교장으로 재직한 바 있는 안의중학교의 설립배경 등 그동안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사실을 밝힘으로써, 유치환의 아나키스트로서의 자의식을 실증적으로 제시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새로운 사실을 통해 유치환의 시를 아나키즘적 관점에서 파악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게 된다. 아울러 아나키즘과 관련한 기존 연구의 불명확한 부분과 오류를 수정할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하게 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처음 밝혀지는 유치환의 생애적, 역사적 증거를 통해, 유치환 시의 친일 논쟁은 새로운 국면과 마주하게 된다. 유치환은 아나키즘을 단순한 관심 차원에서 피상적으로 인식하거나 받아들인 것이 아니라, 현실 정치와의 연계를 통해 아나키스트로서의 자의식을 확고하게 드러낸 시인이었다. 따라서 유치환 시에 대한 연구는 보다 확실한 근거를 통해 아나키즘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 이유는 유치환의 작품을 아나키즘 시로 분석하느냐 아니냐에 따라 그 의미와 가치 등이 전혀 다르게 파악될 수 있기 때문이다. 유치환은 아나키스트로서 확고한 사상적, 정치적 입장을 지니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유치진, 유치상 등의 형제들과 함께 아나키즘 현실 정당인 독립노농당의 당원으로 활동하기도 했다. 독립노농당은 단주 유림이 주도하여 창당한 정당으로, 아나키즘을 현실 사회에 실현시키고자 했던 실천적인 아나키즘 현실 정당이었다. 또한 유치환은 단주 유림과 하기락 등을 비롯한 당대의 아나키스트들과도 긴밀하게 교류했으며, 앞에서도 언급한 바처럼 아나키스트들이 주축이 되어 설립한, 아나키즘을 중요한 교육 이념으로 삼았던 안의중학교 교장으로 재직하기도 했다. 그동안 유치환 시에 대한 아나키즘적 분석이 일부 이루어져 왔지만 합당한 근거를 제시하지는 못했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실증적 증거와 주장을 통해 유치환 시의 아나키즘적 특성은 근거를 마련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아나키즘 문학은 아나키즘이 지향하는 바를 구현하고자 한다는 점에서 확고한 사상적 기반을 토대로 창작되는 경우가 많다. 아나키즘 문학은 언제나 아나키즘이 지향했던 세계와 합일에 이르는 순간을 희망한다. 아나키즘 문학에 있어서 아나키즘은 단순히 취향과 지향에 대한 문제라기보다, 사상적 신념과 실천의 장으로서 기능한다. 그런 만큼 아나키즘 문학을 파악하는 데 있어서 작가의 아나키스트로서의 실천 의지와 사상적, 정치적 입장은 작품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중요한 요소일 수밖에 없다. 그런 점에서 아나키스트로서의 유치환의 면모를 새롭게 밝히는 일은 문학사적으로 매우 중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suggests the theoretical basis and new poetic possibility of Yu Chi-hwan`s poems by discovering his life and ideological and political aspects, which have to this point not been examined. Until now, the studies on life and literature of the poet as an anarchist have been controversial because the appropriate grounds were not presented. By revea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Yu Chi-hwan and Independent Labor Peasants Party formed by Danju Yurim, this study aimed to comprehend the correlations of Yu Chi-hwan`s life and anarchism appearing in his literature. In addition, the study revealed some previously unknown facts such as the foundation background of Anui Middle School, in which he worked as a principal, so his sense of identity as an anarchist was empirically suggested. Therefore, this study will become not only a basis of understanding of his poems in a different way but also a key to correcting uncertain parts and errors of existing studies. Further, through the proof of his life and the history that this study reveals, new theories of his poems can be presented in the arguments regarding pro-Japanese. Yu didn`t recognize or accept anarchism superficially for simple interest, but firmly revealed his sense of identity as an anarchist in the connection of realistic politics. Thus, the study on his poems needs to be comprehended and suggest the correlations with anarchism through a solid basis, as the themes and meanings of poetic diction can be interpreted differently depending on whether his literature is analyzed with or without the view of anarchism. Not only did Yu have firm ideological and political positions as an anarchist, but he also acted as a member of the Independent Labor Peasants Party, the realistic party of anarchism, with Yu Chi-jin and Yu Chi-sang, his brothers. The Independent Labor Peasants Party, formed by the lead of Danju Yurim, was the practical realistic party that tried to realize anarchism in real society. Yu Chi-hwan closely interacted with anarchists of the day including Danju Yurim and Ha Gi-rak, and worked as a principal of Anui Middle School, which was founded by anarchists and whose important education ideal was anarchism, as mentioned above. The poems of Yu Chi-hwan couldn`t present proper basis despite the fact that the anarchism analysis was conducted on his poems. Through the empirical proof and argument that this study suggests, the anarchism characteristics of his poems can have basis. Anarchism literature tends to be created based on the firm ideological foundation in that it realizes what anarchism pursues. Therefore, anarchism literature always hopes for the moment of meeting the world that anarchism pursues. The anarchism in anarchism literature rather functions as the venue of firm belief and practice than the problem of simple taste and pursuit, Which is why authors` practice will and ideological, political positions as anarchists are important elements in comprehending anarchism literature. In that sense, it is important in literature history to shed new light on the aspect of Yu Chi-hwan as an anarchist.

      • KCI등재후보

        단주(旦洲) 유림(柳林)의 아나키즘과 독립운동

        김영천(Kim Young Cheon)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8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7 No.1

        유림은 아나키즘이 당대의 모순을 해석하고 미래의 전망을 제시할 수 있는가 하는 질문에 해법을 제시했던 유일한 인물이었다. 이 점이 아나키즘 진영에서 여타 아나키스트들과 유림과의 차이점이고, 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한 까닭이다. 1929년 11월 10일과 11일에 열릴 예정이었던 ‘전조선흑색사회운동자대회’가 무산되는 과정에서 1929년 11월 1일 유림은 이홍근, 최갑용 등과 함께 ‘조선공산무정부주의자연맹’을 결성하였다. 이 연맹의 결성은 최초의 전국단위 아나키즘조직으로서 운동의 고립 및 분산을 지양하고 통일적인 전선을 결성하므로써 민족주의와 공산주의 계열에 비해 조직적이지 못했던 종래의 아나키즘운동을 연대하여 고조시키겠다는 의도였다. ‘조선공산무정부주의자연맹’ 결성 후 유림은 연맹의 활동 차원에서, 독립운동 인재양성을 꾀하려고 1930년 만주 봉천에 ‘의성숙’을 설립 운영하였으며 원산지역 아나키즘운동의 활성화를 위해 노동운동에 관여하였다. 남상옥을 파견하여 ’원산청년회’를 재건시키고 아울러 ‘원산일반노동조합’을 설립하도록 하였는데 이것은 유림이 노동운동에 주목한 결과이다. ‘조선공산무정부주의자연맹’은 아나키즘운동의 가장 큰 취약점이었던 대중기반의 확보라는 차원에서 지식인들의 사상운동이나 의열활동과 대비되는 부분이다. 유림은 중국에서 활동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의 아나키즘 조직에 밀접하게 관여하였고, ‘코뮨’을 기초로 하여 ’자유연합’에 의한 체제변혁을 꾀하면서도 대중적 기반과 연계, 노동운동의 고양을 모색하였다. 운동의 궁극적 목적이 대중의 각성과 이를 통한 체제변혁에 있다면, 유림의 이러한 활동은 아나키즘운동의 질적인 발전이라고 볼 수 있다. ‘아나르코 코뮤니즘’과 더불어 ‘아나르코 생디칼리슴’과 관련지어 이해할 수 있는 유림의 아나키즘은 본인이 임시정부에 참가하는 논리와 임시정부가 연합전선을 펼치는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는 사상의 탄력성을 보여주었다. 그에 의하면 전 민족 구성원이 일치단결했던 3ㆍ1운동의 결과로 자유연합에 의한 임시정부가 수립되었으므로 성립 초기의 임시정부는 자율정부라고 볼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훗날의 임시정부는 독립운동과 괴리되어 그 성격이 변질되었으니 처음으로 되돌아가서, 특권을 배제하고 모든 혁명역량을 모으는 혁명정부가 되어야한다고 역설하였다. 각 정파가 각자의 독자성을 유지하되 연대하고(黨派合同聯異), 정부는 공동으로 구성해서 서로 책임지자(政府共戴均擔)는 자유연합에 의한 연립혁명정부여야 한다는 것이다. 어떻게 일본 제국주의라는 강제권력을 해체할 것인가라는 근본적인 질문에 유림은 노동계급을 비롯한 기층대중의 역량결집에서 그 해답을 찾았고, 아울러 교육을 통한 혁명간부 인재양성과 한중무장항일운동의 조직화가 절실하다고 보아 여기에 힘을 기울였다. 그의 일관된 논리는 전통의 바탕 위에 시대의 실정에 맞는 아나키즘의 창조와 운용이었다. 유림은 민족해방운동시기에 부단한 이론적 천착(穿鑿)과 현실에서의 치열함을 보여주었다. 그의 이러한 노력은 아나키즘을 ‘실현 가능한 이상’으로서 이해될 수 있게 한국아나키즘운동이 세계아나키즘운동사에 내놓은 빛나는 성과인 ‘독립노농당’의 창당으로 나타났다. Yu Rim (penname Danju) is the only person who offered a reasonable answer to the question, "Could anarchism adequately interpret the absurdities of the times and present perspectives on the future?" This distinguishes Yu Rim from other anarchists. As such, research work on him is in order. After learning that the All Choseon Black Socialist Conference which was scheduled for November 10 and 11, 1929, was doomed to be aborted, Yu Rim organized the Choseon Anarcho Communist Federation on November 1 of the same year, along with Yi Hong-geun and Choe Gap-yong. The Federation which was the first nationwide anarchists organization, was primarily designed to form a united front, while preventing the isolation and inactivity of anarchism. The Federation's ultimate objective was to systematically promote the anarchist movement, which was less well-organized than the entities of nationalists and communists. After organizing the Choseon Anarcho Communist Federation Yu Rim established "Euiseongsuk" in Shenyang (formerly Fengtien), Manchuria, in 1930, in a bid to train personnel devoted to national independence. Moreover, he got actively involved in the labor movement in order to advance the anarchist movement in the Wonsan area. He sent Nam Sang-ok to Wonsan to rehabilitate the "Wonsan Young Men's Association." Going further, Yu Rim set up the "Wonsan General Labor Union," reflecting his interest in the labor movement. The Choseon Anarcho Communist Federation has focused on securing the masses' support, which was the most serious shortcoming of the anarchist movement, as contrasted against intellectuals' ideology campaigns or independence activities. Although Yu Rim has spent most of his time in China, he has been deeply involved in anarchism activities in Korea. Based on "Commune," he sought to change the system by way of "freedom league." At the same time, he made efforts to stimulate the labor movement in alliance with the masses. If the ultimate purpose of anarchism was to get the masses to face up to the reality and change the system, he believed this was a qualitative progress of anarchism. Yu Rim's anarchism can be understood in the context of both "Anarcho Communism" and "Anarcho Syndicalism°∞. Yu Rim's anarchism laid a theoretical ground for his participation in the Provisional Government and its formation of a united front. At the same time, it showed his "theoretical flexibility." According to him, the Provisional Government was formed as a result of the freedom league which sprang from the March 1 independence movement that demonstrated a strong solidarity of all the Koreans. Therefore, he determined that the Provisional Government was a self-reliant entity. However, he said that the Provisional Government has changed its colors in later days, while being alienated from the independence movement. Yu Rim, in this vein, urged that the Provisional Government shed its privileges and become a revolutionary government that is committed to maximizing its revolutionary capability. He suggested that every political faction maintain its independence but be aligned. He said the Provisional Government should be participated in by all factions to establish a coalition revolutionary government, which shares responsibilities. As for the basic question, "How to dismantle the occupied power of the Japanese imperialism," Yu Rim sought to maximize the capabilities of the masses, including the labor class. In addition, he stated that it was critical to train senior revolutionary officials through education and organization of armed struggles against the Japanese imperialists in Korea and China. And he has made concerted efforts to attain these goals. His underlying theory was that anarchism should be created and implemented in light of realities, while being rooted on tradition. Indeed, he has devoted himself to the development of theory of anarchism and its realistic adoption. His efforts have transformed anarchism into

      • KCI등재

        한국 시의 아나키즘 영향과 무정부 낙원관

        송희복(Song, Hui?bog) 한국비평문학회 2012 批評文學 Vol.- No.46

        본 연구는 우리 시문학사에 끼친 사상적인 영향의 하나로 아나키즘을 우선 주목하고자 한다. 아나키스트들이 꿈꾸었던 이상 사회에 대한 동경의 관점이, 이를테면 무정부, 혼돈 등의 뜻을 머금고 있는 아나키(anarchy) 낙원의 관점이 시인의 시 작품 속에 어떻게 투영되어 있는가를 고찰하고자 하는 데 의미와 의의를 두고 있다. 권구현의 시 중에서 무정부(아나키) 낙원관이 보이는 것은 ?전원으로?라는 제목의 시이다. 오늘날 자치적으로 운영되는 ‘빌리지 코뮤니티’가 무정부 대안 사회의 모델인 것과 유사하다. 석송 김형원의 아나키즘 시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그리운 강남?을 얘기하지 않을 수 없다. 일종의 노래시라고 할 수 있는 이것은 시보다는 노래에 방점이 찍혀 있다. 여기에 공동체 삶의 이상, 민중의 대동적(大同的)인 연대의식이 잘 묘파되어 있다. 시와 노래가 하나가 되는 공명과 반향의 절대 경지이다. 아나키즘 시 운동사에서 진경에 도달한 단 한 편의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노래에서의 ‘강남’은 다름이 아니라 ‘남조선 사상’의 변형이 아닌가 한다. 신동엽의 서사시 ?금강?은 노동의 신성성과 차별 없는 무계급 사회의 건설이라는 아나키즘의 경세관과 밀접하게 관련을 맺는다. 신동엽은 동학 혁명을 통해 역사적으로 현재화될 수 있는 아나키즘 사상의 민중적인 자발성과 평등주의를 이끌어내고 있다. 아나키즘의 사상적인 영향을 입은 시인들은 대체로 동양적인 무정부 이상 사회인 소국과민(小國寡民)을 지향하고 있다. 유치환과 이윤택이 아나키즘의 사상적인 영향을 받으면서도 그 낙원의식에 있어서는 서로 대조적인 성격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테면 유치환의 ?고대용시도(古代龍市圖)?와 이윤택의 ?밀양(密陽)?에서 아나키 공동체의 낙원 의식이 알게 모르게 엿보인다. 유치환은 그림을 통해 자신의 유토피아를 찾으려 했고, 이윤택은 문화 실천의 현장에서 이를 경험하고자했던 것이다. 김수영의 시 ?풀?에서 보이는 풀의 상징성은 일종의 연성 권력이다. 억압 기구로 제도화된 국가 권력을 강성 권력이라고 한다면, 시민의 자발적인 행위로 존재하는것은 연성 권력이다. 오늘날에 있어서는 시인들이 관심을 두고 있는 것은 에코아나키즘이다. 이것은 생태 아나키즘이니, 녹색 아나키즘이라고 말해지고 있다. 생태계 파괴의 주범을 부(富)의 집중 탓으로 돌리며 탈집중화, 다양성, 자발성을 통해 생태계의 위기를 해결하려고 한다. 환경 친화적인 공동체의 실현을 위해 아나키즘과 생태시와의 연계 가능성은 앞으로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된다. Anarchism is not literary thought but social thought originally. It had a major effect on the social movement related to the 20th century and literary mode specially. In case of our country, anarchism was used as resistant spirit against Japanese colonialism. It focused on overcoming the thought of social darwinism. The poetry movement of anachism in Korea starts from Kweon guhyun and Kim hawasan. In the 1920’s, they were active. Dadaism and Decadentisme is related closely. But the level of poems in anarchism of the 1920’s did not attain a high level of aesthetics. The poetry movement of anarchism in Korea has been continued for a while after that. A song ?Nostagic Kangnam?written by Kim hyungwon which is used poem as lyrics had been popular in korean people. This song expressed the desire of liberation. An epic poem ?Keum gang? written by Sin dongyup, is reflected the thought of anarchism. There are a few poets who are related to anarchism in Korea. Ryu Chihwan among the deceased and Lee Yuntaek among all living poets are noticeable poets in modern Korea. Even though anarchism seems to be non?mainstream today, it sill attracts many poets in America and Europe. Anarchism is closely connected with ecological lyrics which can be called eco?anarchism and stimulates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our environment.

      • KCI등재

        신채호의 아나키즘에 투영된 민족 개념

        장은정(Jang Eun-jeong)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10 기전문화연구 Vol.36 No.-

        In the global multi-cultural era like these days, the national discourse is being criticized in diverse directions. We need to discuss again about which significance should be granted to nation or state and about how it should be taught at this tim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ek for significance of nation through life and thought in the character named Shin Chae-ho, who is nationalist and anarchist at the same time. Shin Chae-ho s tendency of a change in idea is contradictory and diverse in each of scholars. However, the writer analyzed by dividing his thought-based transitional route into ①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1900s~the late 1910s) ②People armed struggle period(the late 1910s~1923 in 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Joseon) ③anarchism period(1923~1936 in Patriotic martyrdom in prison), and tried to arrange a nation concept among them. In Patriotic Enlightenment Period, Shin Chae-ho s nation concept is steadily changing and developing without being fixed or exclusive. In this period, his nation concept is being emphasized as significance of a means for goal. In the People armed struggle period, Shin Chae-ho s nation concept or his ideological flow is well indicated in literary works, which were written at that time, such as morality․dream sky․Drums of heaven․the Declaration of Independence of Joseon. In this period, Shin Chae-ho gave justification to violent revolution and emphasized the mass direct revolution while saying that all the methods are entirely moral if goal is righteous. In the anarchism period, Shin Chae-ho accepted a thought subjectively, thereby having made it as anarchism of Joseon. The core in Shin Chae-ho s anarchism is terrorism and mutual aid. These concepts were the ones that are not contradictory, but supplementary. If Shin Chae-ho accepts anarchism as a means, not as a goal, what the people of a small and weak power exercise direct violence revolution toward strong enemy by mutual aid, in order for the goal, is the most ideal and ational method. This is anarchism as Shin Chae-ho-styled ism of Joseon. In the middle of anarchism, Shin Chae-ho s nation concept can be expressed as self(我).’ This ‘self(我)’ is not simply present I(我),’ but is a concept of being developed temporarily and expanded spatially. This nation is the Extension Field of independent individual-self(我)-and others. Even the nation in this sense can be developed and expanded independently or temporarily․spatially. The struggle of self(我) and non-self(非我) in this extended concept implies all the struggles with non-self(非我), which comes to be confrontational to self(我), which needs to stand against self(我) in order to seek for existence and freedom. This struggle is what is needed for the advance of human society. A nation concept, which is defined as expansion of this self(我), becomes a crossing that is commonly met Shin Chae-ho s anarchism and nationalism, which are explained as solidarity and mutualism. Therefore, Shin Chae-ho s nation, namely, self(我) is a concept of being included all the people of a small and weak power, namely, the colonial masses, who struggle for existence amid the oppression of the Great Powers of imperialism. Seeing consequently, what Shin Chae-ho had really wanted was independence of Joseon, which is oppressed. Shin Chae-ho used nationalism and anarchism as a means in order to achieve the goal called perfect independence by direct struggle of Joseon people, and advanced even to solidarity of the colonial masses by expanding mental self(我), namely, expanding scope in a nation concept in order to double the power of the masses. In this way, the solidarity, which was united for freedom of all the colonial masses, is a nation concept, which is reflected in Shin Chae-ho s anarchism. 요즘과 같은 세계화 다문화 시대에는 다양한 방면에서 민족 담론이 비판을 받고 있다. 우 리는 이러한 때 민족이나 국가에 대해 어떤 의미를 부여해야 하고 어떻게 가르쳐야 하는지 다시 논의해 볼 필요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민족주의자이자 동시에 아나키스트인 신채호라는 인물의 삶과 사상을 통해서 민족의 의미에 대한 답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신채호의 사상 변화의 경향은 학자들마다 논의가 분분하고 다양하나 필자는 그의 사상적변천 경로를 ①애국계몽시기(1900년대~1910년대 후반) ②민중무장투쟁시기(1910년대 후반~1923년 조선혁명선언) ③아나키즘시기 (1923년~1936년 옥중 순국)로 나누어서 분석하고 그 속에서 민족 개념을 정리해보았다. 애국계몽시기 신채호의 민족 개념은 고정적이거나 배타적이지 않고 꾸준히 변화 발전하고있는데 이 시기 그의 민족 개념은 목적을 위한 수단의 의미로써 강조되고 있다. 민중무장투쟁시기 신채호의 민족 개념이나 그의 사상적 흐름은 도덕․꿈하늘․천고․조선혁명선언 등그 당시 쓰여진 저술들 속에 잘 나타나 있다. 이 시기 신채호는 “목적이 정당하면 모든 수단은 다 도덕적이다”라고 이야기하면서 폭력혁명에 정당성을 부여하고 민중 직접혁명을 강조했다. 아나키즘시기 신채호는 사상을 주체적으로 받아들여 조선의 아나키즘으로 만들었다. 신채호의 아나키즘의 핵심은 테러리즘과 상호부조(相互扶助)인데 이 개념들은 서로 상반된 것이 아니라 보완되는 개념이었다. 신채호가 아나키즘을 목적이 아닌 수단으로 수용한 것이라면 목적을 위해 약소민족들이 서로 상호부조하여 강한 적을 향해 직접 폭력 혁명을 하는 것은 가장 이상적이고 합리적인 방법이고 이것이 신채호식 조선의 주의로써의 아나키즘인 것이다. 아나키즘 속에서 신채호의 민족 개념은 ‘아(我)’로 표현할 수 있는데이 ‘아(我)’는 단순히 ‘현재의 나(我)’가 아닌 시간적으로 발전하고 공간적으로 확대되는 개념이다. 이 민족은 자주적인 개인-아(我)-들의 확장체이고, 이런 의미의 민족 역시 자주적이고 또한 시․공간적으로 발전하고 확대될 수 있는 것이다. 이런 확장된 개념의 아(我)와 비 아(非我)의 투쟁은 아(我)에 생존과 자유를 찾기 위해 맞서야하는 아(我)에 대치되는 비아(非我)와의 모든 투쟁을 의미하는 것이고 이 투쟁은 인류 사회의 진보를 위해 필요한 것이다. 이 아(我)의 확장으로 정의되는 민족의 개념은 연대 및 상호부조론으로 설명되는 신채호의 아나키즘과 민족주의가 공통적으로 만나는 교차점이 된다. 그러므로 신채호의 민족 즉 아(我)는 제국주의 열강의 압제 속에서 생존을 위해 투쟁하는 모든 약소민족 즉 식민지 민중이 포괄되는 개념이다. 결론적으로 보면 신채호가 정말 원했던 것은 압제 받는 조선의 독립이었다. 신채호는 조선 민중의 직접 투쟁에 의한 완전한 독립이라는 목적을 이루고자 민족주의와 아나키즘을 수단으로 사용했고 민중의 힘을 배가시키기 위해 정신적 아(我), 즉 민족 개념의 범위를 확장시켜식민지 민중들의 연대에까지 나아간 것이다. 이처럼 모든 식민지 민중의 자유를 위한 하나된 연대가 신채호의 아나키즘 속에 투영되어 있는 민족 개념인 것이다.

      • KCI등재

        한국형 아나키즘과 아나키스트 사회이론

        김영범(Kim, Yeong-Beom) 한국이론사회학회 2012 사회와 이론 Vol.21 No.2

        오랫동안 사회학 또는 사회이론과 아나키즘은 먼 거리에 있어왔다. 그런데 1980년대 말에 사회학자 김성국이 시민사회론 시민운동의 급진화를 위한 이념적 대안의 하나로 아나키즘을 발견하고, 그것의 무한한 가능성에 점점 매료되어 아나키즘재흥의 이론적 기수로서 최선두에 섰다. 그리고 근래에는 탈근대적 사회인식론과 노자사상을 서구 근대의 아나키즘에 접목시킴에 의해 ‘탈근대 아나키스트 사회이론’ 범주를 구성하기에 이르렀다. 이점에 주목하여 이 글에서는 김성국의 아나키즘 입문에서 선택적 수용과 혁신적 재구성까지의 전반적 행보, 그것과 관련되는 담론적 실천의 궤적을 추적하여 살펴보고, 그 성과와 의의들도 추출하여 검토해보고 있다. ‘국가대 시민사회’의 구도로부터 출발했던 김성국의 이론적 사고는 평등보다 자유의 극대화로 지향되고 있었다. 그러나 자유주의의 한계는 극복되어야 했기에 그것과 아나키즘(특히 아나르코 코뮤니즘)과의 결합을 꾀하였고, 그로부터 자유해방주의 이념을 생성시켰다. 그리고 다시 그것에 터하여, 공동체주의의 일반적 한계를 넘어서는 자유공동체 사회론을 구축할 수 있었다. ‘사회적 생활양식 아나키즘’ 역시, 상반되는 경향의 두가지 아나키즘을 접합-양립시키는 의도적 잡종화의 산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그는 서구 아나키즘의 단순 수용이 아닌, 창조적 재해석과 변용에 성공하였고, 그 결과는 ‘제4의길’로서의 김성국식/의 아나키즘제조였다. 아나키스트 김성국의 ‘창조적 파괴’ 정신은 한국의 유명 아나키스트들과 아나키즘 전통에 대한 통설을 전복시키는 독창적 해석과 평가로도 발휘되었다. 그것은 한국형 아나키즘의창출로 용진한다는 의미도 띠었다. 거기서 멈추지 않고 김성국은 탈근대적 사회인식과 동 서양 아나키즘의 논리를융합시킴에의해잡종화원리와최소화논리를기축으로하는새로운 이론 구성을 시도하였다. 그 성과는 일단 ‘탈권력 최소 국가론’으로 나타났다. 결국 김성국의 아나키즘 택용과 재구성의 궤적은 한국사회학의 자기 이론 만들기로 수렴되는 성질의 것이기도 했다. Sociology or social theory has been in far distance from anarchism with no encounter for a long time. And yet, at the end of 1980s, Kim Seung Kuk, a Korean sociologist, found that anarchism would become enough an ideological alternative promising a radicalization both of the civil society theory and of the civil movement, and was more and more fascinated with the indefinite possibility of anarchism. Such a finding and belief compelled him to stand thereafter in the forefront of theoretical flag-bearers for revival of anarchism. As a result of that positioning, he eventually came to make up the category of “postmodern anarchist social theory”, by grafting postmodern social epistemology and the Laoism on the modern type of western anarchism. Taking notice of this point, the author in this paper traces and investigates the overall path from Kim’s entrance into anarchism to innovative reconstruction via selective acceptance of it, as well as the trajectory of the related discursive practices. In addition, he tries to extract and examine the achievements and significances of those steps. Kim’s thought which had started from the theoretical scheme of “civil society against state” was being oriented to the maximization of individual liberty rather than of social equality. However, he attempted to combine liberalism and anarchism(especially, anarcho-communism) on the purpose of overcoming the limits of the former, which gave birth to the idea of libertarianism. On the basis of that idea, he could construct the theory of “libertarian communal society” which might get over the general limits of communitarianism. Also the “social lifestyle anarchism” was presented by him as a product of hybridization intended to an articulative compatibility of the two anarchisms of contrary tendencies. Through such a chain of processes, he succeeded not in simple acceptance but in creative reinterpretation and transformation of anarchism, which resulted in making of Kim Seung Kuk’s, or his style of, anarchism, sufficient to be called “the fourth way”. The anarchist Kim Seung Kuk’s spirit of “creative destruction” was throughly displayed also by unique interpretation and evaluation, equivalent to overturning of the common view, of some of the late Korean anarchists and that tradition. At the same time, this work also carried a meaning of advancing bravely to a creation of a Korean model of anarchism. Without stopping there, Kim attempted to construct a new social theory pivoted both on the principle of hybridization and on the logic of minimization, by fusing the postmodernist social cognition with the East and West anarchist logic, the outcome of which was realized as the theory of post-power minimal state. After all, we can say that the trajectory of Kim’s adoption and reconstruction of anarchism was a sort of making of own theory of the Korean sociology.

      • KCI등재

        이경순 시의 아나키즘 연구

        김경복(Kim Kyung bok) 한국문학회 2016 韓國文學論叢 Vol.72 No.-

        Gyeong-Sun Lee went to Japan in 1920 and studied there for about 20 years, during which period he joined Joseon anarchist group <Heuk Wu Hoe> and became active as an anarchism activist, interacting with the alliances with Japanese anarchists <Black Youth Alliance> <Freedom Alliance>. Since the independence of Korea, he was active as a commentator for the anarchist newspaper 『Jayoo Minbo』. He published poetry since 1947, leaving three collections [『Life Directory』(1952), 『Ice on Which the Sun Slipped』(1968), 『History』(1976)] and a posthumous collection 『Dong-Gi Gyeong-Sun Lee Complete Works』(1992). The anarchism ideology is engrained in the poetry of this Gyeong-Sun Lee such that it is necessary to try to examine it from the perspective of anarchism. Largely, there are four anarchistic characteristics of Gyeong-Sun Lee’s poetry. First, the poetic spirit of Gyeong-Sun Lee markedly shows the sentiment of resistance, which is the foremost characteristic of anarchism. If the essence of anarchism can be said to be the refusal against control, such is well apparent in his poems 「Death-Row Convict Who Ate a Rose」, 「Horse」. The general public who cannot fight back is symbolically presented through the objects such as ‘cow’ or ‘horse,’ and he talks about the injustice of oppression and exploitation. The sentiment of resistance found in the poetry of Gyeong-Sun Lee refers to the social protest of those sacrified and oppressed within the social system. This is also associated with individual freedom, so the sentiment of resistance and denial of system can be said to be promoting the issue of human freedom as a social individual. Second, the poetry of Gyeong-Sun Lee reveals the resistance against authority as nihilism. Here, nihilism refers to the resistant sentiment that denies the system and customs of the time and searches for a new order. Gyeong-Sun Lee took up anarchism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but there were many constraints against taking direct actions for freedom, which did not change much since Korea’s independence, so he revealed this through nihilism and resistant spirit. The sentiment oriented towards emptiness and nothingness as found in his poems 「Mooha Yooha (無何有何)」, 「Cross Section of Location」 shows this. In addition, it can also be seen that his denial of deity and iconoclasm are forms of resistance against authority and controlling ideology along the line of nihilism. Third, if the denial of controlling ideology is, after all, to deny the tradition and system that idolizes the ruler, this expresses the denial of history, which can easily be distorted by the controlling ideology, and the capitalistic civilization. This can be found in the criticism of how history is highly distorted by the logic of domination in poems such as 「History」,「Site」, and in the criticism against the negativity of the modern civilization in works such as 「Duel」, 「Typhoon」. Fourth, the poetic format of Gyeong-Sun Lee is found to be avant-garde aesthetics, which can also be seen as reflecting anarchism because the aesthetic goal of anarchism is the revolutionary art theory which denies the capitalistic system and also denies bourgeois aesthetics that support it. This manifests as dadaism or surrealism in his poetry, which induce experimental techniques distinct from his past poems, exemplified in defamiliarization by automatic description or disparate items, formalistic property and such as seen in 「Cup」, 「Gisang-do」, 「Rain」. The literature of Gyeong-Sun Lee, in the sentiment of resistance against authority and pursuit of freedom, denial of controlling ideology through nihilism and iconoclasm, distrust against the existing history and capitalistic civilization, expression of avant-garde aesthetics which emphasizes personal challenge and internality and such, can be said to have anarchism as its poetic characteristic. 이경순은 1920년 일본에 건너가 약 20년 간 일본에서 공부하면서 조선 아나키스트 조직인 <흑우회>에 가담하고, 일본 아나키스트들과의 연합체 <흑색청년연맹> <자유연합>과 교류하며 아나키즘 운동가로 활동하였다. 해방을 맞아서도 아나키스트 신문인 『자유민보』의 논객으로 활동하였다. 1947년부터 시를 발표하여 세권의 시집[『생명부』(1952), 『태양이 미끄러진 빙판』(1968), 『역사』(1976)]을 남겼고, 유고집으로『동기 이경순 전집』(1992)이 있다. 이러한 이경순의 시에는 아나키즘 사상이 배어들어 있어 아나키즘 사상 측면에서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이경순 시의 아나키즘적 특성은 크게 네 가지 형태로 나타난다. 첫째, 이경순의 시적 정신은 아나키즘 사상의 제일의적 성격인 반항감정을 두드러지게 보인다. 아나키즘의 본질을 지배에 대한 거부로서 반항감정이라 한다면, 이것은 그의 시 「장미 먹은 사형수」, 「말(馬)」에 잘 나타난다. 저항하지 못하는 민중을 ‘소’나 ‘말’이라는 대상물을 통해 상징적으로 보여주고, 억압과 착취의 부당함을 말해준다. 이경순 시에 보이는 반항감정은 바로 사회적 제도 속에 희생되는 억눌린 자들의 사회적 항의를 뜻한다. 이러한 점은 개인의 자유와도 관련되는 것으로서, 반항 감정과 권위주의적 체제 부정은 결국 사회적 개인으로서 인간의 자유문제를 추구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둘째, 이경순의 시는 권위에 대한 저항을 곧잘 니힐리즘으로 드러낸다. 이때 니힐리즘은 당대의 제도와 인습을 거부하고 새로운 질서를 찾기 위한 저항적 인식을 의미한다. 이경순은 일제강점기에 아나키즘 사상을 받아들였지만 자유를 위한 직접행동을 하기에는 많은 제약이 따랐고, 해방 이후에도 이 점은 마찬가지여서 허무와 부정정신으로 이를 드러내게 되었다. 그의 시 「무하유하(無何有何)」, 「위치의 단면(斷面)」 등에 나타난 허와 무에의 지향 감정이 그것을 말해준다. 이와 아울러 이경순 시에 보이는 신 부정과 성상파괴도 허무주의 연장선상에서 권위와 지배이데올로기에 대한 거부의 형태임을 알 수 있다. 셋째, 지배이데올로기 부정은 결국 지배자를 우상화하는 전통과 제도를 거부하는 것이라면, 이경순의 시에서 이것은 지배이데올로기에 의해 왜곡되기 쉬운 역사와 자본주의 문명을 부정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점은 「역사」, 「현장」등의 시에서 역사가 지배의 논리에 의해 매우 왜곡돼 있음을 비판하는 데에서, 그리고 「결투」, 「태풍」등의 작품에서 현대문명의 부정성에 대한 비판의식을 보여주는 데에서 찾아볼 수 있다. 넷째, 이경순의 시적 형식은 아방가르드 미학으로 나타나는데, 이점 또한 아나키즘 사상의 반영으로 볼 수 있다. 왜냐하면 아나키즘 사상의 미학적 지향점이 바로 자본주의 체제의 거부와 함께 그것을 지탱하는 부르주아 미학의 거부에 있는 혁명예술론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이경순 시에 기존 시와 다른 실험적 기법을 유도하는 다다이즘이나 초현실주의 풍으로 나타나는데, 「잔(盞)」, 「기상도」, 「비」 등의 시에 보이는 이질적 사물들의 병치, 자동기술법에 의한 낯설게하기, 형태주의적 속성 등이 그것에 해당한다. 이경순의 문학은 권위에 대한 반항감정과 자유 추구, 허무주의와 성상파괴를 통한 지배이데올로기 부정, 기존의 역사와 자본주의 문명에 대한 불신, 개인적 도전과 내면성이 강조되는 아방가르드 미학의 표출 등을 두고 볼 때 아나키즘 사상이 그의 시적 특질을 이룬다고 말할 수 있다.

      • 대순사상과 아나키즘의 이상사회 이념에 대한 비교 연구

        김항제 대진대학교 대순사상학술원 2014 대순사상논총 Vol.22 No.-

        Many ideas which have appear in human history ought to be fruits of the relevant time, however they sometimes reveal new meaning. Daesoon idea is like that, and anarchism also has been resurgent today according to the demand of the time. Both ideas aim at an ideal society. They are not codes of conduct by specific ideology, but are the spirit of resistance against all kinds of oppression, i.e. which began from human nature. Anarchism refuses intellectual revolution theory or idea, but it wants only the life of human nature. Therefore, in spite of the diversity of its historic type, anarchism is in the same discussion as idealism e.g. religion, politics, etc. which have seek the essence of human life. Daesoon idea, as well, begins from religious idealism, it kindles the same discussion as anarchism. Particularly, anarchism is receiving attention with its spirituality of the new century. If so, it will be a critical help for the development of Daesoon idea to consider such newness through a conversation with anarchism. A comparison between Daesoon idea and anarchism is mainly a conversation about the ideology of ideal society. The researcher intended to investigate the viewpoint of anarchism in terms of comparing its personality, society and nation with Daesun idea, though it was not easy work since the ideological genealogy of anarchism is various. Both of them have a mental attitude, i.e. 'essential resistance', on the basis of such introspection. The spirit of resistance is an essence of man and the right of resistance is a basic human rights that insist the dignity of man. When the right of resistance reaches the essence of human life, it becomes an ideal thought and religion. Also, the ideal can be finally realized when the spirit of resistance becomes the power of practice by actualizing it as the right of resist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