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 현재 실태와 내용 타당화

        이성아,박승희 한국특수교육학회 2015 특수교육학연구 Vol.5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current status of self-understanding education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econdary special classes and to validate the contents of a self-understanding program with acceptance of disabilitie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pondents to the survey include 3 groups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parents and high-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data of a total of 334 responden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research questions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and t-tests. First, almost all of the teachers answered the self-understanding education was needed, the main reason for that was to enhance students’ acceptance of disability and self-esteem. Second, from factor analysis of the responses on the components of the program content, 5 factors were derived and named. Third, the importance of each of 21 components of program content was all highly evaluated by all 3 groups. The importance scores of 5 factors and 21 components rated by the teacher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parent group. In conclusion, 21 components of a self-understanding program with acceptance of disability were first socially validated and those components could be directly used as a basic information for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proper self-understanding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t schools. Som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some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es on the self-understanding education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rovided.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중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를 대상으로 자기이해 교육 실행 현황 및 필요성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특수교사, 학부모 및 발달장애 학생의 세 집단의 응답을 통해 자기이해 교육 내용 구성요소의 타당화를 처음으로 수행한 연구이다. 서울시 소재 특수학급이 설치된 65개 고등학교와 120개 중학교에 총 530부의 교사용․학부모용․고등학생용 질문지를 배부하여 최종 334부의 응답 자료가 통계처리 되었다. 그 결과,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에 대하여 특수교사의 대부분(98.6%)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나, 21.6%가 실행하고 있지 않다고 응답하여 필요성 인지 보다 그 실행은 저조한 현황을 보였다. 자기이해 교육 내용 구성요소의 중요도에 관한 특수교사 및 학부모의 응답을 요인분석한 결과 5가지 요인의 21개 문항을 추출하였다. 이 21개의 교육 내용 구성요소에 대하여 세 집단 모두 전반적으로 중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5개 요인의 중요도 응답은 학부모보다 특수교사가 유의하게 높았다. 최근 특수교육의 실제에서 장애학생 본인의 적극적 참여가 강조되고, 진로․직업․전환교육이 더욱 중요한 관심사가 되면서 발달장애 청소년이 자신의 장애를 수용하고 자기이해를 증진해야하는 필요성은 가중되는 추세이다. 이에 본 연구는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의 적합한 실행을 위해 그 교육 내용의구성요소를 처음으로 특수교사, 학부모 뿐 아니라 발달장애 학생 본인 집단을 대상으로 타당화한 의의를 지닌다. 또한 본 연구는 ‘자기장애 수용을 포함한 자기이해 교육’이라는 민감하고 중요한 주제에 대해 전문가 및 학부모 관심의 증대를 촉구하며, 자기이해 교육 프로그램 고안에 사용할 수 있는 교육 내용을 제공하는 의의와 더불어 최근 발달장애 학생의 자기이해 교육 실시의 가중된 필요성에 대한 논의와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공하였다.

      • KCI등재

        발달장애 청소년의 여가 및 레크레이션에 관한 어휘 및 문제해결 능력 연구

        김화수,김은홍,양지원,이주현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4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10 No.2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여가 및 레크레이션에 관한 어휘 및 문제해결 특성을 살펴보고 분석하여 발달장애 청소년의 여가 활동 교육 및 지원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발달장애 청소년으로 수용 언어 연령에 따른 두 집단(10세 미만, 10세 이상)으로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 언어 연령에 따른 두 집단 간 여가 어휘력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수용 언어 연령에 따른 두 집단 간 문제해결 능력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집단별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 어휘 및 문제해결 능력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10세 미만 집단은 초급 수준의 어휘와 초급 수준의 문제해결 능력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10세 이상 집단은 중급 수준의 문제해결 능력과 고급 수준의 문제해결 능력에서 가장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여가 및 레크리에이션 어휘에 대한 오반응을 분석한 결과, 정답인 어휘와 유사한 주제의 어휘를 오답으로 고르는 비율이 높았다. 또한 문제해결 능력에 대한 오반응을 분석한 결과, 맥락을 파악해야 하는 문항에서 오답률이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원활한 여가 생활을 위한 의사소통 관련 교육 방향에 대해서 논의할 수 있는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이에 따라 발달장애 청소년의 성공적인 여가 활동을 위한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을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and analyze the vocabulary and problem-solving ability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lated to leisure and recreation and use them as basic data in education and support of recreation activitie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comprised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divid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ir receptive language age: those under 10 years old and those 10 years and older.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leisure and recreation vocabulary between the two groups according to receptive language age.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roblem-solving ability between the two groups based on their receptive language age. Third, the analysis of the correlation between leisure and recreation vocabulary and problem-solving abilities within each group revealed that the under 10 years old group showed the highest correlation in basic vocabulary and basic problem-solving abilities, while the 10 years and older group exhibited the highest correlation in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of problem-solving abilities. Fourth, the analysis of incorrect responses to leisure and recreation vocabulary showed a high rate of selecting vocabulary related to similar topics as incorrect answers. Additionally, the analysis of overreactions to problem-solving abilities indicated an increasing tendency of incorrect responses in items requiring context comprehension. Additionally, the analysis of incorrect responses to problem-solving abilities indicated a tendency of higher error rates in items requiring context comprehen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nsights for discussing directions in communication-related skills education for the smooth recreation life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cordingly, it is expected to be utilized as foundational information for educational and support programs aimed at the successful recreation activities of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발달장애 청소년 창작자의 미술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당사자의 목소리를 중심으로

        박진희 한국조형교육학회 2024 造形敎育 Vol.- No.89

        본 연구는 장애와 미술에 대한 고정관념과 성인 및 비장애인의 규범적이고 표준화된 시선에서 ‘장애’를 가진 청소년이라는 단편적 모습으로만 바라보는 것에서 벗어나 당사자의 목소리를 통해 그들의 미술 경험을 살펴보고자 발달장애 청소년 3인을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여 사례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사례를 통해 도출된 사례 간 분석 결과는 ‘삶의 기반에서 행해지는 즐거움’, ‘능동적 의지와 적극적 자유로부터의 자기표현’, ‘개인의 표현을 넘어 타인과 만남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통해 도출된 본 연구의 결론과 시사점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 청소년 창작자는 삶과 미술의 경계를 짓지 않으며 그들에게 미술은 익숙한 자신만의 시간과 공간, 일상과 연결된다. 이는 모두의 미술이 될 수 있는 예술적 삶의 가치와 실천을 보여준다. 둘째, 발달장애 청소년 창작자의 개별성과 고유성은 그들만의 독특한 자기표현으로 정상성의 세계에 저항할 수 있게하는 미술의 가능성을 시사한다. 셋째, 발달장애 청소년 창작자는 타인에 의해 ‘할 수 있음’이 재발견되는 것이 아닌 ‘하고있음’의 창작 주체로서 발언하고 주변과 소통한다. 이는 개인의 영역과 사회적 영역이 연결되는 미술의 의미가 강조되어야함을 시사한다. This study aimed to move beyond the stereotypical views of disability and art, as well as the normative and standardized perspectives of adults and non-disabled individuals, who tend to perceive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a fragmented lens. To explore the art experiences of these adolescents through their own voices, the case study was conducted with thre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results of the cross-case analysis derived from this study’s cases revealed three themes ‘joy derived from the fountain of life’, ‘active will and self-expression from positive freedom’, ‘encounters with others beyond individual expression’. The conclusions and implication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adolescent creato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lur the boundaries between life and art, with art becoming connected to their own familiar time, space, and daily experiences. This can be explained as the value and practice of an artistic life that can be accessible to all. Secondly, the individuality and uniqueness of adolescent creato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highlight the potential of art to resist the norm of normalcy with their distinctive forms of self-expression. Thirdly, adolescent creator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sert themselves as agents of creation and communication with ‘doing’ art, not rediscovered their ‘able to do’ by others. Theses findings implicate the need to recognize the connection of personal and social realms with the meaning of art.

      • KCI등재

        장애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발달궤적과 예측요인

        주영하,김시아,정익중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3 청소년복지연구 Vol.25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rive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self-esteem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nd to identify the predictors that influence this trajectory. To achieve this, data from Panel Survey of Employment for the Disabled(PSED), conducted by the Korea Employment Agency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used. This study used were from the first(2016), third(2018) and fifth(2020) waves of the survey. The study sample was composed of 515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aged 15 to 24, who were registered under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self-esteem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increased continuously as they progressed through school, and there were significant individual differences in self-esteem. Second, predictors influencing the developmental trajectory of self-esteem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were identified. Among individual psychological factors, stress had an influence on initial level of self-esteem, whereas happiness exerted influence on initial level and change rate. Regarding environmental factor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showed effects on initial level and change rate of self-esteem, while social participation and experiences of discrimination had an effect on initial level. Furthermore, lower levels of happines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associated with higher change rate of self-esteem in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This suggests that happiness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 key factors promoting self-esteem in these adolescen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social welfare implications have been suggested to maintain high self-esteem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발달장애 청소년의 지역사회 적응기술 특성 분석: 잠재 프로파일 분석을 중심으로

        장세영(Se-Young Jang),정소라(So-Ra Jeong) 한국발달장애학회 2021 발달장애연구 Vol.25 No.2

        지역사회 적응기술은 발달장애 청소년들이 독립적인 개인으로 기능토록 도모함으로써 궁극적으로 사회에 통합되는데 있어 핵심적인 기술이다. 본 연구는 지역사회 적응기술의 중요성 및 발달장애 청소년 집단이 갖는 독특성에 주목하여, 전국 발달장애 청소년 343명을 대상으로 CISA-2 검사를 실시하고, 잠재 프로파일분석 기법을 활용하여 지역사회 적응기술 특성에 따른 잠재 집단을 분류한 뒤 각 잠재 집단의 특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발달장애 청소년들은 지역사회 적응기술의 하위 영역별 특성에 따라 세 잠재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각각의 집단은 유의하게 상이한 특성을 가진 전반적 상위 수행 집단, 전반적 중위 수행 집단, 전반적 하위 수행 집단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잠재 집단 구분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사회 적응기술의 하위 영역은 ‘대인관계와 예절’, 인구·사회학적 요인은 ‘기대고용 수준’ 및 ‘장애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후속 연구 및 교육 현장 실제에서 발달장애 청소년의 지역사회 적응기술 숙달을 위한 지원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community adaptation skills are a key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help independent living life and integrate them into the community. This study focused on the importance of community adaptation skills and the characteristic of adolescents group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e CISA-2 was conducted on 343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ross the country to be classified latent groups by using latent profile 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subtypes of community adaptation skills. Groups was divided into High, Middle, and Low group. In addition, it was found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etiquette in community adaptation skills and the level of expected employment and disability as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factor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support plan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 master community adaptation skills in follow-up research and educational field practice.

      • KCI등재

        발달장애 청소년의 무용수업효과 사례연구

        김승일 ( Seung Il Kim ) 대한무용학회 2010 대한무용학회논문집 Vol.64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understand the effect of dance class on th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For this, I conducted a case study. Six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one class teacher, and one dance class teacher were selected as the participants who could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this study bette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ere hostile to unseen teachers or others. This was a major obstacle to conducting the class. Second, the most important matter in the class for th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was ``communica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the smooth progress of the class was ``how well students and teachers would communicate each other?`` Th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became to open their mind and to communicate gradually through the teachers` warm interest and concern. Third, the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became to know the pleasure by being together. They could promote their communicating skills by doing motion plays with friends. Also they were able to have confidence and to improve their expressivity through music familiar to them. The music increased their interest and pleasure in the class.

      • KCI등재

        경도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태권도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검증

        김지태 ( Ji Tae Kim ) 한국특수체육학회 2010 한국특수체육학회지 Vol.18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의 실행연구(action research)를 통하여 경도 발달장애 청소년이 현장에서 직접 참여 가능한 태권도 프로그램을 개발 및 적용하는 것으로서, 그 프로그램에 참여했던 장애학생 부모, 지도자, 보조교사들의 면담 및 참여관찰을 통하여 프로그램의 적합성을 확인하고 검증하는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준에 의한 표집법(criterion based sampling)을 사용하여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였으며, 기준에 부합하는 연구 참여자로는 경도발달장애를 가지고 있는 청소년으로서 각 복지관 별로 10명씩 총 20명이 선정되었다. 연구절차는 이용숙(2005)에 의하여 제시된 일반화가 가능한 새로운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실행연구 모형을 바탕으로 크게 5단계 과정으로 구분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한 방법으로는 참여관찰 및 현장노트, 서술적 관찰자료, 면담자료, 반성일지 등을 활용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경도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태권도프로그램의 일반화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발달장애 청소년의 신체적, 인지적, 정서적 발달을 꾀할 수 있는 교육 목적을 가지는 프로그램으로 구성한다. 둘째, 보조교사와 자원봉사자를 미리 선발하고, 보조교사와 자원봉사자는 프로그램의 시작 전 학부모, 관련교사와 함께 면담이나 교육을 통하여 하여 사전에 참여자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 셋째, 장애의 특성을 고려하여 암기교육과 반복학습을 실시한다. 넷째, 흥미와 동기유발을 위하여 다양한 보조기구나 음악을 이용한 교수법을 활용한다. 다섯째, 참여자의 사회 및 정의적 영역 발달을 도모하기 위하여 학습을 통하여 현실상황에 대처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을 구성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apply a Taekwondo program for adolescents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y through action research, so that a generalized guide of Taekwondo program for youths with the disability can be presented. By using the criterion based sampling method, 20 participants with mild developmental disability were selected in 2welfare center for the disabled. In order to achieve these purposes, the researcher made 5progress of developments including first and second programs for a year. The data analyses of the study included the development of study plan through documents analysis and meetings of people concerned with the study. The primary program is developed via a propaedeutic, and its problems are revised and complemented after an operation. Based on secondary program`s analyzed results and reflection through developments and operations, a guide for a field coach of the Taekwondo program is developed. Through these processes, a Taekwondo program`s effects were verified through practical study, and it was designed to be applied in actual educational field. First, in order to maximize the educational effect, this program should educationally aim at youth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s physical, cognitive, and affective development. Secondly, assistant teacher and volunteer has to be picked in advance. The coach and the assistance teacher should establish education plan with parents and related teacher so that they can have full information. Thirdly, the program should emphasize memorizing education and repeated education to promote the participant`s intelligence development. Fourth, various teaching methods such as form training using music and stories should be used to stimulate a participant`s interest and motivation. Fifthly, every program should aim to promote a participant`s development of sociality and affection.

      • KCI등재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사회성 기술 중재: 연구동향 및 증거기반실제 평가

        김유리 ( Kim Yu-ri ),김진 ( Kim Jin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8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0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 청소년을 위한 사회성 기술 중재 관련 연구의 전반적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에서 개발된 중재가 증거기반실제로써 충족되는지 여부를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분석을 위해 2010년부터 2018년 4월까지 출판된 연구 총 36편(국내연구 14편, 국외연구 22편)이 선정되었다. 연구결과: 전반적으로 자폐범주성장애 청소년 대상 연구와 지적장애 청소년 대상 연구가 유사하게 이루어졌지만 국내에서는 지적장애 청소년 대상 연구가 상대적으로 더 많이 이루어졌다. 사회성 기술 중재로써 장애청소년 중심 교수가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었으나 국외에서는 또래 중심 교수도 연구되고 있었다. 대부분의 연구는 중재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단일대상연구를 주로 사용하였으며, 관찰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증거기반실제 준거를 충족시키는 사회성 기술 중재 연구는 한 편도 없었다. 결론: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발달장애 청소년 대상 사회성 기술 중재 활성화를 위한 향후 연구과제가 논의되었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synthesis of research studies on interventions to increase social skill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evaluate whether a given intervention meets the criteria for evidence-based practice. Method: Thirty-six studies published between 2010 and 2018 were included in this review, of which 14 were Korean studies and 22 international studie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ynthesis showed that a majority of Korean studies put an emphasis on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most frequently used intervention type was ‘teaching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eer-mediated intervention’ was also implemented in international research. A majority of studies used single-case designs and collected observation data to evaluate intervention effects. There were no interventions to meet the criteria of evidence-based practice. Conclusion: Recommendations to guide future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of effective intervention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rovided.

      • KCI등재

        발달장애인의 자기결정 경험의 의미: 청소년 발달장애인 방과후활동서비스 중심으로

        채민 한국발달장애학회 2023 발달장애연구 Vol.27 No.2

        This study explores the experience of self-determination centering on after-school activity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analyzes the meaning of self-determination phenomenologically. To this end,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meaning experienced by 6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focusing on the core topic of ‘How is the experience of after-school activities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prior to the experience of self-determination in after-school activities, the participants lived a life with a sense of helplessness, doing ‘as told’ and ‘as told’. After experiencing self-determination in after-school activities, it was revealed that satisfaction, anticipation for new challenges, and experience of autonomous choice formed self-confidence and self-esteem. Understanding the experience of after-school activity for adolesc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meaningful in that it enables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process in which the right of self-determination of the parties is supported. In addition, it is expected to be a practical basic data for the value of self-determination of the parties and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after-school activity. 본 연구는 청소년 발달장애인 방과후활동서비스 중심으로 자기결정 경험을 탐색해 보고 자기결정의 의미를 현상학적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이를 위해 ‘청소년 발달장애인 방과후활동서비스 경험은 어떠한가?’라는 핵심 주제를 중심으로 발달장애 청소년 6명이 경험한 의미를 인터뷰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방과후활동에서의 자기결정 경험 이전에는 당사자들은 ‘하라는대로’, ‘시키는대로’ 하는 무력감을 가진 생활을 하였으나, 방과후활동에서의 자기결정 경험에서는 당사자들에게 소속감과 열정, 존중감, 자신감, 결정의 주체자로서의 경험을 가졌고, 방과후활동에서의 자기결정 경험 이후에는 만족감과 새로운 도전에 대한 기대감, 자율적인 선택의 경험이 자신감 및 자부심을 형성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청소년 발달장애인 방과후활동서비스의 경험에 대한 이해는 당사자들의 자기결정권이 지원되는 과정의 현상에 대해 심층적 이해를 가능하게 하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당사자들의 자기결정에 대한 가치 및 방과후활동서비스 개선과 발전에 있어 실질적인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발달장애 청소년의 여가활동에 대한 학부모 인식

        양소현,이미숙 한국특수교육학회 2016 특수교육학연구 Vol.51 No.2

        This study examined the awareness of parents on leisure of adolescent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otal 106 parents who hav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second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most frequent leisure activities of their children were ‘watching TV’ in hobby․refinement area. There were ‘using smartphone’ in recreation․socializing area, ‘going to the movie theater’ in appreciation․seeing area, and ‘jogging and taking a walk’ in health․sports area. Most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enjoyed their leisure activities with their family members in their houses. Whereas, they wanted their children to participate were ‘preparing food’ in hobby․ refinement area, ‘conversation with friends’ in recreation․socializing area, ‘going to the movie theater’ in appreciation․seeing area, and ‘jogging and taking a walk’. Parents thought that the general meaning of leisure is that the time of playing or having fun. In addition, the biggest personal challenge that disturb leisure of their children was ‘the impossibility of independent traveling of their children’ and the biggest environmental challenge was ‘absence of persons who can support their children’s leisure activities’. The developments for the leisure of their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addressed as ‘expanding the leisure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schools’, ‘improving the atmosphere of sharing with students with disabilities in local communities’. In Addition, a lot of parents didn’t know about the presence of curriculum on leisure in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however they felt the necessity of curriculum on leisure to make them to live meaningful postsecondary lives. Finally, with these results, school-wide leisure programs should be provided and the atmosphere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s needed to be fostered. 본 연구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여가활동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중․고등학교 특수학교와 특수학급의 발달장애학생 학부모 106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장애청소년은 ‘취미․교양’의 경우 TV보기, ‘오락․사교’의 경우 스마트폰 조작, ‘감상․관람’의 경우 영화관, ‘건강․스포츠’에서는 조깅․산책을 주된 여가활동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 가정에서가족과 함께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었다. 또한 학부모는 발달장애 청소년의 여가 시간을 놀거나 즐기는시간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자녀가 참여하길 기대하는 여가활동으로 ‘취미․교양’의 경우 음식 만들기, ‘오락․사교’의 경우 친구와 대화하기, ‘감상․관람’의 경우 영화관, ‘건강․스포츠’에서는 조깅․산책을언급하였다. 발달장애 청소년의 여가활동을 방해하는 요인으로는 독립적인 이동 불가능, 여가활동을 함께할 사람의 부재를 들었으며, 자녀의 여가활동을 개선할 방안으로는 학교 차원의 다양한 여가프로그램확충과 지역사회 차원의 분위기 개선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