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Hey Alexa, Would You Create a Color Palette?” UX/UI Designers’ Perspectives on Using Natural Language to Interact with Future Intelligent Design Assistants

        Renato Antonio Bertao,Jaewoo Joo 한국융합학회 2021 한국융합학회논문지 Vol.12 No.11

        AI (인공지능)는 알렉사와 같은 지능형 가상 비서 (IVA)을 통해서 이미 우리의 삶에 침투했으며 디자인 작업에도 도입될 가능성이 높다. 본 연구에서는 AI를 활용하여 개발될 지능형 디자인 비서에 (intelligent design assistant) 대해서, 디자이너들이 어떠한 생각을 가지고 있는지 이해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브라질의 UX/UI 디자이너들에게 지능형 가상 비서와 AI 디자인 도구에 관한 설문 조사를 실시했으며, 추가로 알렉사와 (Alexa) 어도비 센세이를 (Adobe Sensei) 결합하여 음성 기반 AI 디자인 비서인 알렉사 센세이를 (Alexa Sensei) 가상의 시나리오로 만든 뒤, 이에 관한 설문도 함께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 브라질 디자이너들은 AI와 협업할 기회는 제한되어 있었으나 AI가 디자인 프로세스의 효율성을 개선해줄 것으로 기대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한 응답자의 대다수는 AI 설계 시스템과 창의적으로 협력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자연어를 통한 의사소통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바라보았지만, 이미 지능형 가상 비서를 사용한 경험이 있는 디자이너들은 음성 기반 AI 디자인 비서에 대한 거부감이 낮다는 점도 함께 밝혀졌다. Artificial Intelligence (AI) has been inserted into people’s lives through Intelligent Virtual Assistants (IVA), like Alexa. Moreover, intelligent systems have expanded to design studios. This research delves into designers’ perspectives on developing AI-based practices and examines the challenges of adopting future intelligent design assistants. We surveyed UX/UI professionals in Brazil to understand how they use IVAs and AI design tools. We also explored a scenario featuring the use of Alexa Sensei, a hypothetical voice-controlled AI-based design assistant mixing Alexa and Adobe Sensei characteristics. The findings indicate respondents have had limited opportunities to work with AI, but they expect intelligent systems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design process. Further, majority of the respondents predicted that they would be able to collaborate creatively with AI design systems. Although designers anticipated challenges in natural language interaction, those who already adopted IVAs were less resistant to the idea of working with Alexa Sensei as an AI design assistant.

      • KCI등재

        AI 음성 비서와 AI 스피커 사용자의 커뮤니케이션과 서비스 이용에 대한 연구 : 의인화 개성, 사회적 실재감, 개인화를 중심으로

        한영주 ( Han¸ Youngju ) 한국지역언론학회 2021 언론과학연구 Vol.21 No.3

        본 연구는 AI 스피커가 AI 음성 비서를 매개하여 실행되는 방식에 주목하였다. 이 과정에서 AI 음성 비서와 사용자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AI 스피커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분석을 실행하였다. 독립변인은 AI 음성 비서의 의인화 개성(인간성, 전문성, 사회성), 사회적 실재감, 개인화로 구성하였고, 종속변인은 AI 스피커의 4가지 서비스 범주에 대한 이용으로 설정하였다. 분석 자료는 온라인 설문조사로 AI 스피커 사용자 333명의 데이터를 수집하였고 다변인 회귀분석을 통해 모델의 적합성과 요인별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AI 음성 비서의 의인화 개성, 사회적 실재감, 개인화는 AI 스피커의 서비스 범주에 따라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서로 다르게 구성되었다. 커머스·쇼핑 서비스는 인간성 의인화 개성, 전문성 의인화 개성, 사회적 실재감이 이용에 영향을 주었고, 교육 서비스는 사회적 실재감만 이용에 영향을 미쳤다. 엔터테인먼트 서비스는 전문성 의인화 개성, 개인화가 이용에 영향을 미쳤고, 뉴스·생활정보 서비스는 인간성 의인화 개성, 전문성 의인화 개성, 개인화가 이용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요인들 중에서 전문성 의인화 개성은 교육 서비스를 제외한 다른 3가지 서비스 이용에 주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커뮤니케이션 과정에서 AI 스피커 사용자가 지각한 AI 음성 비서의 특성이 AI 스피커의 서비스 이용에 미치는 실증 요인을 밝혀내고 서비스 범주별로 차별화된 결과를 제시한 점에서 시사점을 제공한다. This study analyzed how AI speakers are executed by mediating the AI voice assistant. To better characterize AI speaker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AI voice assistant and the user affects the use of the AI speaker by users.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anthropomorphism personality (humanity, professionalism, sociality), social presence, and personalization of the AI voice assistant. Dependent variables included the use of four service categories of the AI speaker. The survey was commissioned by a professional online survey institution to collect data from 333 AI speaker users. The influence and relationship of each factor were determined through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nthropomorphism personality, social presence, and personalization of the AI voice assistant were configur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ervice category of the AI speaker. In commerce and shopping services, we found that the personification of humanity, the personification of professionalism, and a sense of social presence affected the use, and that the education service only affected the use of social presence. In entertainment services, professional anthropomorphization and personalization affected the use, and in news and life information services, the personification of humanity, professionalism, and personalization affected the use. Additionally, among the factors, professional personific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use of three other services except for education service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the characteristics of AI voice assistant perceived by the AI speaker user during the communication process are indicative of empirical factors affecting the service use of the AI speaker. Results also vary by service categories.

      • KCI등재

        Alexa, Please Do Me a Favor : Motivations and Perceived Values Involved in Using AI Assistant

        Eunji Lee,Jongmin Lee,Yongjun Sung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1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 Vol.9 No.4

        AI assistant, a software interface designed to interact with a user in a natural way and perform specific tasks on the user’s behalf, receives increasing attention from both scholars and practitioners. While most of the literatures explain about technical aspects, little is known about the social and psychological factors that intimately influence consumers when using it.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reason people use AI assistant and how perceived values influence on intention of continuous usage. A total of 361 AI assistant users participated in an online survey, and all were recruited from a major online panel in South Korea. The results from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suggest five social and psychological motives: self-expression, quality of life, entertainment, information, and compatibility. In addition, perceived values, informativeness, entertainment, and trustworthiness, positively predict the intention to use AI assistant. This research provides theoretical contributions from finding motivations of AI assistant usage and from the effects of perceived values on the intention to use it. Practical implications should not be overlooked in this ever-expanding AI industry.

      • KCI등재

        인공지능 가상비서의 비서직무 수행역량에 대한 연구

        박경옥(Park, Kyungok) 한국비서학회 2017 비서·사무경영연구 Vol.26 No.2

        인간의 감각과 사고력으로 인간처럼 생각하게 하고자 했던 초기 인공지능 기술은 스스로의 학습을 더욱 확장시켜 지속적으로 발전하고 있다. 인공지능(AI) 가상비서 서비스는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인식한 자연어 문장의 명령을 빅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분석하여 사용자가 처한 상황과 생활패턴을 인식하여 예측된 결과로 업무를 수행하는 수준에까지 이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알렉사, 빅스비, 홈, 시리, 젠보 등과 같은 AI 가상비서가 제공하는 다양한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이들이 제공하는 지능형 맞춤 서비스 업무와 기업의 일반 비서와 선임비서에 의해 수행되는 직무를 비교해 봄으로써 그들의 현 수행역량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비서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비서직군의 직무가치에 대해 논의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해 낸 13개의 임무와 75개 과업의 비서 직무를 비교한 결과 AI 가상비서는 11개의 다양한 임무를 수행할 수 있으나 일정관리와 전화응대 등의 과업에 집중되어 초기 비서의 개념인 단순 업무보조자로서 일반비서의 직무역량을 훨씬 미치지 못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AI 가상비서의 주요 기능을 일반비서와 선임비서의 직무와 비교해 봄으로써 현재 AI 가상비서의 역량이 부풀려져 있었음을 확인해 주고, 직무 비교표를 통해 비서직 종사자들이 더 강화해야 하는 역량을 제시해 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으며, 미래비서에 대한 전문적 교육과 경력개발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데에 그 기초가 되는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beginning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iming to have human being’s sensibleness and thoughtfulness has been continuously developing the technical area by its own learning. The AI virtual assistants’ services have reached the extent to provide services by recognizing the user’s voice by understanding natural language and analyzing user’s life patterns and situational contexts. This study reviews the functions of various AI virtual assistants, such as Alexa, Bixby, Home, Siri, and Zenbo robots. This study compares the duties and tasks of AI virtual assistants, administrative assistants, and executive administrative assistants and discusses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of job competencies, secretarial occupation’s image in Korean society, and the value of secretarial jobs. The results from examining 13 duties and 75 tasks of secretaries’ job description demonstrates that current AI virtual assistants are able to perform 11 duties, whilst mainly focusing on scheduling and telephone management tasks. Considering the narrow range of AI virtual assistants’ tasks, this equates to a low-level clerical worker. This study contributes to understanding the genuine positioning of AI virtual assistants in the administrative assistants occupation group and provides task areas that administrative assistants consider to strengthen. In addition, the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a groundwork for administrative assistants’ training and career development programs.

      • KCI등재

        AI 쇼핑 도우미 사용자의 소비자 혁신 동기가 만족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김해정,이영주 복식문화학회 2023 服飾文化硏究 Vol.31 No.5

        This study aims to help companies with efficient investment and marketing strategies by empirically verifying the impact on satisfaction and purchase intention for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digital technology supported shopping assistants introduced in e-commerce. Frequency, factor, SEM, and multiple group analysises were conducted using SPSS 26.0 and Amos 26.0. As a result, first, motivated consumer innovativeness elements of AI shopping assistant were derived into a total of four categories: functional, hedonic, rational, and reliable. Second, in the order of hedonic and rational, satisfaction with the AI shopping assistant was significantly affected, and in the order of rational and functional, purchase intention was significantly affected. The satisfaction with the AI shopping assistant did not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Third, in the case of hedonic, the AI-preferred group had a more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than the human-preferred group, and in the case of rational, there was no difference by group in purchase intention. Thus, it was found that consumers prefer AI shopping helpers for e-commerce because they can shop reasonably and are functionally convenient. Therefore, when introducing AI shopping assistants, it is essential to include content that can compare and analyze fundamental information, such as product prices, as well as search functions and payment system compatibility that facilitate shopping.

      • KCI등재

        인공지능융합교육 설계를 위한 교사 역량

        허희옥,강신천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3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6 No.2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eachers' competencies in designing artificial intelligence(AI)-integrated education. As society demands a change in the educational system to adapt current movements toward AI-centered digital transformation, teachers as a key driver for the educational transformation need to enhance their competencies in educational practices. In this study, artificial intelligence-integrated education includes AI literacy and AI-assisted education. In order to identify teachers’ competencies, this study conducted a Delphi study. First of all, we derived a set of teacher competencies including two domains, eight competencies, and 65 behavioral indicators based on the analysis of existing studies, and then developed a questionnaire of the 1st Delphi round. 30 experts in computer science and education fields were participated in the three rounds of Delphi study. As a result, two domains, eight competencies, and 52 behavioral indicators were identified. The domain of AI literacy includes three core competencies: understanding AI, practicing AI ethics, and solving problems based on computing thinking skills, and 15 behavioral indicators in total. The AI utilization/convergence domain includes five core competencies: AI class design, AI education data development, AI class execution, AI education management, and AI educational evaluation, and a total of 39 behavioral indicators. The teacher competency set can be used to investigate teachers’ educational needs for AI convergence education, and to guide teachers designing AI convergence education. A few further studies were suggested as follows: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for evaluating teachers’ competencies for AI convergence education, and a follow-up study to validate the instrument. 본 연구의 목적은 인공지능융합교육을 실행하는 교사의 역량을 규명하는 것이다. 인공지능(AI)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디지털 대전환 사회는 교육의 혁신을 강조하고, 그 변화의 주역인 교사의 역할 변화와 핵심 역량 증진을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본 연구는 AI융합교육을 AI소양과 AI활용교육을 포괄하는 의미로 정의하고 이를 실행하는 데에 필요한 교사 역량을 규명하였다. 우선,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교사 역량의 초안을 마련하였다. 초안에는 2개 영역, 8개 역량, 65개 행동지표가 포함되었고, 이를 이용하여 1차 델파이 조사를 위한 도구를 만들었다. 델파이 연구는 총 3차로 진행되었고, 컴퓨터와 교육 분야 전문가 30명이 참여하였다. 그 결과, 최종적으로 2개 영역, 8개 역량, 52개 행동지표를 확정하였다. AI소양 영역은 AI 이해, AI 윤리 실천, 컴퓨팅사고력 기반 문제해결의 3가지 역량으로 구성하였고 행동지표는 총 15개이다. AI 활용/융합 영역의 역량은 AI 수업 설계, AI 교육자료 개발, AI 수업 실행, AI 교육 관리, AI 교육 평가로 총 5가지이며, 총 39개의 행동지표로 규명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AI융합교육을 위한 교육요구도 조사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AI융합교육 수업을 계획하는 교사들에게 하나의 지침이 될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는 교원의 AI융합교육을 설계하는 역량 측정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과 이를 타당화하는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 KCI등재

        생성형 AI를 활용한 AI 보조교사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연구

        김승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23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26 No.6

        Adaptive learning has been a long-term goal of education. The expectation of making progress towards this goal has been further heightened by the recent developments in Artificial Intelligence(AI) technologies. However, building and maintaining AI engines solely for educational purposes would require significant time and effort. This paper proposes a software architecture that leverages generative AI services to function as assistant teachers. In the suggested architecture, a software middle layer positioned between a student and a generative AI service helps to redefine the role of the generative AI service as an assistant teacher, enabling interaction with each student in a class. After demonstration of implementation, pros and cons of the proposed architecture will be discussed.

      • KCI등재

        인공지능의 목소리, 규제할 수 있을까 ―젠더 편향 해소를 위한 제안―

        김주현 한국법철학회 2023 법철학연구 Vol.26 No.3

        본 논문은 그동안 제시된 인공지능의 젠더 편향 해결 방안이 효과적인지, 그 방향성이 타당한지에 대한 물음을 탐구하고자 한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인공지능 기술인 디지털 어시스턴트는 기본적으로 여성으로 설정되었다. 글로벌 기술회사는 남성 소비자를 중심으로 디지털 어시스턴트의 목소리를 여성으로 설정하여 개발하고 보급하였다. 그런데 문제는 여성화된 디지털 어시스턴트가 기존의 젠더 불평등을 유지할 뿐 아니라 확산시킨다는 것이다. 디지털 어시스턴트의 목소리는 여성이 친절하고 유순하며 순종적이라는 젠더 고정관념을 강화하고, 성적 괴롭힘에 대한 잘못된 태도를 양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어시스턴트의 여성화는 기술회사가 압도적으로 남성 인력에 의해 구성되었기 때문인데, 다른 전문 분야와 비교할 때, 인공지능 기술 분야에서 젠더 격차는 심각한 편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방면의 국제적, 국내적 노력이 있었다. 기본적으로 여성 음성으로 설정되는 관행을 없애고, 젠더 중립적인 디지털 어시스턴트 개발을 모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디지털 어시스턴트의 젠더 편향으로 강화되는 젠더 불평등을 개선하기 위해 젠더에 민감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알고리즘을 설계하거나 프로그래밍해야 한다는 제안을 하였다. 기술 분야의 젠더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여학생들의 이공계 진출을 지원하는 정책과 법제도 시행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방안으로 역사적으로 뿌리 깊게 지속된 젠더 불평등이 해결되기란 쉽지 않았다. 특히 인공지능의 젠더 편향을 해결하는 기존의 방안은 다소 한계에 부딪히고 있는데, 여성 목소리를 기본값으로 하지 않기 위해 남성 옵션을 추가했지만, 성별 이분법적 고정관념을 드러내거나 성 정체성의 다양성을 고려하지 못한 점이 있다. 남성 중심의 기술회사에서 젠더 중립적인 디지털 어시스턴트의 개발이 가능한지도 의문이며, 젠더에 민감한 데이터와 알고리즘도 이를 설계하거나 감사하는 주체가 중요한데, 이에 대한 구체적인 논의가 이루어지지 않아 한계를 지닌다. 기술 분야의 여성 참여 정책과 법제가 시행되고 있음에도 여전히 인공지능 기술 분야에서 여성의 과소 대표성이 심각한 것도 문제이다. 따라서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고 효과적인 인공지능의 젠더 편향 해소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젠더 권력의 사회적, 정치적 맥락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남성의 관점과 경험이 보편적인 남성 중심 사회에서는 인공지능 젠더 편향에 대한 문제의식이 부족할 수 있다. 인공지능 젠더 편향에 대한 사회적 인식 제고가 필요하며, 이를 위해서는 인공지능 젠더 편향에 대한 교육과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인공지능의 젠더 편향을 해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법적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젠더에 민감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알고리즘을 설계하기 위해서는 젠더 문제를 파악하고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는 법적 지원 기구가 필요하며, 이는 기술 분야의 적극적 평등실현조치를 통해 기술-젠더 융합 전문가의 양성을 바탕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the effectiveness of proposed solutions addressing gender bias in AI and evaluates their appropriateness. Globa tech companies have developed and marketed a digital assistant with a female voice, targeting male consumers. However, the issue lies in feminized digital assistants not merely perpetuating existing gender inequalities but exacerbating them. These digital assistant voices reinforce gender stereotypes, portraying women as kind, docile, and submissive, while fostering false attitudes about sexual harassment. This inclination towards female digital assistants stems from the overwhelmingly male workforce in tech companies, highlighting a severe gender divide within AI technology compared to other professional fields. Numerous international and national initiatives have aimed to address this issue. Proposals have emerged to eliminate defaulting to female voices, explore gender-neutral digital assistants, and collect gender-sensitive data. Efforts have also focused on designing algorithms to mitigate gender inequalities reinforced by biases in digital assistants. In the education sector, policies and legislation bolster girls’ entry into science and technology, addressing gender imbalances within the tech field. However, these measures struggle to rectify deeply entrenched gender inequalities. Specifically, existing measures tackling gender bias in AI have limitations. Some introduce a male option to avoid defaulting to a female voice but fail to confront gender binary stereotypes or consider diverse gender identities. The creation of gender-neutral digital assistants within male-dominated tech companies raises questions. Additionally, discussions about the individuals responsible for designing or auditing gender-sensitive data and algorithms are absent, hampering their collection and programming. Despite policies and legislation aimed at enhancing women’s participation in technology, a significant under-representation of women persists within the field of AI technology. To effectively address gender bias in AI, it is required to devise solutions that consider the social and political contexts of gendered power. In a predominantly male-dominated society where male perspectives and experiences prevail, awareness of gender bias in AI might be lacking. Raising social consciousness about gender bias in AI necessitates educational initiatives and dedicated research. Specific legal support should also be provided to help address gender bias in AI. Developing gender-sensitive data collection methods and algorithmic designs requires a legal support institute focused on identifying and proposing solutions to gender-related issues. Such endeavors require training experts at the intersection of technology and gender through affirmative action.

      • KCI등재

        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 활용 동향

        권정민 ( Kwon Jungmin ),이영선 ( Lee Young Sun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20 한국초등교육 Vol.31 No.특별호

        기술은 인간의 삶을 편하게 하는 것을 궁극적 목적으로 한다. 장애인에게 있어 기술은 개인적 편리함 뿐 아니라 사회적 통합까지 가능케 하는 중요한 삶의 요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AI 기술이 장애인의 삶을 더 나아지게 하는데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과거에 개발되었거나 현재 개발중이거나, 가까운 미래에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기술의 동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여러 장애 분야 중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 학습장애, 발달장애를 위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조사 방법을 이용하여 장애인을 위한 AI기술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문헌조사의 대상을 최근 5년 이내의 동료심사된 논문, 학술대회 프로시딩 뿐 아니라 현재 개발되고 있는 제품까지 포함하기 위하여 뉴스 기사, 기업이나 비영리 기관의 공식 블로그까지 연구대상으로 포함 하였다. 연구 결과 장애인을 위한 기술은 장애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장애별 AI 지원 중 가장 다양한 방식의 지원이 개발되고 있는 분야가 시각장애, 청각장애, 지체장애였으며, 이들은 생활보조에 더 초점이 맞추어져 있는 반면, 학습장애와 자폐는 진단과 교육에 더 집중되어 있였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AI 기술의 개발은 크게 인식 보조, 이동성 보조, 쇼핑 보조, 학습 보조, 기타 생활 보조로 나누어졌다. 청각장애인을 위한 AI 활용은 캡셔닝, 듣기보조, 수화 통역의 세 분류로 나누졌으며, 지체장애인을 위한 AI는 크게 음성인식, 자율화, 조작, 보완대체의사소통으로 나타났다. 학습장애를 위한 AI는 크게 학습장애의 진단과 학습지원, 그리고 자폐성장애와 발달장애를 위한 AI는 크게 진단, 사회적 상호작용 보조, 치료 보조, 그리고 단순화로 개발되고 있다. 인공지능은 이동성 보조, 의사소통 기회와 능력 향상, 독립성 향상, 접근성 향상 등을 통해 장애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킨다. Technology is used to make our lives more comfortable. For persons with disability, technology affects not only personal life but also how one is integrated into the society. In this study, trends in AI us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were analyzed. We researched peer-reviewed journals, conference proceedings, news outlets, and official company websites to get a broader view of available and currently developing products. Results show that AI technologies are used in specific and different way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For example, AI for visual impairment were mostly developed to assist with visual perception, mobility, shopping, learning, and other daily living. AI for hearing impairment is developed around hearing assistance, captioning, and translation of sign language. AI for physical disabilities are focused on assisting with speech recognition, automation, control, and AAC. For learning disabilities, AI is mostly used for education and diagnostics. For autism, AI is mostly used for diagnosis, therapy, and simplification. AI products were mostly focused on helping persons with physical and sensory disabilities. For persons with learning disability and developmental disability, the products were centered around assessment and education. Overall, AI is used to enhance quality of life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by assisting with mobility, communication, independence, and accessibility.

      • KCI등재

        AI 비서 서비스의 중요도와 만족도 분석 연구

        선영지(Young Ji Sun),이중정(Choong C. Lee),윤혜정(Haejung Yun) 한국IT서비스학회 2021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20 No.4

        In the era of artificial intelligence,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services has been diversified by combining various smart devices, big data, and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From the perspective of IT services, these services are important technology that cause a paradigm shift from display-centered to voice- centered, and from passive to active IT-based services. This study seeks to find a solution to the current situation where AI assistant service is still in its beginning stage, despite having been ten years since its release and having a growing number of consumer touch points. Accordingly, we categorized the functions of AI assistant services and identified the degree of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ervices recognized by actual users. In order to define the ideal services of AI assistant, seven experts from AI assistant-related industry have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Based on this result, we investigated the importance and satisfaction of services perceived by actual users of AI assistant services. As a result of IPA (Importance Performance Analysis). we find out which services are potentially ‘keep’, ‘concentrate’, ‘low priority’, or ‘overkill’ and provide various implications from the finding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