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일상생활능력이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증의 매개역할에 관한 연구: 3개월 이상 요양시설 입원 노인을 대상으로

        손용진 경인행정학회 2018 한국정책연구 Vol.18 No.4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 of the ADL(Activities of Daily Living) on the health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role of depression between the ADL and health life satisfaction using the 2017 Elderly Living Conditions Survey. A sample of 132 individuals 65 or older was adopted, and they all have experienced in staying in long-term care hospitals for a duration of three months or more. It was hypothesized that the level of depression mediates the relation of the ADL with the health life satisfaction.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ADL did not have a direct effect on the health life satisfaction. Second, the ADL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depression. Third, the depression acted as the complete mediation factor for predicting the health life satisfaction when both the ADL and depression was entered in the final model. That is, when the ADL was more limited, the depression was higher. In turn, the higher depression led to have the lower likelihood of the health life satisfaction. Therefore, although the ADL did not show a direct effect on the health life satisfaction, the ADL had an indirect effect with depression on the health life satisfaction. This result suggested that depression should be considered as a mediating factor for the ADL in case of model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DL and the health life satisfaction. For the maintenance of better mental health for the residents of long-term care facilities, the implementation of depression-alleviating program was suggested. 본 연구는 2017년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중심으로 노인의 일상생활능력이 건강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두 변수 간 관련성에 있어 우울증의 매개효과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해, 3개월 이상 요양원에 입소 혹은 요양병원에 입원한 경험이 있는 65세 이상 132명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구성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ADL은 건강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력이 없었다. 둘째, ADL은 우울증에 유의한 예측변인이었다. 셋째, ADL과 우울증 변수를 투입한 모델에서 우울증이 ADL과 건강만족도와의 관계를 유의하게 완전 매개하였다. 즉, ADL이 제한적일수록 우울증이 높았고, 우울증이 높을수록 건강만족도는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요양시설 이용경험이 있는 노인에 있어서 ADL이 직접적으로 건강만족도에 영향을 주기보다는 우울증이 수반될 경우 건강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낸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함의는 장기요양시설에 거주경험이 있는 대상자의 ADL과 건강만족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할 경우, 우울증 수준을 고려하여 모델에 설정하여야 한다는 점이다. 장기요양시설에서 입소자들의 정신 건강유지를 위해 우울증 완화 프로그램 등의 필요성에 대해 언급하였다.

      • 편마비 환자에서의 일상 생활 동작 수행 능력과 일상 생활 동작에 대한 만족도의 비교

        한태륜 대한뇌졸중학회 1999 Journal of stroke Vol.1 No.2

        Background :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re basic skills that a person must possess in order to care for oneself independently. Satisfaction with ADL cannot be defined by only physical capability to perform ADL. The objective of our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rrelation between ADL ability and ADL satisfaction and the different patterns of relationship between ADL ability and ADL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categories of ADL in selected patients with stroke. Methods : Twenty hemiplegic patients were included in this study. ADL ability was assessed according to the Kenny self care evaluation and ADL satisfaction was assessed using Visual analog scale(VAS).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DL ability and ADL satisfaction if patients were not independent in performing the activity. The satisfaction with locomotion and ascending or descending stairs were lower than other categories of ADL if patient is independent in performing the activity. The satisfaction with toilet activity was the lowest among categories of ADL if patients needed minimal assistance from others in performing the activity. Conclusions : When hemiplegic patients are not independent in ADL activity, subjective ADL satisfaction cannot be anticipated from ADL ability. In addition to ADL ability, ADL satisfaction should be assessed separately in planning the therapy to improve independency in ADL. Korean Journal of Stroke 1999;1(2): 225~230

      • KCI등재

        농촌지역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ADL, IADL)과 우울수준과의 관련성

        신은숙(Shin, Eun-Sook),조영채(Cho, Young-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3 No.1

        본 연구는 노인들의 ADL, IADL 및 우울수준을 알아보고, ADL, IADL과 우울수준과의 관련성을 검토하고 자 농촌지역 노인 412명(남자 191명, 여자 221명)을 대상으로 2010년 4월 1일부터 6월 30일까지의 기간 동안에 표준 화된 무기명식 면접조사용 설문지를 사용하여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조사대상자의 ADL의 분포는 정상 범위노인군 94.7%, 기능장애노인군 5.3%이었으며, IADL의 분포는 정상범위노인군 87.4%, 기능장애노인군 12.6%이었 다. 우울수준의 분포는 정상군 59.0%, 우울군 41.0%이었다. 조사대상자의 우울군의 분포는 ADL이 정상범위노인군에 서 38.2%, 기능장애노인군에서 90.9%로 기능장애노인군에서 유의하게 높았으며, IADL이 정상범위노인군에서 35.8%, 기능장애노인군에서 76.9%로 기능장애노인군에서 유의하게 높았다. 다른 변수를 통제한 다변량 모델에서의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우울수준에 대한 위험비는 ADL에서 정상범위노인군보다 기능장애노인군에서 23.21배(95% CI=4.38~123.05) 높았고, IADL에서 정상범위노인군보다 기능장애노인군에서 7.76배(95% CI=2.99~20.08)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적으로, 농촌지역 노인들의 ADL과 IADL이 기능장애노인군인 경우 정상군에 비해 우울상태로 되는 위험비가 높아졌 다. 따라서 향후 노인들의 우울을 예방하기 위한 대책의 하나로 개인의 ADL 및 IADL과 같은 신체적 기능을 더욱 건강하게 유지 증진시킬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levels of depressive symptoms and to reveal its relationships between ADL and IADL among rural elderlies. The interviews were performed,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1st, to June 30th, 2010, to 412 elderlies in rural areas. As a results, the distribution of ADL among all subjects were 94.7% in normal-range group, and 5.3% in impaired group. In terms of IADL, 87.4% of the subjects were normal-range group, 12.6% were impaired group. The distribution of depression group among all subjects were 38.2% in normal-range group of ADL, and 90.9% in impaired group of ADL, but it was 35.8% in normal-range group of IADL, and 76.9% in impaired group of IADL.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adjusted odds ratio of the depression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impaired group of ADL than in normal-range group of ADL(OR=23.21, 95% CI=4.38~123.05). Also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impaired group of IADL than in normal-range group of IADL(OR=7.76, 95% CI=2.99~20.08). In conclusion, the depression of rural elderlie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impaired group than in normal-range group of ADL and IADL. Thus, strategic effort needs to be prevented to depression in impaired group of ADL and IADL.

      • KCI등재

        도시지역 재택 노인들의 신체적 기능(ADL, IADL)과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련성

        윤석한(Seok-Han Yo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22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3 No.11

        본 연구는 노인의 신체적 기능(ADL, IADL)과 주관적 행복감과의 관련성을 파악할 목적으로 2019년 4월 5일부터 5월 28일까지의 기간에 한 도시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재택 노인 264명을 대상으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행복감은 ADL과 IADL이 「정상범위 노인군」보다 「기능장애 노인군」에서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행복감과 ADL 및 IADL과의 상관관계를 보면, 주관적 행복감은 ADL 및 IADL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 ADL 및 IADL이 낮을수록 주관적 행복감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대상자의 주관적 행복감에 대한 ADL 및 IADL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주관적 행복감이 「낮은 군」으로 나타날 위험비는 ADL 및 IADL이 「정상범위 노인군」보다 「기능장애 노인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한편, 주관적 행복감에 관련된 영향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변량 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연령, 거주상태, 생활비 부담, 외출빈도 수, 신체의 부자유 유무, 주관적 건강상태, 일상생활에 대한 만족도, ADL 및 IADL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위와 같은 결과는 도시지역 거주 재택 노인들의 주관적 행복감은 ADL 및 IADL과 유의한 관련성이 있을 뿐만 아니라 기본적 속성의 여러 요인과도 유의한 관련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hysical functions (ADL, IADL) and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5 to May 28, 2019, on 264 elderly people living in an urban area. We found tha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study subject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impaired ADL / IADL group」 than in the 「normal-range group」. Moreover, subjective well-being was significantly and positively correlated to physical function (ADL, IADL). In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risk ratio for subjective well-being to appear as a 「low group」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impaired ADL / IADL group」 than in the 「normal-range group」. Factors affecting subjective well-being were selected as significant variables in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cluding age, living status, burden of living expenses, frequency of going out, physical disability, subjective health status, satisfaction of daily life,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IADL).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the subjective well-being of the elderly living at home in urban areas is not only significantly related to physical functions (ADL, IADL) but is also dependent on various general characteristic factors.

      • Relationships between Functional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by Time since Stroke Onset in Elderly Patients with Acute Stroke

        Gyeong-A Park,Keun-Bae Oh,Jin-A Hwang,Kyung-Yoon Kim,Ji-Young Baik 보안공학연구지원센터 2015 International Journal of Bio-Science and Bio-Techn Vol.7 No.2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xamine changes in functional status,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and depression between initial onset of stroke and 1 and 3months post-stroke; furthermore, we sought to determine the changes in the correlations between these factors over time. The study subjects were 42 patients, aged 65 years or older, undergoing rehabilitation treatments after being diagnosed with stroke. Evaluations of functional status, performance of ADLs, and depression were performed using Korean versions of the National Institutes of Health Stroke Scale, Modified Barthel Index, and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respectively. The results showed that changes in functional status, performance of ADLs, and depression between onset of stroke and 1 and 3months post-strok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Within 1 week from the onset of stroke,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s of functional status and performance of ADLs and depression. At 1month post-stroke,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total scores for functional status and performance of ADLs; however, functional status and depression were no longer significantly related, although performance of ADLs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depression. Finally, at 3monthspost-stroke,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functional status and performance of ADLs, and between depression and performance of ADLs. Thus, functional status, performance of ADLs, and depression in elderly stroke patients showed significant changes by time since stroke onset. Although functional status and performance of ADLs were consistently correlated over time, depression showed weaker correlations with functional status over time, but showed consistent correlations with performance of ADLs.

      • KCI등재

        재가 여성노인의 우울, 체질량 및 인지기능이 주관적인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ADL 및 ADL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황미구 한국노인복지학회 2008 노인복지연구 Vol.0 No.42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BMI, cognitiv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among elderly women, focusing on mediating effect of IADL and ADL. Elderly women aged≥65 years, living in community resident homes were included in the study. Based on survey data including 3,055 cas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conducted to analyze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was association with IADL, ADL and quality of life in all samples. And also, BMI was association with ADL and quality of life. However, IADL and ADL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all samples. 2. BMI was association with ADL and quality of life in low depression group. Also, IADL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low depression group. 3. Only, IADL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ognitive function and quality of life in high depression group. In conclusion, management of cognitive function and IADL are very important comparing to others in mental health service for elderly with depressive symptom and will help the elderly to feel the quality of their life. 본 연구는 일상생활수행능력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여성노인의 우울과 체질량(BMI), 인지기능이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65세 이상 재가 여성노인 3천 55명을 대상으로 통계 분석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구조방정식 모델을 사용했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재가여성노인의 우울은 직접효과와 도구적 일상생활수행능력(IADL)과 일상생활수행능력(ADL)을 매개변인으로 한 간접효과로 주관적 삶의 질에 유의미하게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또한 여성노인의 BMI는 직접효과와 ADL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간접효과로서 주관적 삶의 질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고, 인지기능은 ADL과 ADL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주관적인 삶의 질에 간접적으로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우울이 낮은 여성노인의 BMI는 주관적인 삶의 질에 직접영향을 미쳤고, IADL과 ADL을 매개로 하여 주관적인 삶의 질에 간접적으로 유의하게 부적인 영향, 인지기능은 IADL을 매개변인으로 하여 주관적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으나, ADL에 따른 매개효과나 주관적 삶의 질에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에 우울이 높은 여성노인들의 인지기능이 IADL을 매개로 한 경우에 주관적인 삶의 질에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인지기능과 IADL 관리는 무엇보다도 우울한 여성노인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다.

      • KCI등재

        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건강의 종단적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 성별에 따른 집단간 차이를 중심으로

        임진섭,김제선 사단법인 한국융합기술연구학회 2023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9 No.11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이들의 사회적 활동과 일상생활수행능력(ADL), 주관적 건강에 대한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궤적을 살펴보고 동시에 세 변인간의 종단적 인과관계 검증하고 동시에 성별에 따른 집단간 경로차이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한국고용정보원의 고령화연구패널조사의 5차년도(2014년)부터 8차년도(2020년)까지 총 4시점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시간에 지남에 따라 노인의 사회활동과 주관적 건강은 감소했으며 타인으로 부터 받는 도움(ADL)은 증가했다. 둘째, 사회적 활동과 일상생활수행능력(ADL), 주관적 건강의 종단적 인과관계를 분석한 결과 초기 사회활동 수준이 높을수록 타인으로 부터 받는 도움(ADL)과 그 증가폭은 낮아졌으며 주관적 건강은 높아졌다. 또한 사회적 활동의 증가폭이 클수록 타인으로부터 받는 도움(ADL)의 증가폭은 감소했으나 주관적 건강의 증가폭은 증가했다. 다음으로 초기의 타인으로 부터 받는 도움(ADL)이 클수록 초기의 주관적 건강상태 역시 좋지 않았으며 타인으로 부터 받는 도움(ADL)의 증가폭이 클수록 주관적 건강상태의 증가폭은 감소하였다. 셋째, 노인의 사회활동이 주관적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일상생활수행능력(ADL)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다집단 분석결과 세 변인의 종단적 인과관계에 대한 성별 차이가 존재했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노인의 사회활동을 장려하고 건강을 증진하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volution of social activitie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DLs), and subjective health over time among the elderly aged 65 and older, and to test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se three variables, as well as to identify differences by gender. To do so, we utilized data from four waves of the Korean Longitudinal Study of Ageing (KLoSA) from the fifth year (2015) to the eighth year (2018). Key findings include First, over time, social activity and subjective health decreased and assistance from others (ADLs) increased among the elderly. Second, we analyzed the longitudinal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ocial activity, ADLs, and subjective health, and found that the higher the initial level of social activity, the lower the increase in ADLs and the higher the subjective health. Also, the greater the increase in social activity, the lower the increase in ADLs but the higher the increase in subjective health. Second, the greater the initial ADLs, the worse the initial subjective health, and the greater the increase in ADLs, the less the increase in subjective health. Third, the social activities of the elderly had a direct effect on subjective health, but indirectly through the mediation of ADLs. Fourth, multigroup analyses revealed group differences in the longitudinal causality of the three variables. Finally, based on these findings, suggestions were made to encourage social activities and improve health among the elderly.

      • KCI등재

        뇌성마비인의 일상생활활동(ADL) 결정 요인에 관한 경로분석

        김정우(Kim Jung-Woo) 한국사회복지학회 2006 한국사회복지학 Vol.58 No.2

        본 연구는 장애가 신체적 손상과 ADL 사이에 개인의 건강문제와 환경의 상호작용이 포함되는 것이라는 세계보건기구(WHO)의 장애개념 정의에 따라 뇌성마비를 가진 성인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신체적 손상이 실제적인 장애로 발현되는 경로를 분석한 것이다.<br/>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통증과 도구적 지지를 각각 일상생활활동(ADL)의 매개변인으로 개념화하고 이를 분석에 포함시켰다. 총 381명을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마비부위가 일상생활활동(ADL)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 성별, 연령, 뇌성마비유형 등은 직접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신체적 통증문제가 매개될 경우 연령, 뇌성마비유형, 마비부위 모두가 통증문제에 영향을 미침은 물론이고 일상생활활동(ADL)에 간접적인 영향까지 미치게 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이 과정에서 도구적 지지의 정도가 통증문제와 일상생활활동(ADL) 모두에 직, 간접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개인의 손상이 곧바로 활동제약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개인적, 사회적 요인의 상호작용이 영향요인임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사회복지실천분야에서 이 매개요인을 고려한 새로운 접근이 시도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This study tries to understand how the physical impairment develops to practical disabilities among adults with cerebral palsy through path analysis, based on the concept of disability by WHO that the physical impairment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ADL) are affected by the combination of interrelated concept of personal health and environment.<br/> Pain and instrumental support are conceptualized as mediating variables for ADL among the adults with cerebral palsy, which are used in the analysis. As a result of surveying of 381 participants, paralyzed region is the only variable directly influencing ADL; other variables such as gender, age, and types of cerebral palsy do not have direct effect on ADL. However, it turns out that age, types of cerebral palsy, and paralyzed region influence on pain problems and also on ADL indirectly, when pain is introduced as a mediating variable. The study also shows that the extent of instrumental support works directly and indirectly toward pain and ADL. It means that individual impairment does not necessarily have influence on the limitations of ADL, but on the result of interrelatedness of individual factors and social factors. Finally, this study implies that the social work practice should be intervened with a new approach of the consideration of the effects of mediating variables.

      • KCI등재

        노인의 일상생활수행능력(ADL/IADL)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도시와 농촌 비교를 중심으로

        이상붕(Sang-Boong Lee),허남욱(Nam-Wook Hur) 한국산학기술학회 2021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도시와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을 대상으로 일상생활수행능력에 영향을 주는 사회인구학적 요인의 차별성과 영향력을 비교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자료는 패널 자료인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과 노화에 대한 조사」이며, 분석 대상은 도시 노인 400명(서울시 K구: 2017년 4월부터 2017년 6월까지 조사), 농촌 노인 524명(경기도 B면: 2015년 12월부터 2016년 2월까지 조사)이다. 연구방법은 기술 통계 분석, 교차 분석을 통한 카이제곱검정, 상관 분석, 로짓 분석을 실시한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DL/IADL의 ‘완전 자립’의 비율은 ‘ADL(도시) > ADL(농촌) > IADL(도시) > IADL(농촌)’의 모습을 보인다. 둘째,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이 도시 노인에 비교하여 낮은 ADL 수준을 경험할 확률은 7.1배, 낮은 IADL 수준을 경험할 확률은 3.25배 높다. 마지막으로, 도시 노인의 ADL 수준에 영향을 통계적 유의미한 변수는 우울감이고, IADL 수준은 성별, 연령, 경제활동유무, 배우자 유무, 우울감이다. 농촌 노인의 ADL 수준은 연령과 경제활동유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수이며, IADL 수준은 성별, 연령, 경제활동유무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tiation and influence of socio-demographic factors that affect the daily living ability of the elderly living in urban and rural areas. The research data is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The analysis target was 400 urban elderly people (K-gu, Seoul: surveyed Apr. ~ Jun. 2017) and 524 rural elderly people (B-myeon, Gyeonggi-do: surveyed Dec. 2015 ~ Feb. 2016). The research method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chi-square test through cross-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logit analysis.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ratio of ‘complete independence’ in ADL/IADL was ‘ADL(city)> ADL(rural)> IADL(city)> IADL(rural)’. Second, the probability that the elderly living in rural areas will experience a lower ADL level and lower IADL level was 7.1 times and 3.25 times higher than that of the urban elderly. Lastly,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 affecting the ADL level of urban elderly was depression, and the IADL level was gender, age, economic activity, spouse presence, and depression. Age and economic activity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variables for the ADL level of the rural elderly, and the IADL level was gender, age, and economic activity.

      • KCI등재

        우리나라 고령자의 연령에 따른 신체적 기능(ADL, IADL)과 관련요인

        송영수(Song, Young-Su),배남규(Bae, Nam-Kyou),조영채(Cho, Young-C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5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6 No.3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령자들을 연령대별로 70대군, 80대군, 90대군 및 100세 이상 군으로 구분하여 이들의 ADL과 IADL수준을 비교해 보고, 그에 관련된 요인을 규명하고자 시도하였다. 조사대상은 2009~2012년도에 국민건강보험공단의 건강검진 수검 및 장기요양 인정조사를 받았던 70세 이상 고령자 1,756명(남성 872명, 여성 884명)이었다. 연구결과, 조사대상 자의 연령대별 ADL과 IADL기능장애군의 분포는 연령대가 증가할수록 유의하게 높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ADL에 대한 기능장애가 나타날 위험비는 각 연령대별로 큰 차이 없이 남성보다 여성에서, 농촌지역보다 도시 지역에서, 정상체중군보다 저체중군에서, 뇌졸중 과거력이 없다는 군보다 있다는 군에서,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 비음주 군보다 음주군에서, 규칙적인 운동을 한다는 군보다 하지 않는다는 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IADL에 대한 기능장애가 나타날 위험비는 각 연령대별로 큰 차이 없이 남성보다 여성에서, 정상체중군보다 저체중군에 서, 비흡연군보다 흡연군에서, 비음주군보다 음주군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는 조사대상자들의 ADL 과 IADL 수준이 여러 인구사회학적 및 건강관련행위특성 변수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흡연, 음주 및 규칙적인 운동 등과 같은 건강관련행위특성이 좋지 않은 군에서 ADL과 IADL 수준이 저하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levels of physical function (ADL, IADL) and to reveal its association with the related factors in the elderly people. The study subjects were 1,756 (male 872, female 884) people aged over 70 who received medical check-ups and long-term care services between 2009 and 2012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s a result, the distribution of impaired ADL and IADL increased significantly with age. Logistic regression showed that the risk ratio of impaired ADL wa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following groups: female, urban, low weight, stroke history group,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not regular exercise group. The risk ratio of an impaired IADL were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of females, low weight, smoking, alcohol drinking. On the other hand the risk ratio of an impaired ADL and IADL was similar in each age group. As above results, the levels of ADL and IADL in the study subjects are closely related to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related behaviors. In particular, they suggested that the levels of ADL and IADL were lower in the poor group of the health-related behaviors, such as smoking, alcohol drinking, and regular exerci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