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도종목 선수들의 유전자 다형성의 특성과 유, 무산소성 능력 및 골밀도와의 관련성

        조현철 대한무도학회 2020 대한무도학회지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s of angiotensin 1-converting enzyme(ACE), alpha-actinin-3(ACTN-3) gene polymorphism of martial arts(judo, kendo, taekwondo) and their aerobic, anaerobic performance and bone mineral density(BM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3 elite martial arts athlete(judo=47, kendo=29, taekwondo=67) from University Y. Aerobic athletic ability was carried out to the all-out state by the Bruce protocol, and anaerobic athletic ability was executed by the Wingate Test, while dual energy x-lay absorptiometry(DEXA) was applied in BMD measurement. The results in this study were obtained as follows : The ACE gen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were showed with II>ID>DD type in judo and taekwondo while kendo were ID>II>DD type. The ratio of genes to I type was twice as high as D type. ACTN-3 gene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were showed with RX>RR>XX type in judo, kendo and taekwondo. The ratio of genes to R type was slightly higher than X type. It indicates from the above results, although there i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ACE, ACTN-3 gene polymorphism but the sequence of genetic polymorphism is desirable to watch ACTN-3 rather than ACE focusing in martial arts specifics. And It's thought that gene polymorphrism is low in correlation to the aerobic and anaerobic power and bone density 본 연구는 무도 종목선수들의 ACE와 ACTN-3 유전자 다형성의 분포특성과 유·무산소성 파워 및골밀도와의 관련성을 규명하여 선수들의 체력예측, 경기력 향상 및 엘리트 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를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Y대학교 남자 유도선수 47명, 검도 선수 29명, 태권도 선수67명, 총 143명으로 하였으며, 유산소 파워는 Bruce 방법을 이용한 점증부하 법으로, 무산소 파워는Wingate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골밀도는 이중 에너지 엑스레이(DEXA)로 측정하고 혈액 채혈을 통해 ACE와 ACTN-3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하였으며, 이들의 특성과 유, 무산소성 파워 및 골밀도와의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유도 검도 태권도 선수들의 ACE 유전자 다형성은 유도의 경우 II>ID>DD 순으로, 검도의 경우ID>II>DD 순으로, 태권도의 경우 II>ID>DD 순으로 각각 나타났으며, 대립유전자(I와 D) 간에 비율은 I 형이 D형 보다 약 2배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도 검도 태권도 선수들의 ACTN-3 유전자 다형성은 모두 RX>RR>XX 순으로 각각 나타났으며, 대립유전자(R와 XD) 간에 특성은 R형이 X형보다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CE 유전자 다형성과 유, 무산소 운동능력 및 골밀도 간에는 유도선수에서만 유산소 파워 간에 유의한 상관(p<.05)이 나타났고, 태권도의 경우 ACTN-3 유전자 다형성과최대심박수에서 유의한 상관(p<.05)이 나타났다. 무산소 파워는 모든 변인에서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지 않았으며, 골밀도에서는 태권도 선수들의 ACTN-3와 다리 골밀도에서만 유의한 상관(p<.01)이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무도종목 선수들의 ACE 유전자 다형성의 특성은 I 대립유전자가 D 대립유전자보다는 약 2배 가까이 많았지만 ACTN-3 유전자 다형성은 R형과 X형 대립유전자가 거의비슷하거나 R형 대립유전자가 약간 많은 것으로 나타나 그 특성이 운동 종목에 따라 다른 것으로생각된다. 따라서 무도 종목 특성상 ACE보다는 ACTN-3형 유전자를 보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되며, 유, 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골밀도와의 관련성은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아동의 ACE 및 IGF-1 유전자의 복합적 다형성에 따른 체력, 대사증후군 위험인자 및 12주 복합운동효과의 비교

        김기진 ( Ki Jin Kim ),안나영 ( Na Young Ahn ),홍창배 ( Chang Bae Hong ),고진호 ( Jin Ho Go ),김상현 ( Sang Hyun Kim ),김재훈 ( Jae Hoon Kim ),변자영 ( Ja Young Byun ),주영식 ( Young Sik Ju ) 한국운동생리학회(구-한국운동과학회) 2012 운동과학 Vol.21 No.1

        본 연구는 아동의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와 체력저하 의 효과적인 예방 및 처치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체력 및 대사증 후군관련 지표에 대한 IGF-1 및 ACE 유전자 다형성에 의한 유전적 영향과 함께 12주 유산소 및 근력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광역시 소재 초등학생 4학년으로 주 3회 수업 시간을 활용한 복합 운동에 참여한 176명(남~109, 여=67)이다. 대상자의 IGF-I 및 ACE 유전자 다형성을 분석하였고, IGP-I 및 ACE의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서 192/192-II. ID. DD 3그룹, 192/Non-II, ID, DD 3그룹 빛 Non-II. ID. DD 3그룹A로 총 9개 그룹으로 구성하였다. 체력 측정 항목은 배근력, 악력, 윗몸 일으키기, 좌전굴, 제제자리 멀리 뛰기, PEI이며. 혈중 지표는 블루코스 중성지방, 총콜레스페롤, HDL-C, LDL-C, AST, ALT, 인슐린 및 HOMA一IR을 분석하였다. ACE의 혈중 농도는 192/Non-DD그룹이 192/192-II. 192/Non-II 및 Non-ID그룹보다 유의하게(p<,0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냐 IGF-I의 혈중 농도는 그룹 간에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ACE 및 IGF-I 유전자의 다형성에 따른 모든 체력 항목 및 운동효과는 그룹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192/192-DD그룹의 중성지방 192/Non-II 및 Non-ID그룹보다 유의하게(p<.0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효과에서는 192/192-DD그룹의 중성지방이 192/192-II, 192/Non-II, -ID, -DD 및 Non-II그룹보다 유의하게(p<.0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IGF-I과 ACE 유전자의 다형성에 따라서 체력수준과 그 운동효과는 현저한 차이가 없으나, IGF-I 및 ACE 유전자 다형성의 유전적 영향에 의해서 12주간 규칙적인 운동에 따른 중성지방 농도 및 인슐린 감수성의 개선정도는 차이를 나타낼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pro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analyze physical fitness,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12 week combined exercise intervention-mediated effects according to interaction between ACE and IGF-I gene polymorphism in children. We studi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n=176) who were divided into 9 groups (192/192-II. ID. DD. 192/Non-II. ID. DD and Non-II. ID. DD) according to interaction between ACE and IGF-1 gene polymorphism. Subjects were measured the physical fitness. metabolic risk factors. Serum levels of IGF-I and ACE. ACE level in serum of 192/Non-DD group were significantly (p<.05) higher than 192/l92-II, 192/Non-I and Non-ID group. but IGF-I level in serum were not different among group. All physical fitness and exercise effects of physical fitness according to ACE and IGF-I gene polymorphism were not different among group. Triglyceride of 192/192-DD group were significantly (p<.05) higher than 192/192-II, 192/Non-II, -ID, -DO and Non-II group. In conclusion, we could not fin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of physical fitness and 12 week exercise-mediated changes according to interaction between IGF-I and ACE gene polymorphism , but 12 week exercise-mediated changes of triglyceride concentration and insulin sensitivity showed a sign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interaction between IGF-I and ACE gene polymorphism.

      • KCI등재

        태권도 시합유형에 따른 ACE 유전자 다형성의 특성과 유, 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골밀도와의 관련성

        풍혜,왕가맹,진천,조임형,조현철 국기원 2020 국기원태권도연구 Vol.1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angiotensin 1-converting enzyme(ACE), alpha-actinin-3(ACTN-3) gene polymorphism of taekwondo athletes in different competition types(kyorugi, poomsae, demonstration group) and their aerobic, anaerobic performance and bone mineral density(BMD).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28 elite taekwondo athletes and physical education majors from University Y.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was based on 34 from Kyorugi, 38 from poomsae, and 33 from demonstration in taekwondo athletes while the comparison group targeted 23 athletes majoring in physical education. Aerobic athletic ability was carried out to the all-out state by the Bruce protocol, and anaerobic athletic ability was implemented by the Wingate Test, while dual energy x-lay absorptiometry(DEXA) was applied in BMD measurement.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via the process above. The ACE gene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athletes according to different competition types were showed as man is with II>ID>DD type in kyorugi and poomsae while women with ID>II>DD type. And Men are with ID>II>DD type in demonstration while women with II>ID=DD typ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E gene polymorphism and aerobic, anaerobic athletic ability as well as BMD for each competition type in both man and women. ACE gene polymorphism was shown to be with significant relations only in the case of male athletes in the maximum oxygen intake DD type. For female athletes, it was found that DD type was related to peak power per weight, and there is only an advertent between ID type and leg BMD, and also between DD type and arm BDM. Judging from the above results, although there is no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the ACE gene polymorphism and the distribution of oppositional genes among by type of competition male and female Taekwondo athletes but the sequence of genetic polymorphism II and ID type was twice the size of DD type. In women athlete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bone density is due to the effects of female hormones. 본 연구는 태권도 선수들의 시합 유형(겨루기, 품새, 시범)에 따른 ACE 유전자 다형성의 특성과 유, 무산소성 운동능력, 골도와의 관련성을 규명할 목적으로, 대학교 엘리트 태권도 선수를 유 형별로 겨루기(남자 27명, 여자 7명), 품새(남자 20명, 여자 18명), 시범(남자 25명, 여자 8명), 대조군으로 체육전공 학생(남자 17명, 여자 6명), 합계 128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유, 무산소 운동능력, 골도를 측정하여 이들 변인과의 상관성을 확인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태권도 선수들의 시합유형에 따른 남, 여 선수들의 ACE 유전자 특성은 남자들은 겨루기와 품새에 서 II>ID>DD형 순으로, 여자들은 ID>II>DD형 순으로 나타났으며, 시범에서 남자들은 ID>II>DD 형 순으로, 여자들은 II>ID=DD형 순으로 나타났으나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남녀별 시합유형별 ACE 유전자 다형성과 유·무산소 운동능력, 골도 간에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ACE 유전자 다형성은 남자선수들의 경우에는 DD형과 최대산소섭취량에서만 유의한 상관성이 나타났다. 여자선수들의 경우에는 DD형과 체중 당 피크파워와 관련성이 나타났 고, ID형과 다리 골도에서, DD형과 팔 골도에서만 유의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미루어 볼 때 남녀 태권도 선수들의 시합유형별 ACE 유전자 다형성은 집단 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고, 남녀 선수들 모두 ACE 형에서 II형과 ID형이 DD형의 거의 2배 정도 되는 것으로 나타나 훈련 특성과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사료되며, 이들 유전자와 유, 무산소 성 운동능력 간에도 대체로 낮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여자들의 경우 골도에서만 일부 유의한 관련성이 나타난 것은 여성호르몬의 변화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유도 선수들의 ACE 유전자 다형성(Polymorphism)에 따른 유·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등속성 근기능의 차이

        조현철 대한무도학회 2012 대한무도학회지 Vol.1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fference aerobic and anaerobic capacity as well as isokinetic muscular functions according to a polymorphism of th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ACE). This study was also investigated to provide better methods for athletic performance improving and elite athlete selecting of judo player. Total 69 healthy judo player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Genotyping was perform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or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The athletes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as II, ID, DD genotype groups based upon ACE I/D polymorphism(n=69; II=30, ID=26, DD=13). This groups were measured aerobic capacity testing, maximal incremental cycle ergometer testing, and maximal knee muscle strength measurements. Aerobic fitness indicated higher value in II genotype than ID or DD. However, anaerobic performanc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anaerobic fitness and the genotype. Isokinetic test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right knee flexion peak torque, peak power and average power in DD genotype than II or I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erobic capacity was probably affected by II genotype of ACE gene. In addition, anaerobic capacity indicated that DD genotype of ACE gene dominated over other genotyp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E genotype. We need further studies for an accurate comparison of various event according to ACE I/D polymorphism. 본 연구는 유도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엘리트 선수 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유․무산소 운동능력 및 등속성 근기능에 대한 ACE 유전자 다형성과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Y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 남자 유도 선수 69명으로 ACE의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 총 3개 그룹(II타입 30명, ID타입 26명, DD타입 13명)으로 구분하였다. 측정항목으로는 유산소성 능력으로 최대산소섭취량, 환기량, 최대 심박수를 측정하였으며, 무산소성 파워로 최대파워, 평균파워, 피로지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등속성근기능은 양발의 최대근력, 최대파워, 평균파워를 측정하여 ACE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유산소성 운동능력은 최대산소섭취량과 최대심박수에서 II타입이 ID와 DD타입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환기량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무산소성 운동능력에서도 최대파워, 평균파워, 피로지수에서 DD형이 II와 ID형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등속성 근기능에서는 최대근력(peak torque)과 최대파워, 평균파워에서 DD형이 II와 ID형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그 중 오른쪽 슬관절 굴근 운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따라서, 유도 선수들의 ACE 유전자 다형성 간에 유산소성 능력에서는 II형이, 무산소성 능력에서는 DD형이 대체로 우세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3가지 다형성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세부적인 평가를 위해 다양한 종목과 체급별 분석, 유전형별에 따른 트레이닝의 접목 등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아동의 ACE 및 IGF-1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신체구성 및 12주 복합운동효과의 비교

        김기진,안나영,홍창배,김상현,고진호 대한비만학회 2012 The Korean journal of obesity Vol.21 No.1

        연구배경: 본 연구는 아동의 효과적인 비만예방 및 처치 방안을 제시하기 위하여 신체구성, 신체둘레 및 피부두겹 변인에대한 ACE 유전자와 IGF-1 유전자 다형성 간의 상호작용에 의한 유전적 영향과 함께 12주 유산소 및 근력운동을 병행한 복합운동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자는 대구광역시 소재에 있는 초등학생 4학년으로 12주간 주 3회 복합 운동에 참여한 179명(남;111, 여;68)이다. IGF-1 및 ACE의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서 192/192-II, ID, DD 3그룹, 192/Non-II, ID, DD 3그룹 및Non-II, ID, DD 3그룹으로 총 9개 그룹으로 구성하였다. 신장,체중, 체질량지수(body mass index, BMI), 체지방률(%fat), 제지방 체중(lean body mass, LBM), 신체둘레 및 피하지방 두께를 측정하여 IGF-1 및 ACE의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신체구성, 둘레 및 두께 변인의 차이와 12주간 복합운동 효과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결과: BMI는 Non-DD그룹이 Non-ID그룹보다 유의하게(P < 0.05)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체지방률 및 체지방량은Non-II그룹이 192/192-ID, 192/Non-DD 및 Non-ID그룹보다유의하게(P < 0.05)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효과에서 체중은 192/Non-II, 192/Non-ID 및 192/Non-DD그룹이 Non-II 및Non-ID그룹보다 유의하게(P < 0.0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BMI는 Non-ID그룹이 192/Non-ID그룹보다 유의하게(P <0.0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체지방률은 192/192-II 및Non-DD그룹이 192/Non-DD그룹보다 유의하게(P < 0.0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제지방량은 그룹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않았다. 체지방량은 192/192-II그룹이 192/Non-DD그룹보다 유의하게(P < 0.05)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IGF-1 및 ACE 유전자의 복합적 다형성에 따른 신체구성은 IGF-1 보다 ACE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이며 ACE 의 D 대립인자가 I대립인자보다 더 낮은 체지방률을 나타낼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으로 인한 신체구성의 개선 효과는 192/192 그룹 내에서는 I대립인자를 가진 그룹,Non carriers 그룹 내에서는 D대립인자를 가진 그룹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운동에 의한 효과는 IGF-1 유전자 다형성을 중심으로 ACE 유전자 다형성의 변화에 따라서 다르게나타날 수 있다.

      • KCI등재

        선수들의 ACE 유전자 다형성(Polymorphism)에 따른 유,무산소성 운동능력 및 등속성 근기능의 차이

        조현철 ( Hyun Chul Cho ) 대한무도학회 2012 대한무도학회지 Vol.14 No.3

        연구는 유도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과 엘리트 선수 선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시하기 위하여 유·무산소 운동능력 및 등속성 근기능에 대한 ACE 유전자 다형성과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Y대학에 재학 중인 대학 남자 유도 선수 69명으로 ACE의 유전자 다형성에 따라 총 3개 그룹(II타입 30명, ID타입 26명, DD타입 13명)으로 구분하였다. 측정항목으로는 유산소성 능력으로 최대산소섭취량, 환기량, 최대 심박수를 측정하였으며, 무산소성 파워로 최대파워, 평균파워, 피로지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등속성근기능은 양발의 최대근력, 최대파워, 평균파워를 측정하여 ACE 유전자 다형성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유산소성 운동능력은 최대산소섭취량과 최대심박수에서 II타입이 ID와 DD타입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며, 환기량에서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무산소성 운동능력에서도 최대파워, 평균파워, 피로지수에서 DD형이 II와 ID형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등속성 근기능에서는 최대근력(peak torque)과 최대파워, 평균파워에서 DD형이 II와 ID형에 비해 평균적으로 높은 결과를 나타내었고, 그 중 오른쪽 슬관절 굴근 운동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따라서, 유도 선수들의 ACE 유전자 다형성 간에 유산소성 능력에서는 II형이, 무산소성 능력에서는 DD형이 대체로 우세하게 관여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3가지 다형성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앞으로의 연구에서는 세부적인 평가를 위해 다양한 종목과 체급별 분석, 유전형별에 따른 트레이닝의 접목 등 다각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difference aerobic and anaerobic capacity as well as isokinetic muscular functions according to a polymorphism of the angiotensin I-converting enzyme(ACE). This study was also investigated to provide better methods for athletic performance improving and elite athlete selecting of judo player. Total 69 healthy judo players were recruited in this study. Genotyping was perform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or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nalysis. The athletes were categorized into 3 groups as II, ID, DD genotype groups based upon ACE I/D polymorphism(n=69; II=30, ID=26, DD=13). This groups were measured aerobic capacity testing, maximal incremental cycle ergometer testing, and maximal knee muscle strength measurements. Aerobic fitness indicated higher value in II genotype than ID or DD. However, anaerobic performance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anaerobic fitness and the genotype. Isokinetic test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right knee flexion peak torque, peak power and average power in DD genotype than II or I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erobic capacity was probably affected by II genotype of ACE gene. In addition, anaerobic capacity indicated that DD genotype of ACE gene dominated over other genotype. However,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ACE genotype. We need further studies for an accurate comparison of various event according to ACE I/D polymorphism.

      • KCI등재

        종목별 운동 특성과 ACE 유전자 다형의 관계

        김영수 ( Young Soo Kim ),고병구 ( Byoung Goo Ko ),박동호 ( Dong Ho Park ),윤성원 ( Sung Won Youn ),이명천 ( Myung Chun Lee ),정동식 ( Dong Sik Chung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05 체육과학연구 Vol.16 No.3

        본 연구는 운동적성 및 종목 선택에 필요한 기초자료 구축 및 활용 가능성을 진단하고자 엘리트 선수를 대상으로 종목별 운동 특성과 ACE 유전자 다형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은 국가대표 및 대학 남자선수로서 7개 종목 60명의 우수선수 중 지구력 종목(중·장거리) 22명, 순발력 종목(단거리, 투척, 체조, 역도) 20명, 혼합종목(필드하키, 유도) 18명이었으며, ACE유전자와 운동유형별 엘리트 선수들의 유전자 다형 분포 및 체력 변인의 관계를 비교 검토하였다. 최대심박수는 II형이 189.9±10.13회/분, ID형이 189.7±8.98회/분 그리고 DD형이 189.2±8.89회/분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운동지속시간은 DD형이 19.4±3.55분, ID형이 18.4±4.45분 그리고 II형이 17.5±3.62분의 순으로 나타났다. AT는 DD형이 72.2±4.56%VO2max, II형이 71.8±5.17%VO2max, 그리고 ID형이 69.5±5.34%VO2max의 순으로 나타났다. 지구력 유형의 선수 22명 중 ID 형이 54.5%(12명), II형이 27.3%(6명) 그리고 DD형이 18.2%(4명)이었다. 순발력 유형의 선수 20명 중 II형과 ID형이 각각 45.5%(9명)였으며, DD형은 10.0%(3명)이었다. 한편, 지구력과 순발력이 혼합된 혼합 유형의 선수 18명 중 ID형이 50.0%(9명), II형이 33.3%(6명) 그리고 DD형이 16.7%(3명)의 비율을 나타내었다. 이 세 운동유형 모두 ID형, II형, DD형의 순서로 분포비율을 나타냈으나, 운동 유형에 따른 ACE 유전자 분포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X2=1.667, p>.797). 이상의 결과에 따라 고강도의 훈련을 받은 엘리트 선수들의 경우 운동유형과 ACE 유전자 다형과는 유의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사료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sports type and ACE gene polymorphism in order to find whether ACE gene polymorphism can be used to choose sports type according to athletic aptitude. The subjects for ACE gene polymorphism were 60 Korea national and collegiate athletic players selected from 22 endurance event players (middle and long distance running), 20 agility event players (short distance running, throwing, gymnastics, weight lifting) and 18 middle range event players (field hockey, judo). Graded exercise test and ACE gene polymorphism type test were conducted with these subjects. The maximum heart rates of type II, ID and DD were 189.9±10.13, 189.7±8.98 and 189.2±8.89, respectively. The respective exercise durations of type DD, ID and II were 19.4±3.55, 18.4±4.45 and 17.5±3.62 minutes. The ATs of type DD, II and ID were 72.2±4.56%VO2max, 71.8±5.17%VO2max and 69.5±5.34%VO2max, respectively. The endurance abilities of type ID, II, and DD were 54.5% (12 persons), 27.3% (6 persons) and 18.2% (4 persons), in order. The respective power abilities of type II, ID and DD were 45.5% (9 persons), 45.5% (9 persons), and 10.0% (3 persons). On the other hand, The combined abilities of endurance and power of type ID, II, and DD were 50.0% (9 persons), 33.3% (6 persons), and 16.7% (3 persons), respectively. The distribution ratios of all types of ID, II, and DD were in order of ID, II, and DD. But, the differences of ACE gene polymorphism with respect to exercise type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X2=1.667, p>.797). By these results, exercise type and ACE gene polymorphism of elite athletes was not statistically related.

      • Relationships among Sasang, Constitution, Cardiopulmonary Endurance and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Polymorphism in Athletes

        Khil, Jae-Ho 한국스포츠리서치 2004 한국 스포츠 리서치 Vol.15 No.6

        본 연구는 운동 선수들의 사상체질,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이하 ACE로 표시) 유전자 다형성과 심폐 능력과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사상체질은 한의학 고유의 신체 특성을 나타내며 ACE유전자다형성은 심폐지구력 즉 신체운동능력과 관계가 있다고 밝혀지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20명의 남자축구선수와 14명의 여자축구선수 그리고 10명의 여자 하키 선수 등 총 44명이 피험자로 참여했다. 심폐지구력은 Vmax229와 태하 트레드밀을 사용하여 측정하였고, ACE type은 혈액표본을 채취했으며 사상체질은 기존 선행연구자들이 사용하는 QSCC설문지를 사용하였고, 체질전문가의 검증을 거쳤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1) 사상체질과 ACE 유전자 다형성 Type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운동 선수 중 소음인은 DD형이 54%, 소양인은 ID형이 57%로 가장 많게, 태음인은 DD유형이 12%로 가장 적게 나타났다. 2) 사상체질과 심폐지구력에는 유의한 상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최대산소섭취량(VO_2max)은 소음인이 높았고, 탈진시간(all out time)은 소양인이 높게 나왔다. 3) 심폐지구력과 ACE 유전자 다형성 분류에도 역시 유의한 상관관계가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ACE 유전자 다형성 분류와 사상체질, 운동능력을 실제 적용하여 활용하기 위해서는 보다 더 다각적인 검증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후보

        제2형 당뇨병 환자에서 Apo E 및 ACE 유전자 다형성이 당뇨병성 신증에 미치는 영향

        박종숙 ( Jong Suk Park ),남주영 ( Joo Young Nam ),김철식 ( Chul Sik Kim ),김똘미 ( Dol Mi Kim ),조민호 ( Min Ho Cho ),박진아 ( Jin A Park ),안철우 ( Chul Woo Ahn ),차봉수 ( Bong Soo Cha ),임승길 ( Sung Kil Lim ),김경래 ( Kyung Rae 대한내과학회 2005 대한내과학회지 Vol.68 No.5

        목적 : 제2형 당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Apo E 유전자 및 ACE 유전자 다형성을 조사함으로써 당뇨병에 동반된 신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방법 : 영동세브란스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외래를 다니는 제2형 당뇨병 환자 중 유병기간 8년 이상인 11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Apo E 유전자 및 ACE 유전자형에 따라 분류하고 임상적 및 생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여 당뇨병성 신증의 유무에 따른 차이점과 상호 연관성을 평가하였다. 결과 : Apo E 아 Background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apo E and ACE genetic polymorphism and diabetic nephropathy. Methods : One hundred eighteen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who had a duration of diabetes longer than 8 years were

      • KCI등재

        일배체형에 기초한 고혈압과 ACE 유전자의 연관성 분석

        김진흠,남정모,강대룡,서일,Kim Jinheum,Nam Chung Mo,Kang Dae Ryong,Suh Il 한국통계학회 2005 응용통계연구 Vol.18 No.2

        In this study we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the haplotype block of 4 SNPs in ACE genes and hypertension with a case-control dataset of size of 277 and 40 families data collected from Kangwha studies. To this end we perform a haplotype-based case-control association study and a haplotype-based TDT study. We do the same analysis with tag-SNPs that can identify the haplotype block. Through a cladogram analysis we make the evolution-tree of haplotypes and then classify the haplotypes into a few clades by collecting haplotypes exposed to the disease to the same extent. We also discuss the association between these clades and hypertension. 본 연구에서는 강화연구(서일, 2004)를 통해 수집된 277명의 환자-대조군 자료와 40개의 가계 자료를 이용하여 ACE(angiotensin-I converting enzyme) 유전자 내에 있는 4개의 단일염기다형성(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 SNP)으로 이루어진 일배체형(haplotype)과 고혈압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일배체형에 기초한 환자-대조군의 우도비 검정과 가계 자료의 TDT(transmission/disequilibrium test)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또한 이 일배체형을 동정(identification)할 수 있는 tag-SNPs에 기초하여 동일한 연구를 하고자 하며, Seltman 등(2003)이 제안한 분기도(cladogram) 분석 방법을 써서 일배체형의 진화 과정에서 가깝게 위치하고 질병 발생 위험이 비슷한 클레이드(clade)를 찾아내고 이 클레이드와 고혈압의 연관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