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MSA-ABR을 이용한 홈 스크린 적응형 차세대 방송 서비스 연구

        마리아판 비나야감,이민우,이승연,이정훈,이주영,임윤식,차재상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 2016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11 No.3

        오늘날 매우 복잡한 비디오와 방송 작동들 속에서, 방송사들은 확실히 방송중이나 온라인에서 멀티스크린 시청자들에게 높은 품질 과 저지연을 방송하는데 거듭 어려움을 겪는다. 적응 비트율(ABR) 프로토콜들은 인터넷비디오가 다양한 멀티스크린 장치를 가능하 게 해준다. 하지만 비디오 품질은 종종 중요하지 않고 오늘날 대형화면에 방송되고 가치 있는 선형 방송 컨텐츠에서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이 입증될 것이다. ABR에서 미디어 정보 처리 기술은 서비스 제공자들이 제어를하고 집에 모든 스크린에 선형 비디오 서비스가 관리된 품질을 제공한다. 그리고 그것은 단일화된 IP 비디오 사회기반시설을 가진 큰 대형화면을 포함한다. 새로운 멀티스 크린 보조 ABR (MSA-ABR)은 기부 컨텐츠, 가상 속에 온라인 출판 서비스, 집중 클라우드 사회기반시설의 절차를 수행하는 방송 시설을 대한 멀티스크린 보조 ABR (MSA-ABR)을 기반으로하는 클라우드를 사용하도록 제안된 관리시스템을 가져다 준다. In this paper, in today’s highly complex video and broadcast operations, broadcasters are constantly challenged to reliably deliver low-latency, high-quality video to multiscreen audiences on-air and online. The Adaptive Bit Rate (ABR) protocols enable internet video to a wide range of multiscreen devices. However, video quality is often marginal and would prove unacceptable for valued linear broadcast content delivered to the Big Screen today. The Media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advances in ABR enables service providers to take control and offer quality managed linear video services to ALL screens in the home, including the Big Screen, with a single unified IP Video infrastructure. The New Multiscreen-Assisted ABR (MSA-ABR) delivery management system proposed using Cloud based multicast-assisted ABR for a broadcast facility that performs routing of contribution content and online publishing services within a virtual, centralized cloud infrastructure.

      • KCI등재후보

        교환수혈과 광선치료를 받은 중증 신생아 황달 환아의 추적 결과에 관한 연구

        안병선((Byoung Sun Ahn),박현민(Hyun Min Park),이백희(Baeck Hee Lee) 대한소아신경학회 1999 대한소아신경학회지 Vol.7 No.1

        목 적 : 현재 ABR은 임상에서 빌리루빈 뇌증의 조기발견의 수단으로 널이 이용되고 있고 그 동안 교환수혈과 광선치료를 통하여 고빌리루빈혈증의 후유증으로 생길 수 있는 뇌성마비, 청각장애 등의 빈도수가 많이 감소한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아직도 교환수혈과 광선치료 후에도 비정상적인 ABR을 보이고 만성 빌리루빈 뇌증으로 인한 신경학적 손상을 남기는 경우를 관찰할 수 있다. 이에 저자들은 이들을 추적하여 교환수혈 후 손상의 정도와 후유증이 어느 정도이며 이들의 위험인자를 찾아보고 현재 이용되고 있는 교환수혈과 광선치료의 기준이 적절할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방 법 : 단국대 부속병원에 고빌리루빈혈증(>20mg/dL)으로 입원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교환수혈을 시행한 군 (17명), 광선치료를 시행한 군(8명)으로 나누어 ABR을 측정, 정상 대조균(15명)과 비교 분석하고 추적 관찰하였다 결 과 : 1) 혈청 빌리루빈 수치는 교환수혈군이 27.5±4.1mg/dL, 광선치료군이 22.1±2.3mg/dL이었고 기타 대조군의 임상특징에 있어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5). 2) ABR의 변화:① 파일 소실은 교환수혈군에서 Ⅰ파가 4명, Ⅲ파가 3명, Ⅴ파가 2명이 소실되었다(P<0.05). ② 각파에서 정점잠시와 청력 역치는 교환수혈군에서 Ⅰ파와 청력 역치가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P<0.01). 3) 치료 후 첫 ABR 검사상 정상 ABR군과 비정상 ABR군의 비교 교환수혈군에서 10명(58.8%), 광선치료군에서 4명(50%)이 비정상 ABR 소견을 보였고 두 군 사이에는 치료당시의 연령(6.8일 vs 4일)이 많을수록, 치료시까지의 황달의 지속기간(2.8일 vs 1.6일)이 길수록 비정상군이 유의하게 증가되어 있었다(P<0.05). 4) 교환수혈 군 중 치료 후 정상회복군과 만성빌리루빈 뇌증을 보인 군과의 비교 : 교환수혈군 중 3명(17.6%)에서 중증 신경학적 이상의 소견을 보였고 이들의 빌리루빈 수치(31.1mg/dL vs 26.6mg/dL)가 의미있게 높았다(P<0.05). 결 론 : 고빌리루빈혈증을 보인 25명의 환아 중 14명(56%)에서 치료후 첫 ABR에서 이상 소견을 보였고 이 중 3명에서 신경학적 후유증을 보였다. 신경학적 후유증을 보인 만성 빌리루빈 뇌증군에서는 빌리루빈 수치가 평균 31.1mg/dL로 의미 있게 높았고 비정상 ABR군에서는 황달수치보다는 치료시의 나이가 평균 6.8일, 치료시까지 황달의 지속기간이 평균 2.8일로 의미 있게 길었다. 이에 기존의 황달치료에 있어 황달수치 뿐 아니라 황달의 지속기간 역시 충분히 고려되어야 하고 이러한 환아들의 초기 뇌증의 발견과 함께 추적관찰에 있어 ABR이 유용한 검사로 생각된다. Purpose : Cerebral palsy or hearing disability of hyperbilirubinemic compilcation was reduced by blood exchange transfusion(BET) and phototherapy(PT). But in spite of these treatment, abnormal Auditory Brainstem evoked Response(ABR) finding after BET or PT and neurodevelopmental defect due to chronic bilirubin encephalopathy after BET, and treatment of hyperbilirubinemia. Methods : We have analyzed clinical characteristics, the finding and change of ABR after BET in 17 hyperbilirubinemic neonates, and in 8 hyperbilirubinemic neonates who were treated by phototherapy and 15 normal control neonates. Results : 1) Mean bilirubin concentration were 27.5±4.1mg/dL in BET group and 22.1±2.3 mg/dL in PT group. There were no difference of clinical findings between BET and PT group. 2) Change of ABR: (1) Wave Ⅰ loss resulted in 4 neonates, wave Ⅲ loss in 3 neonates, and wave Ⅴ loss in 2 neonates in BET group(P<0.05). (2) Wave Ⅰ peak latency and hearing threshold in BET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normal control group(P<0.01)/ 3) In 10 neonates(58.8%) among 17 BET group, 4 neonates(50%) in 8 PT group were observed abnormal initial ABR finding after jaundice treatment. Age at treatment and duration of jaundice(interval between onset of jaundice and treatment) in abnormal ABR group were significant prolongation compared with normal ABR group(P<0.05). 4) Chronic bilirubin encephalopathy(CBE) was observed in 3 neonates(17.6%) among 17 BET group and showed higher of bilirubin level than normalized group after BET (31.1mg/dL vs 26.6mg/dL), other clinical finding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Conclusion : Bilirubin level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CBE more than in BET group and d duration of jaundice, age at treatment were longer in abnormal ABR group than in normal ABR group. So not only bilirubin level but also duration of jaundice shoud be considered at jaundice treatment, and ABR has a potential utility in detection of acute brain toxicity of bilirubin and follow up evaluation of bilirubin encephalopathy.

      • KCI등재

        피부전기저항측정기(ABR-2000)의 맥진기(3D-MAC) 및 한방진단시스템(DSOM)과의 상관성 연구

        송정오,김민애,이인선 대한한방부인과학회 2018 大韓韓方婦人科學會誌 Vol.31 No.1

        Purpose: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to find out correlation between test results of ABR-2000 and other diagnostic equipments to enhance significance of accurate diagnosis and clinical usage of ABR-2000. Methods: Duration of the 31 months from December 2012 to June 2015, records of 564 outpatients at gynecology department have been selected. The 564 patients were tested, using all 3 different test equipments of ABR-2000, DSOM, and 3D Blood Pressure Pulse Analyzer (3D-MAC) without test errors or mis-recordings. Correlation between 3D Blood pressure Pulse Analyzer, DSOM and ABR-2000 were analyzed by frequency & ratio factor of statistic data records of patients groups devided by 8 different disease symptom and by comparison of the groups in the form of Regulation and Graph presented on ABR-2000 equipment. Results: 1. The indicator L in all 1, 2, and 3 quadrant in the graph means the activity and reactivity of the upper body biodynamics detection rate is low and which result is very common symptom among gynecological patients. 2. The portion of patients with hypermenorrhea, endometritis, and menstrual pain symptom among the indicator L group in the reactivity 1-3 quadrantin is significantly high. 3. When 3D Mac analyzer indicates H, diastole decreases while systole increases and tachycardia increases then the blood circulation is expected to increase. In case of indication L, diastole increases and systole decreases then, the blood circulation is expected to decrease. 목적:이 연구는 정확한 진단의 중요성을 높이기 위한 ABR-2000의 시험 결과와 기타 진단 장비 및 ABR-2000의 임상 용도 사이의 상관 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습니다. 방법:2012년 12월부터 2015년 6월까지의 31개월간 부인과 외래 환자 564명에 대한 기록이 선정되었다. 56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JLR-2000, DSOM및 3D혈압 측정기(3D-MAC)의 3개 테스트 장비를 모두 사용하여 테스트를 오류나 잘못 기록하지 않았다. 3D혈압 펄스 분석기, DSOM및 ABR-2000사이의 상관 관계는 8개의 다른 질환 증상과 규정에 나타난 것과 비교한 환자 그룹의 통계 데이터 기록의 정확도와 비율로 분석되었다. 결과: ① ABR-2000 산출빈도는 Graph의 Activity와 Reactivity 1-3 구역에서 모두 L로 나오는 경우가 각각 60.64%, 46.28%를 차지하였다. ② 질환별 산출빈도는 Reactivity 1-3 구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모두 L인 빈도가 월경과다, 자궁내막증, 월경통의 순으로 많았고 다낭성난소, 유산후 조리, 산후풍의 순으로 적었다. ③ ABR 2000와 3D 맥진 결과 치 비교에서 모두 H인 경우 이완기와 관련된 맥 지표가 감소하였고 수축기와 관련된 맥 지표는 증가하였으며 모두 L인 경우 수축기와 관련된 맥 지표가 감소하고 이완기와 관련된 맥 지표는 증가하였다.

      • KCI등재후보

        ABR과 ASBR 형태에 따른 혐기성 메탄 발효 운전 성능 평가

        이채영,이세욱 유기성자원학회 2011 유기물자원화 Vol.19 No.2

        본 연구는 혐기성 수소 발효 반응조의 유출수를 기질로 이용하여 anaerobic baffled reactor (ABR) 및 anaerobic sequencing batch reactor (ASBR) 형태에 따른 혐기성 메탄 발효 성능을 평가하였다. 두 개의 반응조는 유기물 부하율 1.0 kg COD/m3·d와 수리학적 체류시간 20일에서 운전을 수행하였다. ABR과 ASBR의 초기 운전 기간에서 메탄 발생량은 각각 0.04 L/L/d와 0.19 L/L/d로 나타났으며, ABR과 ASBR의 최대 메탄 발생량은 각각 0.25 L/L/d와 0.31 L/L/d로 나타났다. ABR과 ASBR의 초기 운전 기간에서 COD 제거율은 각각 89%와 92%로 나타났다. 정상 상태에 도달한 후에는 ABR과 ASBR의 COD 및 VS의 제거율은 각각 90% 이상 유지되었다. 비메탄 활성도는 미생물이 기질에 적응함에 따라 반응조에 상관없이 증가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performance of methane fermentation from effluent of hydrogen fermentation reactor in anaerobic baffled reactor (ABR) and anaerobic sequencing batch reactor (ASBR). Two reactors were operated at organic loading rate of 1.0 kg COD/m3·d and hydraulic retention time (HRT) of 20 day. Methane production rates of ABR and ASBR for start-up periods were 0.04 L/L/d and 0.19 L/L/d, respectively, whereas maximum methane production rates of ABR and ASBR were 0.25 L/L/d and 0.31 L/L/d, respectively. Removal rates of chemical oxygen demand (COD) in ABR and ASBR for start-up periods were 89% and 92%, respectively. After startup periods, removal rates of COD and volatile solids (VS) in ABR and ASBR were maintained over 90%. The specific methanogenic activity (SMA) increased as microorganism acclimated to the substrate.

      • KCI등재

        Stacked ABR의 원리

        김진숙 한국청각언어재활학회 2005 Audiology and Speech Research Vol.1 No.1

        청성뇌간반응(auditory brainstem response, ABR)은 청신경 종양을 평가하는 방법 중 하나이다. 초기연구자들은 청신경 종양의 약 95~98%정도가 ABR로 감지될 수 있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이러한 종양의 크기는 비교적 크기가 큰 것으로 알려져 있다.1)9) 그러나 자기공명영상(magnetic resonace imaging, MRI) 등으로 ABR의 민감도를 분석하였을 때 크기가 약 1 cm 이하의 종양은 보통 ABR로 감지될 수 없는 조사연구들이 보고 되었고,6)10) 결과적으로 1 cm 이하의 종양을 포함하면 민감도는 63~93%로 떨어지고 위음성은 약 7~37% 정도로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클릭음 자극으로 ABR이 평가할 수 있는 한정된 달팽이관과 청신경의 범위를 고려할 때 이는 예측할 수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최근 적은 종양도 감지할 수 있는 ABR 방법으로 stacked ABR이 소개되고 있다. 이는 기존 ABR 측정이 고주파영역의 정보를 반영하는 단점을 보완하기위하여 모든 주파수 영역을 평가할 수 있도록 derived narrowband ABR을 측정한 후 V번파를 중심으로 분석 처리하여 잠복기가 아닌 진폭으로 분석할 수 있도록 고안되었으며 연구 및 임상용으로 사용되고 있어 그 원리를 소개하고자 한다.

      • SCOPUSKCI등재

        언어발달장애에 있어서 청성뇌간반응의 임상적 의의

        오기원,박우생,권순학,김진경,이준화,Oh, Ki Won,Park, Woo Saeng,Kwon, Soon Hak,Kim, Jin Kyung,Lee, Jun Hwa 대한소아청소년과학회 2002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CEP) Vol.45 No.10

        목 적: 언어발달장애를 주소로 내원하는 소아들을 대상으로 청성뇌간반응(ABR)을 선별검사로 시행함으로써 그 원인을 조기 발견하고 조기 치료함으로써 이들의 장애를 최소화하고 언어발달 과정에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 법 : 1999년 1월부터 2001년 12월까지 3년 동안 경북대학교병원 소아과에 언어발달장애를 주소로 내원한 18개월 이상 소아 139례를 대상으로 하여 청성뇌간반응(ABR)을 시행하였으며 이들의 임상진단과 ABR 이상에 따라 분류하였다. 결 과 : 전체 139례 중 ABR 검사상 이상소견을 보인 환아는 15례(10.8%)였으며 전반적 발달장애 7례, 발달성 언어장애 4례, 기타 4례로 나타났으며 이상소견을 보인 환아 중 7례는 전음성 난청이었으며 8례는 감각신경성 난청이었다. 또한 ABR 검사상 정상을 보인 18개월에서 7세 사이의 I파 및 V파의 평균잠복기 및 표준편차는 각각 $1.40{\pm}0.13$, $5.57{\pm}0.26$이었으며, I-V의 정점간 잠복기는 $4.18{\pm}0.24$였다. 중등도 이상의 감각신경성 난청환아의 4례에서 보청기를 착용하였으며 이들을 추적 관찰하였다. 결 론: 언어발달장애를 주소로 내원하는 소아들에게 선별검사로서의 ABR은 반드시 필요한 것으로 생각되며 이것을 통해 감각신경성 난청을 조기 발견하고 감각 신경성 난청의 경우 보청기를 사용하여 조기 치료함으로써 이들의 신경학적 발달 및 사회적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 The study ai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uditory brainstem response(ABR) as a screening tool in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Methods : Between January 1, 1999 and December 31, 2001, 139 patients with chief complaints of speech and language delay were recruited from the pediatric neurology clinic,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Daegu, Korea. They had ABR on entry and the clinical data were then analyzed. Results : Fifteen out of 139 cases(10.8%) showed abnormal findings; seven had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s, four had developmental language disorders, and four were noted to have other conditions. Among them, seven cases were noted to have conductive hearing loss and eight had sensoryneuronal hearing loss. We also evaluated the normal values in children at the ages of 18 months to seven years. The mean latency of wave I and V were $1.40{\pm}0.13$ and $5.57{\pm}0.26$ respectively. Interpeak latency of I-V was $4.18{\pm}0.24$. Conclusion : Based on these findings, ABR has proved to be a highly sensitive and specific index of hearing impairment. It should be used as a screening tool in children with speech and language disorders.

      • KCI등재

        Jastreboff 이명 모델에서의 ABR과 ECochG 신호분석을 통한 전기자극의 효과

        임재중,김경식,김남균,전병훈 대한의용생체공학회 1999 의공학회지 Vol.20 No.4

        Many researches have been performed whether electrical stimulation could be used for diagnosis and treatment on the auditory system impairment. Unfortunately, there were no standard methods or theoretical background for choosing stimulus conditions because of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the transmission of electrical stimulation through the auditory pathway. This research was conducted to observe the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tinnitus-induced animals. Nine guniea pigs were used for the experment and divided into two groups, five animals for the experimental group(A) and four animals for the control group(B).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divided into four steps, before tinnitus induction and 1, 6, 12 hours after tinnitus induction using salicylate based on the Jastreboff model. In each experimental condition, ABR and ECochG were obtained, and auto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calculated from normalized waveforms based on rms values. Sum of all the autocorrelation coefficients was extracted as a parameter to observe the changes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electrical stimulation. As a result, ABR parameter values were rapidly increased 6 hours after tinnitus induction, the gradually returned back to the initial state. On the other hand, when electrical stimulation was applied, parameter values did not change compared with the initial sate. Parameter values of ECochG showed that the effect of electrical stimulation appeared 12 hours after the tinnitus induction. It was concluded that an electrical stimulation to the tinnitus-induced model changes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of ABR and ECochG waveforms. 전기자극을 이용한 청각시스템의 진단 및 치료방법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수행되어 왔으나 전기자극이 청각 시스템을 통하여 전달되어지는 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였기 때문에 표준화된 방법이나 이론적인 배경이 없이 자극조건이 선택되어져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험동물에 이명을 유발시킨 상태에서 전기자극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ABRrhk ECochG의 변화를 통해서 관찰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9마리의 guinea pig를 Jastreboff 이명 유발 모델에 다라 salicylate를 이용하여 이명을 유발시킨후 전기자극을 가한 5마리를 실험군(A) 으로하고, 대조군(B)으로는 전기자극을 가하지 않은 4마리의 guinea pig를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조건은 이명유발 이전과 이명유발 1시간, 6시간, 12시간 후로 구분하였고, 각 실험조건에서 ABR과 ECochG를 검출하여 각 파형을 rms 값을 기준으로 정규화한 후 자기상관계수를 계산하여 전기자극을 인가하였을 때의 값들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그 결과 ABR의 경우에는 이명이 유발된 상태에서 6시간 이후의변수 갑싱 급격히 증가하였다가 12시간이 되면서 최초의 상태로 돌아가고, 전기자극을 인가하였을 때는 이명유발 이전 상태에서의 값을 계속 유지하고 있었다. 그리고, ECochG의 경우에는 전기자극의 효과가 12시간 이후에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즉, 본 실험을 통하여 이명유발 모델에 전기자극을 인가하였을 때의 효과를 ABR과 ECochG 상관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 ATM ABR의 공평성들을 위한 새로운 스케쥴링 알고리즘

        정경택,박준성,박현,전병실,Chung, Kyung-Taek,Park, Jun-Seong,Park, Hyun,Chon, Byoung-Sil 대한전자공학회 2002 電子工學會論文誌-TC (Telecommunications) Vol.39 No.4

        The WRR scheduling algorithm is widely used in ATM networks due to its simplicity and the low cost of hardware implementation. It guarantees minimum cell rate according to the weight of each queue. The fairness is a important factor for ABR service. That is, scheduling algorithm allocates network resources fairly to each VC. However, WRR algorithm shows worse performance on bursty traffic. Because it schedules input traffics according to predetermined weight, it can not satisfies fairness criteria, MCR plus equal share and Maximum of MCR or Max-Min share, defined by ATM Forum TM 4.1 specification. The Nabeshima et al algorithm is not adapt to network status rapidly because it is not compensate the weights of unused bandwidth to VCs and assign the unused bandwidth to VCs by RR method. In this paper, we propose a scheduling algorithm for satisfying the two fairness criteria, MCR plus equal share and Maximum of MCR or Max-Min share, among the six criteria defined by ATM Forum TM 4.1 specification. The WRR, Nabeshima et al, and the proposed scheduling algorithms are compared with respect to fairness and convergence time throughout experimental simulation. According to the simulation results, the proposed algorithm shows higher fairness and more rapid convergence than other algorithms. WRR 스케줄링 알고리즘은 계산의 단순성과 저 비용 구현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서 고속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에서 널리 쓰이고 있지만 버스티한 트래픽에 대해서는 입력 트래픽을 일정 비율로 스케쥴링하기 때문에 효율성이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WRR 알고리즘은 ABR 서비스 클래스의 공정성 기준인 MCR plus equal share와 Maximum of MCR or Max-Min share 공평성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또한 Nabeshima et al의 기법은 여분 대역에 대한 weight 값을 보정하지 않고 RR 방식으로 각 VC에 할당을 해주기 때문에 네트워크의 변화에 신속하게 적응하지 못할 뿐 만 아니라 대역폭을 효율적으로 이용하지 못한다. 따라서 ABR 서비스를 위한 공평성 기준을 만족시키고 빠르게 적응할 수 있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ABR 서비스를 위한 6가지 공평성 기준들 중 MCR plus equal share와 Maximum of MCR or Max-Min share 두 기준을 만족시키는 스케줄링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이 공평성 기준을 만족시키고, 네트워크 자원을 각 ABR VC들에게 신속하고 공평하게 할당해 주는지를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WRR, Nabeshima et al 알고리즘들과 비교, 분석한다.

      • KCI등재
      • 項强환자에게 氣功外氣療法을 응용한 경우의 ABR-2000측정 결과로 분석한 임상적 유효성

        정은영(Eun Young Jung),나삼식(Sam Sik Na),이기남(Ki Nam Lee) 대한의료기공학회 2003 醫療氣功 Vol.7 No.1

        Objective : This study is performed to evaluate the clinical effect of Gigong therapy by measuring ABR-2000 on neck stiffness patients. Methods : Among the outpatients with neck stiffness who visited to Wolgot Oriental Medical Clinic from 16 to 26, June 2003, we selected 22 persons.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treated with acupuncture, cupping therapy added to Gigong therapy and the other was treated with the two formers. Before and after therapy, we measured ABR-2000 from the head, two hands and two feet. We selected 11 persons without specific conditions as a control group. Results : Between the control and the Gigong therap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of differences. Gigong therapy plays role in relaxing inner and outer of the body. Conclusion : This result indicated that Gigong therapy is to regulate autonomic nerve and to relax the inner and outer of the bo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