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특수학교 기반의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 및 개발에 대한 요구

        임장현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9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7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Difficulty in communication has a lasting impact not only on school age children but also in adult life.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teach AAC in school and social life, with the expectation of special schools and teachers’ role as the center of intervention being high. Research on AAC intervention in special schools emphasize on the importance the communication environment in addition to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eparedness and perception of schools through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 focus group interview on AAC intervention and development in schools. Method: This study involved 9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in AAC training in Seoul, Gyeonggi and Gyeongbuk provinces.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purpose sampling method. After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explained, the participants were ultimately confirmed through agreement. The final questionnaire comprised of the experiences and perception of AAC intervention with a focus on special education schools, the challenges and requirements of using AAC, the support required to implement AAC in school, and the program requirements. Th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from June to September, 2018. All interviews were documented after recording, and a total of three transcripts were prepared. Results: Four topics were derived after performing open coding ((1) experience with starting AAC, (2) difficulties with AAC intervention, (3) preparation for AAC intervention based on special schools, (4) support and program requirements for AAC intervention) and 19 sub topics. Conclusion: As a result, it was established that there were challenges such as perception, supports, cooperation and limited resources in the implementation of AAC as a universal communication supports in school. However, the findings of the AAC intervention experience and the positive perceptions are likely to be an important foundation for future AAC intervention in the school. Based on the research, recommendation for support and development for school-based AAC intervention were suggested. 배경 및 목적: 의사소통의 어려움은 학령기 뿐 아니라 성인기 삶에서도 지속적인 영향을 주며 AAC 지원이 필요하다. 이에 학교 및 사회생활에서 AAC 대한 접근 방안이 되어야 하며 중재의 구심점으로 특수학교와 교사 역할에 대한 기대가 높게 나타났다. 특수학교 기반으로 장애학생을 위한 AAC 중재 연구가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생 대상 적용 연구에서는 장애인 당사자에 대한 중재 뿐 아니라 의사소통을 지원하는 환경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환경의 중요한 변인으로서 학교 차원에서 이루어지는 AAC 중재 및 개발에 대해 특수교사 포커스 그룹 면담을 통해 실태 및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서울, 경기 및 경북 지역의 AAC연수를 수강하고 중재경험이 있는 교사 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참여자 선정은 목적표집 방법으로 이루어졌으며 연구의 취지와 목적을 설명한 후 구두로 연구 참여에 동의를 받아 최종 참여자를 확정하였다. 질문지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졌으며 최종 질문지는 특수학교 기반 AAC 중재 경험과 인식, AAC 활용의 어려움과 요구사항, 학교현장에서 AAC 활용을 위해 필요한 지원, 프로그램 요구에 대한 질문이 포함되었다. 면담은 2018년 6월부터 9월까지 이루어졌으며 모든 면담내용은 녹음 후 전사하였고 총 2개의 전사본이 만들어 졌다. 결과: 개방적 코딩을 실시하여 4개 주제(1) AAC, 시작에 대한 경험, 2) AAC 중재의 어려움, 3) 특수학교 기반의 AAC중재를 위해 필요한 준비, 4) AAC 중재를 위한 지원 및 프로그램 요구)와 19개의 하위주제가 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 학교에서 보편적인 의사소통 중재로 AAC를 적용하는 부분에 있어서 인식이나 지원, 협력, 제한된 자원 등의 어려움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AAC 중재 경험을 통해 가능성을 찾고 그로 인해 긍정적인 인식을 서술한 결과는 앞으로 학교 현장에 AAC 중재를 보편화하는데 중요한 기초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학교 기반의 AAC 중재를 위하여 필요한 지원과 개발에 대한 사항들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실어증환자를 대상으로 AAC 적용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강민구(Min-gu Ka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8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8 No.10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ctual condition, Perception and Need of the Speech-Language Pathologist(SLP) for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AAC) Intervention in Aphasia Patient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72 SLP. And examined the experience of AAC intervention in aphasia patients, the type of AAC used, how to acquire information about AAC use, and how to solve problems that arise when mediating AAC, General perception of AAC Intervention, Difficulty of AAC Intervention, Suggestions for improvement of AAC Intervention, Opportunities for educational participation of AAC.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9.7% of AAC experienced AAC intervention. The mainstream AAC was free communication software using smart devices. 43.1% of the AAC were educated through the association and 56.9% had no education experience. In order to acquire information about AAC utilization, it appeared as the order of mediation, the method of using the tool,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tool. As a way of solving the problems in the AAC mediation, it was found that the acquisition of information at mediation mainly uses computer information retrieval, literature and research papers. SLP have difficulty in using AAC for intervention of aphasia and require information related to AAC. It is necessary to train specialists to provide appropriate intervention for AAC users due to acquired communication disorders. Also AAC intervention of aphasia patients needs to be strengthened through appropriate training and retraining. 본 연구는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AAC를 활용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AAC 활용의 실태 및 인식도, 요구도를 살펴보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언어재활사 72명을 대상으로 실어증 환자의 AAC 중재의 경험, 사용하는 AAC 종류, AAC의 교육 여부, AAC 활용에 대한 정보의 습득, AAC의 중재 시 나타나는 문제의 해결방법, AAC 활용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 AAC 중재시 어려움, AAC 중재의 개선 방안, AAC 교육 참여의 요구에 대해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언어재활사들은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AAC 중재의 경험은 9.7%로 나타났다. 주로 사용한 AAC으로는 스마트 기기를 활용한 무료 의사소통 소프트웨어였다. AAC의 교육 여부는 43.1%가 협회를 통해 교육을 받았으며, 56.9%는 교육 경험이 없었다. AAC 활용에 대한 정보의 습득으로 중재방법, 도구 활용방법, 도구 제작방법 순으로 나타났다. AAC의 중재 시 나타나는 문제의 해결방법으로 중재 시 정보의 습득은 주로 컴퓨터 정보검색 및 문헌, 연구논문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재활사들은 실어증의 중재에 있어 AAC의 활용에 어려움을 느끼고 AAC와 관련된 정보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후천적 의사소통장애로 인한 성인 AAC 사용자들의 적절한 중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전문가 양성의 필요성과 또한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AAC 활용은 적절한 연수 및 재교육을 통해 강화할 필요성이 있다

      • KCI등재

        인지적 장애를 지닌 아동을 위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에 대한 메타분석 -단일대상연구를 중심으로-

        남경욱,신현기 한국특수교육학회 2008 특수교육학연구 Vol.42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AC(Agu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on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21 studies published in Korea between 1999 and 2007 were analysed through PND and MD3 separately on effect size of intervention, maintenance, and generalization eac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studies employed the same research design, multiple baseline, and did not report treatment fidelity and social validity. Second, AAC intervention effects were moderate in terms of behavior change(85%), and large in terms of maintenance(93%) and generalization(99%). Third, the variables that impacted the effectiveness of AAC, which were cross checked by PND and MD3, were AAC system and dependent variable(DV). Especially, AAC was more effective when aided AAC systems were used to enhance communication and written language abilities. Fourth, the two different approach for calculating effect sizes produced very similar results. In conclusion, AAC was an effective intervention and could be influenced by AAC systems and intervention purposes. Finlly, the author reported the limits of this research and presented several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연구는 인지적 장애를 지닌 아동을 대상으로 실시한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분석대상논문은 1999년에서 2007년 상반기 사이에 국내의 특수교육 관련 전문 학술지에 게재된 21편의 중재연구이며, 중재효과는 중재결과와 유지, 일반화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효과크기는 PND와 MD3를 동시에 산출해 비교하였으며, 분석을 통한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첫째,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연구의 특성을 살펴본 결과, 연구설계가 중다기초선설계로 편중되고, 중재적용의 충실도와 중재의 사회적 타당성을 보고한 연구는 매우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의 효과는 중간정도의 효과크기(85%)를 보였으며, 유지 및 일반화는 93%와 99%로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중재결과에 대한 두 가지 효과크기 계산에서 공히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가져 온 변인은 중재도구와 중재목적이었다. 특히, 보조도구를 사용할 때, 그리고 의사소통과 문어인식 신장을 목적으로 할 때 중재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넷째, 두 가지 효과크기를 동시에 적용하여 살펴본 결과, 서로 다른 접근방식이면서도 상당히 유사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두 가지 효과크기의 점검을 통해 보완·대체 의사소통 중재는 효과적인 중재방법이고, 중재도구와 중재목적에 따라 결과에 영향을 받을 수 있음이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연구자는 본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하이테크놀로지를 이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가 발달장애아동의 의사소통능력에 미치는 효과

        강현희,박현주 한국특수교육학회 2016 특수교육학연구 Vol.51 No.3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AC intervention using tablet computer adopting text to speech(TTS) program on children who are able to speak in limitedly expressed words. The effect was considered in both aspects of communicative competence, linguistic and pragmatic competence. Thre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participated in subjects for AAC intervention which was with performed multiple probe design. This research measured number of different words(NDW) and mean length of utterance(MLU-w) to examine linguistic communicative competence, and observed the change of communicative functions and communication modes to analyze pragmatic communicative competence. NDW and MLU-w was measured by speech and AAC device. Communicative functions were analyzed by speech, AAC device, and gestures. Communicative methods were separately analyzed by speech, vocalization, gestures, and AAC device.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NDW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increased dramatically after AAC intervention with high technology, and the improvement was persisted in maintenance stage. Secondly, MLU-w of the children were increased after AAC intervention with high technology and maintained thereafter. Usage of AAC mainly contributed to the improvement. Thirdly, communicative functions of the children either became diverse or increased in frequency. Lastly, AAC intervention with high technology was effective in diversifying communication modes. Especially this research verified intensification in forms of expression as a result of increased interaction by utilizing AAC. In summary, AAC intervention with high technology increased NDW and MLU-w as well as improved communicative functions, and diversified modes of communication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research is clearly meaningful in suggesting the effectiveness of AAC intervention which improves linguistic and pragmatic communicative competence to children with disabilities who are able to speak in limitedly expressed words. 본 연구에서는 음성합성기술이 포함된 프로그램을 태블릿 PC에 설치하여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 를 실시하고 그러한 중재가 발달장애아동의 의사소통능력 증진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발달장애 아동 3명이었으며 이들을 위한 중재는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에 따라 예비단계,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의 순서로 진행되었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중재 이후 아동들의 어휘(NDW)와 구문길이(MLU-w)가 증가하여 언어적 능력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의사소통 기능과 방식이 다양하게 증가하여 화용적 능력 증진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제한적이기는 하지만 한 낱말 표현이 가능한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하이테크놀로지를 이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실시하고, 그러한 중재가 화용적 능력뿐 아니라 언어적 능력 모두를 포함한 의사소통 능력 촉진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는 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가 일반학생의 장애인식과 자폐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미치는 효과

        민경심,임장현 한국보완대체의사소통학회 2019 보완대체의사소통연구 Vol.7 No.1

        Background and Objectives: Students with autism exhibit a variety of verbal shortfalls and communication challenges which leads to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developing social relationships.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intervention can be utilized to support communication among students with autism. Students with disabilities should be taught how to use AAC appropriately; while their conversation partners also need to be trained on their roles and attitudes when communicating to people using AAC.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mplement AAC intervention on the entire inclusive class,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AAC intervention on the cognitive ability of elementary students, and communication behavior among students with autism. Method: Inclusive class students were instructed through AAC to understand AAC. The study design used was a protest-posttest control group. In the case of students with autism, AAC intervention was offered through direct instruction. Comparison between communication behavior and school life satisfaction was done through a single case pre-posttest design. Result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of disability by elementary student. There was a positive impact on the general recognition of disability and the recognition of students with communication disabilities assigned to the inclusive class among the overall recognition of disability and sub-component. Second,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average incidences of communication behavior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y in experimental. Similarly, the student was satisfied with his school life. Conclusion: It is noteworthy that AAC intervention is effective in improving elementary student cognition of disability, communication and social integration of students with autism disabilities if it supports both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conversation partners in the inclusive class. 배경 및 목적: 자폐성장애학생은 다양한 언어적 결함과 의사소통 문제를 보이는데 이는 학습 및 사회적 관계 형성의 어려움으로 이어진다. 자폐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을 지원하기 위하여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를 제공할 수 있다. 자폐성장애학생들이 통합교육 환경에서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적용하여 의사소통하기 위해 AAC 사용자인 장애학생과 AAC를 사용하는 환경적인 측면을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일반학생에게는 AAC 이해교육을 통하여 대화상대자의 역할과 자세를, 장애학생에게는 AAC 사용교육을 통하여 AAC 도구와 앱, 상징어휘를 교육하는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가 일반학생의 장애인식과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통합학급 학생에게는 활동중심 AAC이해교육을 중재하고 실험·통제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장애인식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자폐성장애학생에게는 직접교수를 통한 AAC 사용교육을 중재하고 단일사례 사전-사후검사 설계를 통해 의사소통행동과 학교생활만족도가 변화하였는지 관찰과 비교를 하였다. 결과: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를 실시한 일반학생의 장애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전체적인 장애인식 및 하위영역 중 장애에 대한 보편적 인식과 장애학생의 의사소통 관련 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험집단 장애학생의 의사소통행동의 평균 발생률이 증가하였으며, 학교생활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논의 및 결론: 장애학생에 대한 교육뿐만 아니라, 대화상대자 훈련을 포함한 통합학급 차원에서 AAC 중재가 이루어진다면 일반학생의 장애인 식개선과 자폐성장애학생의 의사소통 및 사회적 통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통합학급 차원의 AAC 중재의 적용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KCI등재

        도구 및 몸짓을 사용한 보완,대체의사소통 중재가 중도정신지체학생의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

        김미하 ( Miha Kim ),손정락 ( Chongnak Son )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06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7 No.1

        본 연구는 도구 및 몸짓을 사용한 보완·대체 의사소통(AAC) 중재가 구어 사용에 제한을 받는 중도정신지체학생의 물건사기 의사소통 행동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설계는 비교집단이 있는 사전-사후 실험설계였다. 도구 및 몸짓사용 AAC 중재집단의 피험자들은 특수학교에 재학하는 26명의 중도정신지체학생들이었고, 이 피험자들은 의사소통능력과 그림카드변별능력에 따라 도구사용 AAC 중재집단(12명)과 몸짓사용 AAC 중재집단(14명)으로 나누어졌다. 도구사용 AAC 비교집단(15명)과 몸짓사용 AAC 비교집단(15명)의 학생들은 30명으로 사회복지시설에 있는 중도정신지체인들이었다. 연구단계는 기초선, 훈련단계 및 유지단계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 결과, 도구사용 AAC 중재집단과 몸짓사용 AAC 중재집단 모두 각각의 비교집단보다 사전-사후 의사소통 수행율에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다. 또한 유지단계에서 도구사용AAC 중재집단과 몸짓사용 AAC 중재집단 모두 중재 효과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가 갖고 있는 교육적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AAC(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intervention using device and gesture on the communicative behavior in buying goods. Research design of this study is pre-and post experimental design. The subjects of intervention group were 26 students in special education school, which are the students with severe mental retardation. Th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 device-use group and gesture-use group, based on the communicative ability and the distinguishing ability. The subjects of comparative groups were 30 residents at the welfare facility for the mental retardation. The study took steps of baseline, training and maintenance. The results from this study are as it follows. first, The ratio of execution of device-use and gesture-use group to comparative groups was shown in statistically significant advance. Second, in the maintenance step, AAC intervention effect continued in all of device-use and gesture-use group. Finally, educational implication and academical limitation were discussed.

      • KCI등재

        Parents’ Experiences and Acceptance Factors of AAC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박현주(HyunJu Park)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2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5 No.2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AAC 중재 경험을 살펴보고, AAC 중재 수용에 영향을 미친 요인을 파악하여, AAC 중재의 수용과 이행을 촉진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방법: 질적 연구 접근법을 사용하였으며, 연구 참여자는 AAC 중재를 1년 이상 경험한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아동의 부모 12명이었다. 이들 참여자를 대상으로 개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자료를 구성한 후 지속적 비교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AAC 중재에 대한 경험은 의사소통 중재에 대한 만족도 향상, AAC 조기 개입의 중요성 인식, 자녀의 삶에 대한 기대 변화, 부모 역할의 역량 강화, AAC에 대한 접근성 강화 요구, AAC체계 개선의 필요성, 말에 대한 멈추지 않는 기대 등 7개의 주제와 그에 따른 24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AAC 중재 수용에 영향을 미친 요인은 부모 인식 및 성향과 환경적 지원이라는2개의 주제와 그에 따른 7개의 하위 주제가 도출되었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아동의 AAC 중재에 대한 수용 및 지속적인 이행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인과 지원 방안을 논의하였다. 복합적인 의사소통 요구를 지닌 아동의 AAC 중재를 더욱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이해관계자들의 지속적인 협력과 노력이 요구된다. Objectives: This study examined the experiences of parents of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who received AAC interventions. It sought to explore the factors that facilitated parent acceptance of the AAC intervention to identify explicit approaches for encouraging acceptance and implementation. Methods: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research. 12 parents of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were individually interviewed in-depth. The interviews were all transcribed and then analyzed using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Results: A total of 7 themes with 24 associated sub-themes were identified regarding parents’ experiences of AAC intervention; namely increase in satisfaction with communication intervention, awareness of need for early intervention, change in expectations for child’s quality of life, increase of competence in parenting, need for improvement of AAC systems, demand for increased access to AAC, and continued expectations of speech production. The factors that affected the parents’ acceptance of AAC interventions were categorized into parent perception and propensity and environmental support, with 7 associated sub-themes.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the study discussed the factors and means of support that must be considered for the early acceptance and sustained implementation of AAC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Continual cooperation and efforts on the part of stakeholders is necessary to further encourage AAC intervention for children with complex communication needs.

      • KCI등재

        Effects of Robot and Computer-based Intervention on Learning Action Word Symbols of AAC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Eun Jung Choi(최은정),Young Tae Kim(김영태),Seok Jeong Yeon(연석정),John Kim,Ki-Hyung Hong(홍기형)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AAC 동작어 상징 학습에 대한 교육용 로봇과 컴퓨터의 중재 효과를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방법: 연구대상은 자폐범주성장애 아동 3명이며, 교대중재설계를 사용하여 AAC 동작어 상징 학습에 미치는 교육용 로봇과 컴퓨터 중재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동작어 상징은 총 20개로 각 10개씩 두 세트로 나뉘어 기초선, 중재 그리고 일반화 단계에서 교육용 로봇과 컴퓨터를 통해 노출되었다. 결과: 연구결과 교육용 로봇 중재에서는 대상 아동 3명 모두, 컴퓨터 중재에서는 대상 아동 3명 중 2명에게서 동작어 상징 이해도 향상이 나타났다. 일반화 단계에서는 모든 대상 아동이 두 가지 중재에서 동작어 상징 이해도 향상을 보였다. 대상 아동들이 보인 향상 정도를 비교하였을 때는 교육용 로봇 중재에서 컴퓨터 중재보다 전반적으로 더 높은 향상이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논의 및 결론: 교육용 로봇과 컴퓨터 중재 모두가 동작어 상징 학습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그리고 두 가지 중재 효과를 비교했을 때는 교육용 로봇 중재가 컴퓨터 중재보다 더 높은 수준의 향상을 이끌어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robot and computer-based intervention on learning action word symbols of augmentative and alternative communication (AAC) for three preschool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Methods: This study used an adapted alternating treatment design to compare the effects of robots and computers on learning action word symbols of AAC. Twenty symbols of action words in the ‘Ewha-AAC symbols set (Park et al., 2014; Yeon et al., 2016)’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two groups: Set A and Set B. Symbols of Set A and Set B were exposed through a robot and computer during three phases, which were the baseline, experimental, and generalization phases. Results: All three subjects who were trained using the educational robot showed improvements in comprehending action word symbols. However, only two out of the three subjects showed improvements in learning with the computer. In the case of generalization phase, all three subjects who were trained using the educational robot and the computer showed improvements. Comparing the improvement levels between the two interventions in both phases,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al robot was generally higher than that of the computer. Conclusion: Both methods had positive effects on learning action word symbols of AAC, while the robot-based intervention showed higher improvement levels than the computer-based intervention.

      • KCI등재

        AAC앱을 활용한 중재가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 능력에 미치는 효과

        표윤희(Pyo, Yun-Hui),김정연(Kim, Jeoung-Yeon),김시원(Kim, Si-Won)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7 특수교육 Vol.16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AAC앱을 활용하여 SAL, 환경적 조성 전략, 강화하기, 체계적 촉진절차 등의 다양한 중재전략을 적용한 AAC중재의 효과를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언어발달지체유아이고, 연구설계는 상황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 1) AAC앱을 활용한 중재가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행동 발생 빈도를 증가시켰고, 2)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의사소통행동의 기능이 다양화되었고, 3) 언어발달지체유아의 발성 모방 빈도 또한 증가시켰다. 이러한 변화는 다른 교사에게서도 일반화되어 나타났고 유지되었다. 결론: AAC앱을 활용한 AAC중재는 언어발달지체유아의 언어발달(의사소통행동과 모방발성 증가)에 효과적인 중재임이 입증되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study the effects of AAC intervention using AAC application which included SAL(the System for Augmenting Language) and prompting process and reinforcement intervention strategy. Method: The participants of this research were you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This study used a multiple probe baseline design across the settings. Result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 1)The intervention AAC intervention using AAC application increased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behaviors of you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2)The AAC intervention using AAC application also diversified the communicative functions of participants. 3) In communication models, the AAC intervention using AAC application increased the frequency of imitation of vocalization. Also, these changes were generalized to others and they were maintained. Conclusion: This research proved that the AAC intervention using AAC application promoted language development (increased communication behaviors and imitation of vocalization) in young children with delayed language development.

      • KCI등재

        보완대체의사소통(AAC) 중재 서비스에 대한 발달장애인 부모의 요구분석

        임장현(Lim, Janghyun),박은혜(Park, Eunhye),구정아(Ku, Jeongah)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3 특수교육 Vol.12 No.3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장애인들의 학교 및 사회생활 참여를 높이기 위한 AAC 지원의 중요성이 최근 강조되고 있지만, 현재 국내에서 AAC 기기 및 중재서비스에 대한 요구조사는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소수의 연구밖에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향후 국내 AAC 서비스 지원이 사용자의 요구에 보다 더 적합하게 실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와의 개별 면담과 FGI를 통해 AAC 중재서비스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발달장애인 자녀를 둔 부모 10명을 대상으로 개별 및 포커스 그룹별로 면담 전사본을 작성하여 지속적 비교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주제(AAC 중재 경험과 접근 장벽, 자녀에 대한 AAC 지원 요구: 생애주기별 AAC지원서비스에 대한 요구, 가족지원: 가족참여 AAC중재 서비스 요구, 사용자 중심의 AAC 서비스 전달체계)와 15개의 하위주제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향후 발달장애 가족 요구 중심의 AAC 중재 서비스 개발을 위한 제안과 논의점을 서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and needs of potential AAC users’ parents regarding AAC, and to provide the suggestions for AAC intervention services. For this,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10 parents of people with development disabilities.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4 themes and 15 sub-themes according to the experiences and support needs of participants. Main themes were as follows: (1) the experience of AAC intervention and access barriers to AAC, (2) AAC support services according to the lifespan perspective on their children, (3) family supporting services to enhance parental involvement, (4) the establishment of AAC service delivery system for service users. Overall, the experiences of AAC use were limited due to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accessability, and more accessible and effective AAC service system considering users’ demands were needed. Practical implications for AAC intervention servic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