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등학교 5학년의 이야기 능력 발달에 관한 연구

        유동엽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14 국어교육연구 Vol.33 No.-

        본 연구는 이야기 능력의 발달을 탐구하기 위해, 종단 연구의 형태로 수행되고 있는 유동엽(2009, 2011, 2012, 2013)의 후속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세 연구 문제에 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5학년 시기에 서술자의 이야기 능력은 어떤 발달 양상을 보이는가?둘째, 초등학교 1-5학년에 걸쳐 이루어진 이야기 능력의 발달은 학년군으로 어떻게 묶어질 수 있는가?셋째, 이야기 갈래에 따라 서술자가 이야기하는 방식에 어떤 차이가 있는가?이를 위해 서술자가 초등학교 5학년 시기(만 10.03세~11.02세)에 들려준 36개의 이야기를 분석하여, 5학년 시기의 이야기 능력 발달을 소상하게 기술하였다. 연구 결과, 이야기 능력을 구성하는 많은 하위 요소(이야기의 구조, 이야기 구성 요소 중 ‘평가’의 활용, 이야기의 서사성, C-unit의 수, ‘그리고’-‘그래서’-‘그런데’ 3대 접속 부사의 사용 양상, 연결어미비율 등)에서 1-3학년 시기와 4-5학년 시기 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하지만 2학년 시기부터 이야기 주제성이 현저히 높아진다는 데 주목해서 본 연구에서는 서술자의 이야기 능력 발달이 [1학년], [2-3학년군], [4-5학년군]의 세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았다. 그리고 서술자가 이야기 갈래에 따라 이야기 방식을 달리하고 있음을 논증하고, 이야기에 관한 교육 내용을 구안하거나 이야기를 활용한 평가 도구를 개발할 때에 이야기 갈래에 따른 차이를 충분히 고려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development of story telling ability of a 5th-grade student/narrator. It aims to answer to following three questions. First, how does the story telling ability of narrator develop during the 5th-grade? Second, how can be developmental phase divided during 1st~5th grade? Third, are there any genre-specific features in story telling? This study analyzed 36 stories of a 5th-grade narrator(10.03-11.02 age) in 3-dimensions; story construction, story expression, story communication. This study described the story telling of the narrator elaborately as to this frame. According to this study, the story telling ability of 5th grade was similar to 4th grade, but different from 1st-3rd grade at so many feature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development of story telling ability could be phased as [1st grade], [2nd-3rd grade], and [4th-5th grade]. And this study proved many genre-specific features in story telling, and suggested that it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e differences in the story genres when developing the educational contents or assessment tools.

      • 초등학교 5학년 단원 마무리의 과학 글쓰기 개발 및 교육적 효과 분석

        송지영 ( Ji Young Song ),백성혜 ( Seoung Hey Paik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5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21 No.1

        이 연구의 목적은 단원 마무리에 제시된 과학 글쓰기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의사소통을 활성화 할 수 있는 과학 글쓰기를 개발 적용하여 효과적인 과학 글쓰기의 나아 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글쓰기의 교육적 효과를 알아보고 글쓰기와 과학 글쓰기를 비교하여 과학 글쓰기의 의미를 정의하였고 과학 학습에서 과학 글쓰기는 학생들의 문제해결력, 사고력, 논리력을 기를 수 있을 뿐 아니라 탐구 기능을 향상시켜 주고 오개념을 수정하며 학습을 더욱 정교화 할 수 있게 됨을 알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 목표를 중심으로 현재 과학 교과서의 과학 글쓰기 내용을 분석하였고 과학교육 전문가 1인과 현직교사 1인이 세미나를 통해 지속적으로 논의하여 글쓰기 주제와 내용을 보완하여 새로운 과학 글쓰기를 개발하였다. 수원 지역 초등학교 5학년 5개 반을 선정하여 개발된 글쓰기를 투입하고, 글쓰기 결과 분석과 면담을 통하여 과학 글쓰기의 반응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첫째, 2007 개정 교육과정 5학년 1학기 과학 교과서에 나타난 과학 글쓰기는 단원에서 배운 내용을 바탕으로 글쓰기를 하도록 단원 마무에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글쓰기 주제는 호기심과 흥미 중심의 태도 영역과 관련되어 있어 과학 개념을 바탕으로 한 글쓰기보다는 감정이나 느낌, 일상생활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글쓰기 결과를 통해 학생들의 학습 정도를 파악하기 어렵고 일반적인 글쓰기 능력이 더 중요한 글쓰기가 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과학 교과서의 과학 글쓰기에 나타 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과학 개념을 바탕으로 활용될 수 있는 글쓰기를 개발하였다. 학생과 교사간의 의사 소통을 활성화 할 수 있고, 단원에서 배운 개념에 대해 바르게 이해하고 있는지 알아볼 수 있는 비교·분석하는 활동으로 개발하여 제시하였다. 셋째, 기존의 과학 글쓰기와 개발된 과학 글쓰기의 결과를 비교 분석한 결과, 통제반의 글쓰기에서는 과학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글쓰기를 한 결과가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나 실험반의 경우 학생들의 응답으로 학습 목표 달성 정도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창의적 표현과 오개념의 형성 정도, 학습 내용의 문제점 등을 파악할 수 있어 교육적 의미를 찾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problems by analysing science writing suggested in consolidation activity and to suggest a future direction of effective science writing by developing and applying science writing that can activate communication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through previous researches consideration, educational effect of writing is investigated and by comparing writing and science writing, meaning of science writing is defined. Also, it was found that science writing can improve students`` problem solving, thinking, reasoning and inquiry skills, and make learning more sophisticated by modifying misconception. In this study, based on learning goal, science writing of current science textbook is analyzed. By selecting 5 classes of 5th grade in Suwon area, the developed writing was applied, and through writing results analysis and discussion, reaction and effect of science writing are analyzed. First, science writing in science textbook of the first semester of 5th grade in 2007 revised curriculum suggests that writing shall be based on the contents learned in the section. However, as writing subject is related to attitude area based on curiosity and interest, rather than writing based on science concept, the focus is on emotions, feelings and daily life. Thus, it is not easy to see the degree of learning of students through writing result and there is a problem that general writing ability would be more important. Second, in order to improve problems of science writing in science textbook, writing that can be utilized based on science concept is developed. This is suggested in a way that communication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can be activated, and students will be able to understand concepts learned in the section better and compare and analyze. Third,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existing science writing and the developed science writing, there is no writing based on science concept from the writing of the control group, however from the experimental group, it was found the degree of achievement of learning goal from the answers of the students and as creative expressions, degree of forming misconception and problems of learning contents can be found, there was an educational meaning.

      • KCI등재후보

        귀추적 사고를 도입한 수업이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의 빛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백성혜,이수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09 敎員敎育 Vol.25 No.2

        이 연구의 목적은 ‘거울과 렌즈’ 단원에서 초등학교 5학년 학생들에게 귀추적 사고를 도입한 교수 전략의 효과를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초등학교 5학년 35명이었다. 이 연구를 위하여 빛 개념에 관련된 설문을 개발하였다. 빛의 경로를 추론하는 귀추적 사고를 강조한 교수-학습 지도안을 개발하고, 이를 수업에 투입하여 빛에 대한 학생들의 이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수업 후에 학생들과의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하여 그들이 관찰 현상을 어떻게 이해하고 설명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개발한 교수-학습 전략은 학생들의 빛에 대한 개념 이해에 영향을 미쳤다. 학생들의 사전, 사후 개념검사 결과를 비교하였을 때, 정답률이 증가하였다. 수업 후 면담에서 학생들은 귀추적 사고를 통해 빛에 의해 물체를 보는 과정, 상, 빛의 경로와 상의 관계 등을 더 잘 이해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aching strategy related to abduction thoughts on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Mirror and Lens' chapter. The subjects was thirty-five students of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is study, an questionnaire related to conception of light was developed. Teaching-learning guidance plan which emphasize reasoning the path of light by abduction thoughts are developed, which is threw in the lessons, and found effect on students' understanding about the light. After the lessons,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done with the students to discover the explanation processes of the observed phenomen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ing-learning strategy influenced on students' abduction thoughts. As a comparison result of students’ conceptions of pre-test and post-test scores, the number of students who responded correct answers was higher in the post-test rather than in the pre-test. The interviews after the lessons discovered that the students understood the process of vision by light, image, the relation between path of light and image by using abduction thoughts.

      • KCI등재후보

        메타버스를 활용한 온라인 어촌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해양환경인식에 미치는 영향

        남상덕 대구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소 2022 초등교육연구논총 Vol.38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5∼6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메타버스를 활용한 온라인 어촌체험활동이 초등학생의 해양환경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김재근(2020이 분석한 2015 개정교육과정 초등학교 사회, 도덕, 과학과 통합교과 교육과정 성취기준에 반영된 해양환경교육 세부 목표와 국가해양환경 온라인 교육센터에서 제공한 E-BOOK의 해양환경에 대한 교육용 자료를 토대로 10개 온라인 원격학습 주제와 내용을 선정하였다. 그리고 해양수산부에서 선정한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어촌체험마을에서 운영하고 있는 어촌체험활동 10개를 선정하였다. 이후 선정된 주제와 내용에 맞는 영상과 활동기록지 등을 개발하여 메타버스 플랫폼을 통해 제시하고 전체 참가자 330명을 대상으로 자율적인 온라인 체험활동을 실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해양환경인식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김정희(2018)의 검사지를 연구 목적에 맞게 재구성한 다음, 참가자를 대상으로 사전-사후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과정에서 얻어진 정량적 자료는 IBM-SPSS Statistics 22.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정량적 분석을 보완하기 위해 학생들이 작성한 소감문을 대상으로 정성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정량적 분석 결과 메타버스를 활용한 온라인 어촌체험활동 프로그램 적용 후 학생들의 해양환경인식 점수는 향상되었으며, 하위 영역인 해양환경 중요성에 대한 인식과 해양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 영역 모두에서 유의미한 상승이 나타났다. 둘째, 정성적 분석 결과 학생들은 메타버스를 활용한 온라인 어촌체험활동에 흥미를 가지고 즐겁게 참여하였으며 해양환경에 관한 관심과 해양환경보전을 위한 실천의지가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부호화(Encoding)와 인출(Retrieval)이 기억력과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유선(Kim, Yu–,Se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16

        본 연구는 스키마를 활용한 부호화 전략, 단순 인출 전략, 인출과 피드백 전략이 기억력과 자아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시험효과(Testing Effect)를 복습전략으로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한 방안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험효과(Testing Effect)를 일으키는 인출은 좋은 학습 전략이지만 풍부한 스키마가 전제되어야 하며 이는 부호화를 통해서 가능하기 때문에 연구할 필요가 있다. 연구대상은 C시에 있는 초등학교 5학년 총 179명을 편의 표집하였으며. 3주 동안 2반씩 한 그룹 으로 총 3 그룹으로 나누어 진행되었다. 먼저, 학습 후 20 문항의 빈칸 채우기 평가결과를 통해 세 그룹으로 나누고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였고, 일주일 후 스키마를 활용한 부호화 전략, 단순 인출 전략, 인출과 피드백 전략을 투입하였다. 집단별로 20 분간 학습을 마치고 바로 자아 효능감과 사후 기억력 평가를 시행하였다. 통계 분석방법으로 ANOVA와 사후검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험전 학습 자료를 충분히 부호화하는 전략과 단순 인출 전략 그리고 인출 후 피드백이 주어지는 전략 중 학습 자료를 충분히 부호화하는 전략과 인출 후 피드백을 통해 부호화하는 전략이 단순 인출 전략보다 기억력을 향상시켰다. 시험 전 단순 인출 전략보다 부호화 전략 또는 부호화를 포함한 인출 전략이 더 효과적임을 확인하였다. 둘 째, 충분한 부호화를 통한 복습집단과 인출을 통한 복습집단, 충분한 부호화를 통한 복습집단과 인출과 피드백을 통한 복습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 인출은 학습 전략으로 효과적이지만 그 전에 충분한 부호화가 선행되거나 인출 후 충분한 피드백을 통해 학습하는 것이 기억력 향상에도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충분한 부호화는 인출을 통한 복습보다 자아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he testing effect can effectively be used as students’ review strategy by verifying the impact of schema encoding, only retrieval, and retrieval and feedback strategies on memory and self-efficacy. A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employed to enrol 179 Year 5 students in one primary school in South Korea and divide them into a total of three groups, each one composed of two classes. After a learning session, the participants were asked to solve 20 fill-in-the-blank questions, the results of which were used to divide them into three groups and test the homogeneity of them. And a week later, three review strategies were introduced. After twenty minutes of learning, the participants were tested on their self-efficacy and post-hoc memory. The statistical analysis used ANOVA and post-hoc test, resulting in the following: First, the strategies of spending sufficient time encoding learning materials before a test and of receiving feedback after retrieval and then encoding the information led to a better memory than that of only retrieval, proving that the encoding strategy and the retrieval strategy involving encoding are more effective than the only retrieval strategy; and second,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a pair of groups that conducted a review through sufficient encoding and did it through a test respectively and another pair of groups that conducted a review through sufficient encoding and did it through a test and feedback respectively. This study proved that, while retrieval is an effective learning strategy, it impacts memory improvement when sufficient encoding is preceded or when learning through sufficient feedback is followed and that sufficient encoding has a more positive impact on self-efficacy than retrieval.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