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2022 개정 미용과 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이상원,정재형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 2023 한국인체미용예술학회지 Vol.24 No.2

        As a review of the 2022 revised beauty curriculum,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how to run 2025 beauty curriculum. For this, the followings were performed. First, connections between the general guidelines of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22 revised beauty curriculum were analyzed. Second, the 2015 revised beauty curriculum and 2022 revised curriculum cours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nd their relevance with national cosmetologist (general), cosmetologist (skin), cosmetologist (makeup) and cosmetologist (nail) was investigated. Third, how to run the 2022 revision beauty curriculum and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discussed. The above results found that compared to the 2015 revised beauty curriculum, the 2022 revised beauty curriculum is more connected with the core competencies of the general guidelines. When courses were compared, however, the level of such core competencies was close to the characteristics and goal of courses. In addition, some demerits were found in core ides, core concept and development of course competencies, putting an emphasis on ‘digital competency’. In the 2022 revised beauty curriculum, the new parts of the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NCS) were applied, and curriculum-national technical license connections were improved. Furthermore, how to run the vocational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reviewed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nd a necessity of establishing a new identity for beauty curriculum was mentioned. It appears that there should be continued efforts in diverse aspects for the smooth settlement and operation of the 2022 revised beauty curriculum and credit system. .

      • KCI등재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 적용에 따른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의 변화 방향 탐색

        최인선,이세형,문두열,백승주 대한수학교육학회 2023 학교수학 Vol.25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dict changes in the mathematics area of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o seek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mathematical evaluation. To this end, the contents of the 2022 and 2023 CSAT items, where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was applied, were analyzed based on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e number of elective subjects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the content area between subjects was reorganized and the achievement standards for each content area were changed. Second, changes in curriculum terms and preferences have been confirmed to cause changes in various details, such as changes in terms available in the CSAT, as well as changes in the content area, evaluation goals, and complexity of item calculation. Third, it was confirmed that some of the CSAT items under the 2015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may weaken the evaluation factors or limit the evaluation of mathematical thinking of related concepts due to changes in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could be useful data for the 2028 CSAT by reviewing changes in the application of the 2022 revised mathematics curriculum and presenting factors to be considered in the evaluation of high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본 연구는 2022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이하 2022 교육과정)의 도입으로 인한 대학수학능력시험 수학 영역 에서의 변화를 예측하고, 수학 평가에서 교육적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2022 교육과정에서 고등학교 과목에 대한 내용 및 용어와 기호를 중심으로 변화된 내용을 살펴보고,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이하 2015 교육과정)이 적용된 2022, 2023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문항의 내용 영역을 2022 교육과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22 교육과정에서는 2015 교육과정 대비 선택과목이큰 폭으로 증가하였으며, 과목들 사이의 내용 영역들이 재구조화되고 각 내용 영역에 대한 성취기준들이 변화함을 확인하였다. 둘째, 교육과정 용어와 기호의 변화는 대학수학능력시험에 사용 가능한 용어의 변화를 유발하는 것은 물론, 관련 성취기준의 변화를 가져오기 때문에 문항들의 내용 영역, 및 평가 목표, 문항의 계산의 복잡도 등 여러 세부사항들의 변화 역시 유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2015 교육과정을 근거로 출제된 대학수학 능력시험 문항들 중 일부는 2022 교육과정의 성취기준의 변화로 인해 평가 요소가 약화되거나 관련된 개념의 수학적 사고력에 대한 평가에 제약이 있을 수 있음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2022 교육과정에서의 변화를 수능 수학 영역의 내용 영역, 문항 유형 등을 통해 살펴봄으로써 2028학년도 수능 수학 영역의 출제 범위, 체제 및 평가방식과 고교학점제 하에서 수능 선택과목의 유불리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하는 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Bloom의 신교육목표분류체계 기반 2015 및 2022 개정 초등영어 교육과정 성취기준 비교⋅분석

        김보옥,김경한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1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with those of the 2015 curriculum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Methods The 2022 revised curriculum made efforts to ensure that the purpose of competency education is actually implemented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from the perspective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To examine whether this purpose has been achieved,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revised English curriculum in 2015 and 2022 in terms of knowledge dimension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Results In terms of knowledge dimension,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both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the most distributed in “factual knowledge”. There were almost no achievement standards corresponding to “conceptual knowledge” and “procedural knowledge” in both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Meta-cognitive knowledge has increased in proportion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This is analyzed as a result of reflecting strategic knowledge and affective attitudes in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terms of cognitive process dimension, both the 2015 and 2022 revised curriculum achievement standards showed a tendency to be focused on low-level cognitive functions of “remember” and “understand”, but unlike 2015, the 2022 curriculum showed a change of introducing high-level cognitive functions such as “evaluate” and “create”. Conclusions These changes show that the 2022 revised national English curriculum strives to present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a balanced manner in terms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in order to reflect the purpose of competency education

      • KCI등재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주요 내용 및 교과서 개발 방향

        윤지훈 한국한문교육학회 2023 한문교육논집 Vol.60 No.-

        This study attempted to roughly examine the direction and main contents of th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nd the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in mind at the outline level. First, the direction and focus of the revision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developed in accordance with the 2022 revised curriculum were examined, and the main contents of the revision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ncluding the "overview of the curriculum design." Personality' introduce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nd presents the necessity, role, or essence and significance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so that everyone who encounters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can understand the nature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he "objective" was stated as the direction of the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nd the point of arrival for students to achieve, but it was intended to present feasible objective in the school field in consideration of the needs of the school field and the level of learners' Classical Chineses and Classical Chinese learning. The "content system" was designed to foster the ability to solve various and complex problems in life by integrating the subject's knowledge, functions, values, and attitudes. The "area" was set in two areas: middle school "Classical Chineses" and high school "Classical Chineses." In the case of high school "reading Chinese classics" and "language life and Chinese characters" a separate area was not set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subjects. The categories of the content system consisted of content elements and concepts and principles that must be known in the learning of the subject, the process and function of acquiring knowledge and understanding, and the values and attitudes that can be cultivated through the learning of the subject. The development method and statement method of "achievement standard" were also examined, and "achievement standard commentary" was developed only when misunderstanding or confusion may occur in the school field, or additional explanation or emphasis is required. In addition, the direction of textbook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was examined in consideration of the status of textbooks in public education in Korea, that is, they serve as important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본 연구는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주요 내용, 그리고 교육과정 개발 단계에서 염두에 둔 교과서 개발 방향 등을 개요 수준에서 대략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먼저 2022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개정 방향과 교과 교육과정 개정 방향, 한문과 교육과정 개발 관련 선행 연구 등의 분석을 통해 설정한 한문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 및 중점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교육과정 설계의 개요’를 비롯하여 한문과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았는데, ‘성격’은 한문과가 가지는 고유한 특성을 개괄적으로 소개하고 한문 교육의 필요성 및 역할 혹은 본질과 의의 등을 제시함으로써 한문과 교육과정을 접하는 모든 사람이 한문과가 지닌 본질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목표’는 한문과 교육과정이 지향해야 할 방향과 학생이 달성해야 할 학습의 도달점으로 진술하되, 학교 현장의 요구와 학습자의 한자 및 한문 학습 수준을 고려하여 학교 현장에서 실현 가능한 목표를 제시하고자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변화가 가장 큰 부분인 ‘내용 체계’는 ‘핵심 아이디어’를 중심으로 교과의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 등을 통합적으로 적용하게 하여 삶의 다양하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도록 내용 체계를 구성하였으며, ‘영역’은 중학교 ‘한문’과 고등학교 일반 선택 과목 ‘한문’의 경우 ‘한자와 어휘’, ‘문장’ 2가지를 영역으로 설정하고,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새롭게 편제되는 고등학교 ‘한문 고전 읽기’와 ‘언어생활과 한자’의 경우는 개별 교과목의 특성을 반영하여 별도의 영역을 설정하지 않았다. 내용 체계의 범주는 해당 교과목 학습에서 반드시 알아야 할 내용 요소 및 개념과 원리, 지식․이해를 습득하는 과정과 기능, 해당 교과목 학습을 통해 기를 수 있는 가치와 태도를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성취기준’의 개발 방식 및 진술 방식을 살펴보았으며, ‘성취기준 해설’의 경우 성취기준 가운데 학교 현장에서 오해 및 혼동 등이 초래될 가능성이 있거나 추가적인 설명이나 강조가 필요한 경우에 한해 개발하고, ‘성취기준 적용 시 고려사항’은 영역 또는 해당 과목 고유의 특성을 고려하여 특별히 강조하거나 중요하게 다루어야 할 교수․학습 및 평가의 주안점을 기술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교수․학습’과 ‘평가’ 개발 방식과 함께 교과서가 우리나라 공교육에서 갖는 위상, 즉 교육과정에 기반을 둔 학습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수업의 매개체이자 중요한 교수․학습 자료의 기능을 한다는 점을 감안하여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개발 방향을 살펴보았다.

      • ‘2022 개정 한문 교육과정중 ‘인성’ 관련 목표 분석

        김영옥 고려대학교 고려대학교 부설 한자한문연구소 2023 동아한학연구 Vol.- No.17

        본 연구는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중 ‘인성’ 관련 목표를 연구 대상으로 삼아 이전의 한문과 교육과정 내 관련 항목과 비교하여,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규정한 ‘인성’ 관련 목표의 특징에 대해 분석하였다. 특히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漢文과 人性’ 영역을 핵심 개념으로 새롭게 제시하였으므로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편찬한 한문 교과서에서는 ‘인성’ 관련 목표가 어떠한 학습 요소를 통하여 구현되고 있는지에 대해서도 살펴보았다. 그 결과, 첫째, 교수요목기 이후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및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인성’ 부분의 궁극적인 목표는 한문 자료를 매개로 한 내용중심의 지식교육을 통하여 학습자의 가치관이나 태도를 형성하는 것에 중점을 두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는 ‘도의 앙양’, ‘인격 도야’, ‘자기 수양’, ‘건전한 생활 윤리’, ‘민주적 생활 태도’, ‘건전한 가치관’, ‘바람직한 인성’, ‘미래 사회에 필요한 인성’의 함양을 통하여 자기 삶에 적용하고, 타인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올바른 인성 함양을 목표로 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특히,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는 ‘인성’ 관련 영역을 별도로 설정하지 않은 반면, ‘7차 교육과정’부터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의 ‘인성’ 관련 영역에서는 공통적으로 ‘건전한 가치관’과 ‘바람직한 인성’을 목표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이 목표는 ‘전통 문화의 이해’, ‘선인들의 삶과 지혜에 대한 이해’, ‘선인들의 사상과 감정에 대한 이해’를 통하여 도달하도록 제시하였다. 둘째, 현재 학교에서 사용 중인 한문 교과서 내 ‘인성’ 관련 내용을 분석한 결과, ‘2015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 내 여러 ‘핵심 개념’에 비하여 ‘인성’ 관련 부분이 실제 교과서에 출현 빈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학습 요소도 다양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교과서마다 상이하지만 평균 10개 내외의 ‘인성’ 관련 학습 요소가 제시되었고 많게는 18개의 학습요소가 제시된 경우도 있었다. 그리고 비중이 높은 ‘인성’ 관련 학습 요소는 ㉠ 나눔과 배려, 우정, 효, 가족애, 고운 말 사용, 신중한 언행, 선행. ㉡ 애국, 애민, 국토의 소중함, 공동체 생활. ㉢ 배움의 즐거움, 습관 형성, 진로에의 열정 순이었다. 한편, ‘인성’ 부분은 실천적 교육이 필요함에도 불구하고 한문과 교육과정 내에는 이를 효과적으로 실행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인성’의 학습 요소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교과서마다 제시한 학습 요소가 너무 다양하다는 것, 학습 요소를 범주화할 수 없다는 점은 개선되어야 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므로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인성’의 개념을 구체적으로 규정하고, 한문과에서 다루어야 할 ‘인성’의 세부 학습 요소를 제시해야 하며, 더불어 학교급별 ‘인성’의 학습 요소 및 성취기준을 차별화하여 제시해야 함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2022 개정 한문과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인성’ 관련 내용에 대한 충분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이후 한문 교과서 제작에 있어서 앞에서 제시한 문제가 개선될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mad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s a subject of study. By comparing to the previous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this study contemplated the ‘Personality’ characteristic which ‘Curriculum of Korean Classical Chinese Education’ regulated. Furthermore, I studied how ‘Classical Chinese and Personality in Korean Curriculum’ is shown recently. First, after ‘The First Curriculum’, I found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present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is to build value and attitudes of learners. Second, I was able to find out that in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he sections which are related to the ‘Personality’ have not only the high frequency of appearance but also have various learning elements than the ‘Essential Concepts’ in it. In addition, I found that meanwhile, despite the ‘Personality’ section’s requirement for the actual curriculum, in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they were not able to suggest the definite way to practice it efficiently. Also, as they did not provided learning elements of the ‘Personality’ clearly, the learning elements which every ‘Classical Chinese Textbook’ contains became quite various and had difficulties in categorizing the Learning Elements, which needs to be improved. Therefor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arranged regulating the definition of the ‘Personality’ clearly, providing its detailed learning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which should be instructed in ‘Classical Chinese’ subject according to the school levels as the improvement plan. Through this study, I expect that the aforementioned problems will be improved through the enough discussion related to ‘Personality’ in the process of producing Classical Chinese textbooks based on the ‘2022 Revised Classical Chinese Curriculum’.

      • KCI등재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적용을 위한 교육과정 분석 및 교사 인식 조사 - 초등학교급을 중심으로 -

        이지수 국제어문학회 2024 국제어문 Vol.- No.100

        The study examined major changes in the newly applied 2022revised Korean language curriculum to investigate and analyzeteachers’ perceptions of expected difficulties and support requirementsin the educational field. First, the 2022 revised Korean languagecurriculum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2015 revised Koreanlanguage curriculum. At this time, the analysis of major changes in thecommon school-level “design of the curriculum, “character and goal,”“content system,” a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evaluation”was presented, and then the “achievement standard” was analyzed andpresented focusing on the elementary school level. Based on theanalysis results, a survey was conducted on the expected difficultiesand support requirements in the school field, with 400 schools and 386teachers who responded.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stable establishment of a new curriculum in the educational fieldduring the curriculum revision period by identifying the expected issueswhen applying the 2022 revised curriculum and specifying thenecessary support. 본 연구는 새롭게 적용되는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변화를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교육 현장에서 예상되는 어려움과 지원 요구 사항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조사하여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2022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을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이때 ‘교육과정의 설계’, ‘성격 및 목표’, ‘내용 체계’,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의주요 변화 분석은 학교급 공통으로 제시하고 ‘성취기준’은 초등학교급을 중심으로 분석하여 제시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학교 현장에서 예상되는 어려움과 지원 요구 사항에 대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는데, 설문 조사는 400개 학교를 대상으로 하였고 386명의 교사가 응답을 하였다. 본 연구는2022 개정 교육과정 적용 시 예상되는 쟁점을 파악하고 필요한 지원을 구체화함으로써, 교육과정 개정 시기에 새로운 교육과정이 교육 현장에 안정적으로 안착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KCI등재

        2022 개정 도덕과 [윤리와 사상] 교육과정 개정 방향과 현황- 성격과 목표 및 내용 체계에 대한 1차 연구를 중심으로 -

        이윤주,안영석,이민혁 한국윤리교육학회 2022 윤리교육연구 Vol.- No.65

        In the 2022 revised curriculum, [Ethics and Thoughts] changed its status to a career elective subject, a non-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elective subject. Therefore, the main task of the 2022 [Ethics and Thoughts] curriculum is to simultaneously secure its identity, which has been maintained since the 7th curriculum, and differentiation as a career elective subject. This paper intends to present the main development direction, design rationale, and current status of the first study of the 2022 revision [Ethics and Thoughts], which was conducted with this awareness in mind. The major revision directions set in the first study of the 2022 revision [Ethics and Thoughts] curriculum are first to strengthen the linkage with the general discussion. Second, it maintains the identity of [Ethics and Thoughts] of ‘systematic learning and understanding of ethics and social thought’. Third, while pursuing a harmony between the ethics history-oriented approach and the topic-oriented approach, the elements of the topic-centered approach are further strengthened. Centering on this revision direction, the first study conducted a study on the personality, goals, and content system. As such,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ntribute to the completion of the research on the 2022 revision of the [Ethics and Thoughts] curriculum by sharing the main contents of the first study of the 2022 revision [Ethics and Thoughts]. 2022 개정 교육과정에서 [윤리와 사상]은 비수능 선택 과목인 진로 선택 과목으로 그 위상이 변화하였다. 따라서 2022 [윤리와 사상] 교육과정의 주요 과제는 7차 교육과정부터 유지되어온 정체성과 진로 선택과목으로서의 차별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것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진행된 2022 개정 [윤리와 사상]의 1차 연구의 주요 개발 방향 및 설계 근거와 현황을 제시하고자 한다. 2022 개정 [윤리와 사상] 교육과정 1차 연구에서 설정된 주요 개정 방향은 첫째, 총론과의 연계성을 강화한다. 둘째, ‘윤리사상과 사회사상에 대한 체계적 학습과 이해’라는 [윤리와 사상]의 정체성을 유지한다. 셋째, 윤리 사상사 중심 접근법과 주제 중심 접근법의 조화를 추구하되 주제 중심 접근 요소를 더욱 강화하는 것이다. 이러한 개정 방향을 중심으로 1차 연구에서는 성격과 목표 및 내용 체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논문의 목적은 2022 개정 [윤리와 사상] 1차 연구의 주요 내용을 공유함으로써 2022 [윤리와 사상] 교육과정 개정 연구 마무리에 보탬을 주고자 하는 데 있다.

      • KCI등재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미적 체험’ 영역의 5·6학년용 미술 교과서 개발 방향 연구

        김해경(Hai Kyung Kim),전수현(Soo Hyeon Jeon),송명길(Myung kil Song) 한국초등미술교육학회 2024 미술교육연구논총 Vol.76 No.-

        The Aesthetic Experience/Experience area, which first appeared when the Content System was introduced i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It has been constantly pointed out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Experience area is ambiguous and overlapped with other areas, Expression and Appreciation. School teachers also indicated the area is the most difficult when designing the curriculum, and it was also selected as the most problematic area in the study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Textbooks are an important method to deliver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to classroom. Therefore, this study focused on how to imply the Aesthetic Experience area in the 2022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into art textbooks in order to support practicing the national curriculum. First, the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Experience area for the 5th and 6th grader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were compared with the Aesthetic Experience area for the 5th and 6th graders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Next, according to the criticism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Experience area has low connectivity and hierarchy, the Content Elements and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Aesthetic Experience area for the 5th and 6th graders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were compared with the 3rd and 4th grade level and the middle school level. Based on analyzing the previous and new Curricular, we suggested how to apply Aesthetic Experience area of the 2022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into new art textbooks for the 5th and 6th graders by referring art textbooks for the 5th and 6th graders based on the previous Curriculum. As a result, these are suggested to apply to develop new art textbooks for the 5th and 6th graders: 1) digital devices should be used for sensory exploration, 2) opportunities to refl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nses and thinking should be supplied, 3) activities to decode denoted meaning implied in visual culture should be included, and 4) opportunities to find and make meanings as exploring objects and environments should be included. 제7차 교육과정에서 내용 체계를 도입하면서 처음 등장한 미적 체험/체험 영역은 미술과 고유의 특성이 드러나는 영역이면서도 표현, 감상과 달리 영역 구분이 모호하다는 지적이 끊이지 않았다. 현장에서도 교육과정 설계 시 가장 어려움이 많은 영역이었고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에서도 가장 문제가 되는 영역으로 꼽혔다. 이런 상황에서 교과서는 교육과정을 수업에 녹아내게 하는 중요한 도구이기에 현장에서 미적 체험 영역 지도의 어려움을 해소하는 데 도움을 주고자 본 연구는 미적 체험 영역을 교과서로 구현할 때 주목해야 하는 부분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우선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5·6학년군 체험 영역의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을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5·6학년군 미적 체험 영역과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미적 체험 영역이 연계성과 위계성이 낮다는 지적에 따라 2022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5·6학년군 미적 체험 영역의 내용 요소와 성취기준을 3·4학년군과 중학교와 비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5·6학년용 미술 교과서 6종을 참고하여 차기 교육과정 미적 체험 영역의 5·6학년용 미술 교과서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결과, 1) 감각적 탐색에 디지털 기기를 활용하고, 2) 감각과 사고의 관계를 성찰할 기회를 제공하고, 3) 시각 문화에 내포된 의미를 찾아보도록 하며, 4) 대상과 환경을 탐색하며 의미를 부여하는 활동을 교과서에 반영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한일 비교의 관점에 근거한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 지도학습의 특징

        양병일(梁炳逸)(Byung-Il Yang) 한국일본교육학회 2024 한국일본교육학연구 Vol.29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한일 비교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지도학습의 특징을 밝히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일본의 2017 개정 소학교 사회과 학습지도요령과 우리나라의 2022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지도학습의 내용을 비교 및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의 4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양국 모두 지도학습의 지역적 범위를 탄력적으로 운영하고 있지만,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도학습에는 학습자의 생활권을 중심으로 환경확대법이 탄력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두 번째로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는 우리나라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지도학습이 약화 되었다. 세 번째로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도학습은 객관성과 주관성이 동시에 고려되었다. 네 번째로 2022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지도학습에는 디지털 영상 지도와 디지털 영상 지구본과 같은 디지털 공간 영상 정보의 활용이 강조되고 있다. 本研究の目的は、韓日比較の観点から韓国の2022改訂社会科教育課程に現れた地図学習の特徴を明らかにすることである。研究目的を達成するために、本研究は日本の2017改訂小学校社会科学習指導要領と韓国の2022改訂初等学校社会科教育課程に現れた地図学習の内容を比較及び分析した。分析結果は次の4つにまとめることができる。まず、両国とも地図学習の地域的範囲を弾力的に運営しているが、2022改訂社会科教育課程の地図学習には学習者の生活圏を中心に環境拡大法が弾力的に適用されている。第二に、2022年改訂社会科教育過程には、韓国の領域を対象とする地図学習が弱まった。第三に、2022年改訂社会科教育課程の地図学習は、客観性と主観性が同時に考慮された。第4に、2022改訂社会科教育課程の地図学習には、デジタル映像地図とデジタル映像地球儀のようなデジタル空間映像情報の活用が強調されている。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eal the characteristics of map learning in Korea's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Japan comparison.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contents of map learning presented in Japan's 2017 revised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guidelines and Korea's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The analysis results can be organized into the following four categories. First, although both countries operate with flexible regional scopes for map learning, the expanding environments approach is flexibly applied to map learning in the 2022 revised Korean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the learners' living areas. Second, map learning targeting Korean territory has been weakened in the 2022 revised Korean social studies national curriculum. Third, both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were considered in the map learning of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Fourth, the use of digital spatial image information such as digital image maps and digital image globe models is emphasized in the map learning of the 2022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 KCI등재

        2022 개정 사회과 지리영역 교육과정 개발 방향 및 주요 내용

        임은진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 2023 한국지리환경교육학회지 Vol.31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geographic curriculum development direction and development process according to the revised 2022 curriculum, and to seek for supporting its successful settlement and implicating for development of the next geographic curriculum. The revised 2022 curriculum was designed to innovate our education system so that we can grow into a “leading people with inclusion and creativity” by cultivating basic knowledge and capabilities to respond actively to future social changes. In the revised 2022 geographic curriculum, the curriculum was developed by comprehensively considering capacity development, learner-specific curriculum, content redundancy reduction, appropriation of learning volume and level, content validity improvement, sequence securing, and lesson improvement of future-oriented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measures.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reflect the various opinions of educational officials, national and social requirement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curriculum with the people’. In particular, it was intended to faithfully develop the newly opened high school geography elective curriculum, and accordingly, the contents of the middle school geography curriculum changed significantly. However, it still remains a task to specify the name of the geography subject in the current curriculum compilation table and to separate the social studies in middle school into Geography and General social studies. 본 연구의 목적은 2022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지리 교육과정 개발 방향과 개발 과정에 대한 고찰을 통해 그 특징을 밝히고, 학교 현장의 성공적인 정착 지원과 차기 지리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모색하는 것이다. 2022 개정 교육과정은 미래 사회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기초소양과 역량을 함양하여, ‘포용성과 창의성을 갖춘 주도적인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우리 교육의 체제를 혁신하기 위해 이루어졌다. 2022 개정 지리 교육과정에서도 총론에서 강조하고 있는 역량 함양 및 학습자 맞춤형 교육과정, 내용 중복성 축소, 학습량과 수준의 적정화, 내용의 타당성 제고, 계열성 확보, 미래 지향적 교수・학습 및 평가 방안모색을 통한 교실 수업 개선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였다. 또한 ‘국민과 함께하는 교육과정’이라는 취지에따라 다양한 교육 주체의 의견과 국가・사회적 요구사항을 반영하고자 하였다. 특히, 새롭게 개설된 고등학교 지리 선택과목 교육과정을 충실하게 개발하고자 하였으며, 이에 따라 중학교 지리 교육과정 내용도 크게 변하였다. 그러나 현 교육과정 편제표에 지리과목명을 명시하는 것과 중학교 사회 과목을 지리와 일반사회로 분리하는 것은 아직 과제로 남아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