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수산.해운계열 2009, 2015 개정 교육과정 비교 분석

        조진호(Jinho Cho) 한국직업교육학회 2021 職業 敎育 硏究 Vol.40 No.5

        이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수산・해운계열 고등학교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등 직업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으며, 두 개정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은 학생의 과목 선택권을 확대하기 위해 선택 과목을 적성과 진로에 따라 맞춤형으로 다양화 하였는데 기존 2009 개정 교육과정과는 다르게 교과는 보통 교과와 전문 교과로 구분되고, 보통 교과는 다시 공통 과목과 선택 과목으로 구성되며, 선택 과목은 일반 선택과 진로 선택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보통 교과 심화 과목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전문 교과Ⅰ으로 편성됨에 따라 특성화 고등학교와 산업수요 맞춤형 고등학교를 대상으로 하는 직업계고등학교 전문 교과는 전문 교과Ⅱ로 편성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전문 교과Ⅱ는 NCS 기반 교육과정에 따라 전문 공통, 기초 과목, 실무 과목으로 구분하여 기초 역량과 직무 능력을 갖춘 현장형 인재를 양성하도록 하였다. 셋째, 산업 분야를 교과(군)별로 재편성한 NCS 기반 교육과정을 반영하였다.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 5개 계열의 62개 기준학과였던 것이 2015 개정 교육과정은 17개 교과(군) 46개 기준학과로 개편되었다. 총 이수 단위 수 204단위, 창의적 체험활동 24단위는 변화가 없었으나 2009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보통 교과는 65단위에서 66단위로 1단위 증가했으며, 자율편성단위가 29단위에서 28단위로 1단위가 감소하였다. 넷째,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수산・해운 계열로 구분되던 교과군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선박 운항’, ‘기계’, ‘식품 가공’, ‘농림・수산 해양’ 4개의 교과군으로 분리되었다. 기준학과도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NCS 분류에 의해 농림・수산 해양 교과군의 수산양식과, 해양생산과, 해양레저과로 3개의 학과로 구분하였고, 항해과, 항만물류과, 동력기계과 등은 선박 운항 교과군의 기관과, 항해과로 구분되었다. This study attempte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direction of the secondary vocational education curriculum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fisheries and maritime education courses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irs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elective subjects were customized and diversified according to aptitudes and career paths in order to expand students choice of subjects. Subjects were divided into general subjects and specialized subjects. Second, unlike in the 2009 curriculum, the specialized subjects of vocational high schools were organized into specialized subjectsⅡ. specialized subjectsⅡ According to the NCS-based curriculum, it is divided into specialized common subjects, basic subjects, and practical subjects. Thir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re were 62 standard departments in 5 departments, bu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reorganized into 46 standard departments in 17 subjects groups. The number of autonomous units decreased by one unit from 29 units to 28 units. Fourth,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the curriculum was divided into fisheries and maritime, but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t was divided into four subject groups: ‘Ship Operations’, ‘Machining’, ‘Food Processing’, and ‘Agriculture․Fisheries and marine’. The standard department was also divided into three departments in the fisheries and maritime subject group and two departments in the ship navigation subject group.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 도입에 대한 교육 현장과 전문가의 인식 분석

        이승미(Lee, Seung-m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8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핵심역량이 교육과정 문서에 제시된 방식과 교육 현장에서 핵심역량 적용 실태를 분석하고 그에 근거하여 국가 교육과정에서의 핵심역량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핵심역량 관련 규정에 대한 분석에 기반하여 첫째, 핵심역량 관련 규정의 명료성과 활용 실태 및 개선 방향을 탐색하고자 교육 현장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하고 있는 교사 및 장학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고,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의 위상과 역할, 선정 및 조직, 제시 방식의 타당성을 검토하고 그 개선 방향 탐색하기 위해 교육과정 전문가를 대상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 개발 보고서에는 특히 핵심역량의 활용 방안에 기반한 교과 교육과정 설계 방안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 있지만 그 결과가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에서 가시적으로 드러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핵심역량을 학교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국가 교육과정 문서에서 핵심역량 관련 규정의 명료성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교육과정 정책이 도입과 관련하여 교육과정 문서가 갖추어야 할 명료성에 대해 논의하고 이를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두 가지의 정책 제언과 한 가지의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gulations of core competencie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o analyze the actual application of core competencies in the education fiel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core competencies in the national curriculum. For this purpose, this study used the following research methods: First, the core competency related regulation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ere analyzed. Second, a survey was conducted on teachers and supervisors about the actual use of core competencies and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and Delphi survey was conducted on curriculum expe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evelopment report specifically suggests the curriculum design plan based on the utilization plan of core competencies, but the results are not clearly visible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ocument. Second, in order to utilize core competencies for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school curriculum, the clarity of core competencies related regulations should be preceded in the national curriculum document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discussed the clarity of curriculum documents in relation to the introduction of new curriculum policies. And as a way to implement this, two policy proposals and one follow-up study were proposed.

      • KCI등재

        2015 개정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체제와 내용에 관한 비판적 고찰

        강이화(Kang, Ewha)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016 敎育思想硏究 Vol.30 No.1

        본 논문은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체제와 내용을 분석하여 향후 국가 교육과정 총론 개발에 주는 과제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을 검토하고 향후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쟁점과 문제점을 논의하였다. 연구 결과,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은 장 제목을 ‘학교 교육과정’ 단어 중심으로 통일하여 수정함으로써 학교 교육과정 수준을 강화하 고자 시도하고 있으며, 교육과정 문서 체제를 각급 학교 교육을 포괄하는 방식으로 개정되었다. 교육과정 편성·운영의 기준과 방법에서는, 몇몇 오기와 중복의 문제가 지적되었고, 전체적으로 가독성, 일관성, 명료성을 살려 수정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 과정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 구성의 변화와 관련해서는 관련 연구 및 타당성 있는 설명이 없다는 문제가 지적되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의 변화 가운데서 초등학교 관련 쟁점사항인 핵심역량 제시, ‘안전한 생활’ 신설, 개정 기간 단기화 경향 등에 대해서도 추가 논의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is paper amis at exploring and discussing the issues and challenges on the future developm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by analyzing the document system and content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o this end, the study reviewed the document system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contents and discussed the key issue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ried to strengthen the system configuration for the sake of school curriculum by modifying its chapter headings uniformly with the word ‘school curriculum’ as its center, and amended the revised curriculum document system in a way that covers all levels of school education. In terms of the system configuration on the criteria and ways of curriculum organization and implementation, the problems of several lapses of the pen and duplication were pointed out, and it was analyzed that they should be modified as a whole for the sake of readability, consistency, and clarity. Among the change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elementary school-related issues, in particular the key competencies, changes in the curriculum framework and time allotment related to adding ‘Safe Life’, and the short-term trend due to constant revision seem necessary to be discussed further in depth.

      • KCI등재

        초등학생의 인성함양을 위한 초등 도덕과 내용의 적정화 연구

        이인재 ( In Jae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6 초등도덕교육 Vol.0 No.51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각 교과 교육과정이 2015년 9월 23일에 확정ㆍ발표되었다.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된 이후 교과서 개발이 착수되고 있는 시점에서 이번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중점이 무엇인지, 그리고 이것들이 각 교과 교육과정 속에 어떻게 반영 되고 있는지를 정확히 이해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교육과정 총론의 비전은 교과 교육과정에의 적용과 이에 터한 교과서 개발을 통해 실질적으로 달성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교과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중점 및 총론의 적용 원리를 구체적으로 탐구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총론과 교과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과 중점을 살펴보고 이것이 2015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구체적으로 적용되었는지를 분석하였다. 특히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주요 방향 중의 하나인 “교과 교육을 통한 핵심 역량의 함양과 더불어 교과별 핵심 개념과 원리를 중심으로 학습 내용을 적정화하는 방향 추구”가 개정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되었는가에 초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 개정 교과교육 문서를 구성하는 요소 중 내용체계의 주요 내용인 영역, 핵심 개념, 일반화된 지식, 학년(군)별 내용요소와 기능이 구체적으로 초등 도덕과 교육과정에 적용된 결과를 소개하였다. 이를 통해 인성함양을 위한 향후 초등 도덕 교과서 개발과 도덕수업에서 도덕과 교육과정 개정의 중점과 원리가 제대로 이해되어 응용되도록 하는데 데 초석이 되고자 하였다.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announced on September 23 2015. It has raised need to understand exactly what is the direction and emphasis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how these are reflected in this curriculum at the time that the elementary moral textbook has been developed since the notice of the national curriculum. It is essential to specifically explore the direction and emphasis of the revised subject curriculum, and the principles of application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vision of the national curriculum is substantially achie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revised subject curriculum and the development of a textbook based on it. Thus this paper analyzed what is the direction and focus of the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subject curriculum and how these were specifically applied to the 2015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In particular, it has been focused on how it is reflected in the revised elementary moral curriculum after seeing one of the main direction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at is, the cultivation of core competency through subject education and the appropriateness of learning content focusing on core concepts and principle of each subject. At this end, I introduced the results that the area, the core concept, the generalized knowledge, the grade specific content element and skills which are the main components of content system of subject curriculum document apply to the elementary moral curriculum. This will allow to become a cornerstone for us correctly to understand and apply to the focus and principle of the revised moral curriculum in the development of elementary moral textbooks and moral teaching for character formation of children for the future.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기술‧가정 교과서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 내용 분석: 핵심개념 ‘발달’을 중심으로

        김경민,송지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9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현재 중학교 현장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술‧가정 교과서의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 중 발달 핵심개념과 관련된 부분에서 교과 내용이 어떤 소재로 어떻게 조직되어 있으며 어떠한 교수‧학습방법이 활용되고 있는지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은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되어 출판된 총 12종의 중학교 기술‧가정 교과서 중 5종이다. 연구절차는 우선, 각 교과서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발달 핵심개념에 대한 내용과 단원 구성에 대해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과 각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발달 핵심개념과의 관련성을 목표, 성취기준 그리고 교수‧학습 방법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내용 구성에 있어서는 대부분 대단원명을 ‘청소년의 발달과 이해’로 사용하고 있었으며, ‘발달’ 영역은 가정생활영역 대비 적게는 24.59%에서 많게는 31.15%의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둘째, 각 교과서의 단원 구성을 도입, 전개, 마무리에 근거하여 분석한 결과 삽화나 사진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관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다양한 활동자료를 제시하여 학생 중심의 교육이 진행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셋째, 5종 교과서와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인간발달과 가족 영역의 목표 중 자신의 발달에 대한 이해, 긍정적 자아정체감 형성, 관계형성 능력 및 실천적 문제해결 능력 배양의 목표가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양한 학습활동 및 체험활동을 통해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성취기준을 달성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리고 5종의 교과서에서는 협동중심 교수·학습 방법이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교과서 분석을 통해 기술‧가정 교과서를 2015 개정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측면에서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현재 활용되고 있는 기술‧가정 교과서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고, 추후 교과서 개편을 위한 개선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sis contents of th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dealing with the core concept ‘Development’ based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subjects were 5 textbooks from the twelve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most textbook used ‘Adolescence development and understanding’ as a chapter name. Second, each unit structure has various picture, graphs and activities to make interesting class to students. Finally, 5 textbooks include goals of self understanding, positive self-identity, relationship building and problem-solving. Also, various activities help students accomplish achievement standard 2015 revised curriculum oriented. And cooperation focused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used the most.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presents the contents of middle school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and propose improvement direction of future textbooks reform. Suggestions and implications for Technology-Home Economics textbook contents analysis were also provided.

      • KCI등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조대현(Dae Hyun Cho),윤성원(Sungwon Yoon),강옥화(Ok Hwa Kang),윤관기(Gwan Ki Yun)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7 교육연구 Vol.68 No.-

        본 연구는 2015년 개정, 고시된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특수교육 교육과정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교육과정의 분석은 2011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총론 및 음악과 각론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궁극적으로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에 따른 특수학교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의 기틀과 방향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진은 첫째, 2015 교육과정 개정의 방향과 의의, 그리고 주요 개정 내용에 대해 살펴보고, 둘째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이 담고 있는 주요 내용을 2011 특수교육 교육과정 및 일반학교의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비교하였으며, 셋째 이를 통해 도출된 주요 쟁점들을 고찰함으로써 특수교육 대상자를 이해하고 초등 음악교과서 개발에 전제되는 요건들을 제시하였다. As a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music textbooks for use at the special school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is research was proceeded with centered on the analysis of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The analysis took place by classifying into the revised Education Curriculum in 2011 and the introduction, the music, and the itemized discussion of the Education Curriculum that was revised in 2015. And, ultimately, the purpose is to present the base and the direction of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textbooks for use at the special schools according to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s revised in 2015. As such, first, we took a look at the direction and the meaning of the revision of, and the main revision details of, the 2015 Education Curriculum. And, secondly, we compared the main details contained in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s revised in 2015 with the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s revised in 2011 and the Education Curriculum of the ordinary schools as amended in 2015. And, thirdly, by considering the main issues arrived at through these, the subjects of the special education were understood and the conditions that are premised in the development of the elementary music textbooks were presented.

      • KCI등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 - 세계시민교육을 향하여 -

        김형숙(Kim, Hyung Sook) 한국미술교육학회 2019 美術敎育論叢 Vol.33 No.3

        이 논문은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대해 미술과의 특성, 성격과 내용체계 등을 알아보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를 통해서 미래 미술과 교육과정의 지향점을 세계시민성교육과의 연계성을 통해 고찰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둔다. 따라서 본고는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과 미술과 교육과정과의 관련성과 차이점을 논의 하기 위해서 핵심역량을 다룬다. 또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특성과 내용 체계를 논의하여 학습자가 제한된 수업시수 내에서 학습할 수 있는 체험, 표현, 감상 영역의 내용체계 구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둘째, 이 논문은 역량중심 미술과 교육과정이 남긴 과제를 중심으로 미래의 교육과정 개발 방향을 세계시민교육과 관련하여 논의를 진행시킨다. 이는 세계시민교육이 지향하는 주요 학습자의 특성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을 중심으로 파악한다. 따라서 이 연구는 정부주도 하에 수시개정체계와 정시 개정체계를 병행하고 있는 교육과정 개정시, 미술교과의 지식과 기능, 그리고 역량을 연결하여 세계시민교육의 가치와 의미를 창조할 수있는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할 것임을 주장한다. School education is placing greater emphasis o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rather than focusing on the character development of students. Teenage students, who are the future of South Korea, thus receive an imbalanced education in schools. Art education with its basis on emotion, pursues psychological development. However, psychological development is sorely lacking.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as developed under these circumstances in order to provide the future generation and society with not only the ability to learn piecemeal knowledge and notions, which is the mission of traditional school education, but to encourage them to discover and apply knowledge, and to create new knowledg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examines the art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aims to present goals for future education plans, and to discover the implication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First, this study discusses the characteristics and content structure of the curriculum in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by exploring the relation between general education and art education. In particular, the structures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n the art curriculum in the 2015 Art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e discussed to understand the factors of capacity-centered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is study discusses the relation between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and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capacity-centered art curriculum. The implications and task from the 2015 Revised Art National Curriculum are examined to propose future goals for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 KCI등재후보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안)의 농업생명과학 교육내용 개정 방향

        정남용,방기혁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15 實科敎育硏究 Vol.21 No.2

        이 연구는 현재 연구·개발 중인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안)에 농업생명과학의 교육 내용 체계를 구안하여 제시하고자 한 것으로써, 실과교육과정 관련 자료, 연구보고서, 그리고 연구 논문 등을 고찰하고 분석하였다. 구안된 2015 개정 실과교육과정(안)에서 농업생명과학 영역의 교육 내용은 ‘인간 생활과 식물’과 ‘인간 생활과 동물’의 대영역으로 구분하였다. 그리고 대영역 ‘인간 생활과 식물’ 대영역에는 ‘생활 속 식물의 이해’와 ‘식물 가꾸기’의 중영역으로 구성하고, ‘인간 생활과 동물’에는 ‘생활 속 동물의 이해’와 ‘동물 돌보기’의 중영역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각 중영역에서 ‘생활 속의 식물 이해’ 중영역에는 생활 속의 식물, 식물 자원의 가치, 식물 자원의 종류, 녹색 성장과 식물 등의 내용이 포함되도록 하고, ‘식물 가꾸기’에는 식물 가꾸기 또는 친환경 식물 가꾸기, 식물의 이용 등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생활 속 동물의 이해’ 중영역에는 생활 속의 동물, 동물 자원의 가치, 동물 자원의 종류, 녹색 성장과 동물 등이 포함되도록 하고, ‘동물 돌보기’에는 동물 돌보기 또는 친환경 동물 돌보기, 동물의 이용 등이 포함되도록 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provide useful materials to develop the 2015 national curriculum of agricultural life science area in practical arts education through the materials of practical arts curriculum such as the guideline for revising 2015 national curriculum. research papers. The contents of the agricultural life science area in the 2015 national practical arts education curriculum should be consisted of 'human life and plant', and 'human life and animal.' 'Human life and plant' should be organized with 'understanding the plant in rea life' and 'growing plants.' Also, 'human life and animal' should be organized with 'understanding the animal in real life' and 'raising animals.' In middle domains 'understanding the plant in real life' should be contained the plant in real life, the value of plant resources, kinds of plant resources, green growth and plants et al and ‘growing plants' should be contained growing plants or growing the real environmental plants, utilization of plants. Also 'understanding the animal in real life' should be contained the animal in real life, the value of animal resources, kinds of animal resources, green growth and animals et al and 'raising animals’ should be contained growing animals or growing the real environmental animals, utilization of animals.

      • KCI등재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쟁점 : 내용을 감축하고 고등학교 기하과목을 진로선택으로 분류

        심성아(Seong-A Shim)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5 교육연구 Vol.64 No.-

        본 연구의 목적은 2015년 9월 23일에 고시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특징을 정리하고, 세부적인 내용에서 이전의 2009 개정 교육과정과 어떻게 달라졌는지 비교분석하며,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수립하는 과정에서 쟁점이 되었던 문제들과 그에 대한 각계의 의견들을 살펴보고, 앞으로의 교육과정 개발에 있어서 발전적인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는 이전 교육과정의 문·이과 공통수학을 그대로 유지하는 것 외에는 문·이과 통 합형 교육과정이라고 할 새로운 변화는 없으며, 내용 감축과 평가 가이드라인 제시로 학습 부담 완화를 모색하며, 선택과목을 재구조화한 것이그 특징으로 정리된다.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을 개발하는 과정에서 학습부담 경감의 문제와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진로선택 과목의 문제, 신설 교과의 정체성과 정착 방법의 문제, 수능연계 방법이 제시되지 않은 문제 등의 많은 쟁점이 있었다. 이러한 여러 문제점들 중 기하 과목의 진로선택 분류는 수학 내용의 교육적 측면에서 빠른 시일 내에 수정되어야 할 부분이다. 교육과정 개정은 더 긴 시간적 여유를 가지고 장기적인 계획으로, 면밀한 교육현장 조사와 사회 각계의 의견 수렴은 물론 전문가자문을 심도 있게 구하는 과정을 거쳐야한다. 이런 과정을 통하여 창의융합형 인재라는 목표에 부합하는 특징적 수학 과목을 개발하는 방안도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nounced on September 23, 2015, to analyze it in detail comparatively with the previous 2009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and to examine controversial issues that arose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and the opinion of experts in various fields. Also the author suggests a few methods of improvements for future revision of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n conclusion there are no changes that could be called an integrated curriculum of the liberal arts and natural sciences tracks in the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ts primary characteristics are seeking the load alleviation for students by reducing the learning content and providing evaluation guidelines, and the restructuring of the elective course system in that the High School Geometry is classified as an elective career course. Many controversial issues have arisen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Mathematics Curriculum including the issues of the study load alleviation, the elective career course system of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e identities of the newly created courses and methods to settle them, and the absence of the linkage plan to the College Scholastic Aptitude Test. The task of revising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based on long-term plans and comprehensive field research in school classrooms along the process of requesting experts advice in-depth.

      • KCI등재

        ‘독도 교육’의 측면에서 본 ‘2015 개정 교육과정’

        이우진 한양대학교 일본학국제비교연구소 2017 비교일본학 Vol.40 No.-

        본 연구는 ‘독도 교육’의 관점에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2009 개정교육과정」과 비교・검토하되, ‘총론 수준’과 ‘교과 교육과정 수준’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총론 수준’에서 분석한 결과, ‘독도 교육’은 10개의 주요 범교과 학습 주제로 선정되었으며, ‘독도 교육’에 대한 ‘내용 요소’까지 제시되었다. 또한 「교육과정 해설서」 수준에서 범교과 학습 주제인 ‘독도 교육’을 ’창의적 체험활동’의 실례로서 제시되고 있었다. 이는 ‘독도 교육’을 39개나 되는 많은 주제들 가운데 하나의 범교과 학습 주제로 제시한 「2009 개정교육과정」에 비해 비약적인 강화가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교과 교육과정 수준’에서 분석한 결과에서도, ‘독도 교육’은 이전 교육과정에 비해 괄목한 만한 강화가 이루어졌다. 먼저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을 살펴보면, 단순히 ‘독도의 가치를 이해하는 수준’에서 그치지 않고, ‘국토 수호의 방안마련’까지 요청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사회과 교육과정」을 보면 각 교과별로 내용이 확대되고 수준이 높아졌다. ‘사회과’에서는 ‘독도 교육에 관한 특별 단원’을 설정하였으며, 역사・지리 교육에 있어서도 ‘독도수호의 역사’를 강조하고, 교사들에게 ‘독도교육을 견학이나 체험을 통해 시행하도록’ 하였다. ‘역사과’에서는 일제에 의한 독도의 불법적인 점유를 이해하는 수준을 넘어, ‘일본의 왜곡된 독도 영유권 주장에 대해 반박하는 능력을 키우기를 요청’하고 있었다. ‘한국사과’에서는 독도에 대한 이해는 물론이고 ‘독도가 우리나라의 고유 영토임을 홍보하는 방안’과 함께 ‘일본 역사 왜곡에 대응하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성취목표로 설정하였다. ‘한국지리과’에서는 「2009 개정교육과정」만 하더라도 ‘독도 교육과 관련되는 단원’이 없었으나,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새로이 첨가되어 제시되었다. ‘동아시아과’에서는 독도 교육에 있어 ‘독도’와 함께 ‘센카쿠(다오위 다오)’ ‘북방 도서’ 등을 함께 학습요소로 제시하여, 독도 문제를 동아시아적 시각에서 고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처럼 ‘독도 교육’의 측면에서 볼 때 「2015 개정 교육과정」은 상당한 강화와 확대가 이루어졌다. 하지만 ‘독도 교육’이 「사회과 교육과정」과 ‘역사적 접근’에만 집중되었다는 점은 고려하여야 할 사항으로 여겨진다. This study is an attempt to review critically on ‘the Dokdo Island educat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e research method is to compare and review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with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he analysis is divided into sections of ‘General Guidelines’ and ‘Subject area Curriculum’.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the ‘General Guidelines’, ‘the Dokdo Island education’ is selected as one of the major cross curricular themes and presented with ‘teaching content elements’. And, ‘the Dokdo Island education’ is presented as a concrete example for the Creative Activity Education in the Curriculum Guide. These points clearly demonstrate that there is a dramatic improvement of ‘the Dokdo Island educ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in the ‘Subject area Curriculum’, the remarkable reinforcement of ‘the Dokdo Island education’ is found. In the Curriculum of Practical Art, the Dokdo Island educational objectives are not only just to understand the value of Dokdo, but also to prepare measures to protect national territory. In the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the contents and levels of ‘the Dokdo Island education’ has became more and deeper. In Social Studies subject, there is a special teaching unit for the Dokdo Island education, the history of protecting Dokdo is emphasized in history education, and the field trip to Dokdo and activity for experience are stressed in geography education. In History subject, the Dokdo Island educational objectives are not only just to understand illegal Dokdo disseisin by Japanese imperialism, but also to have an ability to refute Japan's distorted claims to the Dokdo islands. In Korean History subject, the Dokdo Island educational objectives are preparing measures to promote the Korean controlled Dokdo and response to Japanese History distortions in addition to understand the value of Dokdo. In Korean Geography subject, there is a new unit of teaching Dokdo. In East Asia subject, the Dokdo Island education presents learning elements of Senkaku(Diaoyutai) islands, South Kuril Islands, Dokdo, and such. So, students are able to consider Dokdo issue in East Asian view. In these ways, the Dokdo Island education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re developed quantitatively as well as qualitatively. but, the Dokdo Island education is still heavily weighted in Curriculum of Social Studies and historical approa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