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2020년 육군 6·25전쟁기록의 유형과 가치 -육군 6·25전쟁기록의 국가등록문화재 지정과 관련하여-

        변선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정보·기록학연구소 2020 기록과 정보·문화 연구 Vol.- No.10

        Marking the 7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this year(2020), the Army Archives Management Group designated the “The Korean War Records” as a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asset with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converting the disclosure status to a public disclosure, and delivering 114 copies of the original digitized scanned files and electronic books to be used by anyone at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The registration of the “The Korean War Records” as a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asset is one of the first cases of designation of modern and contemporary records along with a letter from Dr. Seok-ju Na. As the primary source of historical data, it was not disclosed to the public as it was a secret record and special handling data before disclosure. It was used as historical research materials such as war history and military history only inside the military, and external researchers did not have easy access to the original text. So far, there have been numerous publications, research papers, war journals and oral records related to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if works related to the history of war or military history published by the military itself, were written referring to existing erroneous materials or based on oral materials, we cannot help but be concerned about the distortion of memory. This is why the cross -research is required. For this cross-research, the primary historical record will be needed, where “The Korean War Records” can play such role. According to a survey conducted by The 70th Anniversary of the Korean War Commemoration Committee, the majority of the people had a negative perception, and it was necessary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 to raise awareness, and improve such views. “The Korean War Records”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such content and as a large volume of original documents it can be utilized in records exhibitions. It can also be used to excavate unknown soldiers and identify the geographical names and languages of the time. The Korean War record is a primary historical record produced by the Korean Army with a total of 15 types, 7,521 cases, and approximately 80,000 pages. It is a record of the documentary value of the death in battle and patriotism, and is expected to limitlessly expand its scope of use in the future. 육군의 ‘6·25전쟁기록’은 문화재청의 국가등록문화재 등재에 따라 목록과 원문이 모두 공개되고, 육군에서 제작한 114권의 e-book은 국립중앙도서관과 국회도서관에 제공됨으로써 일반인의 접근이 가능하게 되었다. <육군기록정보관리단>에서 보존하고 있던 6·25전쟁기록이 대국민 공개로 전환됨에 따라 당시 상황을 기록한 1차 사료인 “6·25전쟁기록”을 활용한 기록유형 분석과 이용 방법을 통해 전쟁 기록의 기록으로서의 가치를 정립해 본다. 현재는 일부가 번역되어 보훈행사 및 유해발굴 등에 활용되고 있는데 앞으로는 그 활용범위가 더욱 넓어질 것이다. 국가등록문화재 등록사업과 관련하여 공개된 6·25 전쟁 기록물에 대하여 대국민 공개의 의의를 앎으로써 공개되지 못했던 기록들에 대한 활용 가능성을 생각해 본다. 그동안 전쟁 기록들은 비밀로 분류되어 전부 공개가 어려운 상황이었으나 이번 행사를 통해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하고 연구할 수 있는 1차 사료로 새로운 가치가 창출되고 향후 후속연구가 더욱 활발해지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한국 고대 동남해양사의 연구 동향과 그 과제

        선석열 ( Seon Seok-yeol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6 石堂論叢 Vol.0 No.66

        본고는 한국 고대 동남해의 해양사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동남해의 해양교류는 대왜·대일본 교류가 중심이었는데, 이를 삼한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로 시기 구분하였다. 삼한 초기에 소규모의 물류가 이루어졌을 때에는 육로를 통해 낙동강하구에 이르러 해로로 일본열도로 갔다. 철을 매개로 한 교역이 점차 발달하면서 대량의 물류가 필요로 하게 되어 선박을 이용한 해로가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그 교통로는 낙랑군·대방군-서해·남해연안-구야국-쓰시마-이키-북부 구주의 해로가 이용되었다. 이전 시대와 달리 삼국시대의 해양교류는 가야와 왜의 교류는 경제적인 물류가 주류였다. 처음에는 가야와 왜의 철교역에 대한 연구로 시작되었으나, 유물상의 철의 원산지를 규명하게 되면서 철기생산과 교섭체계에 대한 연구로 천착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6세기 중엽 신라가 가야를 병합할 때까지 신라와 왜의 교류에 대한 연구는 주로 정치적·외교적 관계에 치중되어 있다. 7세기에 접어들면서 외교적인 목적을 두고 송사외교가 이루어지면서 양국의 교류가 친선관계로 전환되었다.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 양국의 교류는 정치적·경제적·문화적 교류로 다양해졌다. 일본의 조선술 발전이 신라의 조선술 전파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연구에 대해 최근에 일본 해안지역에서 표착된 발해선도 일본측의 수리과정에서 선진적인 조선술을 습득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마지막으로 양국의 정사기록의 소략성이나 신라 敵視觀·蕃國觀에 의한 왜곡 문제는 첩포기류와 목간 등의 관련 1차 사료가 발굴 수집되면서 양국의 교류에 대한 왜곡된 교류상을 밝혀내는 데에도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This paper organized the research trends of southeast maritime in the ancient Korean history. Its Maritime exchanges were the exchanges with Japan, its times divided Samhan period,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Unified Silla Period. Material is distributed by land in the early Samhan. Its trade was gradually evolved over the iron parameters and became mainstream sea, because large amounts of logistics required the ship. The road was Lelang·Daifang - western and southern coast - Guyakuk - Tsushima - northern Kyushu. It was mainstream economic exchange between Gaya and Japan`. Maritime exchange between Gaya and Japan was the mainstream of economic objective. Now the current studies is the production of iron ore, is inquisitive as study on its production and the bargaining system in the future. Unlike Gaya, studies on the exchanges between Silla and Japan was heavily centered on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relations by 6th century. Their exchange was converted to amicable relations from the hostile relations in the 7th century. Silla and Japan variously been deployed by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It was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the development of Japan`s shipbuilding evolved by Silla`s. Recent researches found that Japan might be taught advanced shipbuildings in Balhae`s shipwrecks of the repair process. Finally, the summary of the historical records in Silla and distortion of history by the Japanese emperor such as the savage country view and the hostile view toward Shilla can be overcome, the relevant primary data is collected and organised such as Baisiragimotuge(買新羅物解) and Tyouhuki(貼布記), and forecast the reality of bilateral exchanges.

      • KCI등재

        『한국사』 교과서 속의 고대 목간 자료의 활용 -『日本史B』 교과서와의 對較를 중심으로-

        정선화 한국목간학회 2018 목간과 문자 Vol.0 No.21

        Starting with the 2007 revision of the curriculum, middle school history (issued in 2011), the school considered the description of the ancient wooden tablets contained in the revised curriculum (issued in 2013) of high school year. In March this year, Japan’s history textbooks were published after reviewing descriptions of the wooden tablets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In response, he examined the history textbook of Japan as a comparative example to examine whether the description of the wooden tablets in the high school history textbook reflects the latest achievements of the history studies in the right place. From the 1990s, which was earlier than Korea, Japan has included the ancient wooden tablets in its history textbooks. 『Korean history』 textbooks contain more wooden tablets than Japanese textbooks. However, there were considerable differences in the method of writing wooden tablets and the method of selecting them. While Japan clearly described the value of the wooden tablets as the primary historical materials in its history textbooks, it can be seen that Korean history textbooks contain many descriptions that are not limited to the achievements of history studies. The description of the wooden tablets should clearly describe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imary data and accurately reflect the achievements of the history studies. From a perspective, the descriptive features of the ancient wooden tablets in the 『Korean history』 textbook were reviewed to suggest problems and improvements. 본고는 2009년 개정 교육과정(2013 발행) 『한국사』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고대 목간의 서술 현황을 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올해 3월 역사교육연구회를 통해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목간 관련 서술 내용을 검토한 글을 게재하게 된 것을 계기로 일본의 역사교과서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이에 『한국사』 교과서에 목간 관련 서술이 역사학계의 최신 연구 성과를 적재적소에 잘 반영하고 있는지를 검토하기 위한 비교 사례로 일본의 역사교과서를 살펴보았다. 일본은 우리보다 빠른 시기인 1990년대부터 고대 목간 자료를 역사교과서에 수록하였다. 山川出版社, 東京書籍, 実敎出版에 기재된 고대 목간은 「長屋王家」 관련 목간, 「郡·評論爭」 관련 목간, 「天皇」 호 관련 목간 등 3종류로 대별된다. 『한국사』 교과서는 고대 목간이 수록된 6종의 교과서에 6종류의 고대 목간이 등장한다. 일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목간이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목간의 기재 방식이나 목간의 선정 방식에서부터 상당한 차이를 있음을 발견하였다. 일본은 역사교과서를 통해 1차 사료로서의 목간의 가치를 분명하게 나타나도록 서술한 반면, 한국의 역사교과서는 단순한 소개차원이거나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에 반하는 서술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목간 관련 서술은 1차 자료가 가지고 있는 특징이 잘 나타나도록 서술하면서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가 정확히 반영되어야 한다. 그러면 측면에서 『한국사』 교과서 속의 고대 목간 관련 서술상의 특징을 검토하여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한국 고대 동남해양사의 연구 동향과 그 과제

        선석열 동아대학교 석당학술원 2016 石堂論叢 Vol.0 No.66

        This paper organized the research trends of southeast maritime in the ancient Korean history. Its Maritime exchanges were the exchanges with Japan, its times divided Samhan period, the Three Kingdoms Period and the Unified Silla Period. Material is distributed by land in the early Samhan. Its trade was gradually evolved over the iron parameters and became mainstream sea, because large amounts of logistics required the ship. The road was Lelang․Daifang - western and southern coast – Guyakuk - Tsushima – northern Kyushu. It was mainstream economic exchange between Gaya and Japan'. Maritime exchange between Gaya and Japan was the mainstream of economic objective. Now the current studies is the production of iron ore, is inquisitive as study on its production and the bargaining system in the future. Unlike Gaya, studies on the exchanges between Silla and Japan was heavily centered on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relations by 6th century. Their exchange was converted to amicable relations fromthe hostile relations in the 7th century. Silla and Japan variously been deployed by political, economic and cultural exchanges in the Unified Silla Period. It was the conventional wisdom that the development of Japan's shipbuilding evolved by Silla's. Recent researches found that Japan might be taught advanced shipbuildings in Balhae’s shipwrecks of the repair process. Finally, the summary of the historical records in Silla and distortion of history by the Japanese emperor such as the savage country view and the hostile view toward Shilla can be overcome, the relevant primary data is collected and organised such as Baisiragimotuge(買新羅物解) and Tyouhuki(貼布記), and forecast the reality of bilateral exchanges. 본고는 한국 고대 동남해의 해양사에 관한 연구 동향을 살펴보았다. 동남해의 해양교류는 대왜․대일본 교류가 중심이었는데, 이를 삼한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로 시기 구분하였다. 삼한 초기에 소규모의 물류가 이루어졌을 때에는 육로를 통해 낙동강하구에 이르러 해로로 일본열도로 갔다. 철을 매개로 한 교역이 점차 발달하면서 대량의물류가 필요로 하게 되어 선박을 이용한 해로가 주류를 이루게 되었다. 그 교통로는 낙랑군⋅대방군-서해․남해연안-구야국-쓰시마-이키-북부 구주의 해로가 이용되었다. 이전 시대와 달리 삼국시대의 해양교류는 가야와 왜의 교류는 경제적인 물류가 주류였다. 처음에는 가야와 왜의 철교역에 대한 연구로 시작되었으나, 유물상의 철의 원산지를 규명하게 되면서 철기생산과 교섭체계에 대한 연구로 천착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6세기 중엽 신라가 가야를 병합할 때까지 신라와왜의 교류에 대한 연구는 주로 정치적․외교적 관계에 치중되어 있다.7세기에 접어들면서 외교적인 목적을 두고 송사외교가 이루어지면서양국의 교류가 친선관계로 전환되었다.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러 양국의 교류는 정치적․경제적․문화적 교류로 다양해졌다. 일본의 조선술 발전이 신라의 조선술 전파에 의해 이루어졌다는 연구에 대해 최근에 일본 해안지역에서 표착된 발해선도 일본측의 수리과정에서 선진적인 조선술을 습득하였을 가능성도 있다. 마지막으로 양국의 정사기록의 소략성이나 신라 敵視觀․蕃國觀에 의한 왜곡 문제는 첩포기류와 목간 등의 관련 1차 사료가 발굴 수집되면서 양국의 교류에 대한 왜곡된 교류상을 밝혀내는 데에도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전망이다.

      • KCI등재

        제2차 교육과정기 이후 『한국사』 교과서의 「新羅村落文書」 서술 변천

        정선화 역사교육연구회 2019 역사교육 Vol.152 No.-

        This paper reviews changes in descriptions related to “Silla Village Register(新羅村落文書)” in high school Korean history textbooks from the second curriculum to the 2009 revision. During this period, the content of the “Silla Village Register” was not out of place. Since the revision of the 2009 school curriculum, changes in descriptions and descriptions of the “Silla Village Register” have begun to appear as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historians have begun to be reflected in Korean history textbooks. The seven textbooks in the curriculum revised in 2009 include “Silla Village Register” The relevant data are contained, and the date of preparation of the documents is recorded in 695 years in two textbooks. This is not only the result of sincere implementation of the writing standards of the curriculum, but also the result of making good use of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the Historical Society. 본 연구는 제2차 교육과정부터 2009 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신라촌락문서」관련 서술의 변천을 검토한 것이다. 「신라촌락문서」는 통일신라시대의 사회·경제 상황을 보여주는 귀중한 1차 사료로 역사적 가치가 높다. 「신라촌락문서」는 1950년대 이후 최근까지 연구 성과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서술 변화를 검토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고를 통해 제2차 교육과정이후 2007 개정 교육과정기의 「신라촌락문서」의 서술은 문서의 성격을 서술함에 있어 획일성을 벗어나지 못하였다. 다시 말해, 학습 자료로 사용된 사진 자료, 본문의 서술 내용은 대동소이하거나 몇 개의 조사만 바뀌었을 뿐 거의 동일하였다. 「신라촌락문서」의 서술 내용 및 서술 구성에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2009 개정 교육과정이후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가 『한국사』교과서에 적극적으로 반영되기 시작하면서이다. 서술 변화를 가져온 배경은 첫째는 교육과정의 집필 지침을 들 수 있으며, 둘째는 학계에서 최신 연구 성과를 지속적으로 보여주고 있기 때문이다. 그동안 「신라촌락문서」는 문서의 성격과 목적, 조사 지역, 작성연대 등에 이견이 좁혀지지 않았다. 1630여 자 속에 숨어있는 역사 속 사실을 파악하기에는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고고학 자료나 문헌 자료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최근 「신라촌락문서」의 작성연대는 오랜 논쟁을 마무리하게 되었다. 2009 개정 교육과정 『한국사』 교과서 중 7종에 「신라촌락문서」 관련 자료가 수록되어 있으며, 2종의 교과서에 작성연대를 695년으로 기술한 것은 교육과정의 집필 지침을 성실하게 수행한 결과일 뿐만 아니라 역사학계의 연구 성과를 적재적소에 잘 활용하고 있음을 의미한다고 할 수 있다.

      • KCI우수등재

        내수용 서양미술사의 빛과 그림자

        전동호 역사학회 2019 역사학보 Vol.0 No.243

        본 논문은 2015년부터 2019년 상반기 사이 국내 서양미술사 학계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러나 본고는 지난 4년간 출간된 서양미술사 관련 모든 논문과 저서를 소개하고 분류하는 기존의 회고논문 형식을 지양하고 필자의 개인적 경험을 중심으로 내용을 서술한다. 이를 통해 단순한 양적 성장 이면에 내재한 고질적인 학계 내부의 구조적 문제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정규직 일자리의 부족, 지나치게 난립한 영세 학회, 정보 교환의 부재, 상설 서양미술 컬렉션의 부재, 1차 사료를 바탕으로 하는 연구의 미비, 특정 해외학자들의 논의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이론적 편식 등 내수용 서양미술사 연구가 지닌 한계를 진솔하게 고백하고 국내 서양미술사 연구자들의 진지한 반성과 성찰을 촉구한다. Korean public interest in the history of Western art has grown enormously for the last few decades. Beneath the veneer of this seeming success, however, lies a defect that has long affected professional historians of Western art in South Korea. The problem consists of two interconnected components. First, it is the lack of serious archival research that has characterized most studies on the history of Western art conducted by Korean scholars. When writing books and articles, they rely heavily on secondary sources written by Western academics. They hardly venture into primary sources, especially unpublished archival materials. This practice engenders sloppy scholarship which in turn sets an undesirable example for postgraduate students. Coupled with this is the second element, that is, the uncritical application of so-called ‘theories’ developed in other disciplines. The slavish consumption of theories in Korea is more widespread among scholars working on modern or contemporary art than those concerned with pre-modern art. Unless Korean academia grows out of these kinds of unworthy exercises, the future for truly innovative and productive art historical research in Korea is doomed.

      • KCI등재

        관립 인천 일어학교의 교육과 운영

        황운 한국일본어문학회 2019 日本語文學 Vol.80 No.-

        本硏究では、日本外務省の外交史料館で所藏している「韓國(朝鮮)ニ於ケル學校關係雜件(補助金支出之件)」について槪觀し、第一ノ乙卷の分析を中心に近代韓國の日本語敎育機關であった官立仁川日語學校の運營と敎育內容を中心に考察した。1895年6月に「官立外國語學校」の支校として設立された官立仁川日語學校は、本校に比べ劣惡な財政的支援下であった。このような狀況で敎師岩崎厚太郎と日本領事の繼續的な努力から得た日本外務省からの補助金は、官立仁川日語學校の運營に大きな役割を果たしたと考えられる。韓國の官立外國語學校の一つであった官立仁川日語學校の設立と運營において、日本の繼續的な資金支援と日本人の役割が大きかった事實は、近代韓國の敎育において、日本の影響が少なくなかったことを示唆している。本硏究では、旣存の硏究で扱われなかった「韓國(朝鮮)ニ於ケル學校關係雜件(補助金支出之件)」を發掘し、近代韓國で運營されて官立外國語學校の一校である官立仁川日語學校の運營と敎育內容を究明した。本硏究で使用された一次資料とその考察內容が今後の硏究において廣く活用されることを期待する。 This study aims to provide an overview of the "miscellaneous school-related affairs in Korea ; subsidy expenditures" of the official Incheon Japanese Language School, the details of which are housed in the diplomatic archives of th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of Japan. It also aim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al and educational contents of the school, which was a Japanese language institution in modern Korea.In June 1895, the official Incheon Japanese Language School, which was established as a subsidiary of the “Official Foreign Language Schools,” began operation with poor financial support compared to the principal school, and with the subsidy received through the persistent efforts of a teacher, Iwasaki Kotaro [岩崎厚太郎] and the Japanese Ministry of Foreign Affairs, which appears to have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its establishment. The continuous funding from Japan and the prominent role of the Japanese in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official Incheon Japanese School in Korea suggests that Japan's influence on modern Korean education was not negligible.

      • KCI등재후보

        Works in English on the Imjin War and the Challenge of Research

        Nam-lin Hur(허남린)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13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Vol.18 No.2

        임진왜란은 한국, 일본, 중국에서 인기가 있는 연구주제이다. 지금까지 임진왜란에 관해 수 백권의 저서와 수 천편의 논문이 출판되었다. 이에 비해, 영어권의 저술은 아주 미미한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영어로 저술된 임진왜란에 관한 대표적인 출판물을 간단히 소개한 후, 이 중에서 가장 심도 있는 연구저서로 평가되는 Samuel Hawley의 저서인 The Imjin War: Japan’s Sixteenth-Century Invasion of Korea and Attempt to Conquer China와 Kenneth Swope의 저서인 A Dragon’s Head and a Serpent’s Tail: Ming China and the First Great East Asian War, 1592-1598에 대해 전체적인 비평을 가한다. 나아가, 이 두 저서의 한계와 문제점을 보다 선명히 하기 위해, 두 저서의 저자인 Samuel Hawley와 Kenneth Swope가 각자 임진왜란 시기의 강화교섭에 대해 어떠한 분석을 가하고 있는지 몇 가지 중요한 이슈들을 중심으로 검토한다. 검토의 결과 발견되는 것은 이 두 저서에는 임진왜란에 대한 기술에 있어 셀 수 없을 정도로 많은 실증되지 않는 사실, 왜곡되거나 후에 만들어진 소설 같은 이야기가 많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엉터리 같은 사실의 기술은 모두 그들이 의존하고 있는 자료의 빈약한 품질에 기인한다. 그 결과, Samuel Hawley와 Kenneth Swope의 임진왜란에 대한 분석은 심각할 정도로 틀리거나 왜곡되어 있다. 임진왜란에 대한 사료는 아주 풍부하며, 나라에 따라 다른 언어들로 채록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을 전부 읽고 분석하여 확고한 기초 데이타를 구축하는 작업은 쉽지 않은 과제이다. 그러나 이러한 가장 근본적인 과제를 달성하지 않고 임진왜란에 대한 수준 높은 분석을 기대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The Imjin War has been a popular topic of research in Korea, Japan and China. To date, hundreds of books and thousands of journal articles and book chapters have been written on this international conflict. In contrast, the overall number of works in English remains miniscule. In this article, Hur introduces a list of major English-language books and articles on the Imjin War and proceeds to offer critical comments on the most representative works to date -- Samuel Hawley’s The Imjin War: Japan’s Sixteenth-Century Invasion of Korea and Attempt to Conquer China and Kenneth Swope’s A Dragon’s Head and a Serpent’s Tail: Ming China and the First Great East Asian War, 1592-1598. In order to further illustrate a range of limits and problems found in these two books, Hur takes up some key issues pertaining to truce negotiations in the Imjin War and reviews how these are treated by Hawley and Swope, respectively. Hur points out that the two books contain countless factual errors and a flood of false data, all stemming from the quality of the sources upon which they relied. As a result, their analyses are fatally flawed or skewed. Given that primary sources on the Imjin War are plentiful and that they come in different languages, Hur suggests that it would be a challenge to establish a firm base of empirical data, but that, without accomplishing this fundamental task, it would be impossible to produce a high-quality analysis of the Imjin War.

      • KCI등재

        중학교 역사교과서 속 고대 목간 자료의 검토와 활용

        鄭善花(Jeong Sun Hwa) 역사교육연구회 2018 歷史敎育 Vol.145 No.-

        It reviewed the status of ancient wooden descriptions contained in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from the 2007 revision curriculum to the 2009 revision curriculum. I think it is meaningful that the analysis of historical textbooks related to ancient wooden tablets is the first time since the study on history textbooks was mainly conducted by analyzing illustration materials such as descriptions and maps. The wooden writing was written by the ancient people of the time, so it also provides a wealth of information about ancient history that is unknown in the literature. Therefore, it is very important to interpret the remaining characters and understand their meaning. However, the analysis on the status of historical textbooks in middle school showed some problems. In this article, I have considered the desirable direction of describing ancient wooden tablets in the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s. In particular, the research focused on the wood-to-wall type of writing, the relevance of wooden materials to the body of text books, and how well the primary source system reflects the value of wooden tablets. Based on this, the features of the ancient wooden description were summarized before the improvement measures for problems with the description were proposed.

      • KCI등재

        베트남전쟁 한국군 관련 민간인 피해 문제 – 시론적(試論的) 일고찰

        이내주 (재)한국군사문제연구원 2023 한국군사 Vol.14 No.-

        The Korean Government began to dispatch ROK military troops to the Vietnam War in September 1964. Firstly, Korea sent a small number of non-combative soldiers, but soon the size and type of troops rapidly expanded to roughly 50,000 soldiers. Since then, ROK armed forces stayed in the Vietnam peninsula for military operations until all of them pulled out from Vietnam in March 1973. During the period, ROK armed forces participated in various kinds of military operations amounting to a total number of approximately 570,000 and displayed their high-level military capabilities. However, since the early 2000 year the issue of ‘innocent’ civilian casualties has been raised by some civil activists and the reporters of some press, and the related controversy is still on going. The Korean Government and the Ministry Defense have denied those assertions raised by the civilian side on the grounds based on the various related historical records. If so, which side is right? In other words, how do we approach such an embarrassing issue? Tha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which seeks a pertinent answer from the standpoint of historical studies. In a practical sense, this paper is an introductory research to figure out the general picture of this controversial issue. During the period, the main controversial topics were the inevitable decision theory sending troops to the Vietnam War on the consideration of national security and the necessity of economic development, the diplomatic relation approach between Park Chung-hee Korean Government and Kennedy and Johnson Government of the United States. On the contrary, there exists some critical viewpoints such as the Korean troops were the mercenary soldier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nd the Korean soldiers in Vietnam committed killilng some innocent civilians during the military operations. However, it is impossible to make an argument that satisfies all the demands from both sides as it focuses only on a particular side of the issue rather than seeing the entire picture. So this paper is determined to provide some kind of a balanced perspective on this issu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