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에서의 1인 미디어 콘텐츠 개발 지원전략 탐색 연구

        이가영(Lee Gayoung),한송이(Han Songlee) 한국문화융합학회 2020 문화와 융합 Vol.42 No.8

        1인 미디어 시장의 성장과 함께 1인 미디어 콘텐츠 개발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이러한 흐름에 따라 최근 국내 대학들이 학부 교육 혁신과 대학 교수·학습의 질적 향상을 위해 대학 구성원을 대상으로 1인 미디어 창작과 관련된 교육 프로그램, 공모전, 지원금 등 다양한 정책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사례조사 및 선행문헌에서 나타난 대학교육에서의 1인 미디어 콘텐츠 지원전략은 단발성 교육 프로그램으로 치우쳐 운영되거나 장비 대여 및 환경 구축에 많은 예산을 소비하는 경향이 있어, 학내 구성원들이 크리에이터로 성장하는 데 한계가 생기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점에 주목하여 기존의 1인 미디어 콘텐츠 개발 지원 사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대학에서의 크리에이터 양성을 위한 콘텐츠 지원전략을 도출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에서의 1인 미디어 콘텐츠 개발 지원전략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문제를 첫째, 대학에서의 1인 미디어 콘텐츠 개발 지원전략을 개발하고, 둘째, 대학에서의 1인 미디어 콘텐츠 개발 지원전략이 내적, 외적으로 타당한지 검토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설계·개발 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다음의 절차로 수행되었다. 우선 초기 지원전략을 개발하기 위해서 선행 문헌고찰과 요구조사를 시행하였고, 타당화를 위해 내적, 외적 타당화 검토를 하였다. 내적 타당화의 경우 대학 교수학습개발원 관련자 및 영상 전문가 5인이 2차례의 전문가 타당화를 진행하였다. 외적 타당화의 경우 전략 수요자인 교수, 대학생 각 5인을 대상으로 타당화를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대학에서의 1인 미디어 콘텐츠 개발 지원전략은 크게 3가지(1. 계획, 2. 실행, 3. 평가)로 구성되었다. 지원전략은 원리 및 지침과 지원항목으로 이루어져 있다. 총 10개의 지원 원리와 18개의 세부 전략이 포함되어있으며, 관련된 지원항목이 포함되어있다. 본 지원전략의 최종적인 수혜자라고 할 수 있는 대학 구성원인 교수, 대학생(대학원생 포함)에 타당화를 받은 결과 본 전략이 1인 미디어 콘텐츠를 개발하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With the growing size of one-person media market and the importance of contents development for one-person media, many universities in Korea has been implementing various policies including training programs, competitions, and support funds related to one-person media contents creation for their faculties and students; this provides the opportunity to achieve qualitative improvement in teaching and learning within the institution as well as to innovate education for undergraduate students to follow the current trend. However, the support strategies for one-person media contents observed in case studies and previous research tends to represent one-time educational programs and spend large sums on equipment rental or environment structuring, which limits the participants’ growth as creators. This study focuses on strategies to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existing development aid projects for one-person media contents to provide more effective methods for nurturing creators in university.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ives, it aims to develop support strategies for one-person media and verify their effectiveness. This study adopted design and development research and utilized it by the following procedure. First, a literature review and needs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initial strategies for one-person media, followed by an expert usability test and a validation process. Five individuals, including those working in the Center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those with expertise in video making, were invited to perform the professional validation process. In the case of external validation, five individuals including professors and undergraduate students were involved. As a result of the study, one-person media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parts (planning, execution, evaluation). A support strategy consists of sections including principles and a support guide and a total of 10 strategies, and 18 detailed guidelines were developed. The validation performed by individuals at universities such as faculty members and students (including graduate students), who were the final beneficiaries, proved that the strategy provided in this research was effective in developing one-person media contents.

      • KCI등재

        1인 미디어 이용자들의 라이브 스트리밍 방송 시청 동기 및 사용자 반응에 관한 연구

        이주희(Lee, Joo-Hee),고경아(Ko, Kyung-A),하대권(Ha, Dae-Gweo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8 한국광고홍보학보 Vol.20 No.2

        본 연구는 최근 늘어나고 있는 1인 미디어 실시간 방송에 주목하여 시청자들이 1인 미디어 실시간 방송을 시청하는 동기 요인을 파악하고, 후기 수용 모델(PAM)에 적용하여 이용 동기가 기대충족, 인지된 유용성, 만족, 지속 사용 의도에 미치는 영향 및 기타 사용자 반응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1인 미디어 실시간 방송 이용자를 대상으로 진행한 연구 결과, 1인 미디어 실시간 방송 시청 동기 요인으로는 1인 미디어의 ‘미디어적 특성’, ‘상황적 특성’, ‘내용적 특성’의 세 가지 요인이 도출되었다. 또한 1인 미디어 실시간 방송 시청 동기 요인에 따라 1인 미디어에 대한 우호적인 태도가 형성되고, 몰입도가 높아지며, 신뢰도가 상승되고, 지불 의사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다. 1인 미디어 실시간 방송 시청 동기 요인을 후기 수용 모델에 적용시킨 결과, 1인 미디어 실시간 방송 시청 동기 요인 모두 방송의 기대 충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1인 미디어의 상황적특성, 내용적 특성 요인은 인지된 유용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또한 기대 충족도가 높을수록 인지된 유용성도 높아졌고, 만족도 및 지속 사용 의도도 높게 나타나 1인 미디어 실시간 방송 시청 동기 요인이 기대 충족과 인지된 유용성을 매개로 만족과 지속 사용 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1인 미디어 시청자들의 실시간 방송 이용 동기 요인을 파악함과 더불어 시청 동기에 따른 사용자 반응을 살펴봄으로써 1인 미디어에 대한 학문적,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This research focuses on the personal live media broadcast system and identifies motivation factors of people watching the live streaming broadcast which has been recently increased. In addition, by applying the Post acceptance model(PAM), the research also examines the extent of the influence of motivation factors on confirmation, perceived usefulness,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of live streaming broadcast with users’ response. Also the results indicated that motivation factors were also positively correlated with an amicable attitude and increased involvement, credibility and intention to pa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based on the users who make a constant use of the live streaming broadcast, motivations of watching live streaming broadcast were affected by three factors such as ‘Media characteristics’, ‘Situational characteristic’, and ‘Content characteristic’. All three motivation factors of watching live streaming broadcast were positively related to confirmation. Also ‘Situational characteristic’ and ‘Content characteristic’ factors were also significantly related to perceived usefulness. Perceived usefulness was positively increased along with conformation that eventually resulted the increased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This confirms that the motivation factors of watching live streaming broadcast has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and continuance intention through the confirmation and perceived usefulness as a mediator. This research provides the theoretical and managerial implications by grasping motivation factors regarding to the reasons people watching live streaming broadcast and by close examining of users’ responses based on the watching motivations.

      • KCI등재

        인터페이스 디자인 관점의 국내 1인 미디어에 관한 연구-웹2.0 환경의 레이아웃 템플릿 사례 중심으로-

        김용범 ( Kim Yong-bum ) 한국디자인트렌드학회 2008 한국디자인포럼 Vol.18 No.-

        웹2.0 시대를 맞아 참여와 공유가 강조 되면서 1인 미디어가 보편화되었다. 1인 미디어를 시각화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인터페이스 디자인 요소가 필요하다. 이러한 인터페이스의 개별적 요소를 화면상에 어떻게 배합할 것인가를 연구하는 것이 레이아웃 디자인이다. 인터페이스 설계 시 레이아웃은 콘텐츠 성향 예측이 가능하도록 제작하는 것이 중요하며, 논리적으로 보일 수 있도록 선행되어야 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인터페이스 디자인과 레이아웃의 관점으로 국내 1인 미디어를 연구하려 한다. 웹 콘텐츠의 인터페이스와 레이아웃의 구현 요소에 대해 살펴보고, 국내 1인 미디어의 선호도 조사를 통한 성공사례 모델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가장 선호하는 국내 1인 미디어는 개인콘텐츠 성향과 정보콘텐츠 성향으로 나뉘며, 콘텐츠 성향을 내포하여 이용되도록 유도하는 인터페이스의 시각적 배치를 보인다. 그러한 기능의 도구로써 레이아웃 템플릿을 제공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다양한 콘텐츠 성향을 담기위해 사용자들에게 인터페이스 디자인의 높은 자유도를 제공하는 새로운 1인 미디어의 출현 사례를 보면, 기존 많은 회원을 보유했음에도 성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이는 생산자와 연출자가 개인이라는 1인 미디어의 표현의 한계를 인지하지 못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에 논자는 다양한 콘텐츠성향을 표출하기 위한 디자인 제공은 배제하고 아이덴티티 추구를 강조해야 한다고 논하는 바이다. 즉, 1인 미디어는 개인이 생산자이며 표현의 주체라는 한계성으로 인해 인터페이스 설계 시 디자인의 높은 자유도 제공과 같은 오류를 범해서는 안 되며, 일반 사용자 입장의 편의성을 고려한 제약된 레이아웃 템플릿을 제공하야 한다는 것이다. 이렇듯 1인 미디어는 추구하고자 하는 콘텐츠의 성향을 강조한 차별화가 명확하게 인지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의 전제성을 지녀야 하며, 보편적 사용자의 표현의 한계성을 감안한 레이아웃 템플릿을 설계하고 개발해야만 사용자들에게 지속적인 선택을 받을 수 있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Personal media became generalized as participation and sharing have been emphasized in the age of Web 2.0. In order to visualize the personal media, various interface design elements are required. Layout design is studying how to arrange these interface elements on a display. For interface design, it is important to make its contents predictable and look logical. The current study aims to examine personal media in Korea focusing on interface design and layout. In connection with the above purpose, the study investigated into interface of web content and elements of layout, and analyzed a successful case model through a preference survey for domestic personal media. Contents of the most preferred domestic personal media is divided into personal contents tendencies and information contents tendencies, and its visual arrangement of interface was designed to contain these contents tendencies. Provision of layout template can be interpreted as a tool for this function. On the contrary, new personal media providing high degree of freedom in interface design to users to contain various contents tendencies are not producing good results in spite of their large number of existing members. Perhaps, this is because they failed to recognize limitation of expression of personal media that both producers and directors are individuals. Accordingly, it is the researcher`s position that provision of design for expressing various contents tendencies should be excluded while emphasizing pursuing identity. That is, a mistake providing too high degree of freedom in design should not be made at the time of interface design because personal media has limitation in which individuals are producers and the main bodies of expression. Also limited layout template considering convenience from general users` viewpoint should be provided. Like this, personal media should have distinctness emphasizing contents tendency to be pursued and a precondition of interface whose aura can be clearly recognized. The researcher also suggests that personal media should design and develop layout template taking into account limitation of expression of general users in order to be chosen by users consistently.

      • KCI등재

        1인 미디어로서의 블로그 이용문화와 기술적 상상

        강진숙(Jin-suk KANG) 사단법인 언론과 사회 2010 언론과 사회 Vol.18 No.3

        이 연구의 목적은 1인 미디어의 문화적 특성을 탐구함으로써 1인 미디어와 이용자 간의 관계, 그리고 새로운 미디어 이용문화를 진단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이론적 배경에 빌렘 플루서(Vilem Flusser)의 코무니콜로기론(Kommunikologie)에 기초한 미디어와 이용자 위상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플루서는 커뮤니케이션을 인간의 고독과 세계로부터의 소외를 극복하기 위한 행위로 규정한다. 플루서의 사유가 중요한 이유는 그의 커뮤니케이션 사상이 1인 미디어로서의 블로그와 이용자의 기술적 상상에 대한 적합한 문제틀(problematic)을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론적 논의에 근거하여 1인 미디어 중에서도 특히 블로그에 초점을 맞춰 대학생 이용자의 인식사례를 FGI를 이용한 질적 분석방법을 적용하고자 한다. 1인 미디어로서 블로그를 선정한 이유는 미니홈피보다 더 공적 공간으로서의 문화적 특성을 잘 보여줄 것으로 판단되기 때문이다. 세 가지 연구문제, 즉 미디어에 대한 이용경험과 인식, 문화적 특성, 그리고 대안적 이용방안에 대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1인 미디어의 참여가능성에도 불구하고 실제로는 과도한 백화점식 지식의 전시나 상업적 악용의 사례 등 부정적 경험들을 겪은 것으로 분석된다. 둘째, 1인 미디어로서 블로그의 문화적 특징은 전문성, 정서적동질감을 전제로 한 토론장, 배타적 소통과 블로거의 검열, 블로그키치 등을 통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1인 미디어로서 블로그의 대안적 이용방안은 블로그들의 차이와 공존이 강조되었고, 조기 미디어교육의 필요성도 설파되었다. 이 연구의 의의는 인터넷 주 이용자층인 대학생들의 1인 미디어로서의 블로그 이용경험과 인식들을 수집, 분석하여 1인 미디어의 문화적 함의와 문제점들을 도출하는 데 있다. The aim of this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a one-person media and its user and a new media culture by studying the cultural character of a one-person media. To do this, I will use Vilem Flusser’s Kommunikologie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nd discuss media and user’s status. Flusser defines communication as an act to overcome human loneliness and isolation from the world. The reason why his thought is important is that his communicative thought provides a proper problematic of blog as a one-person media and user’s technical imagination. Based on a theoretical discussion, I will apply university students’ perceptive examples especially focusing on the blog among a one-person media for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by using FGI. I chose the blog as a one-person media because it is regarded as showing cultural character better than mini homepages as a public space. The analytic result of three research categories; that is, use experience and perception of media, cultural character, and alternative use plan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re is the participation possibility of a one-person media, actually negative experiences like the display of excessive and miscellaneous knowledge and commercial misuse cases, etc. were analyzed. Second, blog’s cultural character as a one-person media was emphasized through specificity, discussion space based on emotional sameness, exclusive communication and bloger’s censorship, and blog kitsch, etc. Last, the blog’s alternative use method as a one-person media was emphasized with the difference and co-existence of the blogers, and the necessity of early media education was argued. The meaning of this research lies in collecting and analyzing blog use experiences and conception as a one-person media of university students, who are the main users of the internet.

      • KCI등재

        1인 미디어 영상 <이자칠>(李子柒) 연구

        하준전,안상혁 한국영상학회 2021 한국영상학회 논문집 Vol.19 No.4

        1인 미디어 플랫폼 기반에서 음식 동영상 <이자칠>의 성공은 정서적 안정과 자기 치유를 구하게 하는 ‘슬로우 라이프’의 중요 성을 부각시키고 있다. <이자칠>은 빠른 생활 속에서 지친 현대인들에게 인간과 자연과의 관계맺음의 새로운 방식을 제공하 고 있는 것이다. 아울러 1인 미디어에서 다양한 영상의 단편들로 제시되는 <이자칠>은 분열증적인 영상 만들기로 해석될 수 있다. 이런 방식은 기존의 삶이 지닌 의미체계를 끊임없이 전복시키며 인간과 세계를 가로막는 장벽들인 이미 확립된 범주들 을 뒤엎는다. 그리고 기존의 삶에 대한 새로운 의미를 찾게 한다. 중국 사천성 농촌에서 온 이자칠(李子柒)은 <이자칠>을 통 해 중국의 고대 농경사회의 유유자적한 경지를 감상할 수 있는 심미적 의경(意境)을 잘 나타내고 이를 체험하게 한다. 사실 이런 영상은 형식은 2009년 노르웨이에서 시작된 ‘슬로우 TV’와 유사하고, 내용은 중국의 고대 은일 문화(隱逸文化)에 나타 난 전원생활의 모습을 재현한 측면이 있다. <이자칠>은 과거의 심미적 의경을 복고풍이 아닌 신선한 것으로 재해석한 것이다. 이런 방식을 통해 젊은 층을 중심으로 한 1인 미디어 수용자들의 감성을 사로잡았다고 평가할 수 있다. 빠르게 변화하는 시대 에 불안감과 피로감은 지닌 현대인들에게 <이자칠>은 자연과 과거의 문화 속에서 인간 주체에게 심리적 안녕을 제공하는 것 이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자칠>의 성공요인을 ‘1인 미디어의 속성’과 ‘슬로우 TV’가 추구하는 개념, 그리고 ‘은일 문화라는 관점’을 통해 해석해 보고자 한다. The success of Liziqi, a food content based on a personal media platform,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a “slow life” that seeks emotional stability and self-healing. Liziqi provides a new means of establishing a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ature for stressed-out modern people who are weary of their fast pace of life. In addition, Liziqi is presented as fragments of various images in a personal media platform and can be interpreted as a schizophrenic image. This method constantly overthrows the existing meaning system of life and overturns established categories, which are barriers to humans and the world. This also allows us to find new meaning in our lives as they exist. Liziqi, who came from a rural village in Sachuan Province of China, shows aesthetic ambivalence with regard to enjoying the leisurely state of the ancient agricultural society in China, allowing the viewer to experience it. In fact, the format of these contents is similar to that of “Slow TV” which started in Norway in 2009, and the content has the aspect of recreating the state of rural life in ancient Chinese culture. Liziqi is a reinterpretation of the aesthetics of the past as fresh, not retro. Through this method, it can be assessed that it has captured the emotions of personal media audiences, centered on the younger generation. For modern people who have feelings of anxiety and fatigue in a rapidly changing era, Liziqi provides psychological well-being to human subjects in nature considering the culture of the past. Accordingly, this study attempts to interpret the success factors of Liziqi through the ‘property of a personal media platform’, the concept of ‘Slow TV’, and the ‘viewpoint of Eun-il culture’.

      • KCI등재

        여가인식 및 여가활동 분석 : 1인미디어 활용자의 여가인식 및 여가활동 특성을 중심으로

        황윤미,윤소영 한국여가문화학회 2007 여가학연구 Vol.4 No.3

        온라인상에서의 개인 출판물, 개인 방송물을 뜻하는 1인미디어는 인터넷시대의 새로운 형태의 소통수단이자 여가활용 매체로 떠오르고 있다. 본 연구는 1인미디어 사용자의 특성 및 여가인식, 그리고 1인미디어로 표현되는 여가활동 특성을 살펴보고 그러한 경향을 형성하게 된 요인들과 영향들을 분석해보았다. 이를 위해 문화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이 실시한 ‘여가사례 온라인 공모전’ 응모작사례(670점)와 ‘여가인식조사’자료(56점)를 중심으로 분석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자신의 여가활동을 1인미디어로 표현하는 활동은 20&#8228;30대, 여성의 참여율이 가장 높았으며, 1인미디어 사용자는 여가를 대부분 여가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1인미디어에 나타난 여가활동은 개인중심 여가활동, 관광지향형 여가활동, 체험형 여가활동의 경향이 강했으며, 이러한 여가활동은 동반자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 1인 미디어와 음란물에 관한 연구

        조민식 ( Cho Min-sik ) 극동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1 글로벌사회복지연구 Vol.11 No.1

        본 연구는 1인 미디어의 발달 및 확산에 따라 발생한 여러 현상 가운데 음란물의 제작 및 확산 실태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법의 사각지대에 놓여져 있는 1인 미디어에서 양산된 음란물은 무분별하게 청소년층을 대상으로 확산 되고 있다. 아프리카TV를 필두로 발전한 1인 미디어는 현재 가상공간 내 다양한 사회현상을 발현하고 있다. 1인 미디어의 주 이용층이 젊은 세대, 특히 청소년임을 감안하면 1인 미디어에서 확산되고 있는 음란물에 대한 연구와 관련 정책의 수립은 그 중요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1인 미디어 내 음란물 실태에 대한 기초자료의 제공과 아울러 가상공간 내 음란물 관련 연구의 촉매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conducted a study on the production and proliferation of pornography among various phenomena caused by the development and spread of Personal Media. The pornography produced by Personal Media, which is in the blind spot of the law, is spreading indiscriminately to teenagers. Personal Media, which has developed with Afreeca TV at the forefront, is currently expressing various social phenomena in virtual space. Considering that the main users of Personal Media are the younger generation, especially teenagers, it is important to research on pornography and establish related policies that are spreading in Personal Media.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serve as a catalyst for research into pornography in virtual space, as well as providing basic data on the actual condition of pornography in Personal Media.

      • KCI등재

        1인 미디어 이해와 제작 수업에 대한 초등교사의 자문화기술지

        윤미 ( Yoon¸ Mi ),이지영 ( Lee¸ Jiyoung ) 한국독서학회 2021 독서연구 Vol.- No.60

        이 논문은 초등교사가 1인 미디어의 이해와 제작 수업을 실천하면서 경험한 것, 성찰한 것을 자문화기술지 연구로 담아낸 것이다. 1인 미디어의 이해와 제작 수업은 ① 준비와 시작, ② 1인 미디어의 이해, ③ 1인 미디어의 제작, ④ 제작한 1인 미디어 공유로 이루어졌다. 수업 경험을 디지털 이주민-교사의 입장과 디지털 원주민-학생의 입장에서 성찰하였다. 교사는 ‘교사’로서 정체성과 ‘디지털 이주민’으로서의 정체성 사이에서 갈등한다. 학생은 디지털 원주민으로 주도적으로 수업을 이끌기도 하고 디지털 이주민과 협상하기도 한다. 교사와 학생은 1인 미디어 수업을 함께하면서 파트너 관계를 끊임없이 조정한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미디에 대한 이해와 제작이 순환 구조로 이루어져야 한다. 1인 미디어의 이해와 제작 역시 재미나 흥미 위주의 활동으로 접근할 것이 아니라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차원에서 접근-분석과 평가-제작-성찰-실천의 순환 과정으로 다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is paper describes the authentic experiences and reflections of the author,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bout understanding and production of personal media through autoethnography in their teaching class. The class on understanding and production of personal media covered ① preparation and beginning, ② understanding of personal media, ③ production of personal media, and ④ sharing of the media production. I reflected the classroom experience based on the digital immigrant teacher's perspective and the digital native students’ perspective in this paper. A teacher is in conflict between their identity as a ‘teacher’ and a ‘digital immigrant’. Students lead classes proactively and negotiate with a digital immigrant as digital natives. The teacher and students constantly adjust their partnership as they work together in personal media classes. In media literacy education, understanding and production of media should be done in a cyclical manner. I anticipate that understanding and production of personal media should not be approached merely as a fun or interesting activity, but should be treated as a cycle of access-analyze & evaluate-create-reflect-act in term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 KCI등재

        1인 미디어의 윤리와 교육적 활용 방안

        김지연 ( Jiyeon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1

        최근 1인 미디어 산업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1인 미디어와 관련한 윤리적 문제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본고는 1인 미디어의 제작과 수용 양면에서 윤리적인 태도가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하는 한편, 그 실천적 방법으로써 윤리적 1인 미디어 사례를 소개함으로써 교육적 활용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디지털 시민성을 함양하고 리터러시를 제고할 수 있는 미디어 윤리 교육의 방향에 대해 논의한 후, 윤리적으로 제작된 1인 미디어의 특징을 구체적으로 지적하였다. 사례로 든 ‘라이브아카데미’와 ‘겨울서점’은 책임감을 갖고 구독자와 소통하는 Youtube 채널이며, ‘일간 이슬아’는 창의적인 시각으로 쓴 글을 윤리적인 방식으로 전달하는 구독 채널이라는 점에서, 1인 미디어로서의 윤리성이 두드러졌다. 향후 1인 미디어를 창작하고 수용하는 윤리적인 태도를 교육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With the growing popularity self media industry, there happen so many unethical problems about it. So in this paper we’ll examine the methods of the educational usage for emphasizing the need for media education and introducing 3 cases of ethical self media. Concretely, that is how to improve media literacy and foster digital citizenship, and what the 3 cases’ ethical point are. Live Academy and Winter Bookstore are the ethical Youtube channels to communicate with big responsibilities, Daily Sullalee is a kind of subscription service to creative and ethical essays on weekdays. It needs to be suggested following study about educational methods to cultivate ethical attitude towards self media.

      • KCI등재

        사생활 침해 방지를 위한 Person Wide Web 기반 1인 미디어

        윤지섭 ( Jisup Yoon ),마정미 ( Jung-mi Ma ),소선섭 ( Sun-sup So ),은성배 ( Seongbae Eu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정보처리학회논문지. 컴퓨터 및 통신시스템 Vol.5 No.10

        1인 미디어가 개인의 욕구분출과 인터넷의 발달이 맞물리면서 정보화 시대의 대세로 자리매김하였다. 하지만, 인터넷의 접근성은 의도치않던 사생활 침해 우려를 낳고 있으며 폐쇄적인 SNS의 수요를 중가시키는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PWW(Person Wide Web)를 이용하여 1인 미디어를 생성하고 타인과 공유하는 1인 미디어 체계를 제시한다. PWW는 스마트폰과 모바일 앵커, 개인의 클라우드 스토리지로 구성된 웹 기반의 정보체계이다. 현장의 객체에 부착된 모바일 앵커로부터 개인 클라우드 저장소의 주소를 얻고 그 주소에 저장된 웹문서를 가져와 스마트폰의 웹뷰에서 처리한다. 또한, PWW 방식의 1인 미디어 체계를 설명하고 현장에서 1인 미디어를 활용한 예를 제시한다. WWW 방식의 1인 미디오와 PWW 방식의 1인 미디어의 보안성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PWW 방식의 1인미디어가 더 높은 보안성을 갖는것을 보였다. 1 person media is becoming the leading trend among several media in the Internet era exploiting the individual desire of showing off. But, the vast accessibility of Internet produces the worry about privacy risk, which concludes in the increasement of closed SNS. In this paper, we propose a system based on PWW (Person Wide Web) where a person is producing a media and share it with other persons. PWW is an information system which consists of a smart-phone, mobile anchors, a standard web document, and his own cloud storage. An information consumer gets the link using his smart-phone from the mobile anchors attached on the objects in the field. The web browser in the smart-phone obtains the web documents designated by the link and presents it. We also explains the 1 person media system based on PWW and presents the example utilized in the field. We compared and analyzed the security factor of the system based on between WWW and PWW, and concluded that PWW is better than WWW in the aspect of secur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