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자녀양육과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방안

        홍봉선,남미애 한국청소년학회 2011 청소년학연구 Vol.18 No.9

        The study is searching for programs to build community support systems helping young single mothers based on the viewpoint of eco-systems theory, using both literature research and survey. The study examined 150 young single mothers' actual living conditions, needs and their usage of community support systems and also it tried to present community support systems appropriate for their needs. The result shows that Korea's young single mothers are a newly emerged poor class, who are out of reach the social welfare system. The life of single mothers at home is worse than those in institution since they don't have any type of support form community. However, they do their best to perform their role as parents and one third of them keep an intimate relationship with their child's biological father. The needs and pressing problems of young single mothers at home and in institution vary from cases to cases, especially regarding to their future plan and self-sufficient plan. Based on the findings above, some support systems for young single mothers are presented. First, more favorable perception toward young single mothers should be formed among the public in terms of macrosystem level. Second, in terms of exosystem level, redirecting and revising laws on young single mothers and establishing service delivery systems and cooperation systems should also be implemented. Third, in terms of mesosystem, school support, one stop service, outreach, and case management programs are reinforced. Finally, more support for young single fathers, service reinforcement for strengthening of family ties, facilitating young adult parents' growth and consolidating relationship between their families and community are considered in terms of microsystem level. 본 연구는 생태체계적 관점에 입각하여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자녀양육과 자립을 위한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모색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와 서베이를 병행하였다. 문헌연구에서는 생태체계적 관점에 입각하여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을 뿐 아니라 우리나라청소년양육미혼모의 지원체계 구축방안 모색에 유용한 효과적인 경험 및 내용을 추출하였다. 서베이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욕구 및 실태조사가 전무한 상황에서, 전국에 살고 있는 청소년양육미혼모 150명을 조사하여 그들이 당면한 당면문제 및 욕구, 지역사회서비스 이용 실태 및 개선점을 파악하였고 이러한 청소년 욕구에 근거하여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내용을 토대로 지역사회 지원체계 구축방안을 제시하면 청소년양육미혼모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되어야 하며 청소년양육미혼모의 정책방향 전환 및 관련법 개정, 지역사회내 청소년양육미혼모를 위한 서비스 전달체계 및 협력체계 구축되어야 한다. 또한 학교지원의 강화 및 지역사회기관차원의 one stop 서비스, 아웃리치, 사례관리 등 전문적 개입이 강화되어야 하며 미시적 차원에서는 청소년미혼부의 지원확대, 가족유지 서비스 강화, 청소년양육미혼모의 발달 및 성장 촉진, 가족과 지역사회와의 관계강화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

      • KCI등재

        빈곤가정 한부모의 심리적 특성과 영유아의 언어·사회성발달 간 관계 : 한부모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장혜림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2 사회복지연구 Vol.43 No.3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paths in which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f single-parents living in poverty influence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social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F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ngle parents’ psychological trait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had direct effect on their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Second, the parents’ trait of self-efficacy also had direct effect on the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whereas depression did not. Finally, in examining the paths in which the parents’ psychological traits influence their children’s language and social development, their parenting attitude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mediating variable. More specifically, the effect of parent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n children's development in both aspects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their parenting attitude. These findings provide an empirical evidence that the family process model, which the researcher set out, the ecosystem perspective,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 are feasible models to explain the effects of the single parents’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ir children’s developments. 본 연구는 저소득·빈곤가정 한부모의 심리적 특성이 영유아의 언어발달과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경로를 규명한 연구이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의 심리적 특성인 우울과 자아효능감은 영유아의 언어발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부모의 자아효능감은 영유아의 사회성발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부모의 우울은 영유아의 사회성발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부모의 심리적 특성이 영유아의 언어발달과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경로를 한부모의 양육태도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규명한 결과, 한부모의 우울과 자아효능감은 양육태도를 매개로 영유아의 언어발달과 사회성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자가 설정한 가족과정모델과 생태체계관점이 한부모의 심리적 특성에서 영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에 적절한 모델임을 입증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 KCI등재

        청년 1인 가구의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

        최진환,박정윤 한국가족관계학회 2024 한국가족관계학회지 Vol.29 No.1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rationale for intervention to alleviate loneliness among young-adult single-person households in the counseling field by examining the effects of SNS overuse, the motivation of SNS usage, and self-differentiation from parents level among young-adult single-person household on loneliness. Method: To achieve this goal, single-person households with young adults aged 20 to 34 who currently live alone took part in this study. The study us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3.0. Results: First, the overall tendency of the loneliness, SNS overuse, and the motivation of SNS usage, and the family differentiation level was examined. In general, loneliness was lower that the average level, and SNS overuse was also lower than the average level. The level of the motivation of SNS usage was higher than the average level, and the level of the self-differentiation from parents was also higher than the average level. Second, the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ated variables, there ar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the loneliness and the sub-variables of SNS overuse. Of the sub-variables, addiction and withdrawal symptoms, excessive communication and immersion, and excessive time consumption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loneliness. Among the sub-variables of the motivation of SNS usage, the status pursuit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and the entertainment pursuit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loneliness. The self- differentiation level showed negative correlation with loneliness. Among demographic factors, the higher the income and the more regular workers were, the lower the perception of the loneliness was. Third, the study found that the addiction and withdrawal level had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young-adult single-person household on loneliness, and the self- differentiation level with parents, pursuit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entertainment pursuit of the motivation of SNS usage followed. Conclusions: In this study, it was examined that the SNS overuse, the motivation of SNS usage, and the family differentiation level have a relationship with the loneliness level of young-adult single-person households. To reduce loneliness, they need to regulate their SNS usage in order not to be addicted, and they need to increase the level of the family differentiation.

      • KCI등재

        빈곤가정 한부모의 심리적 특성과 영유아의 언어·사회성발달 간 관계 : 한부모 양육태도를 중심으로

        정혜림 ( Hae Lim Chang )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12 사회복지연구 Vol.43 No.3

        본 연구는 저소득·빈곤가정 한부모의 심리적 특성이 영유아의 언어발달과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영향과 경로를 규명한 연구이다. 구조방정식 모형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부모의 심리적 특성인 우울과 자아효능감은 영유아의 언어발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부모의 자아효능감은 영유아의 사회성발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한부모의 우울은 영유아의 사회성발달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한부모의 심리적 특성이 영유아의 언어발달과 사회성발달에 미치는 경로를 한부모의 양육태도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규명한 결과, 한부모의 우울과 자아효능감은 양육태도를 매개로 영유아의 언어발달과 사회성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본 연구자가 설정한 가족과정모델과 생태체계관점이 한부모의 심리적 특성에서 영유아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설명하기에 적절한 모델임을 입증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This study attempted to identify the paths in which the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such a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f single-parents living in poverty influence the language development and the social development of their children. F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as used.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single parents`` psychological trait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had direct effect on their children`s language development. Second, the parents`` trait of self-efficacy also had direct effect on the children`s social development, whereas depression did not. Finally, in examining the paths in which the parents`` psychological traits influence their children`s language and social development, their parenting attitude was identified as an important mediating variable. More specifically, the effect of parents`` depression and self-efficacy on children`s development in both aspects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their parenting attitude, These findings provide an empirical evidence that the family process model, which the researcher set out, the ecosystem perspective, and developmental perspective are feasible models to explain the effects of the single parents`s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n their children`s developments.

      • KCI등재

        Subjective Social Mobility Among Single-parent Families' Young Adult Children: What Factors Are Important?

        오유경,고아라,서경주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3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20 No.3

        This study explored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bjective social mobility (SSM) in young adult children of single-parent families, who have a high possibility of being exposed to multidimensional inequality. This study used data from the “2022 Seoul Survey,” the most current dataset on SSM. The current study’s analysis focused on 497 unmarried young adults (aged 19–34 years) who had grown up in single-parent families and were still parent-dependent. Using SPSS 26.0,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RA)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SM, focusing on personal and family factors of young adult children. The key findings were as follows: (1) Personal factors, including student status (β=.24, p<.01), education level (β=.09, p<.05), happiness with financial conditions (β= -.15, p<.001), happiness with social life (β=.16, p<.001), and feelings of loneliness toward others (β= -.14, p<.05) were associated with SSM; and (2) Family-related factors, such as parental education level (β= -.13, p<.01), parental outlook on SSM (β=.42, p<.001), and households’ satisfaction with their family’s housing environment (β=.13, p<.01) were associated with the SSM of adult children. Drawing on these results, this study offers implications for enhancing the social mobility of young adult children from single-parent families and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support programs tailored to this specific demographic group.

      • KCI등재

        장애 영유아를 위한 부모 참여 중재 연구의 동향및 WWC 평가 지표에 의한 분석: 국내외 단일대상 연구를 중심으로

        노진아 ( Jin A Noh ) 한국특수아동학회 2014 특수아동교육연구 Vol.16 No.2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에서 이루어진 장애 영유아를 위한 부모 참여 중재 단일대상 연구의 최근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방법의 질적 수준과 증거 강도의 크기를 평가하였으며, 이를 기초로 영유아 특수교육 분야에서 부모 참여 중재의 연구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2000년 이후에 발표된 논문을 체계적으로 검색하여 논문 선정 및 제외 기준에 맞는 총 34편의 연구 논문을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된 논문은 발표 연도 및 연구 출처, 연구 대상, 중재 장소, 독립변인, 종속변인, 부모 훈련 프로그램 내용, 중재 충실도, WWC(What Works Clearinghouse) 평가 기준에 따라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장애 영유아를 위한 부모 참여 중재는 대부분 자폐 영유아를 대상으로 가정에서 이루어졌다. 그리고 독립변인으로 기능에 기초한 중재를 가장 많이 실행하고 있었으며 영유아의 성과로 문제행동, 사회성, 의사소통 측면을 많이 살펴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실행에 기초한 피드백 제공하기 및 시범 보이기 방법을 활용하여 개별적 형태의 부모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한 경우가 많았으며 부모 훈련에 대한 충실도는 매우 제한적으로 점검되었다. 또한 부모가 실시한 중재의 충실도를 언급한 논문은 많았으나 WWC 기준을 만족한 논문은 34편 중 2편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하여 국내외 장애 영유아를 위한 부모 참여 단일대상 연구의 최근 동향과 연구 방법의 질적 수준과 증거 강도 크기를 파악하였고 향후 연구 방향성을 논의에서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research trends in parent-implemented interventions in early intervention/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EI/ECSE) fields and to analyze them through the WWC standards. Based on the obtained results, this study proposes future directions for parent-implemented studies in the field of early intervention/early childhood special education. For this purpose, journal articles were systematically searched via research databases, and a total of 34 studies were selected based on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studies were analyzed in terms of publication year and source, participants, setting, intervention types, outcomes, parent training program, treatment fidelity, and the WWC standards. The results revealed that parent-implemented studie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mostly conducted for young children with autism at home. Also, the most widely researched independent variable was identified as function-based intervention, and problem behaviors and social and communicative outcomes were identified as frequently studied dependent variables. However, most studies did not report the implementation fidelity for parent training programs. In addition, parent training programs were usually conducted individually and methods such as performance-based feedback and modeling were generally used. Although most studies mentioned and reported treatment fidelity, only two studies met the WWC standards. Based on these results, the research trends in parent-implemented interventions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were recognized, and suggestions for further directions for parent-implemented studies in EI/ECSE were presented in the discussion section.

      • KCI등재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대인관계 의 매개효과와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민철기 산업진흥원 2023 산업진흥연구 Vol.8 No.4

        본 연구는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의 매개 역할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지위 조절 효과의 영향 관련성 파악을 목적으로 시도한 조사연구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남녀 구분 없이 전국의 청년 1인 가구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 기관을 통해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를 시행하여 520명의 대상자 중에서 총 501부를 최종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 자료는 SPSS 25.0과 AMOS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적용된 통계기법은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 다중집단 분석, 부트스트랩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청년 1인 가구의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 대인관계는 유의한 정(+)적인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라이프 스타일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에서 대인관계는 매개효과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과 소득 만족도에서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학력, 경제활동, 주택 보유 형태와 계층의식의 조절 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청년 1인 가구에 대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하고 다양한 공동체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기초자료로 제공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a research study aimed at finding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of single youth household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diating rol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the effect of parents' social and economic status regul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To this end, this study conducted a self-written survey of single-person youth households across the country through an online survey institution, regardless of gender, and used a total of 501 copies out of 520 subjects for final results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5.0 and AMOS 25.0 programs, and the applied statistical techniques included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multi-group analysis, and bootstrap. As a result of the stud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lifestyle, life satisfac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of single youth households,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lifestyle and life satisfaction. It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income and income satisfaction, but the moderating effect of education, economic activity, housing ownership type, and class consciousness was not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was intended to provide basic data for developing various community programs and institutional arrangements for single youth households.

      • KCI등재

        청소년양육미혼모의 부모됨의 경험과 의미: 시간체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남미애 ( Mi Ae Nam ),홍봉선 ( Bong Sun Ho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3

        본 연구는 청소년양육미혼모가 어려운 여건 속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다른 청소년미혼모와 달리 자녀 양육을 선택하고 자녀와 함께 살아가는 이유와 의미는 무엇인지, 자녀와 함께 살아가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는지를 시간체험을 중심으로 현상학적 연구(phenomenological research)를 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거주하는 16세 이상 22세 사이의 청소년양육미혼모 8명을 2010년 5월에서부터 2011년 3월까지 5-8회에 걸친 심층면접하였다. 자료분석 방법은 van Manen의 현상학적 방법에 근거하였다. 그 결과 청소년양육미혼모의 부모됨의 시간체험은 ``시간의 강물을 거슬러 올라 내게 맞는 홀로서기를 향해감``으로 요약될 수 있다. 또한 청소년양육미혼모의 부모됨의 과정은 시간적 순서에 따라 ``추락과 비상``, ``모성과 야망간의 줄타기``, ``내가 디자인하고 주도하는 알찬 시간``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보면 청소년양육미혼모가 인식하는 부모됨의 시간은 통상 사람들이 인식하는 부정적인 경험만 있는 것이 아니라 엄청난 시련과 맞서면서도 가족을 지키고 책임지겠다는 자신의 오랜 신념을 실천하는 시간이며 과거와 미래를 넘나드는 치유의 시간, 임파워먼트의 시간이며 타율이 아니라 자신의 시간에 맞춰 어른이 되어가는 독립의 시간일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청소년복지정책 및 실천에 있어 청소년양육미혼모에 대한 인식전환 및 건강한 가정으로 기능하며 살 수 있도록 개별적이고 통합적인 지원의 당위성을 뒷받침한다고 하겠다. This study did a phenomenological research, using time experiences, on young single mothers who choose child rearing unlike most of those who stay away from them. The study observed young single mothers` motivation of choosing to take care of their children even under negative circumstances and their interactions with children over a period of time. 8 young single mothers ranging from 16 to 22 years old residing in Korea are subjects to be thoroughly interviewed around 5-8 times starting May in 2010 and ending March in 2011. van Manes` phenomenological research is used in data analyses. The process of being parents of young single mothers is summarized as "Going forward against the flow of time river to be self-sufficient in the world." They are at first experiencing ``an emotional roller coaster``, then ``tug of war between maternal instinct and ambition``, and finally ending up with ``self designed and motivated life.`` The result above tells that the period of being parents of young single mothers is not simply negative experiences as people normally think, but is a meaningful time becoming a responsible person faced with great difficulties, a healing time of past, present and future, an empowering time of being a independent person who acts with her own willpower. The findings justify that integrated and individualized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young single mothers to help them build a healthy family with regard to youth welfare policy and its implementation.

      • KCI등재

        청소년부모의 주거지원 경험에 관한 합의적 질적연구

        임고운 ( Im Kowoon ),은주희 ( Eun Ju-hui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22 청소년복지연구 Vol.24 No.2

        청소년부모란 자녀를 양육하는 부모가 모두 만 24세 이하로, 이들은 아동이 있는 가구이면서 아직 부모가 미성년이라는 점에서 경제적으로 취약한 대상이다. 이 연구는 삶에 필수적인 주거복지의 사각지대에 놓인 청소년부모가 주거지원을 받는 과정에서 어떤 경험을 하며, 주거지원 전후로 인식하는 삶의 변화가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 민간단체에서 연계한 주거지원제도와 서비스를 경험한 청소년부모 10가구(부부 2가구, 미혼모 8가구)를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다. 합의적 질적연구(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방법론에 따라 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총 3개의 영역, 11개의 범주, 그리고 42개의 하위범주로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주거지원 이전에 주거환경, 경제적, 가족 및 사회적 관계, 정서적 이유에서 불안정하게 정처 없이 떠도는 과정을 경험하고 있었으며, 모바일 검색이나 지인 활용, 행정기관 문의 등을 통해 안정적인 주거를 스스로 탐색하였다. 이 과정에서 민간단체의 도움으로 주거지원을 받아 안전하고 주거환경에서 살게 되었다. 주거지원 이후 정서적ㆍ사회적 변화, 경제적 상황의 변화도 경험하며 장래를 계획하고 도전하는 모습이 나타나고 있었지만, 이들의 도전과 시도를 가로막는 장애와 한계도 여전히 있었다. 이를 토대로 청소년부모의 주거지원을 위한 정책적 시사점으로 한부모 또는 미혼모 복지시설의 부부 입소, 공공임대주택 보급 확대와 주거보증금 대출지원 기준 완화, 청소년부모 대상의 특수성에 대한 행정기관 담당자의 이해 역량 강화, 기타 양육 및 교육 지원 간의 서비스 연계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young mothers and fathers in the blind spot of residential welfare experienced in the process of housing support. Plus, it aims to explore what life change they perceive before and after housing support are. For this purpose, participants consisting of 2 couples and 8 unmarried mothers, who have used housing support service provided by the private organization,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consensual qualitative research (CQR) methodology,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alyzed data were classified into 3 domains, 11 categories, and 42 subcategories. Results showed that young parents had not stably settled down because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economic situation, social relations, and emotional reasons before the use of housing support service. Also, they looked for stable housing by themselves through mobile search use, acquaintances, and information gained from administrative agencies. As a result of these behaviors, housing support service provided by a private organization enabled them to live in safe residential environment. It was found that after the use of housing support, they had changes in emotional, social, and economical situations, and also, a plan for the future. However, it was identified that there were still obstacles and limitations on their challenge and attempt. Based on these findings, it suggested that welfare facilities for a single parent or an unmarried mother would allow couples to use them, the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would be expanded, the criteria for loan support on housing deposit would be lowered, the capability that allows public officials to understand the specificity of adolescent parents would be strengthened, and parenting support service and educational support service would be linked.

      • KCI등재

        그림책 창작프로그램이 장애위험 유아 어머니의 감정조절 개선 및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단일사례연구

        김숙향,이병인,심소라 한국미술치료학회 2024 美術治療硏究 Vol.31 No.2

        본 연구에서는 그림책 창작프로그램이 장애위험 유아 어머니의 감정조절 개선과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I시에 거주하는 장애위험 유아 어머니 1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그림책 창작프로그램을 구성․적용하여 주 1회 총 12회기를 실시하였고, 통합스트레스(IESS)와 한국판 부모 양육 스트레스 검사 4판 단축형(K-PSI-4-SF)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통한 장애위험 유아 어머니의 감정조절과 양육 스트레스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매회기 구조화된 질문을 활용한 면담내용 분석을 통해서 개선 과정의 결과 변화를 확인하였고, 중재 종결 후 그림책 창작프로그램의 효과가 장애위험 유아 어머니 감정조절 개선 및 양육 스트레스의 변화가 유지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5회기 면담 및 프로그램 적용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 결과, 통합스트레스(IESS) 검사와 한국판 부모 양육 스트레스(K-PSI-4-SF) 사전․사후검사 결과 측정 비교에서 그림책 창작프로그램이 장애위험 유아 어머니의 감정조절 개선과 양육 스트레스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organizing and applying a picture book creation program to improve emotional control on th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 of a young child at risk for disabilities. The study selected the mother of living in I city. To this end, the picture book creation program to improve emotional control was organized, applied and conducted once a week for 12 sessions. Integrated Evaluation of Stress and Stress Vulnerability and Korean-Parenting Stress Index 4th Edition Short Form were used pre- and post-test. Changes in results were confirmed. Changes in the results of the improvement process were confirmed through analysis of interview content using structured questions during sessions, and 5 sessions of interviews and program application were conducted to confirm whether the effect on parenting stress through improved emotion control was maintained after the conclusion of the s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picture book creation program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improving the emotional regulation on th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 in a comparison of the pre-and post-test results of the Integrated Stress Test(IESS) and the Korean version of Parenting Stress (K-PSI-4-SF). It was confirmed that the picture book creation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improving the parenting stress of the mother of the young child at ris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