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안적 장소의 실천 : 장소 특정적 미술(Site-Specific Art)의 장소성 연구

        차민영 한국일러스아트학회 2015 조형미디어학 Vol.18 No.1

        This paper investigated the possibility whether site-specific art can build a discourse of alternative site in the center of the loss of siteness discussed socially and culturally. Today, the loss of siteness is due to homogenization of urban spaces of the world led by efficient space planning, information enabling the compression of time and space, and the progress of globalization. Therefore the loss of siteness means not the loss of physical space but the loss of place that ensures the identity of community and reproduces interactive behaviors, making everyday modern living space colonized by the expansion of political and economic system space of capitalistic society. In this perspective, this paper proposes that site-specific art that actively attracts the discourse of site would be a strategic practice for the recovery of siteness by cracking the space colonized by modern dominant ideology and creating corresponding discourses. As the grounds of this propose, this paper dealt with the discourse of loss of siteness and the needs of its recovery while revisiting the philosophy of site. Based on these grounds, it also approaches a variety of 20th century 'alternative site' discourse theoretically and derives the intersection between the ‘alternative site’ discourse and the discourse created by site-specific art each age. In 1960s, the site-specific art built phenomenological site discourse. By giving experience of space of works drawn into observer's everyday life, the site-specific art had practically shown the creation of a contradictory space of Lefebvre that tries to practice daily experiences as the whole rather than alienated one. In 1970s, it functioned as the critical sites having implications for political and social problems and created Foucault's heterotopia site. Since the late 1980s, the nomadic site specific art has emphasized active participation and individual practices to rectify social problems and revealed Deleuze's nomadic discourse directly and actively while spreading the work of de-territorialization moving the place of discourse. Finally, this series of work tries to find the discourse and practice for building true alternative site of present day in site-specific art and emphasizes that the recovery of site does not come from the physical entities such as arbitrarily made place but built by discourse and practice. 본 논문은 사회 문화적으로 거론되고 있는 ‘장소성’ 상실의 담론을 중심으로 ‘장소 특정적 미술’이 ‘대안적 장소’ 담론을 구축할 수 있는지 그 가능성을 고찰해 보는 연구이다. 오늘날 ‘장소성’의 상실은 효율적인 도시·공간 계획과 시·공간의 압축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화 그리고 세계화(Globalization)의 과정 등에 의하여 세계 각국의 도시공간들이 균질화 되어 가고 있음에 기인한다. 따라서 ‘장소성’의 상실이란 물리적인 공간의 소멸이 아니라 사회구성원들의 정체성을 확보해 주고 상호행동의 교류가 재생산되는 장소의 상실을 의미하며 현대인의 일상생활 공간이 자본주의 사회의 정치·경제적 체계공간(system space)의 팽창으로 인해 식민화된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시각에서 본 연구자는 장소의 담론을 적극적으로 끌어들인 ‘장소 특정적 미술’이 현대 지배이데올로기에 의해 식민화된 공간에 균열을 내고 거기서 생성된 담론들이 장소성 회복을 위한 전략적 실천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제안의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연구로서 우선 장소개념에 대한 재규정작업과 함께 장소성 상실에 대한 담론들과 회복의 필요성을 논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당위성을 바탕으로 20세기의 다양한 ‘대안적 장소’담론들을 학문적으로 접근하여 ‘장소 특정적 미술(Site-Specific Art)’이 각 시대마다 생성한 장소 담론들과 어떠한 접점을 갖게 되는지 도출해 보았다. 20세기의 다양한 장소 담론 중 본 연구는 푸코의 헤테로피아, 들뢰즈의 노마디즘, 르페브르의 모순적 공간을 대안적 장소의 담론으로 상정 하여 연구를 진행 하였다. 우선, 1960년대 장소 특정적 미술은 현상학적 장소 담론을 구축하여 작품의 공간을 관람자의 일상공간으로 끌어들여 경험 하게 함으로써 일상을 소외가 아닌 총체적 경험으로 실천하고자 했던 르페브르의 모순적 공간의 생성을 실천적으로 드러내 보이고 있었다. 또한 1970년대 장소 특정적 미술은 정치, 사회의 문제들을 함의 하는 비평적 장소로서 기능하여 헤테로토피아적인 장소를 생성한 것으로 분석 할 수 있었다. 또한 1980년대 말 이후부터 현재에 이르기 까지 유목적 장소 특정적 미술은 사회적 문제를 바로 잡기 위한 적극적 참여와 개인의 실천을 강조하고 담론의 장소들을 이동시키며 탈영토화 작업을 펼치며 들뢰즈의 노마디즘 담론을 가장 직접적이고 적극적으로 드러내 주고 있었다. 결국 이러한 연구의 의의는 현 시대의 대안적 장소구축을 위한 담론과 실천을 장소 특정적 미술에서 찾고자 하는 것이며 진정한 장소의 회복이란 임의로 만들어낸 장소와 같은 물리적 실체가 아니라 담론과 실천에 의해 구축되어지는 것임을 강조하기 위한 것이다.

      • 「장소특정적 미술」에 대한 동일성유지권

        이동기,박경신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法學硏究 Vol.27 No.1

        Art has continuously evolved and site-specific art is one product during this process. Art is site-specific, wher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its location plays an integral role in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work. Since site-specific art is designed and arranged for particular locations, removal from a specific location arguably mutilates or destroys the integrity of the work. This article will explores the protection scope and content of site-specific art in the context of moral right, specifically the right of integrity and analyze the relevant provisions of Korean Copyright Act, focusing the problems in Phillips v. Pembroke Real Estate, Inc., which raised the public awareness in the U.S.. Part II will address the meaning and movement of the site-specific art to give a better understanding of related legal issues and 'contextual integrity' which is the cruel clue for solving legal disputes. Part III will cover the legal treatment of site-specific art under Korean and foreign legal systems, focusing on the Visual Artists Rights Act of U.S. Part IV will look into the limitation of protection of site-specific art through VARA and do analysis of the court decision in Phillips and subsequently the future of site-specific art in the wake of Phillips decision. Further this article will specifically consider the right of integrity and its exceptions under the Korean Copyright Act and will conclude with the suggestion for legal alternative.

      • KCI등재

        「장소특정적 미술」에 대한 동일성유지권

        이동기(Lee, Dong-Ki),박경신(Park, Kyoung-Shin)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1 圓光法學 Vol.27 No.1

        Art has continuously evolved and site-specific art is one product during this process. Art is site-specific, where the surrounding environment or its location plays an integral role in the meaning and interpretation of the work. Since site-specific art is designed and arranged for particular locations, removal from a specific location arguably mutilates or destroys the integrity of the work. This article will explores the protection scope and content of site-specific art in the context of moral right, specifically the right of integrity and analyze the relevant provisions of Korean Copyright Act, focusing the problems in Phillips v. Pembroke Real Estate, Inc., which raised the public awareness in the U.S.. Part II will address the meaning and movement of the site-specific art to give a better understanding of related legal issues and 'contextual integrity' which is the cruel clue for solving legal disputes. Part III will cover the legal treatment of site-specific art under Korean and foreign legal systems, focusing on the Visual Artists Rights Act of U.S. Part IV will look into the limitation of protection of site-specific art through VARA and do analysis of the court decision in Phillips and subsequently the future of site-specific art in the wake of Phillips decision. Further this article will specifically consider the right of integrity and its exceptions under the Korean Copyright Act and will conclude with the suggestion for legal alternative.

      • KCI등재후보

        그라피티의 장소특정성을 이용한 도시재생 방안

        임병우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2017 문화와예술연구 Vol.9 No.-

        본 연구는 장소특정성을 살린 그라피티를 이용하여 도시를 재생시키 는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연구를 위해 이론적 배경 스터디와 사례분 석 두 가지 방법을 이용하였다. 먼저 장소특정성의 개념을 이해하기 위 해 공공미술의 장소특정성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알아보았다. 이론에서 는 공공미술이 ‘장소에 결합하는 예술’이라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듯이, 공공미술에서 장소특정성은 진지하게 고려해야 할 개념으로 다루고 있 으며 많은 공공미술 사례를 통해 장소특정성의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공공미술로서 그라피티의 장소특정성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현 대의 그라피티는 과거의 낙서 수준에서 벗어나 대중에게 더욱 친밀하게 다가선 거리미술로서 공공미술과 마찬가지로 장소특정성이 있으며 지역 적 특수성과도 상관관계를 맺고 있고 심지어 사회적 영향력과 커뮤니케 이션 효과도 갖는다. 본 연구의 목적인, 그라피티의 장소특정성을 이용 한 도시재생 방안을 찾기 위해 도시재생을 위해 지자체가 추진하고 있는 그라피티 조성사업 사례를 조사하였다. 동두천에서 추진 중인 도시재생 을 위한 보산동관광특구 그라피티 조성사업 사례를 조사하고 이론적 배 경에서 제시된 장소특정성 공공미술의 중요한 요소 세 가지를 분석의 틀 로 이용하여 분석한 후, 그라피티 조성사업에서 장소특정성을 보완하는 방향에 대해 제언을 하였다. 분석을 통해 제언한 내용은 세 가지로, 그라 피티 작품과 장소는 상관관계를 맺어야 하며 참여자의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는 것과 공공미술로서 지역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 그리고 공 공의 표현매체로서 사회적 영향력과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고려해야 한 다는 것이다. 연구를 통해 동두천의 특수한 장소적 맥락에 따라 장소특 정성이 강화된 그라피티를 이용했을 때, 그라피티가 도시재생에 긍정적 으로 기여할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This study discussed an urban regeneration plan using the site-specificity of graffiti. Toward this end, the study conducted a theoretical literature review and a case study. First, to understand the concept of site-specificity, the study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site-specificity of public art. As public art signifies “art linked to a site,” site-specificity in public art is a concept begging for serious consideration, and many cases of public art demonstrate the implications of site-specificity. Furthermore, the study also investigated the site-specificity of graffiti. Today, graffiti are no longer scribbles, but a form of street art that has become familiar to the public, and like public art, they too pose site-specificity so much so that they are correlated to local specificity as well as social influence and communication effects. To explore a plan for urban regeneration using the site-specificity of graffiti, which is the aim of this study, a case study was conducted on a graffiti promotion project promoted by a local government for urban regeneration. Specifically, the study analyzed the Graffiti Promotion Project in the Bosan-dong Tourist Special Zone that Dongducheon is currently promoting for urban regeneration, examined the three key elements of site-specificity in public art, discussed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using the analytic framework, and presented some implications with regard to the integration of site-specificity in a graffiti promotion project. The implications resulting from the analysis can be considered in three aspects: first, graffiti should be correlated to place and participants’ proactive intervention; second, graffiti as public art need to consider locality; and third, graffiti should consider social influence and communication effects as the expressive medium of the public.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highlight the positive contribution graffiti can make to urban regeneration when graffiti with enhanced site-specificity are used according to the specifically local context of Dongducheon.

      • KCI등재

        미술관의 사회적 존재론 - 미술관체제와 장소-관계의 예술 사이의 변증법을 중심으로 -

        김동일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 2019 한국문화공간건축학회논문집 Vol.- No.65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another possibility of the museum. The relation of art and society has always been changing. The reason why the museum is important is that the museum intermediates art and society each other. The museum reflects the demand of society into the art, and extends the meaning of art into the society. Especially in the Marxist view, the museum is the center of ‘the relation of art production’. Today, the museum can be defined as the network of such resources as the power, the capital, and the media, and the artworld. In this paper, I use the term, "the Great Museum, to indicate a few museum which succeed in organizing such social resources. And in our contemporary artistic situation, the site-specific and relational art represents the level of ‘the means of art production’. The site-specific and relational artists regard the interactions of people as the material of their artistic practice. The Great museums of contemporary Art should evolve into a new stage to provide the room for the site-specific/relational art properly. So far, the Great museums had a tendency to monopoly the meaning of art and have presented the art works as the spectacle form. But now many site-specific and relational artists take as the tool various, humble and worthless things that can be found in everyday life of people to put the artistic meaning in. Many biennales, held in so many cities, can be regarded as the effort to put the site-specific/relational art into the system of the Great Museum. But the biennales have the limit, in that they are the products of neo-liberalism which the sitespecific/ relational artists want to get over. In this paper, I examine the possibility of 'community curator program' to compromise the advantages of the Great Museum system with the aesthetics of the site-specific/relational art.

      • KCI등재

        장소특정적 미술을 통한 상징공간디자인 개발 -울산광역시 동구 슬도 소공원 -

        김철중 ( Cheol Joong Kim ),이주형 ( Joo Hyoung Yi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4

        (연구배경 및 목적)장소성은 사람들과 공간 사이의 상호작용으로 경험된 기억들이 축적되어 만들어진 역사적 산물이다. 지역고유의 장소성은 다양한 일상적 경험 속에서 형성되며, 장소의 이미지는 그 지역의 총체적인 현실의 반영이다. 장소 특정적 미술 (Site-Specific Art)은 장소의 맥락적 관계를 바탕으로 공간을 상징적인 의미로 작품화하고 지역의 아이덴티를 형성하는데 대표적인 요소로서 작용한다. 이에 본 디자인 개발에서는 울산광역시 동구에 위치한 ``슬도 소공원``을 의미 있는 장소로 재생하기 위한 요구를 반영하고자 디자인하였다. 새롭게 제시된 슬도 소공원의 상징적 공간은 역사·문화적인 큰 맥락에서 장소 특정적 미술을 매개로 전개된 공간디자인으로써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생성함과 동시에 랜드마크적 성격, 그리고 주변 경관과 조화로운 상징 문화 공원으로 공간을 재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디자인 개발의 대상지는 울산광역시 동구 방어동에 위치한 슬도 소공원의 초입부로써 장소의 특성을 고려한 장소 특정적 미술을 중심으로 상징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이다. 디자인 진행 방법은 먼저 장소 특정적 미술과 장소의 상관성을 문헌조사를 통해 살펴보고 둘째, 대상지인 슬도 소공원의 입지적 현황과 자연환경 그리고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지역의 상징적 이미지를 도출하였다. 셋째, 현황분석을 통해 도출된 상징적 이미지를 바탕으로 공간의 개념을 설정하고 장소 특정적 미술로서 상징오브제를 중심으로 디자인을 진행하였다. (결과) 본 디자인 개발은 슬도 소공원을 개선하기 위한 장소 특정적 미술을 중심으로 장소의 의미를 재생하는 것이다. 현황분석을 통해 살펴본 슬도 소공원은 해안가의 공간적 특성과 선사시대 때부터 기록되어진 고래와 구멍 뚫린 바위섬에 관련된 역사적 이야기가 전해 내려져 오는 장소였다. 이에 슬도 소공원의 상징적 이미지로 암각화에 새겨진 고래의 이미지와 구멍 뚫린 바위섬의 이미지를 바탕으로 상징적 오브제를 디자인하고 공간을 구성하였다. 이로써 역사적 사실과 지역정서를 바탕으로 공간의 의미를 담고 지역의 아이덴티티를 부여함과 동시에 랜드마크적 성격을 가지게 하였다. 장소의 정체성은 지리적 위치나 외관상의 특성 뿐 아니라 사람과 공간의 다양한 활동적관계로 이루어지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제시된 디자인은 역사적·문화적인 큰 맥락에서 장소 특정적 미술인 상징적 오브제를 매개로 한 공간디자인이지만, 이는 장소성을 나타내는 한 가지 요소에 불과하며, 온전한 장소성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향후 이곳에서 여러 가지 문화적 활동 프로그램이 복합적으로 연구되어 일상의 생활공간으로서 정착되어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Placeness is a historical product which accumulates empirical memory of interaction between people and space. Unique placeness of the region is formed based on a variety of daily experiences and the image of place reflects the overall reality of region. Site-specific art symbolizes space based on contextual relation and plays an important role to form regional identity. To regenerate Seuldo Island Park, located in eastern part of Ulsan, as a meaningful place, this study reflects demand and made design. In historic and cultural context, symbolic space of Seuldo Island Park is a spatial design through the medium of site-specific art and it forms regional identity and brings landmark aspect and regenerates the space for symbolic cultural park that harmonizes with surroundings. (Method)The target of design development was the entry of Seuldo Island Park located in Bangeo-dong, Dong-Gu, Ulssan and this study designs symbolic place based on site-specific art considering characteristics of place. The Method of design was, first, reviewing correlation between site-specific art and the place through literature review. Second, drawing symbolic image of region based on locational environment, natural environment and historical fact of Seuldo Island Park. Third, setting the concept of space based on symbolic image after current condition analysis and designing symbol object as site-specific art.(Results)This design development is to regenerate the meaning of place based on site-specific art to enhance Seuldo Island Park. In light of status analysis, Seuldo Island Park has spatial characteristics of shoreline and historical story that goes back to the prehistoric age referring to whale and rocky island with holes. This study designs symbolic object and space based on symbolic image of Seuldo Island Park such as whale carved in stone and rocky island with holes. This study allows regional identity as well as landmark aspects based on historic fact and regional sentiment. The identity of place is formed not only by geographical location or external characteristics but also diverse activities. In historic and cultural context, design presented by this study is a spatial design through the medium of symbolic object of site-specific art, however it is only one factor that represents placeness. Thus, diverse cultural programs should be researched and established as living space of daily life to fully realize placeness.

      • KCI등재

        ‘장소 특정적’ 공연을 통한 지역 특성화의 시도와 그 효과

        임수정(Lim, su-jeong) 인문콘텐츠학회 2016 인문콘텐츠 Vol.0 No.41

        20세기 도시개발은 지역 간 그리고 지역 내의 양극화를 초래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개발지역과 원도심지역의 불균형이라는 문제점을 야기 시켰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낙후된 원도심 지역을 예술로써 복원하고 보존하려는 도시재생 개념과 지역 특성화 작업이 주목을 받고 있다. 본 연구는 장소 특정적 무용공연 〈존재〉를 통한 지역 특성화의 시도와 그 효과에 대한 논의이다. 효과적 논의를 위해 장소 특정적 공연의 의미를 살펴보고, 프랑스의 ‘퓌뒤푸 테마파크(Puy du Fou Teme Park)’ 사례를 제시하여 지역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장소 특정적 공연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작품 〈존재〉의 기획과정을 기록하고 작품에 협력했던 대전지역 도시재생전문가, 대전예술행정가, 도시재생과 교수의 인터뷰를 통해 지역 특성화에 장소 특정적 무용 공연이 미친 효과와 그 활성화 방안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병민(2013)의 논문에 제시된 창조적 장소 브랜딩의 모델(안)에 작품 〈존재〉를 적용하여 장소 특정적 무용 공연의 효과와 필요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공연 시도 결과, 장소 특정적 무용 공연 〈존재〉는 대전의 역사적 가치와 그 장소의 이미지를 무용 예술을 통해 부각시켜 역사 인식과 지역 정체성 확립에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장소 특정적 공연은 낙후된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 지역 예술행정기관, 대전예술가들이 서로 소통하여 협업으로 이루어져야 지속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장소 특정적 공연의 시도와 연구가 앞으로 이와 같은 작업을 하려는 지역 문화예술 전문가들에게 기초적인 토대가 되기를 기대한다. Urban development in 20<SUP>th</SUP> century cause a polarization between regions. This phenomenon result in an imbalanced growth between developed regions and original downtown. To solve this problem, urban regeneration and site-specific methods have been attracted a great attention. The two methods are based on the restoration and preservation of underdeveloped region using an art. In this study, it is discussed that an attempt of local specialization and its effect though the site-specific dance performance 〈existence〉. At first, the meaning of site specific performance was discussed. And then, the needs of site specific performance was studied by means of suggesting the Puy du Fou theme park case in France. In addition to the case study, the effect of site specific dance performance and its activation plan was discussed by using a record of a planning process and interviews of urban regeneration experts, art executive officer and urban regeneration professor in Daejeon. Finally, the need and effect of site specific dance performance was suggested by employing the adapting a place branding model which is proposed in the Lee, Byung-Min et al.‘s paper to the work 〈existence〉. Because the site specific dance performance 〈existence〉 highlight the historical value of Daejeon and the image of the place through a dance art, it was verified that the performance have extensively and effectively affect on the local identity establishment and historical recognition. And it was also verified that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between the residents who have been lived in under developed region, local art administrative organ and artists in the region is required to continue a site specific dance performance. It would be expected that the attempt of the site specific dance performance and the study become a basement to the local culture and art experts who will have a plan to do a this kind of work.

      • KCI등재

        여행하는 작가 주체와 ‘장소성’ - 경계넘기 작업의 한국작가들을 위한 이론적 모색

        전영백 미술사학연구회 2013 美術史學報 Vol.- No.41

        It has been thought that spectator's empirical perception of an exhibition space is attached to memories of the place. Such specific sensation is thus believed not to be repeated. ‘Here and now’ suggested by Hegel for the condition of presence and by Walter Benjamin for the artistic sense of ‘aura’ has to be taken place only once. But what if the memory of space could be regenerated? Is the phenomenal experience of a certain space repeatable? Could it be possible that two different experiences of two spectators are appropriated? These are the questions occurred to me when I saw When Attitudes become form held in Fondazione Prada of Venice in August, 2013. The exhibition is a copied version of the one under the same title curated by Harald Szeemann in Bern, Switzerland in 1969. It has got used to see artworks displayed in relation to its space with postmodernism taking over the art world since 1960s. Inter-relationality between artwork and the place of its location is thus taken into great account up to now. When Attitudes become form is recognised as the one initiating such trend in the history of exhibition, holding ‘site-based’ artworks together. It showed Conceptual art, Art Povera, Minimalist and Postminimal works. The spectatorship experienced in the specific place was thought to be unique. Such one-time experience is related to non-commercialised and anti-capitalistic avant-garde works. For the reason that the exhibition of Fondazione Prada is a breakthrough is the fact that an exhibition can be detached from the original place and then repeated in another place. From now on, one sees not only artworks move around but also exhibitions do. For the former, ‘site-based’ art is coined in this paper that is almost identical to ‘site-oriented’ art suggested by Miwon Kwon. These works have led the mainstream of postmodernism over the last four decades because it explores relationship amongst art, locality and subjectivity more than any other genre. In this paper, I elaborate the way site-specific art is separated from its original place and turns into site-based art. For the latter, Fred Wilson, Renée Green, and Francis Alÿs are looked into such as examples. Thinking of locality or place, it is no other than culture. The empirical experience of spectator has to do with place, which pertains to subjective memory. Referencing the writings of Gilles Deleuze and Félix Guattari, one tendency has been to valorize the nomadic condition. Some critics have championed the work of artists such as Andrea Fraser, Mark Dion, Renee Green, and Christian Philipp Muller, among many others, for having abandoned the phenomenologically oriented mode of site-specific art. One can remember that Richard Serra's sculptures are best examplified in the latter. In this paper, I proposed the artist-traveller to call such nomadic subject concerning present-day site-based art, taking account of its empirical experience of specific places. The subject’s perception brought out of mobility of places has certainly to do with cultural difference. In this context, the subject of site-based art is at the core of globalisation, that has been key issue in the art world since the late 1980s. Such theoretical concern is what is most relevant to Korean artists such as Mee Kyung Shin who attempt to cross the cultural borders in contemporary terms. What I suggest in this paper for them is that they need to show the distance between a place where they work and their local ground (Busan, Gwangju, Daegue, Jeonju etc.). It is what the ‘relative performing’ of artist-traveller means to us in this globalised era. Roni Horn, Thomas Hirschhorn, Jens Haaning and Do Ho Suh are taken into account as such artworks. Concerning the significance of place to the postmodern subject, this paper traces artist-traveller's perceptual process in order to look into the way in which cultural difference is represented in artworks. It is thus suggested for the ... 1960년대 후반, 포스트모더니즘 이후 요즘의 작업은 대체로 장소 및 공간의 맥락과 함께 전시되는 것이 대세였다. 1969년 제만의 전시 《태도가 형식이 될 때》는 그러한 양상의 시초가 된 전시였다. 이 전시가 올해(2013년) 8월, 베니스의 프라다 재단의 바로크 건물에서 44년만에 재연되었다. 논문은 이 전시가 반복, 모사되었다는 점을 화두의 단초로 잡는다. 주체에 대한 장소의 의미가 이전과 크게 달라진 것을 명확히 한 전시이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주체가 체험하는 장소와의 관계성을 화두로 삼아, 그 장소는 문화와 직결돼 있다는 점을 지속적으로 강조한다. 이러한 주제를 본격적으로 다루는 작업이 장소특정적 작업, 그리고 그 이후의 장소기반 작업이다. 이 글에서는 먼저, 장소특정적 작업이 갖는 ‘장소’와의 관계, 그리고 그 미술사적 의미를 회고적으로 정리한다. 그리고 장소특정적 미술의 한계와 딜레마, 그리고 변화를 살펴보며, 이후 장소에서 분리되는 장소특정적 미술에 주목하였다. 이 부분에서 특히 관심을 가진 것은 장소특정적 미술이 장소와의 관계를 소원하게 하면서, 보다 강력해진 주체가 복귀되는 현상이다. 그것은 다른 말로, 장소특정성이 장소와 밀착하였기에 지녔던 아방가르드성이 약화되는 양상이라 할 수 있다. 논문은 이렇듯 장소특정적 미술이 장소와 분리되면서 생기는 일종의 ‘부작용’을 조명하면서 이에 대한 이론적 우려를 드러낸다. 들뢰즈와 갸타리에 의해 제시된 노마드 개념은 이렇듯 주체의 자율적 이동성에 더욱 힘을 실어준 셈이다. 연구자는 이에 대한 보다 바람직한 개념으로 사회학과 여행 이론에서 참조한 ‘여행 주체’를 제시한다. 이는 미술사 담론 자체 내에서 장소감의 회복을 강조한 최근의 시각 또한 고려한 것이다. 실향으로 인해 장소적 관계가 배제된 노마드에 비해, 여행자가 갖는 장소적 연계 및, 정박하는 장소의 복수성(집과 여행지)은 명백한 차별성을 갖는다. 최근 미술에서 보는 여행 주체의 부상은 1960년대 후반 포스트모던 주체의 새로운 국면을 설명해 준다고 볼 수 있다. 논문은 이러한 미술에서의 여행 주체, 즉 ‘여행 작가(artist-traveller)’의 ‘관계적 수행’에 주목한다. 세계화의 체계에 순응하든 비판하든 장소의 이동과 관계된 문화적 차이와 그 표상은 현대미술이 직면한, 그래서 가장 시의성있는 화두임에 틀림없다. 이에 대한 탐색은 경계넘기 작업에 몰두하는 한국 작가들을 위한 유의미한 이론적 마련이라고 생각한다.

      • KCI등재

        장소 특정적 미술과 위치기반 미디어에서의 공간성에 관한 연구

        김민지(Kim, Min Ji)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19 No.-

        본 연구는 장소 특정적 미술과 위치기반 미디어 간의 관계성에 대한 분석을 토대로 공간성의 변화와 결부된 예술적, 기술적 패러다임의 전환을 이해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1960년대 후반부터 촉발된 장소 특정적 미술과 2000년대의 위치기반 미디어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한다. 그리고 예술과 기술의 관계성에 관한 비교분석법에 기반해 장소 지향적 실천이 뉴미디어 시대에 갖는 의미를 도출하고자 했다. 물리적 공간에 대한 강조에서 비롯된 장소 특정적 미술의 장소 개념은 담론적 공간을 거쳐 사이버스페이스에서의 내비게이션 공간의 특징으로까지 연결된다. 내비게이션 공간의 관점에서 위치기반 미디어는 뉴미디어의 공간이 실제 장소와 맺고 있는 관계성을 제시해준다. 이러한 관점에서 위치기반 미디어는 장소특정적 미술의 기술적 확장으로 정의 할 수 있다. 요약하자면, 장소 특정적 미술과 위치기반 미디어 프로젝트는 데이터 공간과 현실의 장소 간 관계를 디자인하는 확장공간의 기획으로 수렴된다. 결과적으로, 장소 특정적 미술과 위치기반 미디어에서의 공간성은 뉴미디어 시대 예술과 기술이 창의적 상호작용의 관계에 있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물은 예술과 과학기술의 관계에 관한 역사적 접근법을 제시한다는 측면의 함의를 갖는다. Drawing upon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ite-specific art and locative medi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understand the shift of artistic, technological paradigm combined with variation of the spatiality. The range of study is site-specific art from the late 1960s and locative media project in the 2000s. And, by dwelling upon comparison analysis method on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echnology, I draw a conclusion the meaning of site-oriented practices in the new media era. The concept of place in site-specific art taken by emphasis on physical space connected into feature of navigation space in cyberspace by way of discursive space. Within the framework of navigation space, locative media present relationship between space in new media and real place. In this perspective, locative media can be defined as technological expansion of site-specific art. In summary, site-specific art and locative media project art convergent with the planning of augmented space that design the relation between data space and actual place. As a result, spatiality in site-specific art and locative media present that art and technology are creative interactive relations in the era of new media. These findings have implications for presenting the historical methodology about analy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rt and technology.

      • KCI등재

        장소특정적 연극-퍼포먼스 연구 : 한국의 공연작품들을 중심으로

        신현숙 ( Hyun Sook Shin ) 한국연극학회 2013 한국연극학 Vol.1 No.49

        Site-specific performance is always the real on-site work taking place at the site. Hence, it deals with the reality, in other words, the time of creation and formation. And it creates value and meaning through the interaction and continuous direct communication process between the performers, audience and the local residents. In this performance, the audience‘s status as the passive observer changes. They become the co-agent who actively lead and complete the performance through their own experience. We have examined the The Working Methods of Site-specific Performance and Aesthetics of Effect through four Korean performances ; Marie, An aesthetic experiment of site as the storyteller; Heterotopia and Urban Movement Research or Play: We Will Move Your Sofa, as performances which have Revealed history, politics, institution engraved in the site ; A Song of Mandala and Miracle, as a ritualistic site-specific performance at the historic site. Some remarks on Site-specific performance ; First, In Site-specific performance, the habitus peculiar to the stage art and the mode of reception are changed. Second, a new mode of theatrical communication requires creator and audience to have a sharp aesthetic sensibility and to change one‘s perceptual habit. Third, Site-specific performance can act as a demonstration for the viewpoints of political activism through what could be called a dramatic close-up effect. Fourth, Site-specific performance also has the risk of merely becoming an unfocused and scattered performance or degenerating into a pseudo-sightseeing. To avoid this, an in-depth study of the site and its socio-cultural context , and the clear motivation with which one is trying to reveal and tell from the site must be indispensable. As the co-agent, the audience should also be aware and think about what the given performance signifies toda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