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원초적 자기서사의 형성과 마더 텔러 -문학예방치료를 위한 시론-

        김수연 ( Kim Soo-you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39 No.-

        한국문학연구에서 문학치료라는 개념이 구상된 지 20년이 지났으며, 정식으로 문학치료학회를 만들어 본격적 학문의 장을 형성한 지도 10년이 넘었다. 이론 구축과 진단 도구 개발 측면에서 이룩한 문학치료학의 성과는 상당하다. 문학치료학은 `문학의 본질이 치료`라는 점을 명시하고, `원초적 사건을 다시 경험하게 함으로써 경험을 반복 조정하는` 치료 과정을 제안하며, `자기서사의 발견과 개선`을 목적으로 삼는다. “자기서사를 온전하고 건강하게 변화시키는 일”을 위해 `작품서사`를 핵심도구로 사용한다. 문학치료학의 핵심은 `변화`이다. 이 `변화`는 `현재 건강하지 않은 자기서사`를 전제로 한다. 지금의 문학치료는 건강하지 않은 마음을 관심의 주된 대상으로 삼는다. 그러나 이제는 문학치료의 범주를 문학 예방치료로 확대할 때라고 생각한다. 인간의 초기 자기서사 형성에 작품서사가 커다란 영향을 미치며, `서사적 지지 관계`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문학의 치료적 강점은 일반 사람들의 건강한 자기서사 `형성`에 기여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서는 아동기에 이루어지는 원초적 자기서사 형성에 참여하는 작품에 대한 새로운 독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기존 독법이 장르론적, 사회사적 시각에 경도된 것이라면, 새로 발견할 독법은 자기서사의 형성에 긍정적 기여를 할 수준 높고 건강한 서사일 것이다. 이러한 서사의 발견을 위해 문학치료 연구자는 `부모서사`를 내면화해야 한다. 강한 `부모서사`를 내면화한 문학치료 연구자를 `마더 텔러`라 부할 수 있다. 오늘날 많은 사람들은 인간이 서사적 존재라는 사실에 공감한다. 인간이 그 자체로 하나의 `책`이 된다는 인식도 늘어나고 있다. 작품서사나 다른 사람의 자기서사는 나의 자기서사가 형성되고 성장하는 데 깊게 관여한다. 이제 자기서사 형성기에 작품서사가 가동할 수 있는 방안을 고민할 단계에 이른 것이다. 이것은 문학치료연구자의 자세를 치료자가 아닌 예방가로 넓히는 일이다. 문학치료연구자는 아이들이 접하는 작품에 대한 기존 해석을 성찰하고 아이의 자기서사에 유용한 새로운 독법을 고민해야 한다. 그리고 문학연구자, 문학교육자와 연계하여 새로 발견한 독법이 실제 연구와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이야기` 되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Twenty years have passed since the concept of literary therapy was formulated in Korean literature research and 1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Therapy was formally established to shape the arena of study in earnest. Literary therapy has produced considerable results in terms of constructing theories and developing diagnostic tools. Literary therapy specifies that the “essence of literature is therapy” and it suggests a therapeutic process to “regulate experience repetitively by making one`s experience a basic event again.” Literary therapy aims to “discover and improve the epic of self.” “The epic of work” is used as a key instrument to “[change] the epic of self to be complete and healthy.” The core of the literary therapy is a “change.” Such a change assumes “the epic of an unhealthy self today.” Literary therapy is mainly interested in the unhealthy mind. However, it is now time to expand its definition, to encompass literary preventative therapy, since the epic of work has a great effect on the initial human epic of self, in relation to “narrative support.” Moreover, the advantage of literary therapy is its ability to contribute to shaping a healthy the epic of self in the general population. A new reading should therefore be provided for works that participate in shaping a basic epic of self in childhood. While the existing literature is biased toward the genre and social history of literary therapy, new literature should contain healthy narratives, in order to make a positive contribution to the epic of self. To discover such narratives, literary therapy researchers have to internalize the “Father and Mother epic.” A literary therapy researcher who internalizes a strong “Father and Mother epic” may be called a “Mother-teller.” Today, many people sympathize with a fact that humans are narrative beings. There is increased recognition that humans become books by themselves. The epic of work or the epics of others` selves are deeply influential on the shaping and growth of one`s own epic of self. Now is the time to establish methods to operationalize the epic of work in the period of the epic of self. This would expand literary therapy researchers` roles from therapists to preventers. A literary therapy researcher should reflect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works to which children are exposed, and consider new useful readings for children`s epics of self. Additionally, literary researchers and educators should make an effort to actively “spread” these new readings in the fields of research and education.

      • KCI등재

        문학치료학과 문학교육학 사이(in-between): 따로 또 같이 그리는 미래

        염은열 한국문학치료학회 2024 문학치료연구 Vol.70 No.-

        This study, authored by a researcher in literary education who has closely observed the academic growth and clinical effectiveness of literary therapy, proposes the necessity and possibility of solidarity and collaboration to the collaboration to the Society of Korean Literary Therapy> at Twenty. This research examines what literary therapy, from both perspectives of the study of humanity and counseling, can achieve, and what tasks must be prioritized for this purpose. First, while literary education is characterized by conscious, cognitive, public, and social practice, literary therapy is distinguished by its unconscious, personal, and emotional nature.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both are essentially and structurally similar, centered around the triad of teacher [or counselor], literary works, and learners [or clients]. The paper argues that literary education and therapy must eventually simultaneously operate separately and together, focusing on students as both social and individual entities. It emphasizes the need to focus on student agency and assets for collaboration and solidarity, suggesting that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and an approach based on storytelling can contribute to identifying and enhancing the emotional assets of learners in classrooms. Post-pandemic, there is a dire need for literary-educational approaches and literary-therapeutic support in our schools and classrooms, which have lacked sufficient consolation and reflection time. As a researcher in literary education, there is hope that literary therapy, while expanding its scope, will internally pose introspective questions and eventually collaborate with literary education in the school setting. 이 연구는 문학치료학의 학문적 성장과 임상적 효과를 가까이에서 지켜본 문학교육연구자로서, 성년이 된 한국문학치료학학회를 상대로, 연대와 협력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제안한 논문이다. 인간학이자 상담학으로서의 문학치료학이 무엇을 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어떤 과제가 선결되어야 할 것인지 살펴보았다. 우선, 문학교육이 의식적·인지적·공적·사회적 실천의 성격을 지니는 반면에 문학치료는 무의식적·개인적·정서적 실천의 성격을 띤다는 점에서 구별되지만, 교사[혹은 상담가], 작품, 학습자[혹은 내담자] 셋을 축으로 하는 문학경험이라는 점에서는 본질적으로 그리고 구조적으로 다르지 않다는 점에 주목했다. 사회적 주체이자 개인적 주체로 살아가는 학생들을 중심에 두고 보면, 문학교육학과 문학치료학이 때로는 따로 결국에는 같이 할 수밖에 없음을 주장하였다. 그리고 협력과 연대를 위해 학생 행위주체성과 자산에 주목할 필요가 있음을 피력했으며, 구체적으로 문학치료학의 관점과 설화를 바탕으로 하는 접근 방법이 교실에서 학습자들의 정서적 자산을 파악하고 확충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고 보았다. 팬데믹 이후 충분한 위로와 성찰의 시간을 갖지 못한 우리 학교와 교실에 문학교육적 접근과 더불어 문학치료적 지원이 절실하다. 문학교육연구자로서, 문학치료학이 외연을 확장하는 한편 내적으로 성찰적 질문을 던짐으로써, 결국에는 학교 현장에서 문학교육학과 만날 수 있기를 희망한다.

      • KCI등재

        문학치료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개인문학치료 사례를 중심으로-

        조은상 ( Cho Eun-sa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0 문학치료연구 Vol.57 No.-

        이 논문은 문학치료현장에서 개인문학치료를 진행하며 축적된 경험을 토대로 그 동안 논의된 문학치료 실행의 원리를 정리하고 치료 요인을 구체화하고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문학치료의 실행 원리와 치료 요인이 문학치료현장에서 어떻게 작용하는가를 실제 사례를 통해 설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지속적으로 수정되는 과정을 겪을 수밖에 없으며 현장에서 활용되어 타당성이 인정될 때 자생력을 가진 실천학문으로서 자리를 잡을 수 있다. 문학치료의 현장에는 네 요소가 존재한다. 서사의 재료로서 내면의 이야기를 가지고 있는 참여자 개인, 그를 새로운 서사의 세계로 이끌고 상상하게 하는 문학텍스트, 참여자가 구성한 허구서사, 그리고 이들의 상호작용을 조력하는 문학치료사가 존재한다. 적극적 상상은 참여자로 하여금 문학텍스트를 능동적으로 감상하고 허구서사를 창작하는 과정에서 치료요인으로 중요하게 작용한다. ‘적극적 상상’은 참여자가 문학텍스트에서 파생된 서사를 만들고 경험하며 자기를 확장하고 타인과 세상에 대한 이해의 지평을 넓히는 과정이다. ‘적극적 상상’을 통해 창작되고 구체화된 허구서사는 또 다른 치료 요인인 ‘자기이해’가 좀 더 깊은 차원에서 가능하도록 한다. 문학치료사는 적절한 질문과 활동의 제안을 통해 참여자의 ‘적극적 상상’과 ‘자기이해’를 조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앞으로 문학치료사가 문학텍스트를 통한 참여자의 ‘적극적 상상’과 ‘자기이해’를 조력하는 방법이 보다 구체화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개인문학치료 뿐만 아니라 집단문학치료에서도 이를 조력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 방법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organize the principles of literary therapy practice discussed so far and to clarify the treatment factors, based on the accumulated experience in conducting individual literature therapy at the literary therapy site. I wanted to explain the principles of the practice of literary therapy and how the treatment factors work in the field of literary therapy through real examples. These tasks have no choice but to undergo a process of continuous modification and can be established as self-sustaining practical studies when they are used in the field and are recognized for their validity. There are four elements in the field of literary therapy. There exists a literary therapist and a participant individual who has an inner story as a material for a narrative, a literary text that leads him to the world of new narratives and imagines them and a participant's fictional narrative. “Active imagination” plays an important role as a treatment factor in the process of participants actively appreciating literary texts and creating fictional narrative. "Active Imagination" is a process in which participants create and experience narratives derived from literary text, expand themselves, and broaden the horizon of understanding others and the world. Fictional narrative, created and embodied through "active imagination," makes another treatment factor, "self-understanding," possible at a deeper level. Literary therapist serves to assist participant in 'active imagination' and 'self-understanding' through suggestions of activities and appropriate questions. In the future, it is necessary for literary therapists to be more specific in how to help participants' "active imagination" and "self-understanding" through literary texts. In addition, there should be various ways of activities to help not only individual literary therapy but also group literary therapy.

      • KCI등재후보

        성석제의 소설에 나타난 웃음의 기제와 문학치료학

        전흥남(Jeon, Heung-nam) 한국비평문학회 2014 批評文學 Vol.- No.54

        문학치료는 정상적인 심리상태를 지니지 못한 사람을 문학작품을 통하여 정상적인 심리상태로 돌려놓고자 하는 일종의 심리치료라고 할 수 있다. 문학치료는 기본적으로 문학작품을 감상할 수 있고, 자신의 의사를 말이나 글로 표현할 수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한다. 따라서 심각한 정신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은 현실적으로 치료가 불가능하거나 제한적이다. 문학 치료는 정신과 의사들의 치료방법이나 대상과도 일정한 차이를 지닐 수 밖에 없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고는 문학치료학의 관점의 적용과 그 가능성의 탐색을 위한 시론적(試論的) 입장에서 성석제 소설에 나타난 웃음의 기제를 적용하는 데 주안점을 두고 출발했다. 성석제의 소설은 해학적인 상황이나 웃음을 유발하는 장면이 많다는 점에서 문학치료학 텍스트로서 보탬이 될 것으로 보았다. 또한, 웃음의 기제가 문학치료학에서 독점적으로 치료적 기능에 보탬이 되는 것은 아니지만, 작중인물과의 동일시 효과 및 정서적 공감의 확산에 기여하는 측면에 주목한 것이기도 하다. 문학치료학적 관점의 연구는 인문학의 영역의 확산 및 학제적 연구 그리고 인문학의 위기 타개와 관련해서 좋은 시사점을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이와 관련된 연구자의 관심이 기대된다. 다만, 문학치료학적 관점의 적용은 제한적인 측면도 지닌다. 문학이 대체로 구체적 귀결점을 남기지 않는다는 사실은 문학의 가능성이기도 하지만, 특히 치료적 관점에서 볼 때 약점으로 작용하는 측면도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학의 하부구조를 이루고 있는 감정이나 인지를 연구함으로써 문학연구에 실용적인 전환점을 만드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본고 역시 아직은 문학치료학적 관점의 적용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가설단계에 머물러 있다. 문학치료학적 관점의 적용 및 효용을 입증할 수 있는 개연성을 획득해 나가야 하는 과제가 주어진 셈이다. 이것은 앞으로의 과제로 남겨둔다. Literary therapy is a kind of psychotherapy in a sense that it intends to help people out of normal state of mind regain normal mentality through literary works. Literary therapy is for people who are able to appreciate literary works and express their opinions at the very least. Therefore, it can be restricted or impossible for people with severe mental disease. It is also different from methods used by psychiatrists and their subjects to some extent. In this context, I focused on applying the mechanisms and effects of laughter found in Seong Seok-jae’s novels in order to apply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and find its possibility from a preliminary standpoint. I considered the mechanisms and effects of laughter in his novels acceptable as texts of literary therapy.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this study is at the preliminary stage of only examining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There needs to be further studies on confirming its possibility of appliance and effects. Moreover, it should also be noted that the appliance of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can be restrictive. The fact that literature tends to be inconclusive works as a disadvantage regarding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practical turning-point for the literature studies by probing the emotion or cognition that lie under the literary works. In the meantime, this study on the perspective of literary therapy is expected to shed some light on issues regarding the expansion and interdisciplinary studies of humanities, and ways of breaking the crisis of humanities.

      • KCI등재

        인성교육을 위한 문학치료의 활용 가능성 탐색

        김정애 ( Kim¸ Jeong-ae ) 한국문학교육학회 2021 문학교육학 Vol.- No.72

        본고는 문학치료 상담 과정에서 인성교육적 요소가 개입되었을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들을 모색함으로써 문학치료와 인성교육의 접점들을 보다 구체화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고의 2장에서는 심리학적 접근을 통한 인성교육의 효과성을 제고하고자 한 기왕의 연구를 정리하고 문학치료와의 관련성을 논하였다. 기왕의 심리학적 요소와 결합한 인성교육의 제안과 시도는 인성교육의 문제가 심리학적 요소와 결합되고 연동될 때 그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음을 강조해왔으나, 심리학적 요소와 인성적 요소의 상호관련성 논의에 집중되어 왔을 뿐 이 두 영역이 분명하게 구분되지는 않았다. 한편 문학치료학에서는 문학영역, 임상영역, 문학교육영역이 연동될 때 문학치료의 성과와 가치를 보장할 수 있다는 관점을 견지하고 있는 바, 이는 문학치료가 인성교육을 위해 활용될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뿐 아니라 인성교육의 구체적 대안과 방법을 제공할 수 있음을 전망하게 한다. 그러나 문학치료 역시 상담 과정 내에서의 제한적이고 인위적인 가치 개입의 문제로 비화될 수 있다는 지적에서 자유롭지 못한 실정이다. 이에 3장에서는 실제 문학치료 상담 사례에서 확인된 인성교육적 요소와 관련한 문제점을 분석하여 문학치료의 적절한 활용 방안은 무엇인지 탐색해보았다. 실제 문학치료 상담과정에서 가치 문제와 관련된 내담자의 자기보고에서는 표층적으로는 당위적인 도덕 가치를 추구하고 긍정하는 듯하나, 심층적으로는 당위적 가치에 부합하지 못하는 자기혐오적 표현들이 적지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그동안 문학치료가 지적 받아온 상담자의 가치개입적 태도의 문제와 관련된 것이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소거하기 위해서는 내담자가 자유로운 자기 탐색을 하고 성찰할 수 있도록 상담자가 충분한 기회를 마련해줄 필요가 있다. 그러한 다음에야 가치의 실천력 확보를 위한 상담적 개입이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된다. This paper aims to provide an opportunity to further refine the interface between literary therapy and personality education by exploring problems that may arise when personality education factors are involved in the literature therapy consultation process. In Chapter 2, I summarized the research aimed at enhancing the effectiveness of personality education through psychological approaches and discussed its relevance to literary therapy. Proposals and attempts of personality education combined with psychological elements have emphasized that the effects of personality education can be increased when combined with psychological elements, but these areas have not been clearly divided, only in discuss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and personality elements. On the other hand, literary therapy maintains that the performance and value of literary therapy can be guaranteed when literature, clinical, and literature education are combined, suggesting that literary therapy will not only be used for personality education, but also provide specific alternatives and methods for personality education. However, literary therapy is also not free from the criticism that it can turn into a limited and artificial value intervention within the counseling process. In Chapter 3, I analyzed problems related to personality education factors identified in actual literature therapy counseling cases and explored how to appropriately utilize literary therapy. In the actual literature therapy counseling process, my representative’s self-report regarding the value issue seemed to pursue and affirm the legitimate moral value on the surface, but in depth, there were many self-loathing expressions that did not meet the legitimate value. This can be said to be related to the problem of the counselor’s value intervention attitude, which has been pointed out in literary therapy. And in order to eliminate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provide sufficient opportunities for counselors to freely explore and reflect on clients. Only then is it expected that counseling interventions can be made to secure the practical power of value.

      • KCI등재

        문학치료학의 학문적 체계와 문학교육과의 소통

        황혜진 ( Hwang Hye-jin ) 한국문학치료학회 2023 문학치료연구 Vol.68 No.-

        이 연구는 문학치료 연구 및 교육의 체계를 제안하기 위해 국어교육학이 학문적 정체성을 모색하고, 연구와 교육의 체계를 정립한 과정을 참조하였다. 두 학문 분야는 순수학문이자 응용학문이며, 내용학문이자 방법학문이고, 이론학문이자 실천학문이라는 공통적 성격을 지니며, 인간학의 한 분야로서 인간의 바람직한 변화를 계획적으로 도모하려는 목표를 공유한다. 이러한 유사성을 바탕으로 이 연구는 국어교육학이 학문 체계 정립을 위해 거쳐 간 경로들을 추체험해하면서 개념을 검토하고, 학문적 목표와 대상을 확정하며, 연구의 내용과 영역을 분명하게 설정하려 하였다. 먼저 개념과 관련해 논하자면, 문학치료학은 인간 내면의 문학을 문학작품을 매개로 치료하는 것을 연구하는 학문(<정리 ①>)으로, ‘문학’이 문학치료학의 성격을 규정하는 한편(<정리 ②>, ‘치료’의 시각이 문학 연구의 성격을 규정한다.(<정리 ③>) 문학치료학 연구의 자료와 대상은 자기서사와, (작품서사를 함축한) 문학작품(<정리 ④>)이다. 문학치료학의 연구 영역은 내용 연구, 활동 연구, 방법 연구로 나누어질 수 있다. 문학치료학에서 서사이론을 기반으로 자기서사와 문학작품에 대해 연구하는 영역이 곧 문학치료학의 ‘내용 연구’이다. 다음 단계에서는 문학치료가 이루어지는 원리에 따라 문학작품과 자기서사가 원활한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나 책략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들은 자기서사와 문학작품의 상호작용(interaction)을 실현케 하는 ‘활동 연구’이다. 마지막 단계는 치료적 실천의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연구로서 ‘방법 연구’라 할 수 있다. ‘내용 연구’는 연구의 자료와 대상에 대한 연구로서 자기서사와 문학작품에 대한 연구로 대별된다. 자기서사에 대한 내용 연구는 주체의 범위, 이상 심리 여부에 따라 나뉘며(<정리 ⑤>), 문학작품에 대한 내용 연구는 서정, 교술, 극(희곡), 서사 등 갈래에 따라 나뉜다.(<정리 ⑥>) 문학치료 고유의 방법론인 ‘서사이론’은 내용 연구를 통어하는 핵심 이론이다.(<정리 ⑦>) 자기서사와 문학작품의 상호작용이 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수행적 방안이나 책략을 연구·개발하는 ‘활동 연구’는 작품 읽기, 해석하기, 비평하기, 변용하기, 창작하기 영역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정리 ⑧>) 치료 계획을 세우고 치료를 실행하며 그 결과를 평가하는 책략과 방안을 연구·개발하는 ‘방법 연구’는 그 목적에 따라 예방과 치료 영역으로 대별되며, 진단, 목표 설정, 자료 선정과 구성, 치료 전략, 평가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다.(<정리 ⑨>) ‘활동 연구’나 ‘방법 연구’는 자기서사 및 문학작품에 대한 내용 연구를 기반으로 할 때 심화될 수 있다.(<정리 ⑩>) 마지막으로 문학치료학의 연구 목표는 자기서사와 문학작품에 대한 이론을 바탕으로 문학작품으로써 자기서사를 치료하는 이론을 개발하는 것이다.(<정리 ⑪>) 문학치료를 연구·실천하는 데 있어서도 지도(map)가 필요하다. 현재 내가 하는 연구가 어느 영역에서 수행되고 있으며, 관련된 연구는 어떤 것이어서 어떤 연구를 참조하고 비판하며, 어디로 어떻게 나아가야 할지 가늠해야 한다. 이 연구가 문학치료학 연구들의 성과를 갈무리하며, 새로운 영역의 연구로 나아가려는 의욕을 추동하는 데 기여하길 바란다. This study attempts to revisit the steps taken by Korean language education to establish an academic system based on the parallels between literary therapy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This allowed for a thorough evaluation of the concept, the confirmation of academic objectives and goals, and the precise definition of the subject matter and areas of research. Let us begin with a brief explanation of the term. Literary therapy is a therapeutic approach that involves the treatment of human inner literature through literary works (< summary ① >). ‘Literature’ defines the nature of literary therapy (< summary ② >), while the perspective of ‘therapy’ defines the essence of literary research (< summary ③ >). Self-epics and literary works serve as the materials and objects of literature therapy research (< summary ④ >). Literary therapy research can be divided into content, activity, and method research. ‘Content research’ is the study of self-epics and literary works based on the epic theory of literary therapy. The next step, according to the principles of literary therapy, is to study plans or strategies that enable active interactions between literary works and self-epics. These are ‘activity studies’ that examine the interaction between self-epics and literary works. The final stage, ‘method research’ involves a study of specific methods of therapeutic practice. ‘Content research’ is a study of the materials and subjects of research and is roughly divided into research on self-epics and literary works. Content research on self-epics is divided according to the scope of the subject and abnormal psychology (< summary ⑤ >), whereas content research on literary works is divided according to the literature genre (< summary ⑥ >). ‘Epic theory,’ a methodology unique to literature therapy, is the core theory that governs content research (< summary ⑦ >). ‘Activity research,’ which investigates and develops performative methods or strategies to facilitate the interaction between self-narrative and literary works, can be conducted in the areas of reading, interpreting, criticizing, transforming, and creating works (< summary ⑧ >). ‘Method research,’ which studies and develops strategies and methods for formulating a treatment plan, executing treatment, and evaluating the results, is broadly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urpose. Diagnosis, goal setting, data selection, organization, and treatment strategies can be performed in the area of evaluation (< summary ⑨ >). ‘Activity research’ or ‘method research’ can become more in-depth when it is based on content research on self-epics and literary works (< summary ⑩ >). Finally, to summarize the goals of research in these areas, the research goal of literature therapy is to develop a theory to treat self-epics with literary works based on theories about self-epics and literary works (< summary ⑪ >).

      • KCI등재

        의사소통 교육에서 문학의 의의와 문학 치료의 활용 -자기 서사 쓰기에서 문학의 타자성과 문학 치료의 제한적 수용을 중심으로-

        양가영 국제어문학회 2023 국제어문 Vol.- No.97

        Losing desire and motivation for self-sense an nd thought is rooted in the atrophy of the ego. Due to the atrophy of self-awareness and -confidence, students lose the motive for self-sensation and thought and remain closed and passive subjects. Therefore, learning that recognizes, expresses, and communicates with oneself, such as academic writing/practical writing, is regarded by students as unnecessary, that it is useless to try , or difficult for them to do, and as hindering their learning efficacy. To overcome such atrophy and closure of the ego to writing, it is necessary to emphasize the significance of literature in communication education. For this purpose, I clarified that the self-narrative writing class that limitedly accepts literary therapy is required.Therefore, Chapter 2 confirmed that self-narrative writing related to the otherness of literature is more required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narrative writing and literature's otherness and suggested a class plan for self-narrative writing related to the otherness of literature is presented. Through the otherness of literature, it was shown that it was necessary to reconsider the competence in communication education and analyze the significance of literature, and based on this, it was possible to accept the structure of the self and attempt to reconstruct it through the otherness of literature in self-narrative writing. It is revealed that the self is a form that can only be formed through the perspective of others and that this can explain the imperfection and lack of the self shown in the literature presented through discussions by Kim In-hwan and Balte Benjamin. In addition, through the otherness of the ego shown in literature, a class plan for learners to recognize and understand this otherness was presented. Consequently, we reconsider the core competencies emphasized in liberal arts education that have overlapping or unclear relationships with each other, and demonstrate that literature is a decisive academic area for their cultivation. In addition, it was clarified that self-narrative writing is aimed at realizing the otherness of the literature.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limited literary therapy as a teaching method. Based on the significant of literature in liberal arts education and literary self-narrative writing, In Chapter 3, on the premise of the otherness of literature and its importance in self-narrative writing to increase students' understanding and interest, the limited acceptance of literary therapy in self-narrative writing was revealed, divided into class plans and pedagogies. Therapy aims to respond to and overcome resistance, but self-narrative writing needs to try relatively affluent literary detours in the resistance phase. At the same time, unlike passive participation in therapy, self-narrative writing limits and accepts literary therapy to intervene with students in all processes actively. Based on this, three methods of completing sentences, parodying works, and taking MMSS tests were presented as the process of speaking, writing, reading, and listening, actively using group activities as class methods. As teaching methods, the technic to overcome resistance in Gestalt therapy was presented, focusing on the resistance between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As such, it was confirmed that literature and literary therapy in communication liberal arts education are an essential and effective way to reconsider the possibility and interest of students in writing. Students can understand and learn the structure of the ego and reconstruct it through writing pedagogy using the otherness of literature and literary therapy. This has the significance of reconsidering the core competencies that are emphasized in liberal arts education, but whose relationship is overlapping or unclear, and confirms that literature is a decisive academic area for their cultivation. However, since their possibility of intervention in reali... 의사 소통 교육의 수업에서 많은 경우 학습자들은 자기 인식과 자기 신뢰의 위축으로 자기 감각과 사유의 동기를 갖지 못하고 폐쇄적이고 수동적인 주체를 보여준다. 자신을 인식하고 표현하여 소통하는 학습에서의 자기 감각과 사유에 대한 욕망과 동기의 상실은 자아의 위축에 연원한다. 본고는 이와 같은 글쓰기에 대한 자아의 위축과 폐쇄를 극복하기 위해 의사소통 교육에서 문학의 의의를 강조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해 문학 치료를 제한적으로 활용한 자기 서사 쓰기의 수업이 필요함을 밝히고자 하였다.이를 위해 2장에서는 자기 서사 쓰기를 통해 구현되는 문학의 타자성이 자아 구성을 이해할 수 있는 원리로 작동하고 있음을 밝혔다. 자아가 타자의 시선을 통해 형성될 수밖에 없는 형식임을 밝히고, 이것을 문학이 보여주는 자아의 불완전성과 결여를 통해 설명될 수 있음을 보이고자 했다. 또한 문학이 보여준는 자아의 타자성을 통해 학습자들이 자아의 타자성을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는 수업 방안을 제시하였다. 더불어, 자기 서사 쓰기가 문학성의 실현을 목표로 하는 쓰기임을 밝히고, 그런 이유로 문학 치료를 교수법으로 제한 수용할 필요가 있음을 보였다. 3장에서는, 이와 같은 문학의 타자성과 자기 서사 쓰기에서의 그 중요성을 전제로, 자기 서사 쓰기에서 문학 치료의 제한적 수용을 수업 방안과 교수법으로 구분하여 정리하였다. 문학의 타자성을 통한 우회로의 활용을 자기 서사 쓰기와 문학 치료가 서로 공유함을 확인하고, 양자가 구분 되는 지점이 쓰기와 치료에 있음을 밝혔다. 치료는 저항에 대응하여 그것을 극복하는 데에 목표가 있으나 자기 서사 쓰기는 저항의 국면에서 오히려 풍부한 문학적 우회를 시도할 필요가 있다. 동시에 치료의 수동적 참여와 달리 자기 서사 쓰기에서는 모든 과정에서 학습자들의 능동적 개입을 목표로 문학 치료를 제한하여 수용한다. 이를 바탕으로 수업 방안으로, 문장 완성하기, 작품 패러디 하기, MMSS 테스트 하기의 세 방안을 조별 활동을 적극 활용하는 말하기, 쓰기, 읽기, 듣기의 전과정으로 제시하였고, 교수법으로는 게슈탈트 치료법에서 저항에 대한 대응에 집중하여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의사소통 교양교육에서 문학과 문학 치료는 학습자들의 글쓰기에 대한 가능성과 흥미를 재고할 수 있는 필수적이고 유효한 방안임을 확인하였다. 학습자들은 문학과 문학 치료를 활용하는 글쓰기 교수법을 통해 자아의 구성을 이해하고 이를 재구성할 가능성이 자신에게 있음을 이해하고 익히는 과정을 학습할 수 있다. 이는 교양 교육에서 강조하고 있지만 서로의 관계가 겹치거나 명료하지 않은 핵심 역량들을 재고하고, 이들의 함양을 위해 문학이 결정적인 학문 영역이 됨을 확인하는 의의를 갖기도 한다. 다만, 이와 같은 학습자들의 자아 재구성의 가능성은 이들의 현실개입의 가능성의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으므로, 이를 위한 정치적이고 사회적인 구조에 대한 인식과 개선이 함께 이루어져야함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문학치료에서의 영적 독서 적용가능성 고찰

        김기섭 인문사회 21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applicability of spiritual reading to complement the problem of literary therapy. To this end, we reviewed the concept and effect of literary therapy, spiritual reading method, and the possibility of integration of literary therapy in order as a method of literature research. Studies show that the integration of literary therapy and spiritual reading with literary therapy could help manifest healing mechanisms by consciousizing the suppressed unconsciousness, and encourage people to experience understanding of human beings and an insightful consciousness of life and existence. In addition, the integration method is easy, so you can change the text of reading literary therapy into spiritual books and introduce meditation and meditation in the literature therapy program. Conclusion The integration of literary therapy and spiritual reading will help deepen the healing effect of existing literary therapy. 본 연구의 목적은 문학치료의 문제를 보완하기 위해 영적 독서의 적용가능성을 고찰해본 것이다. 이를 위해 문헌연구방법으로 문학치료의 개념과 효과, 영적 독서의 방법, 그리고 문학치료의 통합 가능성을 순서대로 검토해보았다. 연구결과, 문학치료와 영적독서가 통합될 경우 문학치료의 방식, 즉 억압된 무의식을 의식화하여 치유기제를 발현하는 것을 도울 수 있고, 인간에 대한 이해와 생명, 존재에 대한 통찰적 의식을 경험하도록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또 통합 방법도 수월하여, 문학치료 읽기 텍스트를 영적 도서로 바꾸고 문학치료 프로그램 안에 묵상과 명상을 도입하면 된다. 결론적으로 문학치료와 영적 독서의 통합은 기존 문학치료의 치유효과를 심화시키는데 일조할 것이다.

      • KCI등재

        Literary Therapy as Adult Education - Based on the Self-growing and -realizing Lives of Four Therapists

        채연숙,허선아,심지현,김영옥 사단법인 미래융합기술연구학회 2021 아시아태평양융합연구교류논문지 Vol.7 No.2

        This study is aimed to describe and suggest how four research participants came to select the literary therapist course in adult education as a transformative curriculum to grow and develop owing to it, by using a self-narrative method. Through the cases of literary therapists, this research is intended to examine how literary therapy, like adult education, came to develop individual competence and secure professionalism in lifelong education and adult education. This study is describing in order of 1) Life before experiencing literary therapy 2) Process of experiencing literary therapy 3) After acquiring literary therapy. To summarise, seeing through four researchers’ cases, the life-transition characteristic in which these people come to select adult learning, respectively, can be known to proceed with developing diverse areas including self-development, child-rearing, self-healing, and academic expansion. Accordingly, in the research participants’ cases, can be considered to be representative for adult-education cases, achieved self-growth and self-realization literary therapists at the turn of their lives. As seen in the cases of four literary therapists even in this study, there is diversity both in the opportunity that each person came to face literary therapy, and in the social sphere of coming to be active with the changed image. A learner through literary therapy strives to discover “reflected ego (reflektierendes Ich),” which finds true self and reflects on the events of occuring in own life’s journey. The adult learning, which was chosen for the primary objective, comes to elicit even the secondary and tertiary outcomes dubbed personal growth and identity alteration. Resultingly, seeing through four researchers’ cases, the life-transition characteristic in which these people come to select adult learning, respectively, can be known to proceed with developing diversely into self-development, child rearing, self-healing, and academic expansion. The research participants’ cases, which were examined in this study, can be considered to be the representative adult-education cases, which achieved self-growth and self-realization as a literary therapist at the turn of their lives.

      • KCI등재

        신경숙 소설의 문학치료적 효과 -임상사례를 중심으로-

        장미영 ( Jang Mi-yeong ) 한국문학치료학회 2016 문학치료연구 Vol.39 No.-

        이 연구의 목적은, 본 연구자가 경험한 예술요법 상담자로서의 치료적 개입 사례를 통해, 임상환경에서 문학치료가 적극적으로 도입될 수 있는 가능성에 도전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자가 경험한 임상현장은 크게 두 가지 경우로 구분할 수 있는데, 정신적 질환이 있는 경우와 신체적 질환이 있는 경우가 그것이다. 문학작품을 읽는 동안 환자들이 보인 반응을 정신분석적 개념으로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정신적으로 문제가 있는 조현병 환자의 경우는 문학작품에 자신의 내면을 옮겨놓는 과정에서 주로 추론 편견(reasoning bias)을 보이는데, 간헐적으로 자신의 현실적 상황을 제대로 파악하는 통찰을 보이기도 했다. 이에 반하여 신체적으로 문제가 있는 성인 암 환자의 경우는 대부분 문학작품에 자신의 심리적 상황을 부합시켜 자기이해를 증진시키려는 노력과 함께 현실적 문제를 통찰하고 삶을 재해석하는 각성으로 나아가는 모습을 보였으나 가끔은 투사적 동일시(projective identification)를 보이기도 했다. 본 연구자가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문학치료를 진행할 때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여 준비했던 것은 문학치료에 사용할 문학작품을 선별하고 이해하기 쉽게 가공하는 일이었다. 문학치료에 사용되는 문학작품은 일반적으로 경험했음직한 추억이나 과거의 기억을 불러내어 경직된 환자의 감정을 이완시켜 환자의 답답한 현재적 상황을 잠시라도 잊게 만드는 내용을 담고 있는가의 여부였다. 그런 점에서 신경숙 소설은 무척 유용했다. 신경숙 소설에는 유년기의 향수나 지나간 기억을 불러일으키는 장면들이 자주 나타나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가 그 다음으로 고려한 것은 작품에 불안과 긴장을 야기하는 부정적인 상황이 제시되고 나아가 문제적 상황의 해결과정에서 작중인물의 상처를 위무하고 각박한 현실을 긍정적으로 볼 수 있게 하는 내용이 전개되는가의 여부였다. 본 연구자가 담당했던 대학병원 암센터의 문학치료는 환자의 침체된 감정을 고양시키기 위한 예술요법 프로그램 중 하나였다. 암센터에서 진행한 문학치료는 치료사가 병상에 있는 환자를 방문하여 작품을 읽어주거나 아니면 극히 드물기는 하지만 치료사와 환자가 번갈아 가며 작품을 낭독하는 방식을 취하기도 했다. 문학치료를 요청한 암 환자들은 지속적인 작품 읽기를 원했다. 신경숙의 소설에는 공적 영역에서 크게 두드러진 인물이나 이념을 다루는 거시적인 이야기가 없다. 그로 인해 신경숙 소설은 사적 감정에 충실한 인물이 등장하여 과거와 현재의 긴장관계 속에 놓인 자기 존재의 의미를 탐색하고 새로운 가치를 추구하는 면모를 보인다. 이러한 신경숙 소설의 특징적인 면모는 신체적 고통으로 말미암아 잠시나마 공적 영역에서 물러날 수밖에 없는 암 환자에게 새로운 정서적 통찰을 제공한다. 게다가 신경숙 소설에는 특별히 가해자로 분류할만한 인물이 등장하지 않는다. 신경숙 소설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인물들은 서로를 연민어린 시선으로 바라보는 것도 모자라 더 나아가 인물들 간에 서로 합일에 이르는 관계를 갈망하는 모습을 보인다. 그러기에 신경숙 작품의 기저에는 깊은 슬픔이 내재해 있다. 암 환자들은 투병기간 동안 슬픔, 분노, 공포의 정서를 경험하는데, 문학치료는 이들이 표출하는 부정적 정서가 고정적이거나 고착화되는 것을 막는데 기여할 수 있다. 특히 신경숙소설은 부정적 정서를 긍정적 정서로 바꾸어 환자가 절감하는 불행감을 능동적으로 해소하게 만들어, 더 이상 행복감이 유발되지는 않더라도 불행감에만 휩싸이지 않게 환자의 주의력을 환기시키는 촉매로 작용하는 데 효과적인 작품이라고 평가할수 있다. This study gauges the possibility that literary therapy can be introduced to the clinical environment by reviewing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cases I experienced as an art therapy counselor. The clinical cases I dealt with can be divided into two categories: mental and physical disorder cases. Patients` responses while reading literary works can be presented through psychoanalytic concepts. Patients with schizophrenia, a mental disorder, showed a reasoning bias while projecting their inner side on literary works, but intermittently showed insights into a proper understanding of reality. Contrarily, adult patients with cancer, a physical disorder, made efforts to understand themselves by applying their psychological state to literary works and moved towards an awakening by which they could have an insight into problems in reality and reinterpret life; sometimes they were involved in projective identification. The aspect I focused on the most while conducting literary therapy for schizophrenics was selecting and modifying literary works to use in literary therapy. The criteria for selection was if the work had elements that would bring up memories that the patients were likely to have experienced, relax their stiff emotions, and make them forget about the dark reality even just temporarily. In that aspect, Shin`s novels were very useful. Her novels contain many scenes that evoke nostalgia about childhood and past memories. The literary therapy that I was in charge of in the university hospital`s patients` feelings. Literary therapy was conducted as individual therapy for a small number of patients who liked reading. Patients were introduced to the hospital`s art therapy programs and had the right to choose a program they liked or refuse it. Shin`s novels do not have macroscopic stories dealing with figures that stand out in official domains or ideologies. Instead, the author chooses to write stories about average people whose names and identities do not have to be revealed. Therefore the characters in Shin`s novels are those who are faithful to their personal feelings, investigate the meaning of their existence in the tense relationship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and pursue new values. This feature of Shin`s novels provides a new emotional insight to cancer patients who temporarily have to step outside the public domain due to physical pain. In addition, there are no characters that can be categorized as assailants in Shin`s works. Her characters are mainly those who get hurt easily and become victims, or self-sacrificial characters who try to understand others even when they fall victim to them. In particular, Shin`s novels turn negative emotions into positive ones and let patients relieve the unhappiness that they experience. Though they do not evoke happiness, her novels can be evaluated as effective works that serve as a catalyst that attracts patients` attention so they will not be overwhelmed by unhapp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