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인문역량 강화사업≫을 통한 인문교양교육 운영과 과제

        강민희,이승우 동아인문학회 2017 동아인문학 Vol.41 No.-

        Since it was selected as ‘a model of basic liberal arts college’ in 2016 for ≪Initiative for College of Humanities' Research and Education (hereinafter, initiative for CORE)≫, Daegu Haany University has made every efforts to achieve qualitative・quantitative growth in liberal arts education of the university by introducing <Innovative measure in the education process of basic liberal arts based on humanities> to the operating system for liberal arts education, the main issue of which is ‘Triple Cube System’ that is 1) expansion of humanities curriculum centered on literature・history・philosophy 2) Building double DNeA BonD System 3) balanced positioning of the operating system for humanities and liberal arts education. However, due to the issues that university has faced and timely・social environments changing rapidly, with just faithful fulfillment of the plan of the initiative, it is not easy to achieve successful realization in the education of humanities and liberal arts which was initially planned by university as well as the goal of ‘a model of basic liberal arts college’ that humanities will contribute to fostering talented creative people equipped with humanities by supporting all the university students to fulfill their role in basic education. I would like to remind you that we can kill two birds with one stone that is it is not until objective and continuous reflection is made on the plan of initiative and the task is drawn accordingly and the alternative is prepared as well as the plan's faithful fulfillment that initiative for CORE is successfully operated and the vision of the education of humanities and liberal arts in Daegu Haany University is realized. Therefore, while the authors outlined the direction and status of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curriculum at Daegu Haany University, and reflected objectively if the current direction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attained the vision and purpose of <Innovation Plan for Basic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humanities> and “a model of basic liberal arts college” in the Core initiative, They searched for a way to ensure that the liberal arts curriculum based on humanities is stable in the university. I hope the purpose of this discussion reviews the current status of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at Daegu Haany University objectively and function as a clue preparing the task and the proposal for sustainable growth so that it can help the fulfillment of university's vision and goal of education, “Leading College of Integrated Liberal Arts Education Based on Traditional Values” and “Fostering Healthy Talented People Respecting the Tradition and Lives”. 대구한의대학은 2016년 ≪대학인문역량강화사업(이하, CORE 사업)≫의 ‘기초교양대학 모델’에 선정된 이후 지금에 이르기까지 해당 모델의 기본개념을 충실히 따르기 위하여 1) 문(文)・사(史)・철(哲) 중심의 인문교과목 확충, 2) 2-重 DNeA BonD System 구축, 3) 인문교양교육 운영체계를 균형 있게 배치하는 ‘3-重 Cube System’ 마련을 주요 골자로 하는 <인문기반 기초교양 교육과정 혁신방안>을 교양교육 운영체계에 도입함으로써 대학 교양교육의 질적・양적 성장을 도모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과 인문학이 당면해 온 문제들과 급변하는 시대적・사회적 환경으로 인해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행만으로는 “인문학이 대학전체 학생들의 기초교육에 그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지원하여 인문소양을 갖춘 창의인재 양성에 기여”한다는 ‘기초교양대학 모델’의 목표는 물론, 대학이 당초에 구상한 인문교양교육의 성공적인 실현을 도모하기 어렵다. 이는 사업계획의 충실한 수행과 사업진행과정에 대한 지속적인 성찰, 그리고 문제점의 도출 및 적시의 보완이 이루어질 때야 비로소 CORE 사업의 성공적인 운영과 대구한의대학 인문교양교육의 비전 실현을 동시에 도모할 수 있음을 환기한다. 따라서 논자들은 대구한의대학의 기초교양 교육과정의 방향과 현황을 개괄하고, 현재의 운영 방향과 내용이 <인문기반 기초교양 교육과정 혁신방안>과 CORE 사업의 ‘기초교양대학 모델’의 비전과 취지를 달성하고 있는지를 객관적으로 성찰하는 한편, 인문기반 기초교양 교육과정이 대학에 안정적으로 안착할 수 있는 방향을 모색하였다. 본 논의가 대구한의대학 기초교양 교육의 현황을 객관적으로 살피고, 지속적인 성장을 도모하기 위한 과제와 제안을 마련하는 실마리로 작용해 “전통가치에 기반을 둔 융합교양교육 선도대학”과 “전통과 생명을 존중하는 건강한 인재양성”이라는 대학의 교육비전과 교육목표를 수행하는 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인문학과 경영학 : 교류와 통섭

        권석균,Seog-Kyeun Kwun 한국인사조직학회 2015 인사조직연구 Vol.23 No.2

        인문학과 경영(학)의 만남은 시대적 요청이다. 21세기에 이르러 인문학적 접근의 필요성이 급증하고 있는데 그 이유는 과학주의의 우산아래 있는 경영학이 새로운 시대적 요구를 담아내는데 실패하였기 때문이다. 뿐만 아니라 시장에서의 경쟁우위가 창조와 감성으로 변함에 따라 인문학적 상상력과 창조능력의 필요성이 커졌다. 학문적 풍토와 추구하는 가치, 방법론 등에서 상이하기 때문에 인문학과 경영학의 교류는 그 만큼 어렵고 새롭다. 동시에 그 효과가 크다고 볼 수 있다. 인문학적 재료와 방법론을 경영(학)에서 차용하는 정도의 교류를 뛰어넘어 이론적 통합과 통섭의 영역을 발굴하고 발전시킬 때 경영학의 큰 변화가 가능할 것이다. 인문학과 경영(학)의 교류는 분야별로 다르게 진전되었다. 문학에서는 이제 교류의 가능성이 탐색되는 정도에 불과하지만 철학, 역사 및 예술에서는 다양한 교류가 진행되었고 이론의 적용(차용)뿐 아니라 통섭에까지 가능성을 열어놓고 있다. 문학은 완전히 새로운 관점으로 기업경영계의 인간행동을 이해하게 해줄 수 있다. 경영과의 문화적 간극이 그만큼 크기 때문이다. 철학은 기업윤리와 경영철학 분야에 깊이 침투해 왔으며, 오늘날 기업윤리의 복잡성이 증대함에 따라 도덕철학 관점이 폭넓게 적용될 필요가 커졌다. 아울러 공동선이론과 과정철학도 경영(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역사학적 관점은 이미 기업역사 및 경영사 연구에서 광범위하게 도입되어 왔는데, 역사적 맥락 하에서 경영현상을 연구하고 해석할 필요가 커지고 있다. 이에 기업의 규범적 역할을 역사발전에서 찾고자 하는 경영학적 역사성의 개념은 기업경영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던져준다. 예술은 경영자개발과 조직개발에 효과적인 도구이며, 창업혁신가의 역량 개발에도 유용하다. 감성과 창조, 혁신의 시대에 예술적 역량이 중요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에 경영교육에서도 여러 형태의 예술 방법론이 채용되는 추세이다. 예술경영은 경영이 예술의 세계에 접목되어 독자적으로 진화하는 영역이다. 이상과 같이 인문학과 예술은 경영에 근본적인 전환을 가능케 해준다. 그리고 경영(학) 교육 측면에서도 인문학적 접근법을 통한 혁신적 경영교육이 지속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인문학과의 교류와 통섭이 진지한 성찰로 이어질 때, 우리는 경영의 학문적 및 교육 측면에서 큰 전환점을 맞이할 수 있다. Humanities-based approaches to management theory and business education have increasingly caught the attention of business leaders and scholars. A dramatic shift toward creative economies and new forms of capitalism in the 21st century require new management theories and teaching methods. Historically, management studies have developed separately from humanities and the arts, since they were governed by scientific methods and a positivist approach during the 20th century. The differences between science and humanities stem from fundamentally different philosophical views and methodological approaches concerning knowledge and human nature. As management and business rely heavily on scientific methods, the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humanities and business remain wide. Thus there is a need for exchange and consilience. This article looks at academic exchange and consilience between management and the four main humanities disciplines: literature, philosophy, history, and the arts. Exchange and consilience between humanities and business education are also a major focus of the paper. A literature-based approach to management is in an embryonic stage, while philosophy, history, and the arts have been increasingly adopted in management studies and business education. Yet literature is expected to provide a totally new perspective on administrative and human behavior, given the huge cultural differences. Philosophy, in the form of moral philosophy, has long been the basis of business ethics theory and practice. Common good theory and process philosophy also provide rich arguments for stakeholder views and change management, respectively. History has provided an approach to business that has been popular in business case studies and in the work of business historians. A new area for consilience is the concept of the historicality of business against the neo-liberalistic, ahistorical view of business. Finally, arts-based training has proven effective for organizational and management development. Given the strong demand for creativity and innovation, the time is right for more collaboration between the arts and management. Arts management is an area of adopting management to arts. Humanities have not been well represented in business schools because management scholars and teachers are heavily biased toward scientism. However, humanities-based business and business education will enable business leaders and students to broaden their views, values, and competencies required in this new era.

      • KCI등재

        인문학으로서의 미술(교육),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 탐색

        이은적(Eun-Jeok, Lee) 한국문화교육학회 2020 문화예술교육연구 Vol.15 No.3

        미술 교과는 학생들이 인간과 세상을 이해하고 판단하는 안목을 형성하며 비판적 성찰을 통해바람직한 삶을 추구하도록 가르쳐 왔는가? 미술 교과는 인문학 교육과 어떻게 관련되며 이를 어떻게 구현할 수 있을까? 이러한 문제 제기로 이 논문에서는 인문학으로서의 미술(교육),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를 탐색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우선 인문학 교육에 대한 논의를 살펴보고, 인문학적 가치를 중시한 미술교육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며 그동안 미술(교육) 에서의 인문학적 가치를 어떻게 접근하였는지 검토하였다. 이어서 미술의 인문학적 가치를 다음의 다섯 가지 관점별로 살펴보았다. 첫째, 미술작품은 인간에 관해 이야기한다. 둘째, 미술은 당시의 시대적, 사회적 배경, 삶의 방식이 담겨 있다. 셋째, 예술은 인간과 현실의 관계를 변화시킬수 있다. 넷째, 미술은 모든 인문학의 기초가 되는 행위와 경험에 기반을 두고 이를 극화하는 특수한 임무를 띠고 있다. 다섯째, 미술사, 미학과 같은 미술작품의 해석은 인문학에 의존하며, 인문학적 활동이다. 이러한 관점에 따른 탐색은 미술교육에서의 인문교육의 내용과 방법을 자연스럽게 제시하고 있다. 이 연구 결과는 관점별로의 내용을 구현하는 질적인 수업 설계에 관한 후속연구를 제안하며, 미술교육이 인간을 이해하고 삶의 문제를 풀어가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함을 시사한다. How is art subject related to humanities education and how can it be realized? With this question raised, this study examines art as humanities and the humanities of art. This study examines the discussion on humanities education, analyzes prior studies on art education that emphasizes humanities, and examines how the humanities values in art (education) have been approached. Next, we examine the humanities of art by five perspectives: First, art works talk about human beings. Second, art contains the era, social background, and ways of life of the time. Third, art can change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reality. Fourth, art is based on the acts and experiences that are the basis of all humanities and has a special mission to dramatize it. Fifth, interpretation of art works such as art history and aesthetics depends on humanities and is an activity of humanities. The exploration of different perspectives in art naturally presents the content and method of humanities education in art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pose a follow-up study on the design of qualitative lessons that embodies contents by perspectives, and suggest that art education should go in a direction that can help humans understand and solve problems in life.

      • KCI등재

        인문학과 예술의 접점에 대한 연구 :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 탐색을 위해

        이재영(Jae-Young Lee) 한국국제미술교육학회 2020 미술과 교육 Vol.21 No.2

        본 논문은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를 탐색하기 위해 인문학과 예술의 접점을 살펴본 연구이다. 미술을 인문학으로 받아들이는 태도는 보편적이다. 하지만 실천을 위한 적극적인 연구가 부족한 상태이며 또한 실천의 토대 구축 연구가 필요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미술을 인문으로 규정하고 이에 따른 체계적 후속 연구의 틀을 잡아보고자 한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주로 인문학 분야의 서적을 중심으로 문헌 연구를 진행한다. 미술교육 분야에서 인문학과의 관계성을 탐구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을 고려해 인문학에서 미술을 바라보는 인식의 기원과 전개를 찾아본다. 연구 결과 인문학과 관련된 다양한 용어의 정의, 인문학 교과목, 인문학의 목적, 그리고 인문으로서 음악을 논의한다. 이를 근거로 왜 미술은 인문에 포함되지 못했는가를 살펴본다. 그리고 미술과 인문의 관계성을 설명한다. 본 연구는 미술교육의 인문학적 가치를 연구하는 후속연구의 기초 연구가 될 수 있으며, 현장 실천을 위한 학문적 토대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argeting at the humanistic value of art education, this study explores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ies and art. It is very common to consider art as a part of humanities. There, however, is insufficient research to support this common assumption for the practice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Responding to this unbalance, this paper investigates into the fundamental ground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ities and art. It is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both to define art as a humanities and to call for the substantial changes and further practice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To achieve this goal, this research utilizes a selected literature review of the humanities rather than art. Lack of research in art and art education showing the origin and development of humanities causes this roundabout way. This research defines the several keywords regarding humanities in terms of humanities, liberal arts education, paideia, ars, and kallos. It also discusses the subjects of humanities, the purposes of humanities, and music as humanities. This discussion provides us an explanation of why humanities do not include art as its’ subject. It also hints how to consider art as humanities. The argument this paper addresses expects both further theoretical and practical research in this direction.

      • KCI등재

        문화예술교육과 인문학적 바탕

        전선자(Cheon, Seon-Ja)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1 한국문학과 예술 Vol.8 No.-

        지금은 과학기술의 시대이다. 이 시대에 ‘우리를 자유롭게’ 혹은 ‘인간답게’ 하는 ‘인문학의 전형은 무엇인가’라는 명제를 갖고, 문화예술교육에서 인문학적 바탕을 문화예술의 현장에서 명확히 반영되는 새로운 지식의 활용을 통해 고찰한 연구논문이다. 이 연구방법을 택한 것은 현장은 살아남기 위해 항상 앞서가는 고도의 전문지식을 활용하기 때문이다. 또 현장의 문화예술인들은 끊임없는 노력으로 지식을 습득하고 창의적인 지식을 생산하며 또 그 지식을 확산해 사회적으로 활용 가능하게 하고 있다. 그들이 창출한 지식은 자신을 성찰하고 정신적 성장만을 도와주는 전통적 의미의 지식이 아니라, 상상력으로 기존의 틀을 깨고 창의적이고 새로운 실용성을 입증하는 새로운 시대의 지식을 창출한 것이다. 사회 현상 속에서 이 같이 꼭 필요한 지식은 교육의 장에서 반드시 가르쳐야 할 학습대상이다. 그 이유는 교육의 장에서 무엇이 결핍되어 있는지를 알려주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문화예술의 현장 속에서 과학시대의 인문학적 소양이 어떻게 변화하고 무엇을 필요로 하는가를 알아내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과학기술의 시대의 ‘인문학’과 ‘과학’은 인류문명의 두 축이다. 이 관계는 대립이나 경쟁관계가 아니고 서로를 필요로 하는 관계이다. 바로 인간과 인간적 삶의 가치에 대한 인문학적 이해가 전제된 가운데 자연과 인간에 관한 과학적 탐구와 그 의미도 소용이 된다. 문화예술분야도 이제 과학기술의 활용 없이는 거의 불가능하다. 그래서 ‘인문학과 과학의 융합’은 문화예술교육에서도 불가분의 관계가 되었지만, 그럼에도 현장 속의 문화예술인들의 전문지식활용을 통해 보면, 과학과 인문학과 문화예술의 창조적 발전을 위한 문화예술교육은 인간을 ‘인간답게’하는 인문학적 바탕을 여전히 필수전제조건으로 갖는다. 따라서 우리 문화예술교육의 혁신과 발전은 인문학의 중요성을 새로운 지식창출과 활용능력과 함께 교육목표로 삼았을 때 가능할 것이다. 자동차디자인, 광고디자인, 미디어아트라는 문화예술의 실상이 이제는 우리 공교육현장이 변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실을 입증한다. In the era of science and technology, I asked the question "what is the typical model for humanities that "set us free" or make us "humanly"?" and looked up the study of arts educations with humanities in the very field that arts education is being applied. What is the necessary in the field of society is the targets that must be learned in the field of education. This is the study that indicates knowledge of humanities are strongly essential in the field where arts education is applied, through several cases. In the era of technology, "Humanities" and "Science" are the two axes of human civilization, and these two axes are not antagonistic nor competitive but rather compatible, and need each other. It is useless of scientific study of nature and human without the understanding of humanities which includes comprehension of human and the value of human lives. Also, nowadays arts education needs the scientific technology. Therefore, "the merge of Humanities and science" is undetachable in the field of arts education. However, I found the appropriateness of humanities being prerequisites in arts education, for the creative evolution of science, humanities, and arts education. This work looks up "humanities" in 3 cases of arts educational field: Car Design, Advertisement Design, and Media Art. I hope this work be a help to the internal change and development of our arts education.

      • KCI등재

        인문예술융합 교양교과목을 통한 자기계발 가능성 모색

        김경미 한국교양교육학회 2016 교양교육연구 Vol.10 No.4

        This study aims to research the necessity and effect of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ce education curricula. As an example of a case study to approach the goal above, the contents and operation method of two convergence curricula in realm of art history were be introduced and its effect was analyzed in this study. <Modern Art and the Human> and <Art and culture> were developed to reinforce student's cultural acceptance, which is a required virtue of a global era member. During these curricula students will have opportunities to comprehend a wide range of world views and matters of human through the works of various ages and cultures, and contemporary art as well. And they can develop a sensibility and empathy through the art works and improve critical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by debating on various issues. Thus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ce education is a very creative model which lead students to increase the problem solving capability and helpful for self improvement too. Another perspective on the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ce education shows that it can also play a role as an effective academic alternative of character education. The selected works of humanities and arts containing various topics are best texts for character education. The new model proposed, hopefully, will give a new perspective of convergence education.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confirm the necessity and value of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ce education in which Korean universities are relatively less interested. In addition, through this study will help to make a further discussion for the continuing and development and vitalizations of humanities and arts convergence educ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대학에서 과학기술과의 융합에 비해 상대적으로 관심을 덜 받고 있는 인문예술융합교육의 필요성과 그 효용성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가 개발하여 담당하고 있는 교양교과목인 <현대미술과 인간>과 <미술과 문화> 수업사례를 토대로 인문예술융합교육의 자기계발 함양 가능성을 타진해보았다. 미술사는 여러 분야와 연결된 일종의 융합학문으로 인간의 제 문제를 다룬다. 수강생들은 미술 작품들을 통해 다양한 세계관과 문제들을 이해하며 글로벌 시대의 구성원으로서 갖추어야 문화적 포용력을 함양할 수 있다. 동시에 작품과 관련된 주제를 다루는 토론과 실습을 통해 타인을 이해하고 자기주도적인 학습 기회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내실 있는 수업내용 구성과 효율적인 수업운영 그리고 다양한 방식의 평가문항 개발로 종합적이고 창의적 사고력 함양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양한 인문학 텍스트와 예술작품을 활용한 인문예술융합교육은 오늘날 새로운 시대적 요청으로 부각된 인성교육의 학술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인문예술융합교육은 시대적 요구와 대학의 교육 목적에 부합한 교육모델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철학함’으로서 인문학 - 총체적 학문으로서의 인문학을 위한 단초 -

        박연숙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6 人文硏究 Vol.- No.76

        The status of humanities in our society is either in crisis, due to the recent cuts of humanities departments on university campuses, or enjoying the peak of public interest, evidenced by the plethora of humanities lectures and books outside academia. The common thread that ties together both perspectives is that the humanities is being packaged and traded as a commodity for consumption, which comes from the lack of understanding on why the humanities is essential let alone how to approach the subject. The current paper sets the humanities’ future objectives by criticizing both the narrow perception of the humanities as well as the practice of treating the humanities as a commercial product. The paper then proposes the treatment of ‘humanities as a comprehensive discipline, where the linkages between different disciplines are emphasized. The method to achieve this is the adoption of ’doing philosophy’ as an ‘approach’ to reasoning that requires asking questions, introspection, and adaptation to study the values of mankind and conditions for life. 최근 우리 사회의 인문학의 위상은 이중적이다. 한편에서는 인문학이 위기라고 하고 김덕삼, 최원혁, 「인문학 위기에 대한 나, 여기, 지금을 중심으로 한 실존적 접근」,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인문연구』 69호, 2013, p. 452. , 다른 한편에서는 인문학 열풍이 일고 있다고 한다. 대학의 인문학 관련 학과의 축소와 폐지가 ‘위기’로 인식되고, 인문학 강의와 인문학 관련(humanistic field) 출판물이 호황을 누리면서 ‘열풍’으로 인식되고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인문학이 인간의 주요 문화 자산이라는 것에 모두 동의하면서도 정작 왜 인문학이 필요하고 어떻게 접근해야 하는지는 모르고 있다. 이를 위해 인문학의 개념을 바탕으로 인문교양(liberal arts)이 어떻게 변화되어 왔고, 그 변화의 흐름 속에 무엇이 문제인지,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지를 반성해 본다. 본 논문에서는 현행의 인문대학 학과 체계로 제한된 협의의 인문학과 시장 논리에 좌우되는 상품으로서의 인문학을 비판하고, ‘총체적 학문으로서의 인문학’의 개념을 제안한다. 인문학이 총체성을 회복하기 위해 먼저 인문학과 자연과학, 인문교양교육과 직업교육, 경험과 이성 등의 전통적 이분법에 대해 비판하고 양자 간의 연결성을 주장하며 ‘총체적 학문으로서의 인문학’의 가능성을 확인한다. ‘총체적 학문으로서의 인문학’이 가능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지금보다 더 많은 인문학 전문 지식을 체계화하는 것과 동일한 것이 아니다. 본고에서 ‘총체적 학문으로서의 인문학’을 위한 단초로 ‘철학함’의 태도를 제시한다. ‘철학함’이란 인간의 가치와 삶의 조건에 대해 스스로 묻고 반성하고 탐구 주체가 되는 사유의 태도이지 분과 학문으로서 철학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철학함의 태도를 견지하고 인문학적 가치를 탐색하는 것을 본고에서는 ‘철학함’으로서의 인문학’(humanities of doing philosophy)이라 부르고, ‘철학함’으로서의 인문학을 인문학이 총체적 학문으로 나아가기 위한 단초로 제시한다.

      • KCI등재

        무예의 문화적 가치와 방향에 관한 시론

        김영만(Kim, Young Man),곽영만(Kwak, Young Man),옥광(Ok, Gwang) 한국체육교육학회 2021 한국체육교육학회지 Vol.25 No.4

        본 연구는 무예의 문화적 가치와 방향을 고찰하여 무예의 다양한 가치와 방향을 새롭게 접근하는 단초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예의 교육적 가치의 방향으로 학교체육에서 무예가 1인 1기 필수과목으로 초ㆍ중ㆍ고등학교에 채택이 필요하다. 둘째, 무예의 스포츠적 가치의 방향으로 무예의 근대성과 낙후성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무예에 대한 전환적 인식과 태도로 무예의 스포츠적 인문의 지향이 필요하다. 셋째, 무예의 건강적 가치의 방향으로 무예 수련에서 몸 수련과 마음 수련을 통한 건강한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넷째, 무예의 윤리적 가치의 방향으로 무예인 스스로 자신 지키는 방법으로 인문적 소양과 겸양의 미덕을 갖추고 상대를 대하고, 평소 무예 수련으로 개인의 건강과 자신감, 자제력, 도덕적 의무, 책임감 등을 호신술을 통해 배우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무예의 인문적 가치와 방향은 문과 무의 균형적인 발전과 함께 할 때 비로소 사회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고, 무예가 한 층 더 수준 높은 문화로 자리매김 하게 하기 위해서는 무예의 인문학적 체계 정립과 개발에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할 것으로 본다. Purpos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various cultural value and directions of martial arts through an investigation about martial arts. Method: The research method is to draw the final conclusion through a process of inter-subjective Discussion and to narrate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various record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method and the conference related white paper. Results: frist The Ministry of Education should adopt martial arts as a compulsory subject in physical education in schools so that each student can specialize in one type of martial arts. Second, it is recommended to change people’s perceptions and attitudes towards martial arts and develop the sport beyond mere physical activity. Instead, martial arts requires the pursuit of the sports-related humanities, including the addition of knowledge, sentiment, and culture. This can be achieved by combining and converging physical activity-centered sports with research from anthropology, sociology, psychology, and pedagogy. Third, martial arts training should be aimed at helping athletes lead a healthy life by training their bodies and minds. Fourth, martial arts athletes should face their competitors with humanistic knowledge and the virtue of modesty as a means to self-protect. In addition, they should learn to improve their health, self-confidence, self-control, moral duties, and sense of responsibility using self-defense skills Conclusion: through regular martial training. Based on the incorporation of these requirements and the balance of literary and martial arts, the humanistic value and direction of martial arts will result in national prosperity and military power. More literature should be written to spur the structured establishment and advancement of martial arts to help athletes lead an upstanding life. This can be achieved by combining and converging physical activity-centered sports with research from anthropology, sociology, psychology, and pedagogy.

      • KCI등재

        표현예술로서의 무용과 문학의 통합적 연구

        서숙희,신수연 한국현대문예비평학회 2012 한국문예비평연구 Vol.- No.38

        As a expressive arts therapy, combination of literature and dance as a field of integrative psychotherapy is an entirely new frontier. Individual art therapy in clinical studies to study each of literature and dance were conducted before, but for the interdisciplinary study of two genres rarely. This work aims to study the positive idea of psychotherapy in each dance psychotherapy and literature psychotherapy based on human-centered expressive arts therapy by Natalie Rogers. Creative arts and treatment operations will be integrated. Expressive arts therapy includes; dance therapy, art therapy. Music therapy, Writing, short drama ect. It is more efficient by mobilizing the various arts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treatment. expressive arts can be used to resolve inner conflicts, and to awaken individual creativity. Dance psychotherapy can be used for the outward expression of depression and literature psychotherapy can be used as a instrument to release inner consciousness of redemption. dance psychotherapy is searching oneself through dance-like motion and writing is exploring the inner self-awareness through writing. It helps patient to overcome difficulties in reality by being somebody in the story. Integrated treatment of literature, dance and expressive arts as a 'positive psychological treatment' technique is another therapeutic program for clients (patients). This kind of Art Therapy should be widely applied now. Dance psychotherapy can be used for the outward expression and literature psychotherapy can be used as a way to relieve the inner consciousness of redemption. In addition, theater, art, music and other arts fighters along with psychotherapy may be more effective. As well as the mechanism of NLP will be more effective.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expected some trial. Via ongoing clinical trials will be followed by the development. In the meantime, if various genre of artists joins combined arts therapy of dance and literature, it would make even more diverse and expanded reproduction of therapy. 문학과 무용의 통합적 심리치료 분야는 표현예술치료 기법으로 새로운 개척분야이다. 개별적 장르별 예술치료 연구는 그 동안 임상연구에서도 상당한 실적이 있었으나, 두 장르에 대한 통합적 학제간 연구는 부각되지 못했다. 본고는 ‘인간중심 표현예술치료’를 근본으로 삼고 ‘긍정적 개념의 심리치료 기법’으로서 창조적 예술과 치료적 작업을 통합한 무용심리치료와 문학심리치료의 통합적 연구를 시도하였다. 표현예술치료에는 무용치료, 미술치료, 음악치료, 연극치료, 글쓰기(시. 편지, 수필 등), 시낭송 이미지를 포함한 모든 예술형태가 가능하기에 각종 예술의 종합적 활용으로 심리치료의 효과는 극대화 될 수 있다. 개인의 창조성을 일깨우는 표현예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치료는 내적 갈등을 해소하고 정서적 치료의 촉진에 기여하기 때문이다. 무용심리치료는 외형적 표출의 해소방법으로써, 문학심리치료는 내면적 고백의 해방감의 도구로써 효과적인 활용이 가능하다. 무용심리치료의 방법인 춤-동작을 통하여 자아를 되찾을 수 있고, 문학심리치료의 방법인 글쓰기를 통한 내면의 자아인식을 각성해 나갈 수 있다. 글쓰기와 동시에 책읽기는 스스로 그 주인공에 동질화 되어감으로써 현실을 인식할 수 있고, 극복과정에 자극을 줌으로써 각성 효과를 낳게 한다. 무용과 문학, 그 통합적 표현예술치료의 대안으로 ‘긍정적 심리치료’ 기법의 적용은 내담자들을 위한 또 하나의 치료적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예술치료의 학제간 접근방법은 이제 폭넓게 응용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통하여 그 동안 단편적으로만 실시해 오던 심리치료 문제는 각 장르별 예술가들의 적극적인 참여로 보다 다양해 질 수 있을 것이며, 나아가 심층적으로도 확대 및 재생산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최근에 사회복지 차원에서 대중화 되고 있는 MTBT, 또는 NLP의 메커니즘도 활용한다면 그 효과를 더욱 극대화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최종적으로 이 논문의 한계로는 이러한 이론적 접근방법이 실제적으로 응용될 때 예상되는 일정 시행착오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지속적인 임상실험을 거친다면 충분히 발전적인 결과가 나올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고전문학을 활용한 융합교양의 실제사례와 생태인문학의 의의

        이명희 한국문학치료학회 2019 문학치료연구 Vol.53 No.-

        The definition of Ecological Humanities is still a vague term while the discussion is on the table. The Ecological Humanities is a fusion studies which is a combination of liberal arts and ecology that is under a natural science category. It is a study that has started as a practical efforts to solve multiple issues of our planet in varies perspectives, which is almost impossible to approach with a single perspective of studies Therefore, the Ecological Humanities is a interdisciplinary study between ecology and liberal arts that anchors the perspective of liberal arts in order to attract more attention on our issues of not only the survival of our species but also the future prosperity of entire species of our planet. This paper is as aforementioned looking at the process of a ritual through the re-telling of classic literatures as a study of fusion liberal arts. It is a progress of exploration of a possibility of having the ecological Humanities perspective requested by our age by re-telling of classic literatures. It means that the re-telling of classic literatures would possibly be used in a modern fusion study of 'the Ecological Humanities' and it also means a start of possible excavation of 'Self Narratives' in a meaning in a literature therapy. This paper discusses <the Story about Rabbit> and <Tiger Brother>. The re-telling of the stories reiterate the perspective of human-centered from the view of 'the Ecological Humanities' or it disagrees from the customary themes of classic literatures having navigated the themes toward environmental issues. The two stories are presentative cases of having fusion perspectives in liberal arts area. In case of students with environmental consciousness, the re-telling of classics points toward the ocean pollution and they have scientific evidences and cases. Furthermore, the theme of the story <Tiger Brother> is altered to life-centered by highlighting the lines of the main character which is radically human-centered. This regurgitates and activates the classics ever more, not just reading the stories but having re-telling the stories recognizing the modern issues of humanities. The start of the Ecological Humanities are not hard nor are in examination of natural science. It could be an empathy of present issues reviving the classics, that have been considered not relevant to us, to our day-to-day lives. As the Literature Therapy indicates that the classics are not the text but the epic itself, the re-telling of classics is the process of refocusing to realistic modern epic. At the end of the day, the classics could be used as a brilliant fusion study epics that anchors the Ecological Humanities. 생태인문학에 관한 논의가 진행 중이지만 ‘생태인문학’이라는 용어는 명확하게 수립되어 있지 않다. 생태인문학은 자연과학의 범주인 생태학과 인문학의 융합학문이다. 이는 한 가지 학문영역으로는 풀기 어려운 전 지구적 난제를 다양한 시각에서 풀어 보려는 실천적 노력에서 시작한 학문이기도 하다. 따라서 ‘생태인문학’은 인간의 생존뿐만이 아닌 전 지구적 생물체의 공존의 문제와 이를 위한 환경문제에 관심을 기울이기 위해 인문학적 관점을 견인하고 있다는 점에서 생태학과 인문학의 간학문적 성격을 지닌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입장에서 융합교양으로서 고전작품의 리텔링(re-telling)을 통해 그 의식이 어떻게 전개되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는 고전문학작품 의 재독이 시대가 요구하는 생태인문학의 시각을 견인한다는 차원에서 그 가능성을 탐색하는 과정으로써 그 의의가 있다. 이는 고전문학의 다시 읽기(再讀)가 현대의 융합학문인 ‘생태인문학’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는 문학치료에서 의미하는 ‘자기서사’의 발견 가능성의 출발이다. 본고에서 논한 작품은 <토끼전>과 <호랑이형님>이다. 두 작품의 리텔링은 모두 ‘생태인문학’적 입장에서 인간중심주의적인 시각을 재해석하고 있거나, 환경문제로 주제를 전환시키고 있어 고전문학의 전통적 주제와는 이견을 보이고 있다. 이들 두 작품의 리텔링은 교양과목에서의 융합적 시각이 전개된 경우의 대표적 예이다. 환경문제를 생각하고 있는 학생들의 경우 고전 개작 내용도 바다 쓰레기와 관련된 이야기로 리텔링하였으며, 자연과학적 근거와 예시를 활용하였다. 또한 인간중심주의적 생각에 사로잡힌 주인공의 대사를 통해 <호랑이형님>은 만물생명 중심주의로 주제가 전환되었다. 이로써 두 문학작품을 단순히 읽는 것이 아니라 현대의 인류가 마주하는 난제를 인지하고 다시 읽어냄으로써 고전문학은 살아있는 작품이 되었다. 생태인문학의 출발은 어려운데 있거나 자연과학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에 있지 않다. 이것은 현대와 상관없다고 생각한 고전을 다시 우리의 삶으로 끌어냄으로써 현재의 문제로 공감하는데 있다. 문학치료학이 말하는 문학이 단순한 ‘텍스트’가 아닌 ‘서사’를 가리키는 것이기에 고전의 리텔링은 살아있는 현재의 서사로 집중하는 과정이다. 결국, 고전문학은 생태인문학을 견인하는 융합교양의 훌륭한 서사텍스트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