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상 성인 말초혈액 내 CD4+ 및 CD8+ 림프구 아군의 구성 비율

        한윤수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1998 忠北醫大學術誌 Vol.8 No.1

        연구목적 : 본 연구에서는 정상 성인의 말초혈액에서 분리한 CD4+ 및 CD8+ 림프구 각각에서 T helper 1(Th1)과 T helper 2(Th2) 림프구 및 T cytotoxic 1(Tc1)과 T cytotoxic 2(Tc2) 림프구의 구성비율을 알아보고, 이것으로부터 Th1/Th2 비와 Tc1/Tc2 비를 계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이와 같은 목적을 위해 분리한 말초혈액 단핵세포를 CD4 또는 CD8에 대한 염색을 실시한 후 세포내 IFN-γ와 IL-4에 대한 염색을 실시하였으며, 결과는 유세포 분석을 이용해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0명의 건강한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이들의 연령은 22.36 ±3.54 세였다. 결과 : 말초혈액 CD4+ 림프구 중 IFN-γ만을 생성하는 Th1 림프구의 비율은 6.18 ±5.28% (평균±표준편차)였다. 말초혈액 CD4+ 림프구 중 IL-4만을 생성하는 Th2 림프구의 비율은 0.92 ±0.93%였다. 말초혈액 CD8+ 림프구 중 IFN-γ만을 생성하는 Tc1 림프구의 비율은 22.16 ±17.03%였다. 말초혈액 CD8+ 림프구 중 IL-4만을 생성하는 Tc2 림프구의 비율은 0.32 ±0.06%였다. 말초혈액에서의 Th1/Th2비와 Tc1/Tc2 비는 각각 7.41 ±4.38과 166.25 ±43.13이었다. 결론 : 정상인 말초혈액에서의 Th1 림프구의 비율은 Th2 림프구의 비율에 비해 약 7.4배였다. 정상인 말초혈액에서 Tc2 림프구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으며, 대부분의 CD8+ 림프구는 Tc1 림프구로 구성되어 있었다. Purpose : In this study, the frequencies of T helper and cytotoxic cell subsets were observed in peripheral blood CD4- or CD8-positive cells from 20 healthy adults and from this data. Tc1/Tc2 ratios as well as Th1/Th2 ratios were obtained. Methods : Using a multiparameter flow cytometric assay that allows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intracellular IFN-γ and IL-4 in CD4+ or CD8+ cells, we have studied the emergence of Th (Th1 and Th2) and Tc (Tc1 and Tc2) cell subsets in peripheral bloods of 20 healthy adults. Results : The frequencies of IFN-γ-producing cells in CD4+ populations were 6.18±5.28%(mean ± SD). The frequencies of IL-4-producing cells in CD4+ populations were 0.92 ±0.93%. The frequencies of IFN-γ-producing cells in CD8+ populations were 22.16 ±17.03%. The frequencies of IL-4-producing cells in CD8+ populations 0.32 ±0.06%. The Th1/Th2 and Tc1/Tc2 ratios were 7.41 ±4.38 and 166.25 ±43.13,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frequencies of Th1 cells were about 7.4 times higher than those Th2 cells in peripheral bloods of healthy adults. because Tc2 cells were hardly observed, almost all of CD8+ cells in peripheral bloods from healthy adults were Tc1 cells.

      • Dermatophagoides farinae 자극에 대한 알레르기 천식 환아에서의 Th 및 Tc 림프구 반응

        한윤수,박진우,김상태,박종국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0 忠北醫大學術誌 Vol.10 No.1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Dermatophagoided farninae(Df)에 알레르기를 나타내는 소아 천식 환아들의 말초혈액 단핵세포를 여러 농도의 Df 존재 하에서 배향한 후 T helper(Th) 및 T cytotoxic(Tc) 림프구 반응을 관찰하여 Df 농도 변화에 따른 Th 및 Tc 림프구 반응의 변화를 관찰하고 면역요법 시행 유무에 따른 Th alc Tc 림프구 반응의 차이를 단일 세포 수준에서 관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천식 증상으로 충북대학교 소아과 알레르기 클리닉을 방문하여 피부 단자 검사상 Df에 강양성(4±)을 나타낸 10 명의 소아 알레르기 천식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8세에서 11세 사이의 소아만을 연구에 포함시켰으며, 이 중 소아 5명은 최소 2년 동안 면역요법을 시행 받은 환자들이었다. 환아들로부터 말초혈액 단핵세로를 분리하여 각각 0, 0.1, 1, 10 ㎍/㎖의 Df 존재 하에서 5일 동안 배양한 후 유세포 분석을 실시하여 Th 및 Tc 림프구의 빈도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Th2/Th1 및 Tc2/Tcl 비율을 계산하였다. 결과: 모든 환아에서 Df 자극에 의한 우월한 Th2 림프구의 빈도를 관찰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Th2/Th1 및 Tc2/Tcl 비율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10㎍/㎖의 Df 농도에서는 Tc2/Tcl 비율 증가에 비해 Df 자극에 의한 Tc2/Tc1 비율의 증가가 상대적으로 적었으며, 모든 환아들에서 0.1 및 1 ㎍/㎖의 Df농도에서는 현저한 Tc2/Tc1 비율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면역치료를 시행받지 환아들에 비해 면역치료를 시행 받은 환아들에서 Th2/Tc1 비율의 증가가 관찰되지 않았으나 10㎍/㎖의 Df농도에서는 현저한 Tc2/Tc1 비율의 증가가 관찰되었다. 면역치료를 시행받지 환아들에 비해 면역치료를 시행 받지 환아들에 비해 면역치료를 시행 받은 환아들에서 Th2/Th1 비율 및 Tc2/Tc1 비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결론: Tc 림프구는 Th 림프구에 비해 IL-4 생성을 유도하는 Df 자극에 저항성을 나타냈으며, 알레르기 면역치료를 시행받지 않은 환아들에 비해 면역치료를 시행 받은 환아들의 Th 및 Tc 림프구는 IL-4 생성을 유도하는 Df 자극에 저항성을 나타낸다. Purpose : The objectives of the present' study were to demonstrate Th and Tc lymphocyte responses to graded doses of house dust mite (HDM) in HDM allergic child patients and to determine differences in the HDM-induced Th and Tc lymphocyte responses between untreated and treated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 This study included ten Dermatophagoides farinae (Df)-sensitive asthmatics of which five children received immunotherapy to Df over a 2-year period.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 ( PBMC) were isolated from peripheral blood of each patient and cultured in the presence of graded doses of Df extract (0, 0.1, 1, 10 ㎍/㎖) 5 days. After harvest of cultured cells, Th and Tc cell frequencies were determined by a multiparameter cytosine flow cytometric assay that allows simultaneous determination of intracellular IFN-γ and IL-4 in CD4+ or CD8+ cells. Results : Predominant Th2 responses to 8f were observed in all of the patients, especially at ㎍/㎖ of .Df Dose-dependent pattern in 8f-induced increases of Th2/Thl ratio was observed in three of untreated and one of treated patients. Increases in Tc2/Tcl ratio were less prominent than those in Th2/Thl ratio. There were no significant increases of Tc2/Tcl ratio at low concentration of Df, which were observed only at 10 ㎍/㎖ of Df. Df-induced increases of Th2/Th1 and Tc2/Tc1 ratios were less remarkable in treated than untreated patients. Conclusion : Tc Iymphocytes were more resistant to Df-induced stimulation to produce IL-4 than Th lymphocytes. Th and Tc lymphocytes of immunotherapy treated patients were more tolerant to the effect of Df to produce IL-4 than untreated patients.

      • KCI등재

        운동 강도가 림프구 아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

        전태원,박성태 한국운동과학회 2004 운동과학 Vol.13 No.1

        전태원, 박성태. 운동 강도가 림프구 아형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3권 제1호, 43-54, 2004. 본 연구의 목적은 다양한 강도의 운동이 혈중 림프구 아형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분석하는데 있다. 7명의 건강한 성인남성들(연령: 25.6±1.5세, ??O_(2)max: 56.0±2.7 ㎖/㎏/min)을 대상으로 사전 검사를 통하여 최대산소섭취량을 측정하였고 이를 기준으로 4가지 운동 강도, 즉 ??O_(2)max의 50%, 65%, 75%, 85%에 해당하는 운동 속도와 운동 시간을 개별적으로 산출하여 트레드밀에서 최대하 달리기 운동을 실시하였다. 림프구 아형들의 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전완주정맥에서 안정 시, 운동 직후, 회복기 90분 째에 각각 혈액 15ml씩을 채취하여 원심분리한 후 즉시 운반ㆍ분석하였다. 운동에 따른 전체 림프구 및 림프구 아형의 수는 운동 직후에 안정 수준 보다 증가하여 회복기 90분 째에 감소하였다. 각 면역 세포수는 운동 강도가 높을 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특히 85% 강도는 운동 직후 시점에서 다른 강도들보다 높은 증가를 나타내었다. 림프구와 NK cell은 안정 시에 비해 운동 직후 증가하여 회복기 90분 째에 안정 시 수준이하로 감소하였다. 운동에 따른 T4 림프구 증가보다 T8 림프구의 증가폭이 더 크게 나타나, T4/T8 은 운동 직후 감소하였다. 결론적으로, ??O2max의 50~85% 정도의 최대하 운동에 의해 순환 혈액의 면역세포의 증가 현상이 나타나며, 특히 운동 직후 시점에서 고강도 운동은 중강도 운동 보다 더 큰 증가를 수반한다. Jun, T.W., Park, S.T. The Effects of Exercise intensities on the Lymphocyte subpopulations. Exercise Science, 13(1): 43-54, 2004.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various exercise intensities on the change of circulating lymphocyte subpopulations. 7 healthy young males(age : 25.6±1.5, ??O_(2)max: 56.0±2.7 ml/kg/min) participated in four trials. At each trial., subjects ran on the treadmill at the respective intensities corresponding to 50%, 65%, 75%, 85% of ??O_(2)max. Blood was obtained at rest, immediately after exercise, and at 90 min after exercise to measure lymphocyte subpopulations(CD3, CD4, CD8, CD16). Circulating lymphocyte count increased immediately after exercise(p<.01) and decreased(p<.01) in recovery 90 minutes. At most of intensities, Relative proportions of the lymphocyte and NK cell increased immediately after exercise(p<001, p<.001) and decreased below baseline level at recovery 90-min(p<.01), particularly magnitude of decrease to baseline appeared most greatly at 85% intensity. In conclusion, Immediately after exercise, suppressor T cells increased more than helper T cells, so the Th/Ts ratio significantly decreased(p<.01). These results suggest exercise at low or moderate exercise intensity as well as below 400kcal of energy expenditure to avoid the immunosup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