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해양 안전시설물 디자인개선을 위한 가이드라인 연구

        이해구(Lee, Hae Goo)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6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6 No.-

        2016년 경주 대 지진, 태풍, 자연재해로부터 더 이상 동남권 지역은 안전한 지역이 아니며, 국민안전과 재난방재에 대한 관심이 증폭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16년 3월에 발간된(vol.23) 한국과학예술포럼 논문집 p.271-281에 게재된 ‘해양 구조구명시스템 디자인개선에 관한 기초연구’에 후속으로 진행되는 연구이다. 선행연구는 해양안전사고 정의와 특성에 대한 연구이며, 본 연구는 보다 정밀한 해양 안전시스템의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있다. 각 지역 해안의 특성을 이해하고 개선하기 위해서는 정량화된 지표로 대상을 평가를 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가 필요했다. ‘해양’, ‘안전’, ‘레저스포츠’를 키워드로 사전문헌조사를 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6가지 성격으로 다시 분류하였다. 안전에 관한특성, 국내 해양안전관련 법규, 국외해양안전관련 법규, 안전정보매체 관련특성, 구명장비특성, 인간공학적인 배려에 관한 문헌조사를 실시하여 1차 체크리스트의 항목을 도출하였다. 1차 체크리스트로 동남권의 대표성을 갖는 지역을 선정하여 사전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체크리스트가 현실에 맞게 수정과 보완이 필요하여 전문가와 함께 수정보안을 하였다. 다양한 해양레저스포츠 환경에 적합한 해양구조구명시스템을 디자인적인 측면에서 평가할 수 있는 체크리스트의 지속연구에 대한 제언을 한다. Recently The southeast region is not a safe area from the Gyeongju earthquake, typhoon, and natural disaster anymore. People are very concerned about safety and disaster prevention. This study was published in the Korean Science and Art Forum, p.271-281, which was published in March, 2016 (vol.23). The title is "Basic Research on the Improvement of Marine Life Saving System Design". This study is a follow-up study. Prior research is the definition and characteristics of marine safety accidents.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roblems of a more precise marine safety system. In order to understand and improve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astal area, it is necessary to have a checklist to evaluate the target with quantified indicators. Keyword are "Ocean", "safety" and "leisure sport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data are summarized in six characteristics.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 data are summarized in six characteristics. And it classified the personality in terms of design.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by selecting a region that has representative status in the southeast region by preparing a primary checklist. The items of the first checklist were derived by conducting a literature survey on characteristics of safety, domestic marine safety regulations, offshore safety regulations, safety information media related characteristics, life-saving equipment characteristics, and ergonomic considerations. As a result, the checklist was modified and remake to fit reality and situ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checklist for evaluating marine rescue systems suitable for various marine leisure sports environments.

      • KCI등재

        119구조대원의 안전장갑 디자인 개발

        이교영,안효선,이인성,이태용,신혜영 한국디자인문화학회 2017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Vol.23 No.4

        119구조대원은 각종 재난사고 발생 시 인명 구조, 사고 수습 등 일반 안전사고에 대응하는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구조대원의 다양한 구조 활동과작업 환경에 적합한 장갑의 기능적 요소를 도출하여활동성을 강화한 구조 장갑 디자인을 개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구조대원의 장갑 착용실태와 안전장갑 디자인 규정을 조사하였으며, 2015년 3월에서2016년 10월까지 현직 구조대원 총 282명을 대상으로심층면접, 표적집단 면접, 온라인 설문 조사를 통해제품 개발 방향을 수립하고, 개발된 디자인 프로토타입에 대한 착용 평가를 수행하여 만족도 및 개선안을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디자인개선을 위한 구조대원 요구분석 결과, 보급되는 구조장갑의 대하여 보호기능, 착용감 및 관리 문제에 대한결점이 제시되었으며, 일반구조용, 산업용, 전술용, 라펠용의 작업 기능을 갖춘 활동용 장갑 개발에 대한 필요가 나타났다. 둘째, 구조 장갑 개발 방향 수립 결과, 돌출되는 관절부위의 부상과 쉽게 마모되는 부위에 대한 기능성 강화, 인체공학적 패턴 설계와 부위별적합한 소재의 활용으로 우수한 장비 조작감과 착용감 확보, 불필요한 특수소재의 최소화로 비용을 절감하는 디자인 전략이 도출되었다. 셋째, 구조 장갑 시제품은 활동용이성, 그립감, 내절단성, 경량감을 중점으로 소재, 디자인 개발 및 제작으로 이루어졌다. 착용 평가 결과, 손가락 관절부위에 스트레치성 스판덱스, TPR(Thermal Plastic Rubber), 하드타입의 특수보호대를 삽입하여 움켜쥔 동작의 관절과 흡사한 형태로 외부의 물리적 충격으로부터 부상을 방지할 수있다는 점에서 구조대원들이 구조장갑의 기능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활동용이성이 향상된 것이 확인되었다. 그 외에 마모가 심한 부위 보호패드 이중덧대기로 마찰력과 내마모성이 향상되었으며, 관절 형태의 충격보호패드 삽입 등으로 움직임을 저하시키지않는 범위 내에서 보호 기능이 강화되었다. 119rescue workers carry out the duties of responding to general safety accidents such as rescuing human lives and controlling the scene of the accident in case of various casualty disasters and acc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design for rescue gloves with enhanced performances by deriving the functional factors of gloves suitable for work environments related to various activities of rescue workers. In order to do so, this stud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us of gloves worn by rescue workers and the regulations of safety glove designs, established a direction of product development through in-depth interviews, focus group interviews and online surveys on a total of 282 currently active rescue workers from March 2015 to October 2016, and conducted a fitting test using the developed design prototypes to derive satisfaction levels and improvement matters. The key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the following. First of all,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demands of the rescue workers for improving designs showed that there were flaws to the supplied rescue gloves in protective functions, wear sensation and maintenance issues, and also that there are needs for developing gloves for activities for general rescue, industrial uses, tactical uses, and rappel uses. Secondly, as a result of establishing a direction for development of rescue gloves, the following were derived; strengthening functionalities in parts easily worn or vulnerable for joint injuries, ensuring superior wear sensation and handling of equipment using ergonomic pattern designs and materials customized for different parts, and design strategies for reducing costs by minimizing unnecessary special materials. Thirdly, the rescue gloves prototype were created through material selection, design development and producing focused on movement performances, grip-feeling, cut-resistance, and lightweight feeling. The results of the fitting test showed that movement performance, which was the most importantly regarded factor by the rescue workers among the functions of a rescue glove, was enhanced in terms of preventing injuries from physical impact by forming a similar shape of the joints of the hand in a gripping-motion, by inserting stretchable spandex, TPR(Thermal Plastic Rubber), and hard-type special protector into the finger joint areas. In addition, the prototype provided a double-layered cover in parts easily worn out to enhance frictional force and durability, and protective functions were strengthened without movement levels dropping due to the insertion of impact protection pads.

      • 고층아파트 피난관련규정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이정일 대한안전경영과학회 2015 대한안전경영과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15 No.04

        Everyday many casualties have been occurred in the buildings. the design of the fire safety of buildings is based on the regulations. Otherwise, the secure for fire safety performance has not been designed in the practical aspects. These problems are caused by the incentive effects. From the perspectives of building owners, they do not have the incentives for direct investment on the safety plan of fire-rescue. So, it is necessary to force the laws and regulations on them. In addition, a special evacuation stairs of the apartment with the ventilation equipment is not being secure at all. Instead, an installation of special evacuation stairs in/outside the open window inside ancillary rooms should be revie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