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주민자치센터의 현황과 과제

        신미식 한국동북아학회 2014 한국동북아논총 Vol.19 No.1

        In Korea, democracy is in crisis and accordingly, there is a strong need to strengthe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o fa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been carried out in the political arena but recently lifelong education becomes interested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re are many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but among them, the community centers can be the best place to strengthe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because it was established to promote the self-governing power of local citizens in the first plac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t the community centers should be promoted but it should be different from othe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hich has focused on teaching democratic principles, values, and procedures. Therefore, the study aims to find ways to promot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t the community centers. For that purpose, first the author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the functions, and the problems of the community centers, and furthermore the possibility to promot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econd, the author explor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other countries, which emphasizes the self-governing power of citizens, and based on them, tried to draw what feature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t the community centers in Korea should emphasize. Third, the author attempts to find appropriate teaching methods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t the community centers. Lastly, the author tries to come up with tasks to be accomplished to promot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t the community centers. 최근 민주주의가 후퇴하고 있다는 위기감 속에서 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에 대한 필요성이 다시 강조되고 있다. 지금까지 민주시민교육은 정치적 영역에 속한다고 보고, 주로 정치학계에서 그 필요성이 제기되어왔다. 그러나 민주시민교육은 정치적 영역일 뿐만 아니라 교육적 영역이라는 점에서 최근에는 교육학계에서도 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자연스럽게 평생교육 분야에서도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현재 지방자치의 발전과 함께 주민자치센터가 빠르게 평생학습센터로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고, 또한 원래 취지가 주민들의 자치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는 점에서 주민자치센터는 어느 평생교육 기관에 비해 민주시민교육을 활성화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좋은 여건에도 불구하고, 아직 주민자치센터는 민주시민교육의 장으로서의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고 있지 못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주민자치센터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진단을 통해 민주시민교육의 장으로서 가능성을 타진해보고, 나아가 주민자치센터의 원래의 취지인 주민들의 자치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 민주시민교육을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무엇을 어떻게 변화시켜야 하며, 특히 주민자치센터의 민주시민교육이 어떠한 내용을 담아야 하는가에 대해 고찰하였다

      • KCI등재

        우리나라 민주시민교육의 현황과 법적 근거

        강재규 건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23 一鑑法學 Vol.- No.54

        ‘Citizen’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refers to an awakened individual as a subject of action in each area, such as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such a citizen is a member of a national community. And citizen means the subject who recognizes freedom and rights as a subject of democracy and takes an interest in and participates in common problems, and democracy cannot operate or be maintained without citizens who are democrats. Only a human being with the capacity to operate democracy can become a citizen. In addition, democratic citizens not only know what their rights are, but also must learn what their duties and virtues are, and can become democratic citizens only when they have such capabilities, rights, duties, and virtues, citizenship.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not simply ‘education to nurture democratic citizens’, but ‘education to nurture good citizens with a sense of ownership and attitude toward the community to which they belong as clear holders and practical exercisers of sovereignty’.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not be an education that trains passive voters who only vote on election day, but an education that trains sovereigns who actively participate in the common affairs of the community as owners of themselves and the community to which they belong. However, the differences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olicies between progressive and conservative camps stand out in terms of orientation, civic image, content and scope, and implementation method. However, there is a broad social consensus beyond ideological differences that systematic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very necessary for the stable development of Korean democracy. The problem is that the gap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camps 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olicies is very large. Conflict between the conservative and progressive camps ove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eatens the sustainabil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refore, we need a new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where conservatives and progressives agree and embrace the left and the right. The new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an education that contributes to creating a community in which progressives and conservatives understand each other, communicate, and compromise based on the pluralism and relativity of ideologies. The conflict between progressives and conservatives ove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can be resolved by introducing the Beutelsbacher Konsens in Germany. In addition, the orient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hould be the constitution, the highest law and basic law of the country. Just as the Constitution stipulates the identity of our community as a ‘democratic republic’ and seeks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e Constitution in ‘dignity and value as a human being’, our democracy aims at the dignity and value of the people, who are sovereign. The dignity and worth of the people are intended to be embodied by the principles of democracy. Since our Constitution requires that each citizen cultivate a sovereign character in a democratic order, the basic goal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to develop students into citizens as such a sovereign personality. In response to national and social discussions on the institutionaliz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 National Assembly has continued its efforts to enact related legislation, but no relevant legislation has been enacted so far. Even though the national general law related to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not been enacted, many local governments respond by enacting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ordinances. Of course, it is possible to implement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a local government ordinance, but it is urgent to enact a law o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order to realize democratic... 민주시민교육에서 말하는 ‘시민’은 우리 삶의 모든 영역에서 행위 주체자로서의 각성된 개인을 말하고, 이러한 시민은 국가적 공동체를 이루는 구성원이다. 그리고 시민은 사회구성원의 한 사람으로서 자유와 권리의 의미를 정확히 인식하고 공동체 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주체를 일컫는다. 그리고 민주주의는 민주주의자인 시민 없이는 작동될 수 없고 유지될 수도 없다. 민주주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역량을 가진 사람이어야만 비로소 시민이 될 수 있다. 또 자신의 권리를 정확히 이해하고 자신의 의무나 책무, 나아가 시민으로서 갖추어야 하는 덕목을 지닌 시민, 즉 시민성을 갖춘 사람이 바로 민주적 시민이다. 민주시민교육은 단순하게 ‘민주시민을 양성하는 교육’이 아니라, ‘주권의 명확한 소지자이자 실질적인 행사자로서 자신이 소속된 공동체에 대한 주인 의식과 태도를 지닌 좋은 시민을 양성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민주시민교육은 선거일에 투표만 하는 수동적인 유권자를 양성하는 교육이 아니라, 자신과 자신이 소속되어 있는 공동체의 주인으로서 공동체 공동의 일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주권자를 양성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그런데 민주시민교육을 둘러싸고 진보와 보수 진영 간 갈등은 그들이 지향하는 시민상, 민주시민교육의 내용과 범위, 그리고 실행 방법 등의 차이에서 비롯된다. 그러나 우리나라 민주주의가 정상적인 궤도에 진입하려면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민주시민교육이 필요하다는 점에서는 진보와 보수 진영 사이에 이견은 없다. 문제는 민주시민교육정책을 둘러싼 보수와 진보 진영 간 의견의 차이가 상당하다는 점이다. 민주시민교육에 대한 보수ㆍ진보 양 진영 간의 갈등은 민주시민교육의 지속가능성을 위협한다. 따라서 보수와 진보가 합의하고 좌우를 아우르는 새로운 민주시민교육이 필요하다. 새로운 민주시민교육은 이데올로기의 다원성과 상대성을 바탕으로 진보와 보수 세력이 서로 이해하고 대화하고 타협하는 공동체를 만드는데 기여하는 교육이어야 한다. 민주시민교육을 둘러싼 진보와 보수의 갈등은 독일 보이텔스바흐 합의의 도입으로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민주시민교육의 지향점은 국가의 최고법이자 기본법인 헌법에 준거를 두어야 한다. 우리 공동체의 정체성을 헌법은 ‘민주공화국’으로 규정하고, 헌법의 궁극적인 목적은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의 실현에 있으며, 우리의 민주주의 역시 주권자인 국민의 존엄과 가치의 실현을 목적으로 하는 정치원리이며, 또 국민의 존엄과 가치는 헌법의 기본원리의 하나인 민주주의 원리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실현된다. 우리 헌법은 국민 개개인이 민주적 기본질서 속에서 주권자로서의 인격을 함양하도록 요청하므로, 결국 민주시민교육의 기본 목표는 시민과 학생들을 그와 같은 주권자로서의 인격을 갖춘 올바른 시민으로 양성하는 것이다. 민주시민교육 제도화에 관한 국가 및 사회적 논의에 부응해 국회에서도 관련 입법을 위한 노력을 지속해 왔지만, 아직 관련 법률은 제정되지 않았다. 민주시민교육과 관련한 국가의 일반법이 제정되지 않았음에도 다수의 지방자치단체는 민주시민교육조례를제정하여 민주시민교육을 시행하고 있다. 물론 지방자치단체의 조례로써 민주시민교육의 시행은 가능하지만, 보다 체계적ㆍ정합적이며, 법률에 의한 민주시 ...

      • KCI등재후보

        시·도교육청별 학교 민주시민교육 정책 분석

        조영서,유승민,심경은 교육종합연구원 2021 교육종합연구 Vol.19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comprehensiv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olicy based on the school'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lan by education offic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main vision of the school'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olicy was to understand and practice citizenship, foster democratic citizens, and realize public nature and community. Second, the specific goals of the school'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re set by the education office, and the main policy goals are to foster democratic citizens and realiz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ird, the concep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lacked consensus as the scope and object of education differed by education offices. Fourth, the school'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policy consists of linking curriculum, creating a democratic school culture, expanding student autonomy, and participating in social issues. Fifth, each education office is enacting and revising laws to revitaliz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schools, and expanding institutional support to implement new school images such as democratic citizenship schools.

      • KCI등재

        중등교사들의 민주시민교육 의미 해석과 실천 전략에 대한 FGI 연구: 서울과 경남을 중심으로

        김영석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2019 사회과교육연구 Vol.26 No.3

        In this stud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explorer how teachers understand the concept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how they implement the citizenship education. Focus group interview participants are seven secondary teachers from Seoul, Korea and five secondary teachers from Gyeongnam, Korea. Finding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s reveal that teachers from two areas have different idea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eachers from Seoul schools defin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a process of building democratic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they value discussion in building democratic relationship. On the other hand, teachers from Gyeongnam schools conceptualize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a change of classroom management and school decision making from authoritative way to democratic one. In teaching approaches, teachers from Seoul are more active in the discussion of various social and political topics while teachers from Gyeongnam schools tend to relate character education with citizenship education. Teachers from both areas commonl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school leadership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y also have agreement in that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not merely a teaching activity on specific subjects but also a principle of schooling in wider range. Educational approaches for the enhancement of students’ civic efficacy are considered essential by teachers from both areas in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inally, this researcher provided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 findings of focus group interviews.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중등교사 7명과 경남 지역 중등교사 5명을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Focus Group Interview)을 실시하여 각 지역의 교사들이 민주시민교육의 의미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으며, 어떤 방식의 실천전략을 선호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초점집단면접 결과 서울지역 교사들은 민주시민교육을 학생과 교사와의 민주적 관계 형성이라는 관점에서 바라보았지만, 경남 지역의 교사들은 학생 요구를 적극 수용하는 관점에서 바라보았으며 민주시민교육의 실천에 있어서 서울지역의 교사들은 토론을 통한 평등한 의사결정을 중시했지만, 경남지역의 교사들은 학생지도 방식의 변화(권위적→민주적)가 중요하다고 보았다. 민주시민교육의 내용에 있어서 서울지역의 교사들은 다양한 사회적·정치적 문제나 쟁점을 적극 활용하는 반면 경남지역의 교사들은 인성교육의 차원에 한정해서 바라보고 있었다. 반면 서울지역 교사들과 경남지역 교사들의 인터뷰 내용에서 공통되는 점도 발견되었는데, 교육주체들의 리더십이 중요하다는 점, 민주시민교육이 특정한 주제에 대한 학습을 넘어 학교 운영의 원리로 작용한다는 점, 학생의 성취감 또는 효능감이 중요하다고 여기는 점 등이다.

      • KCI등재후보

        도덕과 민주시민교육의 지식의 구조에 대한 연구

        김국현 韓國敎員大學校 敎育硏究院 2008 敎員敎育 Vol.24 No.2

        본 논문의 목적은 교과로서의 도덕과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민주시민교육의 정체성과 특성을 교과의 구조 또는 지식의 구조라는 관점에서 논의하는 것이다. 한국에서 도덕과 교육과 사회과교육은 지금까지 교과교육들 속에서 민주시민교육을 담당해 온 중핵 교과들로서 자리매김해왔다. 그러나 도덕과 교육의 민주시민교육은 사회과 민주시민교육과의 목표,내용,교수·학습 방법 영역에서의 중복성과 같은 정체성의 약화라는 문제에 시달려 왔다. 세계화와 다문화 심화되고 있는 현실 상황에서 우리는 민족 국가와 지구공동제의 복잡한 도덕적 상황에 직면하고 있다. 따라서 시민들은 도덕적인 민주시민성을 갖추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도덕과의 민주시민교육은 앞으로 교과로서의 정체성을 정립하고 시민들의 민주시민성을 효과적으로 발달시키기 위해서 민주적 가치,규범,그리고 덕목의 교육,민주적 공동체의 사회문제들을 도덕적으로 분석하는 능력,도덕적 상상력을 발달시키는 교육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도덕과 교육은 민주시민성의 도덕성에 초점을 둠으로써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야 한다. The purposes of this paper is to discuss a characteristics and ident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as a subject from the standpoint of structure of knowledge. In Korea, moral education and social studies have been core subjects to educate citizens democratic citizenship. But until now,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has been suffered from the problem of weakness of identity such as the problem of overlap with social studies in the areas of goal, contents, teaching methods. In the situation which globalization and multiculturalism are in the rapid progress, we face many complex moral situations in a democratic nation-state and global village, so we need to be armed with moral democratic citizenship. To establish it's identity as a subject and to develop student's democratic citizenship effectively,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moral education have to orient following directions. Firstly, to emphasizing education of democratic values and virtue. Secondly, developing an ability to analyze social problems of democratic community morally, thirdly, developing moral imagination. Moral education will have to establish it's identity through focusing on the moral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 KCI등재

        충북 학교민주시민교육을 위한 교육청-학교-지역사회 연계 모델 연구

        박정연,옥일남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19 敎員敎育 Vol.35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strategies to build a model suitable for the Chungbuk region by seeking ways to connect the Chungbuk Office of Education, schools, community and civil society. The survey was conducted with teachers, the Chungbuk’s officials of the Department of Education, and personal activists for democratic civic education. By diagnosing the status of linkages between the schools and community, research findings suggest tasks to be prepared in the community for the activation of school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Chungbuk, and continues to promot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rough linkages between Chungbuk’s Office of Education, the schools and community. For the continuous promotion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e civil-government-schools, that is, Chungbuk Provincial Office, the Chungbuk Office of Education, unit schools, local communities, and civil society organizations should establish practical governance. So we proposed the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upport Center as an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 This center promotes cooperation among institutions and complements each other's functions in relation to the work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spreading the necessity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community, and promoting school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order to promote a democratic school culture. 본 연구는 학교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충북교육청 및 학교와 지역사회, 시민사회의 연계 방안을 모색하여 충북 지역에 맞는 모델을 구축하는 전략을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학교현장에서 민주시민교육을 실시하는 교사들과 교육청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민주시민교육과 관련하여 지역사회와 연계한 경험과 민주시민교육에 활용할 수 있는 지역 자원의 현황에 대해 조사하였다. 이러한 학교와 지역사회의 연계 현황 진단을 통해 충북의 학교 민주시민교육의 활성화를 위해지역사회에서 준비해야 할 과제를 제시하고, 충북교육청, 학교, 지역사회의 연계를 통한 ‘민주시민교육의 지속적인 추진 체계’를 제시하였다. 민주시민교육의 지속적 추진을 위해 민ᆞ관ᆞ학인 충북 도청, 충북교육청, 단위학교, 지역사회, 시민사회단체들이 실질적인 거버넌스를 구축할 것과 중간지원기구로 민주시민교육지원센터를 제안하였다. 이 기구는 민주시민교육 업무와 관련하여 각기관들의 협력을 촉진하고, 서로의 기능을 보완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민주시민교육의 필요성을 지역사회에 확산시키고, 학교 민주시민교육을 활성화하여 민주적인 학교문화를 형성하는 구심점이 될 것이다.

      • KCI등재

        민주시민교육을 통한 평생교육의 재정립시도에 관한 연구

        안승대(An, Seung-Dae) 동아인문학회 2017 동아인문학 Vol.38 No.-

        이 연구는 민주시민교육에 비추어 평생교육을 재정립 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이 연구는 이를 위해 정치경제학적 접근을 활용하고 있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론과 민주시민교육론은 국가와 자본에 의해 침범당하고 있으며, 이를 극복하고 제자리를 찾는 것이 시급하다. 둘째, 평생교육론과 민주시민교육론은 이념정립과 자율적 영역의 확보, 주체의 정립과 학습자의 역할과 과제를 추구함에 있어서 상호 보완과 협력적 관계에 있다. 셋째, 평생교육론과 민주시민교육론에 관한 논의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평생교육론과 민주시민교육론은 비판과 성찰이라는 주제어를 공유한다. ② 평생교육론과 민주시민교육론은 대화적 관계, 헤게모니적 관계를 그 특징으로 한다. ③ 평생교육론과 민주시민교육론은 국가와 자본으로부터 독립된 제 3의 영역, 독립적 영역이어야 한다. ④ 평생교육론과 민주시민교육론은 다양성과 독립성, 성찰성 등의 특징을 공유하며, 이로 인해 상호 보완관계에 있다. 결론적으로, 평생교육과 민주시민교육의 관계는 다음과 같이 정립할 수 있다. 평생교육론과 민주시민교육론은 민주사회와 학습사회를 추구한다는 점에서 이념적 유사성을 보여준다. 학습사회와 민주시민사회는 상호보완 상호협력적 관계에 놓여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평생교육론과 민주시민교육론의 결합을 통한 시민학습사회 구현이 주요한 교육목표가 되어야 한다. This study focuses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concludes as follow : First, lifelong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ve been invading by the nation and capital; So, There has been a calling for an urgent needs for on the overcoming this crises. Second, Also, There has been a calling for an urgent needs for calling for an establishing idea o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nd getting an autonomy for it. establishing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ird, This study concluded as follow : 1) The lifelong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ve a common with a key words : criticism and reflection. 2) The lifelong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relation of teachers and students have a common with a key words : dialogue and hegemony. 3) The lifelong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been situated on the third terrain which is self-regulated. 4) The lifelong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ve a common characteristics as diversity, self regulating, interdependence. In conclusion, interrelationship between lifelong education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s follow: There has been an ideological and similarity between the two theory : seeking for democratic society and learning society, so, we seek citizen learning society are urgent need in modern Korea society.

      • KCI등재

        한국에서의 민주시민교육의 발전 방향 모색

        이범웅 ( Beom Ung Lee ) 한국초등도덕교육학회 2015 초등도덕교육 Vol.0 No.49

        한국에서 민주시민교육은 체계적인 조직과 구조화된 교육 활동에 기반을 두지 못했으며, 정치적 상황에 따라 변화를 거듭하였다. 본고에서는 이런 문제의식을 가지고 민주시민교육의 내용과 실태를 검토한 후 올바른 민주시민교육의 방향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고에서 다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민주주의의 의미와 원리 그리고 민주적 생활양식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다음으로 시민과 시민성의 의미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다. 둘째, 민주시민교육의 유래와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할 것이다.다른 나라에서 민주시민교육을 어떻게 실시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다. 다음으로 우리나라에서 해방 이후 민주시민교육이 어떻게 변화해왔는지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셋째, 민주시민을 육성하기 위해 민주시민교육이 필요한 이유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할 것이다. 끝으로 우리의 학교와 사회가 지향해야 할 민주시민교육의 바람직한 방안을 탐색해보도록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민주시민교육의 목표인 시민성 함양은 시민교육과 관련된 여러 내용, 활동, 장소, 자료, 기능, 시설, 사람 등과 같은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결합될 때, 보다 큰 시너지 효과가 생긴다는 사실이다. In Korea, d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d not not based on the systematic organization and the structured educational activities, repeated changes according to the political situation. This study is going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prope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fter reviewing the content and statu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Contents covered in this paper is as follows. First, we will look for the meanings of democracy and democratic principles and lifestyle. Next we will take a look at the meaning of citizens, citizenship and civil rights. Secondly, we will try to know about the origins and meaning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 will look for how to conduct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other countries. Next we will examine how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has come to be changed after the Liberation in our country. Finally, this study is going to explore the direction of the prope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that our school and society aim for. In conclusion, the goal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hip will be greater synergy when contents, activity, places, data, functions and facilities relating to civic education are organically combined with.

      • KCI등재

        교회의 민주시민교육 -공교회와 공적 신앙의 관점에서-

        장신근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9 기독교교육논총 Vol.21 No.-

        In responding to the various social and political conflicts and challenges in contemporary Korean society and to the Korean church’s gradual loss of public role and trust from society, this study seeks to develop a model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of the church from the perspective of public theology, focusing on public faith and public church. For this purpose, this study first defines the meaning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n general and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of the church in relationship to both discipleship and citizenship. George Albert Coe’s social theory of religious education, especially focusing on the concept of “the democracy of God” is, then, critically explored as one crucial source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of the current Korean church. Public theology is employed as a crucial alternative to Coe’s social theory of religious education that shows a lack of Christian identity, is too idealistic and has too naïve an attitude for transforming human beings and society. From this conversation, a model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of the current Korean church is posed under the following three aims: 1) formation of a trinitarian-postconventional self identity and public faith (personal dimension), 2) formation of the public church based on sacramental equality and solidarity (ecclesial dimension), and 3) formation of democratic (global) civil society based on the covenantal community of reciprocity and universality (social and global dimension). Curricular contents consisting of the three sub areas and several methods of the model will follow these aims. 오늘의 한국사회에서 나타나는 여러 갈등과 문제점들 그리고 한국 교회의 대사회적 신뢰성 하락과 사회와의 소통 부재 그리고 공적 기능의 상실 등과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해 나가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서 교회의 민주시민교육은 교회자신 뿐만 아니라 한국사회를 위한 매우 중요한 기독교 교육적 과제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는 먼저 일반교육에서 사용되는 민주시민교육의 의미를 살펴보고 또한 제자직과 시민직이라는 관점에서 교회의 민주시민교육을 정의한다. 다음으로 종교교육 운동의 대표적 인물인 조지 앨버트 코우의 종교교육 사회론을 비판적으로 고찰한 후에 오늘의 한국교회의 민주시민교육에 주는 함의와 한계점들을 제시하였다. 하나님의 민주주의를 목적으로 하는 코우의 종교교육 사회론에서는 사회와의 관계성이 강조되는 반면 기독교적 정체성이 결여될 가능성이 높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 본 연구에서는 기독교의 정체성과 관계성 양자를 균형 있게 강조하는 공공신학을 교회의 민주시민교육의 틀로 제시하였다. 그리하여 세계화시대에 존재하는 교회의 민주시민교육의 목적을 교회의 구성원인 그리스도인 개개인들이 삼위일체론적인 후 인습적 자아정체성과 공적 신앙을 소유하고, 성례전적 평등과 연대성의 공교회를 형성해 나가며, 계약 공동체에 근거한 상호성과 보편성을 추구하는 의사소통적 시민사회의 형성과 변혁을 위한 담론과 실천에 참여 할 수 있는 기독교적 확신을 지닌 제자-시민을 양육해 나가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목적에 기초하여 교육과정의 내용과 이에 따른 방법론을 개인적, 교회 공동체적, 교회 공동체 외부적 (또는 시민사회) 차원으로 나누어서 제시하였다.

      • KCI등재

        <批評論文> 역사교육인가 민주시민교육인가

        임기환 역사교육연구회 2023 역사교육 Vol.168 No.-

        This article is a critique of the “History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argument that has been actively debated in history education circles in recent years. The main focus of the review is on several papers related to history teaching in the book <Theory and Practice of History Education for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2017), which was published as a result of a collaborative study involving Kim Hanjong and ten other researchers. The criticism focuses on two points. The first is the premise that “history [historical writing] is interpretation,” which appears in many of the texts in the book, and the second is that the pursuit of the value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is disconnected from its historical context. Most of author in this book are based on the premise that “history [historical writing] is interpretation.” This premise overlooks the process of demonstration that historians use to explore historical facts. The historian’s perspective that operates in the process of historical research comes from an intense awareness of reality, and the “historical knowledge” that is constructed through the historical research process is the historian's practice of reality. The historical facts explored by historical researchers and the construction of historical narratives or historical narratives based on them are “historical knowledge” about the past. This historical knowledge is the result of the historical researcher’s rigorous practice, starting from the perception of reality. historical knowledge is not an interpretation, and historical education should consist of historical knowledge. As a result of the pursuit of the values of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most of the history lessons in this book materialize history or are disconnected from their historical context.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universal value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are being taught through history rather than through historical knowledge. If it is disconnected from the historical context, it cannot be considered history education. Despite these problems, I would like to draw attention to the background of history education as a democratic civic education. In the absence of a new alternative historical narrative, the search for a new transformation of history education has revealed its limitations, and in the end, it has turned to the path of history education that aims at the values of democratic civic education. I would like to criticize this as a result of not only neglecting solidarity with the historical community, but also choosing a way to avoid challenging the basics of history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