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인의 도서관 이용 향상 방안 연구: 도서관 불안과 문화적응 측정을 중심으로

        김지현 한국공공사회학회 2022 공공사회연구 Vol.12 No.2

        본 연구는 다문화인의 도서관 이용에 있어 어려움을 도서관 불안 척도를 통해 측정하고, 다문화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한국문화적응 어려움, 그리고 도서관 불안과의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조사방법으로는 국내 다문화인을 대상으로 2021년 01월부터 2021년 4월까지 약 네 달간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문화인의 도서관 불안점수는 기존 다문화 대상 연구들의 결과에 비해 약간 높았다. 4개 하위영역에서의 분석결과, 디지털 환경 불안, 물리적 환경에 의한 불안, 사서에 의한 불안, 그리고 심리적 불안 순으로 점수가 높았다.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도서관 불안과의 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도서관 방문횟수와 도서관 불안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4개의 하위영역에서의 분석결과는 연령, 출신지, 그리고 방문횟수 변인과 통계적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문화적응 어려움과 다문화인들의 도서관 불안의 회귀분석에서 다문화인은 문화적응에 어려움이 있을수록 도서관 이용에 불안감을 느낀다는 것을 통계적으로 확인하였으며, 물리적 환경에 의한 불안과 디지털 환경에 의한 불안 변인들과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를 확인하였다. 끝으로 다문화인의 도서관 이용 향상 방안을 제시하고 다문화 시대에 도서관들의 역할과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measured the difficulty of multicultural people in using the library with a library anxiety scale, and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cultural people's difficulty adapting to Korean culture an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ith library anxiety. As a research method, a survey was conducted on multicultural people in Korea for about four months from January 2021 to April 2021.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ibrary anxiety score of multicultural people was slightly higher than that of previous multicultural stud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in the four sub-areas, the scores were high in the order of digital environmental anxiety physical environmental anxiety, librarian anxiety, and psychological anxiety. When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library anxiety,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number of visits to the library and library anxiety was confirmed. The analysis results in the four sub-area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age, place of origin, and number of visits variables. In the regression analysis of cultural adaptation difficulties and multicultural people's library anxiety, it was statistically confirmed that multicultural people showed more library anxiety as they had difficulties in cultural adaptation. There was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multicultural people's difficulty adapting to Korean culture, physical environmental anxiety, and digital environmental anxiety. This study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to improve library use of multicultural people, and discussed the role of libraries in the multicultural era.

      • KCI등재

        여자 대학생의 성격 유형의 조절 효과

        김미령(Kim, Mi-Ryo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15 인문과학연구 Vol.0 No.46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불안과의 관계에서 성격유형의 조절 효과를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서울에 있는 3개 대학의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안, 스트레스, 성격 유형 척도로 구성된 설문지 조사가 이루어졌다. 불안을 종속 변인으로 하여 단계별로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성격유형을 독립 변인으로 투입하고, 성격유형과 스트레스 하위요인의 상호작용을 독립 변인으로 투입하여 위계적 조절 회기 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스트레스 하위요인 좌절감과 낮은 통제능력은 불안에 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조절 변인인 성격유형을 새롭게 추가로 투입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설명력이 증가하였다. 독립변수와 조절변수의 상호작용을 투입한 결과, 좌절감은 불안을 설명하는데 주 효과도 유의미하고 성격유형과의 상호작용도 유의미했다. 그러나 통제능력은 주 효과는 유의미하였으나, 성격유형과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나서, 조절 변인으로서 성격유형의 역할은 좌절감을 통해서만 나타났다. 둘째, 스트레스 하위 요인과 성격 유형과의 상호작용에서 불안 수준이 높아지는 상황을 검토한 결과, 좌절감이 높으면서 A 유형 성격일 경우 불안이 가장 높고, 좌절감이 낮으면서 B 유형 성격일 경우 불안이 가장 낮았다. 좌절감 수준이 같더라도 A 유형 성격의 경우 불안 수준이 B 유형 성격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불안과 좌절감과의 관계에서 성격 유형이 조절 변인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성격 유형의 조절 효과를 살펴봄으로 여자 대학생의 불안을 조망하고, 교육 현장에서의 상담의 효과적 개입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했다는 데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at for verifying the moderating effect of personality typ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stress.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made up with a scale of anxiety, stress, and personality type was conducted to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anxiety is in the dependent variables, step by step that is put into sub-factor of stress, and personality type, as an independent variable. Next, put into personality type and interactions of sub-factors of stress, as independent variable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zes were conducted. Results derived fro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frustration and low control ability showed that the positive effect on anxiety. When personality type was put into is a moderating variable, the increase of explanatory pow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interacting variable of the independent variables with the moderating variables was put into, main effects of frustration is significant to describe the anxiety, the interacting variables of frustration and personality type turned out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anxiety. However, main effect of control ability is significant, but the interaction of control ability with personality type was not significant. The role of personality types as moderating variables were significant through the frustration variable. Second, we examined the situation where is a higher anxiety level in interaction between the stress sub-factors and personality type. As a result, if they have high frustration and A type personality, showed highest anxiety, and if have low frustration and B type personality, showed lowest anxiety. Even if they have a equal level of frustration, showed a high level of anxiety than B type personality when have A type personality. This is means that personality type is acting as a moderating variab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frustration. This study"s significance is can find in that, it examined the anxiety of female college students through the moderating effects of personality type and proposed a direction to effective counseling intervention.

      • KCI등재후보

        성격요인과 발표능력의 관계에서 발표불안의 매개효과

        박상민,박지은 한국사고와표현학회 2016 사고와표현 Vol.9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personality and speech competency. Especially, Mediating effects of speech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personality and speech competency was investigated. NEO-Personality Inventory-Revised, PRCS(personal report of confidence as a speaker), speech competency were applied to 72 university students in Gyeonggi-do, Korea. The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relation among learners’ personality(neuroticism, extraversion, openness to experience, agreeableness, and conscientiousness), speech competency(contents, verbal expression, and nonverbal expression), and speech anxiety. The results showed that all subcategories of speech competency negatively related with speech anxiety. For the relation of personality and speech anxiety, there wa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neuroticism and speech anxiet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extraversion and speech anxiety,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openness to experience and speech anxiety, and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conscientiousness and speech anxiety. For the relation of personality and speech competency, there wa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neuroticism and all the subcategories of speech competency. Whereas conscientiousness is positively related to all the subcategories of speech competency. The extraversion is positively related to contents and verbal expression, the openness to experience is positively related to verbal and nonverbal expression.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effects of speech anx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learners' personality and speech competency,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ccording to the step proposed by Baron and Kenny(1986). Finally, sobel test was used to confirm statistical significance of mediating effects. As a result, complete mediating effects of speech anxiety on the relationship of neuroticism, extraversion and speech competency. And openness to experience and conscientiousness made a significant effect on speech competency under the partial mediates of speech anxiety. The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their relevance for educational practice. 이 연구의 목적은 학습자의 성격요인이 발표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발표불안의 매개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하여 경기도 소재 한 사립대학교 학생72명을 대상으로 발표불안, 발표능력, 성격요인을 측정하였다. 먼저, 성격요인(신경증, 외향성, 개방성, 친화성, 성실성), 발표불안, 발표능력(발표 내용, 언어적 표현, 비언어적 표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상관분석 결과 성격요인의 하위 요인 중 친화성을 제외한 다른네 가지의 하위 요인은 발표불안과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신경증은 발표불안과 유의미한 정적 상관, 외향성, 개방성과 성실성은 발표불안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성격요인과 발표능력의 상관분석 결과, 친화성을 제외한다른 요인과 발표능력의 하위 요인들은 대부분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신경증은발표능력의 모든 하위요소와 부적 상관이 나타났으며 성실성은 발표능력의 모든하위요소와 정적 상관이 나타났다. 외향성은 발표능력의 하위 요인 중 내용과 언어적 표현, 개방성은 언어적 표현과 비언어적 표현에 대하여 정적 상관을 보였다. 발표불안은 발표능력의 모든 하위 요인과 유의미한 부적 상관을 나타내었다.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 성격요인과 발표능력의 관계에서 발표불안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하여 Baron과 Kenny1)가 제안한 단계에 따라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회귀분석을 통해 얻어진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성격요인 중 신경증과 외향성에 대하여발표불안이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으며 개방성과 성실성에 대해서는 부분매개효과를 나타냈다(p <.05, p <.01).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대학교 발표수업에서 발표능력과 학습자 성격, 발표불안의 관계가 주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노인의 식품위해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성별 비교를 중심으로

        이성은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학회 2021 차세대컨버전스정보서비스기술논문지 Vol.10 No.2

        This study examined the status of anxiety about food hazards of older adults and identified factors affecting anxiety about food hazards of older persons by gender. For this study, 2018 Social Survey data from Statistics Korea were analyzed and study sample consists of 7,870 older adults aged 65 and over. Multiple regression was us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demographic factors, health status, anxiety about environment, perceived compliance levels of others and anxiety about food hazard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health status, anxiety about environment, perceived compliance levels of othe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anxiety about food hazards of older adults. Also, education level and income had significant effects on food hazards of female older adults only. Particularly, all factors related to environmental anxiety like anxiety about radioactivity, pesticide/chemical fertilizer, and tap water had significant effects on anxiety about food hazards, and anxiety about tap water was the most significant factor that affected anxiety about food hazards.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here is a need for intervention to improve food safety and to decrease anxiety about food hazards of older adults and gender should be considered in education about food hazards. 본 연구는 노인의 식품위해에 대한 불안 수준을 파악하고 성별을 구분하여 식품위해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통계청의 2018년 사회조사 데이터를 분석에 사용하였으며, 연구 대상은 65세 이상 노인 7,870명이다.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인구사회학적 요인, 건강상태, 환경에 대한 불안, 타인의 준법수준에 대한 인식과 식품위해 불안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 건강상태, 환경에 대한 불안, 타인의 준법수준에 대한 인식이 노인의 식품위해 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교육수준과 소득은 여성 노인의 식품위해 불안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방사능에 대한 불안, 농약 및 화학비료에 대한 불안, 수돗물에 대한 불안과 같이 환경적 요인과 관련된 불안은 모두 식품위해 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돗물에 대한 불안이 식품위해 불안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식품 안전성을 향상시키고 노인의 식품위해 불안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개입이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으며 식품위해와 관련된 교육에 있어 성별이 고려되어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 KCI등재

        기독노인의 하나님 이미지와 죽음불안과의 상관관계

        이영미,조윤옥 한국상담학회 2013 상담학연구 Vol.14 No.4

        This study was carried out not only to examine and relate the image of God and death anxiety of the Christian elderly peoples, but to make clear of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accordance to general background of objects, and finally to illuminate relationships among sub-categories of the image of God affecting on death anxiety. The object of this study is 98 Christian elderly peoples older than 65 years living at J-area. The measuring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are both God Image Assessment developed by Kim(2002) and Death Anxiety Scale of Templer(1970). By using raw data collected from the scales mean,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and Duncan’s post-test were carried to examine the relation between the image of God and death anxiety of each group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the image of God i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health condition, but shows no difference with regard to sex, age, and the death experience of family. Secondly, death anxiety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ased on sex, age and the death experience of family. The death anxiety of the group expressed as ‘bad health condition’ is low in comparison to the group expressed ‘similar health among the same aged’. It is recognized that the longer the duration of belief, the less the degree of the death anxiety. Thirdly, The higher the subcategories(belonging, goodness, and feeling of control) of the image of God, the lower the death anxiety in the order of the belonging, feeling of control and goodness. Fourthly,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of the image of God, the less the death anxiety in general; It is recognized that the image of God influence on death anxiety of significance. This result indicates that the image of God influences on the factual responses on the death confronted with the aged people, and it can provide with fundamental data and new perspectives on how to approach the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christian peoples. 본 연구는 기독노인의 하나님 이미지와 죽음불안에 대해 살펴보고, 하나님 이미지와 죽음불안과의 관계는 어떠하며,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배경에 따라 어떠한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 죽음불안과 하나님 이미지의 하위영역간의 관련성은 어떠한지를 연구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J지역의 기독교 신앙을 가진 65세 이상의 노인 9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한 하나님 이미지 측정도구는 김난예가 개발한 God Image Assessment이며 죽음불안 척도는 Templer의 Death Anxiety Scale를 사용하였다. 이 측정도구로 하나님 이미지와 죽음불안과의 관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각 집단별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하고, t-test와 일원분산분석과 Duncan사후검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첫째, 성별과 연령, 가족의 죽음경험에 따른 하나님 이미지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건강상태와 하나님 이미지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신앙년 수가 많을수록 하나님 이미지가 긍정적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 연령, 가족의 죽음경험에 따른 죽음불안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건강상태는 건강이 매우 나쁘다고 인지한 집단이 건강이 같은 연령대와 비슷하다고 인지한 집단보다 죽음불안이 낮았으며, 신앙년 수가 많을수록 죽음불안이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하나님 이미지의 하위영역인 소속감, 승인감, 통제감이 높을수록 죽음불안이 낮아졌으며, 소속감, 통제감, 승인감의 순으로 죽음불안이 낮다는 결과를 얻었다. 넷째, 전체적인 하나님 이미지가 긍정적일수록 죽음불안이 낮아져서 하나님 이미지와 죽음불안은 유의한 관계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하나님 이미지가 노년의 죽음을 맞이하는 사건 반응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나타내며, 기독노인의 죽음불안 문제에 대하여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로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독거노인의 죽음불안이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기태,송진영,정종화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8 保健社會硏究 Vol.3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death anxiety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between death anxiety and life satisfaction among the elderly living alone. For this purpose, 291 elderly people living alone in Seoul were analyz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death anxiety of elderly persons living alone has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2) The dying process anxiety of elderly living alone has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and the anxiety of existential loss in the elderly living alone has negative effect on life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the after death anxiety of the elderly living alone showed no effect on life satisfaction. The anxiety about dying process and the anxiety of existential loss in the elderly living alone were found to lower their life satisfaction, but their death anxiety was not effect on life satisfaction. (3) Depression was found to mediate between the anxiety of existential loss and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was found to mediate between anxiety about the process of dying and life satisfac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ome suggestions and suggestions were made to improv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through reducing the depression or death anxiety. 본 연구는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생활만족도에 대한 죽음불안의 영향력과 이들 간의 영향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독거노인 291명을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0.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의 죽음불안은 생활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독거노인의 죽음과정의 불안은 생활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독거노인의 존재상실의 불안은 생활만족도에 부적(-)인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독거노인의 사후결과의 불안은 생활만족도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독거노인들의 죽음불안과 그의 하위요인 중 죽음과정의 불안과 존재상실의 불안은 그들의 생활만족도를 낮추는 요인인 반면, 사후결과의 불안은 생활만족도에 영향이 없음을 밝혔다. 셋째, 독거노인의 우울은 존재상실의 불안과 생활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또한 우울은 죽음과정의 불안과 생활만족도 간을 매개하는 것을 검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토대로, 독거노인의 우울과 죽음불안의 감소를 통해 생활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몇 가지 논의와 제언을 하였다.

      • KCI등재

        대학생의 성격양식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

        조나영,이민규 한국건강심리학회 2017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Vol.22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ospective relation between two personality predispositions: sociotropy-autonomy and social anxiety, focusing on the mediating role of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it was also to compare and analyze the effect of sociotropy-autonomy on the two subtypes of social anxiety(social interaction anxiety and performance anxiety). 356 undergraduate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measures of the Revised Personal Style Inventory-II, the Self-Absorption Scale, the Social Interaction Anxiety Scale and the Social Phobia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dings revealed that a maladaptive self- focused attention was found to partially mediate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tropy-autonomy and two subtypes of social anxiety. Specifically, the result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indicated that both sociotropy and autonomy had direct effects on two subtypes of social anxiety, and indirect effects on two subtypes of social anxiety, mediated by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Second, the maladaptive self-focused attention had relatively stronger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otropy-autonomy and performance anxiety, than the relationships between sociotropy-autonomy and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ird, sociotropy had a stronger predictive power for social interaction anxiety than performance anxiety,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redictive power of autonomy for the two subtypes of social anxiety. Finally,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사회지향성 및 자율지향성의 성격 양식과 사회불안 간의 관계를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가 매개하는지, 그 매개효과의 차이가 있는지 여부와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이 각각 사회불안의 하위유형인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및 ‘수행불안’에 따라 갖는 예언력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에 356명의 남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성격양식 질문지, 자기몰입 척도, 사회공포증 척도,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척도를 실시하였고,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는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의 성격양식과 사회적 상호작용불안 및 수행불안 간의 관계를 각각 부분 매개하였다. 둘째, 매개효과 차이 검증 결과, 사회지향성과 자율지향성의 성격 양식 및 사회불안의 하위유형 간의 관계에서 부적응적 자기초점주의의 매개효과는 성격 양식과 상호작용불안 간의 관계보다, 성격 양식과 수행불안의 관계에서 유의하게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지향성이 사회적 상호작용불안과 수행불안에 이르는 전체효과를 비교 검증한 결과, 사회지향성은 수행불안보다 사회적 상호작용불안에 더 강한 예언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자율지향성이 사회적 상호작용불안과 수행불안에 갖는 예언력을 비교 검증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의 시사점과 후속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 KCI등재

        좌절감과 불안과의 관계에서 A/ B 성격 유형의 매개 효과: 여자 대학생을 대상으로

        김미령 한국청소년학회 2015 청소년학연구 Vol.22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A type personal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nxiety and the sub-factors of stress. This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07 female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s revealed through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A type / B type personality causes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anxiety in the sub-factors of stress called frustration and control ability, when they perceived that they can not control the stress and it was found that more they feeling the frustration higher the anxiety.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stress, the frustration was appeared to cause a positive significant effect on anxiety for both A type and B type, but the control ability was appeared that not to caus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anxiety for both A type and B type personality. Third, A type personality has shown a partial mediating effect through frustration, but the mediating effect of B type personal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Such results is indicate that frustration is an important therapeutic factor of anxiety, and the core of stress management is control ability. In other words, it can control the conditions that cause stress, and for the B type having a laid back personality of not being overwhelmed by the circumstance, it has been difficulty induction of anxie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validated to the mediating effect of personality type between on the anxiety and stress, it has provided efficient information to cope with anxiety. 본 연구의 목적은 스트레스 하위요인과 불안과의 관계에서 A 유형 성격의 매개 효과를 검정하는 데 있다. 질문지 조사는 여자 대학생 207명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통하여 밝혀진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A 유형/ B 유형 성격은 스트레스 하위 요인 좌절감, 통제능력에서 정적(+)으로 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나, 스트레스를 통제할 수 없다고 지각하고 좌절감을 느낄수록 불안감이 높아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스트레스의 하위 요인 중 좌절감은 A 유형/ B 유형 성격 모두 불안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제능력은 A 유형/ B 유형 성격 모두 불안에 유의미한 영향을 끼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불안과의 관계에서 A 유형 성격은 좌절감을 통해서 부분매개 효과를 나타냈으나, B 유형 성격의 매개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좌절감이 불안 유발의 중요한 요소이고, 스트레스 관리의 핵심은 통제능력에 있음을 의미한다. 즉,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상황을 통제할 수 있고, 상황에 압도되지 않는 여유로운 B 유형 성격의 경우에는 불안이 유발되기 어렵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불안과 스트레스와 관계에서 성격 유형의 매개 효과를 살펴봄으로 불안에 대처하는 효율적 자료를 제공했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KCI등재

        차문화치료를 활용한 웰다잉 프로그램이 노인의 죽음불안과 죽음인식에 미치는 효과

        김인숙 한국차학회 2019 한국차학회지 Vol.25 No.4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tea-culture therapy program to help elderly Koreans express anxiety about death, the last task of life, to improve and stabilize the quality of life by easing anxiety about death, and to study the effects of tea culture therapy applied to well-dying programs on elderly people's death anxiety. The Tea Culture Treatment Program, which applied the well-dying Program for the Mitigation of Death Anxiety for the Elderly, was aimed at 20 senior citizen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at the Senior Welfare Center in P City. The program consisted of 15 minutes for introduction, 60 minutes for intervention development, 15 minutes for leakage, and 15 minutes for cleaning up. The program lasted a total of 90 minutes per session and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a total of eight times. To verify the effects of tea culture therapy applied to well-dying programs on the elderly's death anxiety, a correspondence sample t-test was conducted for the difference in the score of the measuring tools for marriage satisfaction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An analysis of the effects of tea culture therapy on elderly people's death anxiety by applying the well-being program showed that the death anxiety score average for senior citizens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3.18 (SD 0.35), and the death anxiety score averag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was 2.90 (SD 0.30), indicating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death anxiety score before and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t=6.170***, P=.000). The average death-recognition score for the elderly was 3.33 (SD 0.43). The average death-recognition score after participating in the program increased by 0.29 to 3.58 (SD 0.23),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t=-5.252***, P=.000). Over the course of the program, the elderly could also see the true well-dying of trying to end their lives with a comfortable mind while naturally talking about life, death, and future views, expressing anxiety about death, and sharing the thoughts of the participants about happy lives. This has shown that tea culture therapy applied to well-dying programs is effective in alleviating elderly people's fear of death. 본 연구는 한국 노인들에게 생애의 마지막 과업인 죽음에 대한 불안 감정을 표출하고 죽음 불안을 완화로 삶의 질 향상과 안정화를 위하여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가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연구하고자 한다. 개발된 노인의 죽음불안 완화를 위한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 프로그램은 P시의 노인복지관의 본 프로그램의 참가를 동의한 노인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프로그램은 도입 15분, 개입 전개 활동 60분, 소감나누기와 정리 15분 총 90분으로 회기 당 구성하여 1주일에 1회씩 총 8회로 진행하였다.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가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프로그램 참여 전과 후의 결혼만족도 측정도구 점수 차이에 대한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였다.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가 노인의 죽음불안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 참여 전 노인들의 죽음불안 점수 평균은 3.18(SD 0.35)였고, 프로그램 참여 후 죽음불안 점수 평균은 2.90(SD 0.30)으로 나타나, 프로그램 참여 전과 참여 후의 죽음불안 점수 수준은 유의한 차이가 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6.170***, P=.000). 노인들의 죽음인식 점수 평균은 3.33(SD 0.43)이었고, 프로그램 참여 후 죽음인식 점수 평균은 3.58(SD 0.23)로 0.29 높아졌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5.252***, P=.000).또한 프로그램이 진행되는 동안 노인들은 삶과 죽음, 내세관에 대한 이야기를 자연스럽게 하면서 죽음에 대한 불안한 감정을 표출하고, 인생의 행복한 삶에 대한 참여자들의 생각을 공유하면서 편안한 마음으로 삶을 마무리할려고 하는 참다운 웰다잉을 볼 수 있었다. 이상으로 웰다잉 프로그램을 적용한 차문화치료가 노인의 죽음불안을 완화하는데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 KCI등재

        <거울 모르는 사람들>의 서사적 특성과 편집성 인격장애

        강미정 ( Kang Mi-jeong ) 한국고전문학교육학회 2008 고전문학과 교육 Vol.15 No.-

        This paper is to reveal the relation between the epic of < people who don't know a mirror > and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I assume that the fact of not recognizing one's own face should be pathological problem. People who suffer from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show mistrust and anxiety. I expect that people who don't recognize their own faces from < people who don't know a mirror > can be related to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The epic of < people who don't know a mirror > from 『An Outline of Korean Folklore Literature』is related to the epic of mistrust and anxiety. The wife from < people who don't know a mirror > distrusts her husband. She is in fear of being abandoned. She has a doubt that her husband has an affair, so she might lose him. After searching the epic of < people who don't know a mirror >, I found some peculiarity of people's behave. When you have doubts about your lover, so you are in anxiety, it's hard to think logically. You keep digging for clues expecting that you would prove the unknown truth. It becomes really impossible to make a sense out of you. You cannot be persuaded. These all symptoms are related to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Not every version of < people who don't know a mirror > from 『An Outline of Korean Folklore Literature』is all about symptoms. There are some versions show the solution. Separation for a specified period, self-examination, and recovery of distrust can be the way of solving the problem. In the scene of literary therapy practice, the epic of < people who don't know a mirror > can be used for the treatment of paranoid personality disord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