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絶對의 意味와 省察

        조수철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6 신경정신의학 Vol.35 No.1

        본 연구는 絶對의 어원적 의미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에 입각하여 다음과 같은 문제들을 연구하였다. 첫째, 絶對의 어원적 의미가 동양의 고전 특히 노자의 도덕경과 장자에서 어떻게 기술되고 있는가? 둘째, 절대의 의미가 일상생활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 셋째, 절대의 의미가 정신의학에서 어떻게 적용될 수 있는가? 넷째, 성찰에 있어서 절대의 어원적 의미가 어떻게 이용될 수 있는가? "絶對"라는 단어의 어원적 의미는 "서로 마주 보고 있는 상황(對)을 끊는다(絶)"이다. 따라서 이러한 어원적 의미에 입각한다면, 모든 대극적인 상황이 하나로 통일이 됨을 의미한다. 도덕경에서 기술되고 있는 得一思想이나 장자의 萬物齊同思想은 絶對의 어원적 의미와 정확하게 일치되는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정신의학의 이론이나 치료적인 측면에 적용한다면, 생물학적 접근 또는 심리적인 접근, 이 둘이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하나로 통괄이 되어야 한다. 또한 사고, 감정 그리고 행동의 이 대극적인 상황을 하나로 통괄시켜주는 과정이 즉 정신치료나 정신분석의 과정이라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이러한 개념을 임상적인 상황과 연결을 시켜, "나와 남"의 대극적 상황의 차별상을 없애고 하나로 통괄하여 모든 인간이 "타인에 대한 사랑", "타인의 존재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 "타인의 고통을 자신의 고통으로 받아들이는 자세"등, 인간 심성의 긍정적인 측면이 실천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This study is to elucidate the etymological meaning of the absoluteness(絶對, Cherl Dae), and based on this etymology, the author investigated the following issues ; 1) How was the etymology of absoluteness described in oriental classics such as Tao Te Ching and Chang Ja? 2) How can the etymology of absoluteness be applied in everyday life? 3) How can the etymology of absoluteness be applied in psychiatry? 4) What will be the way of introspection using the original concept of absoluteness? The etymological meaning of Cherl Dae(絶對) is to cut off(絶) the contrast(對), thus the seemingly contrast concepts become one concept based on this concept of Cherl Dae. In Tao Te Ching, we can find the "Thought of Getting One(得一思想)" which is the exactly same concept as Cherl Dae. In Chang Ja, we can find "Thought of 'there is no discrimination in everything'(萬物齊同思想)". This also means that there is no contrasting concept in everything, and in this sense, this "Thought in Chang Ja" is the exactly same concept as Cherl Dae. In psychiatry we usually have dichotomous thinking such as psychological versus biological approach. But it is impossible to divide human psyche into two independent structures. Based on the concept of Cherl Dae, these two concepts should be integrated into one concept, and thinking, emotion and behavior also should be integrated into one wholeness. Finally we can apply this concept in the practical clinical settings. If psychiatrists could cease the discrimination between them and patients, they will be able to take care of the psychiatric patients as if they themselves were the patients.

      • KCI등재

        불교와 칸트의 철학 체계 비교연구 - 불교 공성과 칸트 선험성의 절대성을 중심으로 -

        표석환 새한철학회 2024 哲學論叢 Vol.115 No.1

        불교와 칸트의 철학적 유사성으로부터 양자 간의 비교연구가 광범위하게 수행되었다. 이율배반과 무기, 무아와 윤회와 같은 아포리아에 관한 연구, 세계관, 인식론, 도덕론 내지는 실천철학, 선(禪) 등 양자의 공통된 철학적 기반에 관한 연구 등이 그것이다. 불교는 연기적 세계관에 입각한 공(空)을, 칸트는 경험(經驗)과 분리된 선험(先驗)을 핵심 사상으로 각각 제시할 수 있는데, 이를 직접 비교하여 수행한 연구는 부족하다. 이 연구는 불교와 칸트의 철학적 근간 원리이자 개념이라고 할 수 있는 공성(空性)과 선험성(先驗性)이 공유하는 절대적 속성으로 인해 나타나는 철학적 전개의 유사성을 비교·분석하였다. 우선 절대성과 상대성의 이원적 체계와 이원성의 종합이 공통됨을 규명하였고, 이원성의 종합에 따라 전개되는 세계관의 종합 전개 등을 논의하였다. 상술하면 절대성은 공사상에서는 절대적 부정성으로, 선험성에서는 경험에 독립하여 나타난다. 이원적 체계는 공사상에서 공과 색, 진여와 생멸로, 선험성에서 선험과 경험으로 나타난다. 이원성의 종합은 공사상에서 색불이공(色不異空), 불이공지유(不異空之有)로, 선험성에서 선험적 종합으로 나타난다. 세계관의 종합적 전개는 공사상에서 사구긍정과 원융무애(圓融無礙)로, 선험성에서 선험적 인식형식과 자유로 나타난다. 칸트 선험성은 칸트 당대부터 지속적으로 비판을 받아 왔고, 칸트 사후에도 이를 계승하면서 현대적으로 발전시킨 철학 사조는 찾아보기 어렵다. 칸트의 선험사상이 불교의 공사상과 절대성을 공유한다는 점만으로도 칸트철학 전반을 선험성 개념을 중심으로 재구성하고 체계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동서철학이 소통하는 철학적 통섭의 전기도 마련할 수 있을 것이기 때문이다. 선험성에 기초한 칸트철학 체계의 재정립과 이를 현대화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emptiness and transcendence, which can be said to be the fundamental philosophical principles and concepts of Buddhism and Kant, based on the concept of absoluteness. First it was established that the dual system and the nature of no-difference of absoluteness and relativity are common. Second it discussed the phenomenon of unity of mind, which was develop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no-difference of the dual system. In detail, absoluteness appears as absolute negativity in emptiness, and as independent of experience in transcendence. The dualistic system appears as emptiness and matter, truth and existence in emptiness, and as a priori and a posteriori in transcendence. The synthesis of dualistic system appears as matter being not different from emptiness[色不異空] and existence not different from emptiness[不異空之有] in emptiness, and as the relation of a priori and a posteriori in transcendence. The world view of synthesis appears as the affirmation of four dialectic propositions and complete unobstructed interpenetration of things[圓融無礙] in emptiness, and as a priori cognitive form and freedom in transcendence. Kant's transcendence has been continuously criticized since Kant's time, and his death. The fact that Kant's transcendental thought shares absoluteness with Buddhism's emptiness philosophy makes it possible to reconstruct and systematize Kant's entire philosophy around the concept of transcendence. Therefore, it will possibly provide a turning point for philosophical consilience through which Eastern and Western philosophies communicate.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re-establish Kant's philosophical system based on transcendence and modernize it.

      • KCI등재

        현대 중국어 비등급(non-gradable) 형용사의 등급적 용법 분석

        이지현 ( Lee Ji-hyoun ) 한국중국학회 2017 중국학보 Vol.81 No.-

        본고는 비등급적인 상보어 형용사가 맥락에 따라 등급적인 반의어 형용사의 의미 특징을 모방하여 등급적 용법을 지니는 의미적인 원리를 밝히고자 하였다. 먼저 의미 척도 체계를 기준으로 반의어 형용사를 네 종류로 나누고 그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들 반의어 형용사는 공통적으로는 의미적인 양적 단계들을 지니며, 대립 의미 쌍 사이의 모호한 상태를 나타내는 중간 영역이 존재한다. 그러나 척도 상의 개방성/폐쇄성의 측면에서는 대체적으로 개방적인 특성을 보이나, 한쪽 끝이 폐쇄적인 경우도 발견된다. 또한 반의어 대립 쌍은 의미적으로 절대성/상대성을 나타내는 측면에서도 각각 서로 다른 양상을 보인다. 그러나 `熱/冷`류를 제외하면 대체적으로 상대성의 의미 특징을 부분적으로나마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비등급적인 상보어 형용사들이 등급성 의미의 영향을 받아 어휘 의미 내에 양적 단계들이 생기고 대립 쌍 사이에 중간 영역이 형성되는 변화 과정을 살펴보았다. 그 변화 과정을 통해 의미 척도 체계를 형성하는 등급 반의어 형용사의 전형적인 특성에까지 도달한 경우도 발견된다. 지금까지의 논의를 통해 본고는 등급성이 특정 부류에서만 나타나는 폐쇄적인 의미 범주가 아닌 주변 부류에까지 영향을 미치는 개방적, 역동적인 특성을 지닌다고 판단한다. 이에 따라 비등급적인 부류 역시 특정 맥락에 따라 등급적인 의미 해석이 가능할 수 있다. 아울러 등급성 의미의 원형적인 범주인 반의어 형용사를 중심으로 여러 주변 부류가 나열된 의미 연속체를 가정한다. This paper is about investigating the semantic principles by which non-gradable complementary adjectives imitate semantic features from gradable antonym adjectives in specific context. At first, we divide gradable antonym adjectives into four types on the basis of own semantic scalar system and analyze their characteristics. Four types of gradable antonym adjectives have innumerable semantic scalars and middle semantic domain in common. Besides, in terms of closure/openness of scale, they have opened scales in general, but one closed scale corresponding to `gan(乾)` meaning is found. Moreover, in terms of semantic absoluteness/relativeness, antonym opposites show different feature respectively, but except for `re/leng(熱/冷)` type, they typically indicate semantic relativeness. Based on the above research, we analyze the process of change that non-gradable complementary adjectives are influenced by gradability of antonym adjectives and have semantic scalars and middle semantic domain between opposites. We can find the cases among them that non-gradable complementary adjectives got to final process of change forming semantic scalar system of gradable antonym adjectives. In conclusion, we think that gradability is not a closed sematic category only found in a specific type but one characterized by open and dynamic features influencing the other surrounding types, and we assume a semantic continuum lined up with antonym adjectives, or prototype category of gradability in central and many other surrounding types.

      • KCI등재

        “추산도”와 “늪지”에 나타난 예술의 상대성과 절대성을 중심으로

        임만호(Manho Im)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2

        본 논문은 아쿠타가와 류노스케의 문학에서 지향하고자 했던 예술의 미적 가치에 대하여 작품 “추산도” 와 “늪지”를 중심으로 고찰했다. “추산도”에서는 그림 ‘추산도’에 대한 시대와 장소라는 선입관의 유무에 따라 걸작에서 졸작으로 전락하는 예술의 상대성을, “늪지”에서는 그림 ‘늪지’에 대한 시간과 장소라는 선입관에도 불구하고 걸작이라고 평한 예술의 절대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예술의 절대성은“노로마인형”에서도 비유적으로 나타나는데, 비록 작품 외연 상 예술의 상대성이 서술되었다고는 하나, 노로마인형극 교겐 내용에서 말한 ‘진귀한 보석’은 보석의 특징상 영원불변의 성질을 가진다는 점에서 예술의절대성을 말한다고 볼 수 있다. “추산도”의 ‘괴이한 추산도’, “노로마 인형”의 ‘진귀한 보석’ 그리고 “늪지”의 ‘황홀한 비장의 감격’은 아쿠타가와 문학의 미적 가치를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 하겠다. This study examines the aesthetic value of art in the literature of Ryunosuke Akutagawa, focusing on the works “Autumn Mountain” and “Swamps.” “Autumn Mountain” shows the relativity of art, in which a painting can go from being a poor work to a masterpiece depending on whether or not one has preconceived notions about the time and place of the painting, while “Swamps” shows the absoluteness of art, in which a painting is considered a masterpiece despite having preconceived notions about the time and place of the painting. This absoluteness of art also appears figuratively in “Puppet of Noroma” and although the relativity of art is depicted in the work, it can be said that the ‘precious jewel’ mentioned in the stage (Kyogen) “puppet of Noroma” is the absoluteness of art in that it has an eternal and immutable nature, which is characteristic of jewelry. The ‘strange painting of autumn mountain’ of “Autumn Mountain,” the ‘precious jewel’ of “Puppet of Noroma,” and the ‘ecstatic thrill of the spleen’ of “Swamps,” are all examples of the aesthetic value of Akutagawa’s literature.

      • KCI등재

        ‘새로운 세계사’의 등장과 정형화된 서술 구조의 변화

        張로사(Jang, Rosa) 역사교육연구회 2016 역사교육 Vol.140 No.-

        Overcoming Eurocentrism can be started from analyzing narrative context of European history, usually accepted in formalized ways, in world history textbooks. This paper discusses the changes and the limits of story arcs in the textbooks released around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that includes research trends of ‘New World History’, focusing on the Age of Exploration and Absolutism, formalized as an economic and political origin of the formation of late modern states in high-school world history textbooks. Base on the analysis, the alternatives of story arc are also presented. While some textbooks crushed the narrative structure that described the Age of Exploration as an origin of modern Capitalism development, many of them changed only small part of narratives or terminologies. In addition, the processes of exploration, seeking sea routes ‘New’ only to European people, are mainly about explorers, their adventurous spirits and routes themselves. Also, absoluteness is still with strongly emphasized absoluteness of monarchy and backwardness of Eastern Europe, compared to formality of Western Europe, even though it sometimes highlights characteristics of centralism. In order to change the formalization, various alternative story arcs should be provided to students to help them have critical views toward mythicized past in the history, not curriculum revision-led changes. Using the story arc teachers need to guide their students to understand diversity and tentativeness of interpretation of history, not a single view about past, and view contemporary world critically.

      • KCI등재

        농산(農山) 신득구(申得求)의 성리설과 한국철학사에서의 의미

        최영성 한국철학사연구회 2020 한국 철학논집 Vol.0 No.66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philosopher Nong-San Shin Deuk-Gu (申得求: 1850∼1900) to academia and look at the significance of his theory in Korean philosophy history. Shin Deuk-Gu is not well-known in academia; however, he was the one who stirred up the Neo-Confucianism academia during 1890s Joseon dynasty. Following Yulgok Yi I's an academic pedigree, he opposed Yi I's theory, "there's only desire to follow the righteousness (道心) in heaven and no humanity (人心)." He argued that the theory, "there's only desire to follow the righteousness in heaven", is logically or practically unreasonable. Yi I's theory is connected to Confucian scholars’ heavenly perspective, and it eventually leads to issues of 'heaven and good and evil'; this matter was not uncomplicated. Yeon-Jae Song Byeong-Seon and his pupils criticized and attacked Shin Deuk-Gu; the debate continued over the years. Shin Deuk-Gu was finally convicted as a "sinner of Confucianism" and committed suicide. Shin Deuk-Gu's theory came after a long thought and philosophical agony. It was the misfortune of the Joseon Neo-Confucianism academia that the fruits of his anguish buried. Inside the phrase "there's humanity in heaven as well," his belief of "the good and evil exists in heaven" is hidden. You can get a glimpse of the skepticism of "the absoluteness of heaven" and "the absoluteness of truth." He focused on raising the status of a saint, the culmination of human, and conducted debate. The skepticism or denial of "the absoluteness of heaven" aims to increase the mortal status relative to heaven. These philosophical thoughts give few possibilities to connect to "modernity"; this is the reason to pay attention to on this theory. 이 글은 농산(農山) 신득구(申得求: 1850∼1900)라는 철학자를 학계에 소개하고, 한국철학사에서 그의 학설이 어떤 의의를 지니는지를 조망하려는 데 목적이 있다. 신득구는 아직까지 학계에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이다. 그러나 정작 그는 1890년대 조선의 성리학계를 떠들썩하게 했던 장본인이었다. 율곡 이이의 학통을 이은 그는 “하늘에는 도심(道心)만 있고 인심(人心)은 없다”는 이이의 학설에 반기를 들었다. 하늘에는 도심만 있다는 말이 논리적으로나 실제상으로 타당하지 않다고 주장하였다. 이이의 말은 유가(儒家)의 천관(天觀)에 연결되고 종국에는 ‘하늘과 선악’의 문제로 귀결된다. 사안이 간단하지 않았다. 연재(淵齋) 송병선(宋秉璿)과 그 문하생들이 신득구를 비판, 공격하였고 수년 동안 논쟁이 이어졌다. 신득구는 끝내 ‘유교의 죄인’으로 단죄 당하였고 자결로써 삶을 마감했다. 신득구의 견해는 오랜 사색과 철학적 고민 끝에 나온 것이다. 고심의 산물이 묻혀버린 것은 조선 성리학계의 불행이었다. ‘하늘에도 인심이 있다’는 말의 이면에는 ‘하늘에는 선도 있고 악도 있다’는 사고가 숨어 있다. ‘하늘의 절대성’, ‘진리의 절대성’에 대한 회의를 엿볼 수 있다. 신득구가 정작 말하고자 했던 것은 인간의 도덕적 자각과 선의 실천에 있었다. 그는 인간의 정점인 성인(聖人)의 위상을 높이는 데 중점을 두고 논의를 전개하였다. ‘하늘의 절대성’에 대한 회의나 부정은 상대적으로 인간의 위상을 높이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런 철학적 사고는 ‘근대성’으로 연결시켜 볼 수 있는 여지가 적지 않다. 그의 학설에 주목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에른스트 트릴취의 '기독교의 절대성' 비판과 역사적 기독교의 재구성

        강병오 한신대학교 한신신학연구소 2016 신학연구 Vol.53 No.2

        This paper proceeds as follows: first section discusses the debate between Ernst Troeltsch and Wilhelm Dilthey on the relation of the Reformation to the modern world. The paper will try to demonstrate that the Reformation has a strong affinity to the new paradigm of the modern world. The second section analyzes the basis elements of the Reformation distinguishing between the magisterial group and the radical ones. This paper is especially interested in the impact of the Roman Catholic reformation upon the modern world and its opposition to the Protestant Reformation movement. The third section argues that although the main concern of the Reformers was with church discipline, the issue of church is inextricably intertwined with other social issues. The final section makes some concluding remarks, suggesting that the Reformation provided ideology and motives for social transformation.

      • KCI등재

        예측불허의 자아를 넘어서 -『떠도는 오페라호』를 근거로

        고지문 ( Ji Moon Koh ) 한국영미문화학회 2011 영미문화 Vol.11 No.3

        This paper examines John Barth`s writing philosophy and technique embodied in The Floating Opera, and analyzes the novel. Together with John Hawkes, Raymond Federman, William H. Gass, and Thomas Pynchon, John Barth denies the writing philosophy and technique of the novels of realism and modernism, which are too exhausted and have little appeal to readers. However, he is quite different from these postmodern writers in the idea of plot and language. He lays a stress on plot that is ignored and denied by postmodern writers. His plot is not realized through telling something about whatness, but by means of imagination and language use. His plot does not depend on constancy, certainty, objectivity, and absoluteness, but on change, ambiguity, subjectivity, and relativeness, either. He contends that meaning precedes language. His contention is opposite to postmodern writers` idea that language is foremost. Barth has written The Floating Opera on his philosophy of plot and language and technique of reflecting it. Todd Andrews, hero of the novel, is controlled and dominated by unpredictable persons, who deny absolute value and meaning which have been paradigm of human existence. So his life depends on an unpredictable self and masks, which bring about chaos and meaninglessness in existence. At last he abandons his absolute belief in a mask, receives his disease of heart as it is, and exists beyond an unpredictable self.

      • KCI등재

        『한여름 밤의 꿈』(A Midsummer Night’s Dream)에 나타난 사랑의 이율배반적 구조

        한용재(Yongjae Han) 한국셰익스피어학회 2016 셰익스피어 비평 Vol.52 No.4

        This essay examines the ways in which Shakespeare dramatizes the antinomic structure of love in A Midsummer Night’s Dream. Starting from the assumption that love operates only in its antinomic structure of ‘absoluteness’ and ‘relativity,’ this essay aims to show that Shakespeare’s two young couples experience two irreducible nature of love simultaneously throughout the play. Specifically speaking, Shakespeare sets up a legal scene in which absolute love and relative love collide against each other, resulting in the illustration of the antinomic structure of love, given that a court is the best place for the opposing argument of love to be heard. Needless to say, Hermia and Lysander argue for absolute love because they pursue true love. They believe that love is neither replaceable nor negotiable under any circumstances. Rather, it requires only faithfulness in the form of mutual oath between lovers. Love even transcends law in its creation of a new law and a new world. Demetrius and Egeus cannot buy this claim because love is also a certain business deal on the basis of the rationality of economy. Love is no exception to law, another form of rationality, either. However, as the play goes on, Shakespeare demonstrates how each argument contradicts itself, especially through the wood scene in which the young couples go through the mispairings and reparings. Consequently the play seems to affirm that love is neither absolute nor relative, but rather it requires both of its nature at the sam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