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개인 및 지역 특성을 고려한 비수도권청년유출 영향 요인 분석

        김민석,강민규 한국도시행정학회 2023 도시 행정 학보 Vol.36 No.2

        Recently, as the outflow of the youth population from non-capital regions accelerates along with a decrease in the gross population, numerous non-capital cities are facing the threat of local extinction. However, despite the social meaning and importance of the youth outflow issue, research that investigates its factors is still lacking. Especially since most established precedent studies focus mainly on the youth's individual characteristics or estimate regional factors without considering individual traits, research regarding both individual and regional factors is needed. This study examines the individual factors of youth outflow from non-capital regions using the Graduate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and simultaneously analyzes regional factors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urban characteristics at the city, county, and district levels. To consider both individual and regional factors, a multilevel binary logistic model was used. This study reveals that relatively talented youth are moving to the capital region for quality occupations, and furthermore, factors related to occupation and employment are confirmed to influence youth outflow at both the individual and regional levels. In conclusion, to mitigate the youth outflow, policies that supply quality jobs and improve settlement conditions such as local parks should be pushed simultaneously for non-capital regions. 최근 인구 감소와 더불어 지방도시 청년세대의 수도권 유출이 가속화 되면서, 많은 비수도권 도시가 실질적인 소멸위기에 직면하고 있다. 그러나 지역의 청년세대 유출 문제가 갖는 사회적 의미와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그 영향요인을 실증적으로 규명한 연구는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특히 청년세대 유출과 관련한 기존의 선행연구가 주로 청년 개인의 특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거나, 개인 특성을 고려하지 않은 지역적 영향 요인 추정에 방점을 두고 있어, 이를 종합적으로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 청년세대 유출의 개인적 영향요인을 살피는 한편, 시군구 단위의 도시특성 변수 구축을 통해 지역적 영향요인을 동시에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개인과 지역수준의 영향력을 동시에 고려할 수 있는 다수준 이항로지스틱 모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 상대적으로 우수한 청년 인재들이 양질의 일자리를 구하기 위해 수도권 지역으로 떠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직장 및 고용과 관련된 변수가 개인적, 지역적 수준 모두에서 청년유출에 강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지역의 청년세대 유출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비수도권 지역을 대상으로 하는 양질의 일자리 공급정책과 함께, 공원을 비롯한 정주여건 개선정책이 동시에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광역도 지역 청년 대졸자의 수도권 유출 원인

        정충대(Jung, ChoongDae) 한국지역사회학회 2020 지역사회연구 Vol.28 No.2

        수도권과 지방의 불균형 발전은 한국 사회에서 오랫동안 논의되어 온 주제이며, 이에 따른 지역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 실태와 원인에 대해서도 많은 논의가 이루어져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가 수도권과 지방의 노동시장성과 차이에만 주목하여 분석과 정책적 대응이 제시되었기 때문에 교육 체제와 구조의 영향은 거의 검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 자료를 이용하여 수도권 유출 원인을 분석하고 정책적 대응 방안을 논의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의 품질을 포착하는 4년제 더미(전문대학 기준)와 평균평점은 모두 유의미한 양(+)의 추정값을 보여 수도권이 출세지역으로서 지역의 우수인재를 우선적으로 흡수함을 입증하였다. 수도권 고교 졸업자 더미는 다른 어떠한 변수보다도 유출 확률을 크게 상승시켰다. 또한 지역 경기를 포착하는 제조업생산지수는 졸업(취업) 지역에서 높아질수록 유출 확률을 하락(상승)시켰다. 한편 지수의 효과는 교육 변수에 따라 달라진다. 4년제에 비해 전문대학 졸업자가 졸업 지역의 경기가 어려워져도 지역에 잔류할 확률의 하락폭이 적으며, 수도권 고교 졸업자는 졸업 및 취업 지역의 경기와 관계없이 유출 확률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처럼 지방 청년층의 수도권 유출이 공고하게 구조화되어 있는 상황에서 단편적 정책 처방은 큰 효과를 거두기 어렵다. 보다 장기적인 차원에서 지자체와 교육, 산업, 노동, 시민사회 등 각계각층이 협력하는 지역혁신모형을 구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Regional unbalanced development has continuously discussed in Korean society, and the outflow determinants of local youth has been also discussed. However because such researches and policies are under dual labor market theory, the effect of education system and structure has almost not considered yet. Therefore this paper analyzes the outflow determinants focused on education field. As a result, both 4-year university dummy and average grade point as measurements of education quality have significant positive estimates proving the capital area as escalator region has absorbed qualified local youth. High school graduates from capital area has greater significant and positive estimate compared to any other variables. Higher manufacturing index in graduate(job) area is higher(lower) outflow possibility, and this effect is different to groups. College graduates has less decrease of outflow probability than university graduates when local economic situation get worsened. High school graduates from capital area has almost constantly high outflow probability regardless of local economic situation. Under the structured brain-drain of local youth, fragmentary and short-term policy can hardly succeed. Rather we need long-term and co-ordinated policy among regional government, education, industry, labor and civil society toward creating original local innovation model.

      • KCI등재

        대구·경북지역 대졸자의 취업 이동 연구: 사회연결망과 직업가치 요인이 이동목적지의 선택에 미치는 영향

        권혁범,신형진 경북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2 사회과학 담론과 정책 Vol.15 No.1

        In a situation where there is concern about the stagnation of the local economy as well as the collapse of the local industrial base due to the continuous outflow of the local youth, numerous studies have been accumulated to analyze the causes of the youth employment migration outflow. Although previous studies have addressed the characteristics and driving mechanisms of employment-related migration of youth quite effectively, but they are mainly analyzing from an economic point of view, and few studies have addressed non-economic factors of migration, such as social networks and work values. This study aims to derive new policy implications focused on non-economic factors and alternative destinations (i.e. other than the ‘Seoul Capital Area: SCA’) of employment-related migration, analyzing the sample of college graduates from Daegu and Gyeongbuk area. From the '2017-Graduates Occupational Mobility Survey: GOMS' data, a total of 1,387 local college graduates, including 348 from junior colleges and 1.039 from 4-year colleges, were extracted as the sample.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has three categories based on respondents’ workplace location: ‘Stayers’, ‘Movers to SCA’, and ‘Movers to other areas’. From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the analyses of variances (ANOVA), we found that four-year college graduates were more likely to be ‘movers’ and showed a higher employment rate through official channels compared to junior college graduates. We also found ‘Stayers’ in general had lower levels of employment in large corporations, average monthly wages, and human capital compared to movers, which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ondary labor market. Meanwhile, ‘Movers to other areas’ shared similar characteristics with ‘Movers to SCA’ (in terms of their size, job qualities, and the level of human capital) but they showed the highest level of ‘work value score’, which is a comprehensive measure of the social reputation, prospect, stability of the job as well as one’s job fit. The result from a multi-nomia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also confirmed that not only the economic factors that have traditionally been emphasized as explanatory variables of employment-related migration, but also ‘work value’ is important factor, especially when moving to ‘other areas’. This study suggests that that policies to address the issue of local youth outflow should be not limited to an economic point of view, such as attracting large corporations or public enterprises to the locality. We also have to discuss policies creating local businesses and jobs that can satisfy ‘work values’ pursued by jobseekers in the locality and the beyond.

      • KCI등재

        비수도권 청년의 수도권 유출 실태 및 결정요인 - 7개 권역과 노동시장 격차를 중심으로 -

        문영만 한국지역사회학회 2022 지역사회연구 Vol.30 No.4

        본 연구는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GOMS)’를 이용하여 비수도권 대졸 청년의 1-2차 유출실태 및 유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첫째, 지난 10년간 모든 연도에서 수도권은 순유입이 발생한 반면, 비수도권은 모든 권역에서 순유출이 일어났다. 둘째, 대학진학을 위한 1차 유출은 비수도권 6개 권역 모두 동일 지역을 제외하고는 수도권 대학으로 유출된 비중이 가장 많았다. 셋째,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비수도권 청년들의 수도권 대학 유출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부모소득이 높을수록(1.4배), 특목고 졸업생일수록(3.0배) 수도권 대학 유출 비중이 높았다. 넷째, 대학입학 당시 부모소득이 자녀의 임금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한 결과, 부모소득이 한 단위 증가할 때 자녀의 임금수준이 4.7%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부모의 소득격차가 자녀들의 사교육비와 학력격차로 이어지고, 노동시장 성과 격차로 이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다섯째, 취업을 위한 2차 유출 결정요인을 추정한 결과, 임금이 높을수록(2.6배), 300인 이상 대기업일수록(1.5배), 4년제 대학 졸업생일수록(2.8배) 수도권 기업 유출비중이 유의하게 높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비수도권 대졸청년의 수도권 유출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의 노동시장 격차를 해소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고학력 대졸청년의 수도권 유출을 막고, 그 지역의 미래 성장동력으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일자리 확대보다는 일자리의 질을 높일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determinants of the outflow of college graduates from non-metropolitan areas,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ver the past 10 years, a net inflow occurred in the metropolitan area, while a net outflow of youth in non-metropolitan areas occurred in all areas. Second, in the first outflow of youth from non-metropolitan areas (going to university), the largest proportion of outflows to univers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the largest in all six regions (excluding the same area). Third, as a result of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higher parental income(1.4 times) and graduates of special-purpose high schools (3.0 times) had a higher proportion of outflow from metropolitan universities. Fourth,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secondary outflow determinant (employment), the higher the wage(2.3 times), the larger the company with 300 or more employees(1.5 times), and the more graduates from a four-year university(2.8 times), the higher the share of outflow from companies in the metropolitan area. These analysis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outflow of university graduates from non-metropolitan areas, it is necessary to bridge the labor market gap between the metropolitan area and non-metropolitan areas.

      • KCI등재

        동남권(부산, 울산,경남) 청년의 유출입 특성 및 유출 결정요인

        문영만(Moon, Young-man),류장수(Ryu, Jang-soo) 한국지역사회학회 2020 지역사회연구 Vol.28 No.3

        본 논문은 한국고용정보원의 ‘대졸자직업이동경로조사’ 10년간 자료(2008GOMS~2017GOMS)를 이용하여 동남권 대졸 청년의 유출입 특성 및 유출 결정요인을 분석하였다. 첫째, 동남권 청년의 1차 유출(대학진학) 및 2차 유출(취업) 실태를 분석한 결과, 인근 지역을 제외하고는 수도권에 소재한 대학과 기업으로 유출되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지난 10년간 지속되었다. 이는 청년들이 선호하는 대학과 근로조건이 양호한 대기업 등이 수도권에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대학진학을 위해 1차 유출됐던 청년의 38.6%만이 동남권으로 회귀하고, 61.4%가 유출된 지역에 취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어떠한 특성을 가진 청년들이 수도권대학으로 유출되는지를 분석한 결과, 여학생일수록, 연령이 많을수록, 특목고 졸업생일수록, 부모 학력이 높을수록,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유출비율이 높았다. 그리고 1차 유출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변수는 특목고와 가구소득 변수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부모의 소득 격차가 자녀들의 학력과 취업격차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동남권 대졸 청년의 2차 유출(취업)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남성일수록, 연령이 낮을수록, 4년제 대학일수록, 국·공립대일수록, 대학성적이 높을수록, 기업 규모가 클수록, 임금이 높을수록 타지역(혹은 수도권) 기업으로 유출될 확률이 높았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상대적으로 우수한 청년들이 타지역으로 유출되고 있으며, 주요한 요인은 기업 규모와 임금격차 등 이었다.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youth labor market in the Southeast region, the youth employment rate in 2019 was 3.8%p lower than the capital area, and the monthly average wage was 30.4 million won les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irst outflow (college entrance) and the second outflow (employment) of young people in Southeast Areas, the outflow was mainly to universities and compan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This is because there are many universities and large corporations that young people pref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s leaked to the metropolitan university, the more likely it is that female students, older age, graduates of special high schools (science, etc.),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of parents, and higher household incomes.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econd outflow determinants (employment) of Southeastern university graduates, Males, younger ages, four-year colleges,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higher university grades, larger firms, and higher wages have higher probability of outflow to other regional (or metropolitan) companies. This analysis shows that relatively good young people are spilled into the metropolitan area, The main factor is the high wage level of the inflow region and the large number of large corporations.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the outflow of high-educated youth talents and settle as future growth engines in the region, it is necessary to close the labor market gap between regions and improve the quality of jobs in the outflow regions.

      •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2차 유출 결정요인

        문영만 한국지역고용학회 2018 지역고용노동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청년패널데이터를 사용하여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2차 유출 결정요인을 분석하 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층의 고용률은 수도권이 비수도권에 비해 5%p정도 높았 으며, 이러한 격차는 지난 16년 간(2000~2016) 지속되었다. 대졸이상 청년층의 임금수준은 수도권 취업자가 비수도권에 비해 월평균 29만 원 정도 높았다. 둘째, 비수도권에서 학교를 졸업한 청년 중에서 수도권 기업에 취업한 2차 유출비중은 25%였으며, 수도권에서 학교를 졸업하고 비수도권 지역에 취업한 비중은 7%에 불과했다. 비수도권 유출자의 67.1%가 4년제 대학졸업 이상의 고학력 청년들이었으며, 유출비중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꾸준히 증가하고 있었다. 셋째, 청년취업자의 전반적인 직장만족도는 수도권에 비해 비수도권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이러 한 만족도 차이는 지난 6년 동안(2009~2014) 지속되었다. 이는 직장만족도의 경우 임금뿐만 아니라 일의 내용, 근로시간, 발전가능성, 의사소통 및 인관관계, 인사고과의 공정성 등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며, 주거환경 등 생활만족도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따라서 수도권 취업자의 임금수준 이 높다고 하더라도 가족과 떨어져서 혼자 생활하는데서 오는 생활만족도 하락 등 다른 요인들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넷째, 회귀분석을 통해 지역청년의 2차 유출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남성일수록, 공인 영어성적 이 높을수록, 인턴 및 직무경험이 있는 청년일수록 수도권으로의 유출가능성이 높았다. 다섯째, 비 수도권 청년들의 취업지역에 따른 임금격차 및 대기업·정규직 취업효과를 추정한 결과, 임금격차의 경우 수도권지역이 6.5%정도 높았으며, 취업효과 또한 대졸이상 학력에서 수도권이 1.5배정도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지방 청년들의 2차 유출을 줄이기 위해서는 지역 간 노동시장 격차를 해소할 필요가 있으며, 청년들이 선호하는 괜찮은 일자리(대기업, 정규직)를 비수도권 지역에 유치 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combined Youth Panel Data(2009~2014) to analyze the labor market gap of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and secondary outflow determinants of local young genera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ment rate of young people was higher by 5%p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is gap has continued for the last 16 years (2000~2016). In the case of the wage level of highly educated youth of university graduation or higher, the wage of metropolitan employees was higher than that of non-metropolitan employees by about 290,000 won per month. Second, of young people who graduated from the school in non-metropolitan areas, secondary outflow percentage who got a job in companies loc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was 25% and percentage of young people who graduated from the school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got a job in the non-metropolitan area was only 7%. 67.1% of those who leaked into the non-metropolitan area were highly educated young people of four-year university graduation or higher and outflow percentage was steadily increasing over time. Third, overall job satisfaction of youth employe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non-metropolitan area compared to the metropolitan area and this difference in satisfaction has continued for the last 6 years (2009~2014). Fourth, secondary outflow determinants of local young people were analyzed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and as a result, men, those with higher qualified English grades and young people with internship and work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leak into the metropolitan area. Fifth, wage effects and large company·regular permanent position employment effects according to the secondary outflow of local young people were estimated and as a result, wage effects of the metropolitan area were analyzed to be higher by 6.5% and employment effects to be 1.5 times higher only in college graduates or higher.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secondary outflow of local young people, it is necessary to bridge the labor market gap between regions and attract decent jobs preferred by young people large companies, regular permanent position) in the region.

      • KCI등재

        청년층의 노동시장 격차 및 지역인재 유출요인

        문영만(Moon, Young-Man),홍장표(Hong, Jang-Pyo) 한국지역사회학회 2017 지역사회연구 Vol.25 No.2

        This study combined Youth Panel Data(2009~2014) to analyze the labor market gap of metropolitan and non-metropolitan areas and secondary outflow determinants of local young generation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employment rate of young people was higher by 5.2%p in the metropolitan area and this gap has continued for the last 16 years. In the case of the wage level of highly educated youth of university graduation or higher, the wage of metropolitan employees was higher than that of non-metropolitan employees by about 290,000 won per month. Second, secondary outflow determinants of local young people were analyzed through the regression analysis and as a result, men, those with higher qualified English grades and young people with internship and work experience were more likely to leak into the metropolitan area. Third, wage effects and large company·regular permanent position employment effects according to the secondary outflow of local young people were estimated and as a result, wage effects of the metropolitan area were analyzed to be higher by 6.5% and employment effects to be 1.5 times higher only in college graduates or higher.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secondary outflow of local young people, it is necessary to bridge the labor market gap between regions and attract decent jobs preferred by young people large companies, regular permanent position in the region.

      • KCI등재

        광주지역 청년층 인재유출 원인분석 및 대응방안 연구

        이찬영 ( Chanyoung Lee ),조세형 ( Se-hyung Jo ),류재준 ( Jae-joon Ryu )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16 지역개발연구 Vol.48 No.1

        본고에서는 광주지역 청년층의 인재유출 현황 및 원인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제시한다. 학령 기를 구분하여 인재유출 현황을 살펴본 결과, 매년 광주지역 고등학교 출신의 4년제 대학 진학자 중 약 17%는 수도권에 진학하고 있고, 광주지역 대졸자의 약 23%는 수도권에 취업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전출률은 다른 광역시에 비해 높은 편인데, 광주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의 경쟁력 저하와 상대적으로 낮은 취업률이 이 지역에 소재한 고등학교 졸업자의 수도권 대학 진학에 영향을 미치고 있고, 고학력자에 대한 노동수요 부족 및 열악한 근로여건은 광주지역 대졸자의 수도권 이주를 부추기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에 비춰볼 때, 광주지역의 인재유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2014년에 통과된 < 지방대학 및 지역균형인재육성법 >을 토대로 산업·학교·연구기관·주민 및 시민단체의 협력 고도화를 통해 지방 명문대학 육성, 공공기관의 지역인재 고용 활성화, 그리고 고급 인적자원의 관리 및 중개시스템 개발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In this study, we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youth outflow in Gwangju and its causes and suggest some potential responses. The analysis conducted by school-period shows that abouth 17% of four-year college entrants from high school in Gwangju enter the university in capital regions and about 23% of college graduates in Gwangju have a job in capital regions. The outflow rates of Gwangju is higher than that of any other metropolitan city. The situation results from the low competitiveness of college and employment rates in Gwangju. Those factors make high school graduates in Gwangju push to metropolitan``s college. Also, a shortage of labor demand on higher-educated youth and poor working conditions trigger college graduates in Gwangju to move to capital regions. These results imply that we need to foster a prestigious university in local area, to promote employment of local talents in public institutions, and to manage higher educated human resources and develop matching system through the cooperation of industry-education-research institute-community using the laws concerning the development of local universities and balanced local human resources were established in 2014.

      • KCI등재

        인구통계학적 지표를 활용한 지방의 소멸위험 예측모형 개발

        김명인(Myeong-In Kim),윤상복(Sang-Bok Yoon),김두한(Du-Han K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4

        국내의 인구는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으며, 1980년 이후 세 차례의 인구절벽을 경험하였고현재에는 2020년 기준 합계출산율이 0.84명으로 초저출산이 지속되고 있다. 더불어 최근 수도권으로 향하는 지방인구의 전출이 지속적으로 발생하여 지방 경제활동의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청년층의 수도권 쏠림현상은 국가 차원의 대응 방안이 요구되는 심각한 수준에 도달하였다. 이에따라 지역에 맞는 적절한 정책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지역의 지방소멸위험 정도를 효율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지방소멸지수가 개발되고 있으나 현재까지 개발된 지방소멸지수는 사회적인구이동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비판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지방소멸지수 모형의핵심인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선행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할 수 있는 사회적 이동률을 포함한 새로운 지방소멸예측 모형을 구축하고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수도권 권역의 기초자치단체는 서울의 경우 쇠퇴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나 경기도, 인천 지역은 청년인구의 유입으로 안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광역권의 경우, 부산과 대구는 소멸위험 기초자치단체가 일부나타났으며, 도 지역의 경우 대부분 소멸위험이 매우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강원도는청년인구 유출이 기초자치단체 간 극심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외 충북, 충남, 전북,전남, 경북, 경남은 청년인구 유출 보다 인구의 고령화가 소멸에 매우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domestic population continues to decline, and has experienced three population cliffs since 1980, and the total fertility rate is 0.84 as of 2020, and ultra-low fertility continues. In addition, the recent transfer of local populations to the metropolitan area has reached a serious level in which young people, who play a central role in local economic activities, are concentrated in the metropolitan area. Accordingly, various local extinction indexes are being developed to set the direction of appropriate policies for the region and efficiently measure the degree of local extinction risk in the region, but critics say that the local extinction index developed so far does not reflect social population movement. Therefore, in this study, a new local extinction prediction model, including social mobility that can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previous studies, was established, focusing o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which are the core of the existing local extinction index model, and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asic local governments in the metropolitan area are on the decline in Seoul, but Gyeonggi-do and Incheon are stable due to the influx of young people. In the case of the metropolitan area, some basic local governments at risk of extinction appeared in Busan and Daegu, and in most of the provincial areas, the risk of extinction was found to be very serious. In Gangwon-do, the outflow of youth population was found to have a severe difference between basic local governments, and in Chungbuk, Chungnam, Jeonbuk, Jeonnam, Gyeongbuk, and Gyeongnam, the aging of the population had a more serious impact on the disappearance than the outflow of youth population.

      • KCI등재

        협동조합과 지역청년 - 강원도의 협동조합 ‘판’ 사례연구 -

        오석조,장승권 전남대학교 지역개발연구소 2023 지역개발연구 Vol.55 No.3

        The outflow of young people from the provinces due to the concentration of Seoul metropolitan area is accelerating. Although the government has introduced numerous policies focusing on job creation and housing, the actual problems remain unresolved. There is a need to research examining who the young people settled in the region are, and why they are staying in this area. The research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enable certain young people to continue their activities in the region through a case study of ‘PAN’ cooperative in Chuncheon-si, Gangwon-do, analyze how this cooperative is addressing the issues and present policy alternative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young people have chosen a self-directed life path by regaining their self-esteem through active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their universities. The convergence of economic reasons, competitiveness in the region, and the pursuit of a different life style from urban areas has led these young people to decide to settle in the region. Second, they have created job opportunities for themselves in the region by starting businesses based on the trust that naturally developed through their long-term activities.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that positive experiences and social relationships in the local community have become one of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cision to settle in the region, and that even if good job opportunities are not available, the possibility of choosing the area increases when other factors are m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