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리-철학 논고』의 연산 이론에 관하여

        박정일 ( Jeong-il Park ) 한국논리학회 2019 論理硏究 Vol.22 No.3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 논고』에서 “연산 이론”은 『논고』의 수학 철학의 핵심적 토대다. 비트겐슈타인은 연산 이론을 바탕으로 6.02에서 기수의 정의를 제시하고 있고, 6.241에서 연산 이론을 이용하여 “2 × 2 = 4”의 증명을 제시한다. 그렇기 때문에 『논고』의 수학 철학을 정확하게 해명하기 위해서는 『논고』의 연산 이론에 대한 철저한 이해가 요구된다. 그리하여 나는 이 글에서 『논고』의 수학 철학을 해명하기 위한 예비적인 작업으로서 『논고』의 연산 이론을 해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우리는 6.241에 대한 프래스콜라의 재구성과 해석에서 그의 중요한 기여와 오류들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우리는 6.241에서 비트겐슈타인이 실수를 하게 된 배경과 그가 6.241에서 연산이론의 덧셈 연산을 다루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고 이를 토대로 6.241을 올 바르게 재구성할 수 있다. The operation theory of the Wittgenstein’s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is the essential basis of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of the Tractatus. Wittgenstein presents the definition of cardinal numbers on the basis of operation theory, and suggests the proof of “2 × 2 = 4” by using the theory of operations in 6.241. Therefore, in order to explicate correctly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rigorously the theory of operations in the Tractatus. Accordingly in this paper, I will endeavor to explicate operation theory of the Tractatus as a preliminary study for explicating the philosophy of mathematics of the Tractatus. In this process, we can ascertain Frascolla’s important contributions and fallacies in his reconstruction of 6.241. In particular, we can understand the background that in 6.241 Wittgenstein made mistakes and that there he dealt with the addition operation of the theory of operations, and on the basis of this, we can reconstruct correctly 6.241.

      • KCI등재

        현대철학에서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 논고』의 고전적 의미

        박정식(Park, Jeong-Sik) 경북대학교 인문학술원 2020 동서인문 Vol.0 No.13

        본 글의 목적은 현대철학에서 비트겐슈타인의 전기 저작인 『논리-철학 논고』의 고전적 의미에 대해 밝히는 것이다. 현대철학의 가장 큰 특징은 언어를 굉장히 강조한다는 점이다. 특히 영미권을 중심으로 하는 현대 분석철학에서는 언어의 분석을 철학의 방법으로 삼는다. 그런데 이러한 현대분석철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 인물이 바로 비트겐슈타인이다. 비트겐슈타인은 언어분석철학의 두 사조인 이상언어학파와 일상언어학파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영향은 전기 비트겐슈타인의 저작이 비엔나 학파에 후기 비트겐슈타인의 저작이 옥스퍼드학파에 각각 전해졌다. 이렇듯 현대철학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비트겐슈타인의 철학 중 여기에서 다룰 내용은 그의 전기 사상이 나타난 『논고』의 고전적 의미이다. 이를 위해 먼저 『논고』의 배경에 대해 살펴보고, 그 저작에 나타난 비트겐슈타인의 문제의식을 중심으로 구조와 내용에 대해 알아본다. 그런 다음 『논고』가 현대철학에 끼친 영향을 크게 러셀의 논리적 원자론, 비엔나 학파의 논리실증주의, 철학의 기능과 역할이라는 세 가지 관점에서 다루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이를 통해 비트겐슈타인의 『논고』가 현대철학에 언어적 전회라는 커다란 변화를 일으켰음을 밝히며, 『논고』가 우리 시대의 고전으로 불릴 충분한 근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ed light on the classical meaning of Wittgenstein’s early work,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in contemporary philosophy. One of the key features of contemporary philosophy is its considerable emphasis on language. In particular, language analysis is used as a philosophical methodology in contemporary analytic philosophy, which is centered around the United Kingdom and United States. However, one of the greatest influences on contemporary analytic philosophy is in fact Wittgenstein, who decisively marked two major trends in the analytic philosophy of language, namely the ideal language school and the ordinary language school. Wittgenstein’s early works exerted influence on the Vienna Circle, while his later philosophy was continued by the Oxford School. This paper is particularly concerned with Wittgenstein’s early philosophy and focuses on the classical meaning of Tractatus. First, we look into the background of Tractatus and examine Wittgenstein’s critical mind as reflected the work. Then, we consider the impact of Tractatus on contemporary philosophy from three perspectives: Russell’s logical atomism, the Vienna circle’s logical positivism, and the function and role of philosophy. Our study shows that Wittgenstein’s Tractatus has contributed to great changes in contemporary philosophy and to the linguistic turn in particular. In that sense, we can confidently characterize Tractatus as a classic of the modern times.

      • KCI등재

        『논리-철학 논고』의 무의미성

        변영진(Byun, Youngjin)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1 No.-

        비트겐슈타인은 『논고』의 6.54에서 그 저작의 모든 진술들이 결국은 ‘무의미하게’ 인식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하지만 『논고』를 무의미성을 다루는 지금까지의 해석들(전통적 해석과 새로운 해석)은 만족스러운 답을 내놓지 못했다. 필자는 『논고』의 무의미성을 적절히 해명하기 위해, 강진호의 논문 ?『논리-철학 논고』의 ‘중대한 오류들’?에 주목한다. 강진호는 그의 논문에서 『논고』의 무의미성이 ‘새로운 해석’(또는 ‘단호한 해석’)의 보완을 통해 해명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 글에서는 우선 강진호의 주장에 대한 문제점을 제기할 것이다. 그의 문제는 ‘새로운 해석’을 ‘전통적 해석’을 통해 정말로 개선하지 않은 점에 있다. 필자는 그 결점의 해결을 통해 『논고』의 무의미성을 어떻게 적절하게 해석할 수 있는지 고찰하고자 한다. Wittgenstein says in 6.54 of the Tractatus that all propositions of the book must be finally recognized as ‘unsinnig’. However, previous interpretations that deal with the Unsinnigkeit of the Tractatus (the traditional and the new reading) do not offer a satisfactory answer. I pay attention to Jinho Kang’s paper to clarify the Unsinnigkeit of the Tractatus. Jinho Kang insists in his paper that the Unsinnigkeit of the Tractatus can be well explained by the supplementary interpretation of the ‘new reading’ (or ‘resolute reading’). This paper initially introduces problems related to Jinho Kang’s claim. His problem is that he does not complement the ‘new reading’ by the ‘traditional reading’. I discuss how the Unsinnigkeit of the Tractatus can be appropriately interpreted by remedying his weaknesses.

      • KCI등재

        Reflections on the Idea of Important Nonsense and Controversy between The So called Traditional and Resolute Readings of Wittgenstein's Tractatus Logico Philosophicus

        김효석 장로회신학대학교 기독교사상과문화연구원 2021 장신논단 Vol.53 No.4

        According to Wittgenstein’s view of language in the Tractatus Logico-Philosophicus, which is known as “picture theory of meaning,” a proposition is meaningful only insofar as it pictures a factual state of affairs in the world. This theory has puzzled many readers because it makes impossible to say something meaningful with regard to ethics, aesthetics, and religion, which are important areas in human life. Many Wittgenstein scholars have attempted to solve this problem in various ways. One solution is the so-called traditional or standard interpretation that distinguishes “important nonsense” from mere nonsense, on the basis of Wittgenstein’s distinction between “saying” and “showing” in the Tractatus. Whereas, opposing to such a distinction, a group of scholars has proposed the so-called “austere” or “resolute” reading of the Tractatus, according to which every nonsense is mere nonsense. In the present paper, I examine and evaluate the readings and share my reflections on them. To that end, I first introduce and outline the main ideas of the two approaches. I then endeavor to point out possible problems of each approach; the problem of the traditional reading is its inconsistency with Wittgenstein’s own statements; the problems of the resolute reading are its inconsistency with his later work, its failure to notice his own struggle, and its depending upon another kind of idea of important nonsense. Finally, I propose that not only the Tractatus but also the two approaches themselves disclose the human impulse to go beyond the boundary of language.

      • KCI등재

        요소 명제와 색깔 배제 문제

        박정일 ( Park Jeong-il ) 한국동서철학회 2021 동서철학연구 Vol.- No.102

        중기 비트겐슈타인 철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할 때 가장 결정적인 문제 중 하나는 『논리-철학 논고』에서 규정된 완전한 분석이라는 개념이 어떻게 변화하고 수정되었느냐 하는 것이다. 『논고』에서 완전한 분석이 요소 명제와 필수 불가결한 관련을 맺고 있고 또 『논고』를 침몰시키는 데 결정적이었던 이른바 색깔 배제 문제가 요소 명제의 개념과 본질적인 관련이 있다는 점을 염두에 두면, 우리는 색깔 배제 문제를 살펴봄으로써 (중기 비트겐슈타인 철학에서의) 완전한 분석 개념의 행방을 가늠할 수 있다. 그렇다면 색깔 배제 문제는 정확하게 무엇이고 또 왜 그 문제는 『논고』의 체계에 대해서 치명적이었는가? 중기 비트겐슈타인은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했으며, 그리하여 “완전한 분석”은 어떻게 변모하고 수정되었는가? 나는 이 글에서 『논고』와 「논리적 형식에 관한 몇 가지 소견」을 중심으로 색깔 배제 문제와 완전한 분석 개념을 둘러싼 물음들에 대답하고자 한다. One of the most decisive problems when we are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the middle Wittgenstein’s philosophy is how the concept of complete analysis stipulated in the Tractatus was transformed and modified. Bearing in mind that complete analysis has an indispensable relation with elementary proposition in the Tractatus and that the color exclusion problem which was decisive in the collapse of the Tractatus has an essential relation with elementary proposition, we can trace out the whereabouts of the concept of complete analysis in the middle Wittgenstein’s philosophy by way of the color exclusion problem. What is then the color exclusion problem? Why was that problem so fatal to the system of the Tractatus? How did the middle Wittgenstein solve this problem and furthermore how was the concept of complete analysis transformed and modified? In this paper, I will endeavor to answer these questions surrounding the color exclusion problem and complete analysis by focusing on the Tractatus and “Some Remarks on Logical Form”.

      • KCI등재

        전기 비트겐슈타인, 논리, 형이상학

        강진호(Jinho Kang) 한국분석철학회 2009 철학적 분석 Vol.0 No.20

        비트겐슈타인은 『논고』 이전 원고인 「논리노트」에서 형이상학이 논리와 더불어 철학을 이루는 두 분야 중 하나라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잘 알려진 것처럼 그는 『논고』에서 형이상학을 무의미한 것으로 부정하고 있다. 나는 형이상학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이러한 입장 변화가 논리의 본성에 대한 그의 견해에서 일어난 중대한 변화로 말미암은 것이라고 논증한다. 논리의 본성에 대한 「논리노트」와 「무어노트」의 견해를 따를 경우 논리는 형이상학적 함축을 갖고 있는 반면, 『원논고』와 『논고』의 견해를 따를 경우 논리는 어떠한 형이상학적 함축도 갖지 못하며 더 나아가 형이상학의 가능성 자체가 붕괴되어 버리는 것이다. 나는 『논고』 초반부에 나오는 이른바 ‘존재론적’ 진술들이 이해가능한 진술들인지에 대해 의문을 제시함으로써 나의 논증을 더 강화시킨다. In a pre-Tractatus manuscript, "Notes on Logic", Wittgenstein remarks that metaphysics and logic form the two parts of philosophy. As is well known, however, he denounces metaphysics as nonsensical in the Tractatus. I argue that this change in Wittgenstein's view on metaphysics results from an important change in his view on the nature of logic. While Wittgenstein's conception of logic in "Notes on Logic" and "Moore Notes" leads to the consequence that logic has metaphysical implications, his conception in the Prototractatus and the Tractatus not only disallows any such implications but also eliminates the very possibility of metaphysics. I give a further support for my argument by questioning the intelligiblity of the so-called 'ontological' remarks in the early part of the Tractatus.

      • KCI우수등재

        형이상학적 주체와 유아론

        박정일 한국철학회 2022 철학 Vol.- No.150

        One of the most decisive things when we are to systematically understand Wittgenstein’s philosophy in the middle period is to explicate how he criticized and overcame the solipsism presented in the Tractatus. And what must be done priorly for this purpose is to explicate rigorously the solipsism of the Tractatus. On what grounds, then, did Wittgenstein maintain the solipsism of the Tractatus? Furthermore, on what grounds did he refute in his middle period the solipsism of the Tractatus? In this paper, I will endeavor to answer these questions. 중기 비트겐슈타인 철학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할 때 결정적으로 중요한 것 중 하나는 그가 『논리-철학 논고』의 유아론을 정확하게 어떻게 비판했고 극복했느냐 하는 것을 해명하는 일이다. 그리고 이를 위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논고』의 유아론을 정확하게 해명하는 작업이다. 그렇다면 비트겐슈타인은 『논고』에서 어떤 근거로 유아론을 주장했는가? 그리고 그는 중기 철학에서 어떤 근거로 『논고』의 유아론을 논박했는가? 나는 이 글에서 바로 이 물음들에 대해 대답하고자 한다.

      • KCI등재

        『논리-철학 논고』의 ‘부정적 사실’에 관하여

        박정일(Park, Jeong-il)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14 철학사상 Vol.51 No.-

        비트겐슈타인의 『논고』에서 가장 난해한 문제 중 하나는 “긍정적 사실”과 “부정적 사실”이 무엇인지, 그리고 ‘현실’과 ‘세계’의 개념이 동일한 것이냐 하는 것이다. 포겔린과 피처는 ‘현실’이 ‘세계’보다 더 넓은 개념이라고 보았으며, 비트겐슈타인이 2.063에서 그것들을 동일화하는 것을 실수로 간주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존립하는 사태들”과 “사태들의 존립”을 동일화하는 오류를 범했을 뿐이다. 블랙과 남경희는 『논고』에서 ‘현실’과 ‘세계’가 둘 다 부정적 사실들을 포함하는 것이기 때문에 동일하다고 주장하였다. 그러나 그들은 대단히 피상적인 논의를 하고 있을 뿐, 어떤 정당한 근거도 제시하지 않았고 또 제시할 수도 없다. 따라서 옳은 것은 『논고』에서 세계에는, 또 현실에는 부정적 사실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하여 『논고』에서 ‘전체 현실’과 ‘세계’는 동일하고 외연이 같다. 우리는 이 점을 『논고』라는 텍스트에 입각해서 해석하고 해명할 수 있다. 그러므로 포겔린의 주장, 즉 이 문제와 관련하여 어떤 완벽한 용어법의 복원도 가능하지 않다는 주장은 결코 옳지 않다. 더 나아가 『논고』에서 부정적 사실에 대한 논의는 “근본 사상”으로 나아가는 매우 중요한 경로이다. 그렇기 때문에 포겔린의 주장과 달리, 2.063의 언급은 매우 “깊은 체계적 중요성”을 지니고 있다. One of the most difficult problems related to the Tractatus is the definition of ‘positive facts’ and ‘negative facts’ and whether the concept of world is identical with that of reality. Fogelin and Pitcher regarded that the concept of reality is wider than that of world and claimed that Wittgenstein made a slip in identifying them at 2.063. However, they made nothing but a fallacy in identifying “existent state of affairs” with “the existence of state of affairs”. Black and Nam claim that the concept of reality is identical with the concept of world in the Tractatus because both of them contain negative facts. But their arguments are too superficial to offer a valid ground for their arguments. As a result, the concept of world in the Tractatus is identical with that of total reality because there are no negative facts - not only in world - but also in reality. Furthermore, we can elucidate and solve our problems clearly on the basis of the Tratatus text. Hence, Fogelin’s insistence that he does not think “that there is any way to restore perfect terminological consistency to the text” can never be justified. And unlike Fogelin’s insistence, 2.063 has a very “deep systematic importance” because the investigation of negative facts was a very crucial route to the “fundamental thought” of the Tractatus.

      • KCI등재

        『논리-철학 논고』의 ‘초월적(transzendental)’ 개념에 관하여-세계의 선험적 조건으로서의 논리와 윤리 -

        김현균,김도식 범한철학회 2021 汎韓哲學 Vol.100 No.1

        우리가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철학 논고』를 해석할 때 마주하게 되는 어려움 중 하나는 분석철학의 전통에서 찾아보기 어려운 낯선 개념들에 대한 이해이다. 예컨대 논리와 윤리가 모두 초월적이라는 『논고』의 서술에서 ‘초월적(transzendental)’의 뜻은 무엇이며 그것은 어떻게 논리와 윤리에 일관되게 적용될 수 있는가? 우리가 보기에 이 물음들은 칸트로부터 발원한 초월-철학의 전통 아래에서 다루어져야 하며, 그로부터 얻은 개념들에 대한 이해는 한편으로 『논고』의 전체 체계에 대한 이해와 직결되어 있다는 점에서, 다른 한편으로 청년 비트겐슈타인의 윤리관을 정초한다는 점에서 중요성을 지닌다. 그러므로 우리는 우선 위의 문제들을 다루기 위한 하나의 틀(framework)로서 칸트주의적 접근을 개관하고, 『논고』의 목표가 윤리적인 것과 불가분의 관계에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이후, 『논고』의 ‘초월적’ 개념에 관한 기존의 이해와 그 문제점을 분석한다. 특히 『논고』에서 논리와 윤리가 초월적인 것으로 제시될 때 그 뜻을 다른 것으로 이해하는 스테니우스의 해석에 반해, 우리는 양자를 일관되게 세계의 선험적 조건이라는 뜻으로 해석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청년 비트겐슈타인의 윤리관은 매우 독특한 것이었으며 세계의 조건인 유아론(solipsism)의 문제와 연관되어 있음을 밝힌다. One of the fundamental problems when we are trying to interpret the Tractatus is to understand unfamiliar concepts that are hardly found in the tradition of analytic philosophy. For instance, when Wittgenstein claims that ‘logic and ethics are transcendental’, what is the meaning of ‘transcendental’ and how could it be consistently applied to logic and ethics? We claim that these questions should be discussed in the tradition of Transcendental- Philosophy originated from Kant. And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s obtained from this tradition plays important roles in the following respect: On the one hand, the understanding is directly related to the whole system of the Tractatus. On the other hand, it becomes a cornerstone in understanding early Wittgenstein’s views on ethics. Therefore, we would like to outline the Kantian approach as a framework that could shed light on these problems and to clarify that the goal of the Tractatus has an inseparable relation to something ethical. Subsequently, we will critically analyze the convention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transcendental’. In particular, contrary to the Erik Stenius’s interpretation, who understands the meaning of ‘transcendental’ differently, when it is applied to ethics and logic, respectively, in the Tractatus, we will equally interpret ‘transcendental’ as a priori conditions of the world. Finally, we will suggest that early Wittgenstein’s views on ethics are unique, and are related to a problem of the solipsism, which is, a condition of the world.

      • KCI등재

        전기 비트겐슈타인과 유형 이론

        박정일 ( Jeong-il Park ) 한국논리학회 2018 論理硏究 Vol.21 No.1

        잘 알려져 있듯이, 비트겐슈타인은 『논리-철학 논고』에서 러셀의 유형 이론을 명시적으로 비판한다. 그렇다면 러셀의 유형 이론에 대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의 요점이란 무엇인가? 이 물음에 대답하기 위하여 나는 철학적인 측면과 논리학적인 측면에서 유형 이론을 살펴보고자 한다. 『논리-철학 논고』에서 비트겐슈타인의 논리적 구문론은 말하자면 러셀의 유형 이론에 대한 대안이다. 논리적 구문론은 『논리-철학 논고』의 표기법의 기호 규칙들이며 특히 형성 규칙들이다. 비트겐슈타인의 말하기-보이기 구분은 논리적 구문론의 가장 근본적인 근거이다. 비트겐슈타인은 러셀의 유형 이론에 대한 비판과 함께 논리적 문법의 임의성(자의성)과 선험성으로 나아간다. 유형 이론에 대한 이러한 비트겐슈타인의 비판은 결국 프레게와 러셀의 논리학관에 대한 도전이다. 논리학은 세계에 속하는 일반적인 진리나 특성들을 다루지 않으며, 논리학을 이루는 동어반복은 아무것도 말하지 않는다. As is well known, Wittgenstein criticizes Russell’s theory of types explicitly in the Tractatus. What, then, is the point of Wittgenstein’s criticism of Russell’s theory of types? In order to answer this question I will consider the theory of types on its philosophical aspect and its logical aspect. Roughly speaking, in the Tractatus Wittgenstein’s logical syntax is the alternative of Russell’s theory of types. Logical syntax is the sign rules, in particular, formation rules of notation of the Tractatus. Wittgenstein’s distinction of saying-showing is the most fundamental ground of logical syntax. Wittgenstein makes a step forward with his criticism of Russell’s theory of types to the view that logical grammar is arbitrary and a priori. His criticism of Russell’s theory of types is after all the challenge against Frege-Russell’s conception of logic. Logic is not concerned with general truth or features of the world. Tautologies which consist of logic say noth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