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체육특기자전형 학생부 실질반영비율 적용방안 연구

        장지훈,이용식 한국체육정책학회 2022 한국체육정책학회지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student record application, and to propose the guidelines for influence rates of student record, and the application model for influence rates of high school records. Analysis object for nominal influence rate of student record, influence rate of high school records by each grade, and influence rates of high school subjects in school records was 90 universities in the standard of requirements for high school student athletes in 2022 school year. Analysis object for real influence rate of student record was 14 universities that provided data about the highest score and basic marks in entrance selection factors on the internet homepag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nominal influence rates of student record in university admission for student athletes was average 21.9% in lump-sum selection track, and 22.7% in multiple-stage selection track. Real influence rates was average 20.2%(subjects 17.7%, attendance 2.5%), which was lower than nominal influence rates. The rate of university that applied high school records during all grades equally was highest. The rate of university that applied the records in 5 subjects of minimum academic achievement policy was highest. In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the detailed plan that may establish 30% of real influence rate of student record should be set up. Therefore the guidelines for real influence rate of subjects 27% and attendance 3.0% was developed and proposed in this study. And the standards to strengthen discrimination for influence rate of high school records should be developed focused on the models in this study though following researches, and utilized in university admission for student athletes.

      • KCI등재

        캐나다 온타리오 주 학생 기록부(the Ontario Student Record) 기재 방식이 우리나라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방식 개선에 주는 시사점 탐색

        한혜정(Hye-Chong Han),이승미(Seung-Mi Lee) 한국교원대학교 교육연구원 2024 敎員敎育 Vol.40 No.3

        연구목적 본 논문은 캐나다 온타리오 주 학생 기록부 기재 방식의 특징에 대한 분석 결과로부터 우리나라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방식 개선의 방향을 도출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선행연구(문헌)의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방식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을 도출하고, 캐나다 온타리오 주 학생 기록부 체제의 특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방식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캐나다 온타리오 주 학생 기록부 기재 방식의 분석 결과, 교과 활동 중심의 학생부 기재 방식의 재구조화, 서술식 기록의 객관성 담보, 학생 간 경쟁이 아닌 학생 각자의 성장에 목적을 둔 교수학습의 실현과 그와 연계한 교과 학습의 평가 방식 개선, 학교 급별 교육 성격의 차이를 반영한 학생부 기록 체제의 차별화, 학생부 기재요령 문서의 간소화 및 가독성 있는 개선 등 일곱 가지 측면에서 우리나라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방식 개선에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결론 학교생활기록부 기재 방식은 입학전형 자료로서의 신뢰성 확보와 더불어 학생의 성장과 발달에 대한 타당한 기록이라는 본질적인 측면을 충분히 고려하여 개선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학생부의 교육적 기능에 대한 학부모, 학생, 교원 및 관계자의 인식 개선과 그 결과의 활용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rive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tudent records in Korea from an analysis of Ontario student records in Canada. Methods: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problem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 in the Korean student record system were deriv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record system in Ontario, Canada, were analyzed to explor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Korean student record system. Results: The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ly, Korean student records need to be restructured around the subject learning activities. Secondl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introducing a checklist method to guarantee the objectivity of the narrative records. Thirdly, in order for student records to be an authentic record of student progress, most importantly, educational activities should encourage student growth rather than encourage competition among students, and the assessment method for students’ subjects learning should be improved. Fourthly, it is necessary to differentiate the records system in accordance with the differences in education by school - level. Fifthly,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amount of the guideline documents found in student record writing and improve them so that they are presented in a teacher-friendly manner. Conclusion: The student record system must be improved with a focus on the educational function of student records. To achieve this it is imperative to improve the awareness of parents, students, teachers, and officials regarding the educational function of student records, as well as to explore ways to utilize them for college admissions.

      • KCI등재

        대학 총학생회 자치활동의 설명책임성을 위한 기록관리 방안 연구 - 명지대학교 총학생회를 중심으로 -

        이유빈,이승휘 한국기록학회 2011 기록학연구 Vol.0 No.29

        대학은 공공성을 띤 기관으로서 그 운영 과정상 사회에 대한 설명책임성(accountability)을 가진다. 이러한 대학을 이루는 구성원 중 다수를 차지하는 것이 바로 학생이다. 대학에서는 매년 수많은 연구 창작물이 쏟아져 나오고 있는데, 대학생은 이와 같은 기록물의 주요 생산자이다. 그러나 대학의 주체로서 매년 방대한 기록물을 생산해내고 있으면서도 대학생의 역할과 기능, 생산 기록물에 대한 집중적인 조명은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처럼 기록학적 관점에서 대학생이 주체가 되어 생산된 기록물에 대한 중요성이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어 왔던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는 대학생이 주체가 되어 생산한 기록에 대한 기록학적 관점에서의 접근을 시도하였다. 대학생이 생산하는 기록에는 연구 및 수업 과정에서 생산되는 기록뿐만 아니라 동아리, 학생회 등 각종 자치활동 과정에서 생산되는 기록 등 다양한 유형의 기록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대학생 자치활동 과정에 초점을 맞추고, 대학생의 자치활동 과정에 대한 설명책임성 확보 방안에 중점을 두었다. 활동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해서는 기록관리가 기초되어야 한다. 따라서 대학생 자치활동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서 기록관리 체계화 및 기록 활용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학생 자치 조직인 대학 총학생회를 대상으로 분석하였으며, 구체적인 대상으로는 명지대학교 인문캠퍼스 총학생회를 선정하였다. 우선 총학생회의 활동과 조직 및 기능, 기록관리 현황 실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총학생회장과의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통해 대학 총학생회의 활동을 분석하고 그에 따른 설명책임성의 필요성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또한 명지대학교 총학생회의 조직과 기능을 분석하여 각 단계에서 생산되어야 하는 기록의 종류와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처럼 총학생회의 활동과 설명책임성의 필요성, 조직 및 기능에 따른 생산 기록물의 유형을 도출한 후, 현재 총학생회의 기록관리 현황을 분석하였다. 먼저 총학생회 활동의 일반 프로세스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명지대학교 총학생회의 단계별 활동 프로세스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총학생회 기록관리 방법과 책임 주체를 분석하고 실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대학 총학생회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한 방안을 기록관리 과정 체계화, 기록관리 인프라 확립, 기록 활용을 통한 설명책임성 확보 방안의 세 가지 범주에서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대학생 자치 조직인 총학생회를 대상으로, 총학생회의 활동과 기능을 분석하여 사회에 대한 설명책임성을 논하였다. 그리고 총학생회의 설명책임성 확보를 위한 방안으로서 기록관리 환경 정착에 대한 모형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총학생회는 1년 단위로 운영되는 조직이라는 점에서 기록관리 환경이 정착되기 힘든 한계점이 존재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한계점을 지적하고, 총학생회 기록관리 모형 제시를 통해 차후 학생기록관리 분야에서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질 때 단초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교사(史) 정리와 보전 차원에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분석 결과가 의의를 가질 것으로 기대된다. A university is an organization charged with publicity and has accountability to the community for the operating process. Students account for a majority of members in a university. In universities, numerous creatures are pouring out every year and university students are major producers of these records. However, roles and functions of university students producing enormous amount of records as main agents of universities and focused concentration on produced records have not been made yet. It is reality that from the archival point of view, the importance of produced records of which main agents are university students has been relatively underestimated. I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ed approach in archival point of view on records produced by university students, main agents. There are various types of records that university students produce such as records produced in the process of research and teaching as well as records produced in the process of various autonomy activities like clubs, students’ associations. This study especially focused on university student autonomy activity process and placed emphasis on accountability securing measures on autonomy activity process of university students. To secure accountability of activities, records management should be based. Therefore, as a way to ensure accountability of unversity students autonomy activity, we tried to present records management systematization and records utilization measures. For this, a student body, a university student autonomy organization was analyzed and a student body of Myongji University Humanities Campus was selected as a specific target. First, to identify records management status, activities and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the student body, we conducted an interview with the president of the student body. Through this, we analyzed the activities of the university student body and examined the necessity of accountability accordingly. Also, we deriv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cords to be produced at each stage by analyzing the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the student body of Myongji University. Like this, after deriving the types of production records according to the necessity, organization and functions of accountability and activities of the student body, we analyzed records management status of the present student body. First, to identify the general process status of activities of the student body, we analyzed activity process by stage of the student body of Myongji University. And we analyzed records management method of the student body and responsibility principal and conducted real condition analysis. Through this analysis, we presented the measures to ensure accountability of a university student body in three categories such as systematization of records management process, establishment of records management infrastructure, accountability guarantee measures. This study discussed accountability on society by analyzing activities and functions of a student body, targeting a student body, an autonomy organization of university students. And as a measure to secure accountability of a student body, we proposed a model for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settlement. But in terms that a student body is an organization operated in one year basis, there is a limit that records management environment is hard to settle. This study pointed out this limit and was to provide clues when more active researches were carried out in the field of student records management in the future through presentation of student body records management model. Also, it is expected that the analysis results derived from this research will have significance in terms of school history arrangement and conservation.

      • KCI등재

        논문(論文) : 학교생활기록부 작성행위의 법적성격에 관한 고찰

        권순형 ( Soon Hyoung Kwon ) 대한교육법학회 2007 敎育 法學 硏究 Vol.19 No.1

        대한민국 초·중등교육법 제25조는 명문으로 ``학교의 장은 학생의 학업성취도 및 인성 등을 종합적으로 관찰 평가하여 학생지도 및 상급학교의 학생선발에 활용할 수 있는 자료를 교육인적자원부장관이 정하는 기준에 따라 작성 관리하여야 한다. <개정 2001.1.29>``고 규정하고 있다. 이 규정을 바탕으로 현재, 각급 학교 교사는 학생들의 교과학습발달상황, 생활지도, 특별활동, 재량활동 및 학생의 행동발달에 관한 사항을 평가, 관찰하여 학기마다 학교생활기록부를 작성한다. 이러한 작성행위는 학생들의 학교생활 전반에 대한 사실에 관하여 교사의 전문적인 판단 하에 학생들을 평가하는 공법행위다. 따라서, 학교생활기록부 작성행위는 행정법상의 ``법 아래서 구체적 사실에 관한 법집행행위로 권력적, 단독적 공법행위``인 행정행위라 할 수 있다. 또한, 학교생활기록부 자체는 행정행위의 종류에 관한 분류론적 관점에서는 준법률행위적 행정행위인 ``확인(Feststellung)``에 해당되며, 학교생활기록부를 작성하는 행위는 행정행위의 성질을 고려했을 때, ``판단여지(Beurteilungsspielraum)``에 해당된다. 본 연구는 ``학교생활기록부``와 ``학교생활기록부 작성행위``의 법적 성격을 파악해 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spect drawing up student`s cumulative records in the point of legal character. In order to select of students and guide a student` life, The school principal has to manage materials with regard to a school record, human nature, on article 25, 「Act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1997.12.13, Act No. 5437) According to this article 25, School teachers can draw up cumulative records(of students). In a concrete ways, Teachers have to yearly evaluate a school records of students and students` habits in the class. So, drawing up cumulative records is to mention students`s characters of overall school life. This paper examined drawing up student`s cumulative records in the point of legal character. It is a public law from the viewpoint of administrative law in korea. Because it is based on a execution of 「Act of Primary and Secondary Education? with regard to a concrete fact(Verwaltungsakt in German). At first, I examined a meaning, standard, function of drawing up cumulative records at the chapter 1. Next, I examined a legal character of drawing up student`s cumulative records from the viewpoint of Verwaltungsakt(in German), Even though teacher can objectively assess a school record, there is subjective as to evaluate student`s school life and especially human nature. That`s why teacher is not a god, but a man. In conclusion, drawing up student`s cumulative records is adapted to Feststellung und Beurteilungsspielraum (in German).

      • KCI등재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 관리 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공민은,이해영 한국기록관리학회 2019 한국기록관리학회지 Vol.19 No.3

        Student records are essential for the functional, social, and personal aspects of the university. However, it is difficult to systematically manage such records because of the vast amount produced by several agents, the decentralization of the university’s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various types and forms produced. Despite acknowledging the importance of student records, Myongji University implements its records management system at a sluggish pace. This study defined students’ records except for the administrative records of the university as “student-related records” and categorized them into education records, student creation and research records, and student activity records. After examining the best practices in Korea and abroad, we reviewed the current status of Myongji University’s student records management system and proposed appropriate and comprehensive management plans accordingly. 대학 내 학생 관련 기록은 대학의 기능적, 사회적, 개인적 측면에서 중요성을 가지지만 여러 주체들이 생산해 내는 기록의 양이 방대하고, 관리 장소가 분산되어 있으며, 그 유형과 형태가 다양하기 때문에 체계적인 관리가 어렵다. 이에 따라 학생 기록이 가지는 중요성이 크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대학의 실행은 부진한 단계에 머물러 있다. 이 연구는 대학의 행정 기록을 제외한 학생기록을 ‘학생 관련 기록’으로 정의하고, 교육 기록, 학생 창작 및 연구 기록, 학생 활동 기록으로 범주화하였다. 각 범주별로 국내외의 모범 사례를 살펴보고 명지대학교의 현황을 살펴본 후, 각 범주별로 적합한 관리 방안과 종합적 관리 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

        식민지시기 고등보통학교‘개성조사’연구: 학적부 기록 방식의 변천과 결과 분석

        안홍선 한국열린교육학회 2020 열린교육연구 Vol.28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unction of school records for student individuality focusing on secondary education in Korea during the early 20th century under Japanese Imperialism. At that time, the school records, named as 'individuality records', were very extensive including student's personalities, attitudes, ideological trends, and family backgrounds although the form of recording varied from school to school. This study analyzed the records produced in 1919-1945 at Jeonju Middle School, which was one of the most prestigious schools where graduates were expected to enter the colonial colleges. The school records were used as important data for college admissions as well as records of academic scores. For this goal, the form of school records was designed to classify student types in order to identify students suitable for advanced education. The 'individuality records' constituted a combination of patterns of 'good students' or 'bad students'. In other words, the school recording system was not introduced to discover a student's individuality and to raise his potential. Rather, it was intended to reveal a student group's characteristics and to stamp them as potentially ineligible for advanced education or disloyal to Japanese Imperialism. 본 연구는 일제강점기 전주고등보통학교의 학적부 기록을 분석하여, 식민지시기 학교에서 이루어진 학생에 대한 교사의 관찰 기록이 갖는 성격을 규명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각 시기별로 개평서술 방식, 자유기술 방식, 평어선택 방식 등으로‘개성조사’의 기록 방법이 변화되는 특징을 검토하였다. 둘째, 각 시기별로‘개성조사’결과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여, 기록 방식의 변화가 가져온 효과를 비교 검토하고, 또한 각 시기별로 평정상의 특징을 비교 분석하였다. 셋째, 학생에 대한‘개성조사’라는 교육실천에 영향을 미친 학내·외 요인들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식민지교육에서 학생에 대한 인물평가가 갖는 사회적 기능에 대해 검토하고자 하였다. 전주고등보통학교에서 이루어진 ‘개성조사’는 학생 개인의 특성을 파악하여 잠재성을 개발하기 위한 교육적 목적을 갖는 것이 아니었다. 오히려 학생 유형을 분류하여 진학과 취업에 적합한 학생을 선별하여 구분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또한 그것은‘모범학생’과‘불량학생’의 특징을 식별하고, 나아가‘충량한 국민’과‘불령선인’의 특성을 구성하는 것이기도 했다.

      • KCI등재

        대학생의 자아 효능감에 대한 분석: 스포츠 전공 대학생을 중심으로

        유호,김지은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7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7 No.5

        For effective student guidance,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students' academic record was conducted. This study focuses on the self-efficacy among these factors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record and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ports. For the current study, (1) a survey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ports-related studies was conducted and (2) the academic records of these student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ports think they don't have enough ability to solve difficult tasks and show relatively low self-efficacy in difficult tasks. They are de-motivated to study if they confront difficult tasks.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sports and their academic record are positively related with the satisfaction of study skills and the ability of solving difficult tasks. You will need to focus on these areas when teaching students. 효과적인 학생 지도를 위해서는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요인들을 분석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 중 하나인 자아 효능감에 대하여 분석한다. 스포츠 전공 대학생의 자아 효능감에 대하여 분석하고 이 자아 효능감이 학업 성적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1) 스포츠 관련 학과에 재학 중인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아 효능감에 대한 설문을 실시하였고 (2) 이들의 학점 평균과 자기효능감과의 상관관계가 분석되었다. 주요 결과를 보면, 스포츠 전공 학생들은 그들이 어려운 과제를 해결할 능력이 없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었으며 주로 과제의 난이도가 높은 부분과 관련된 항목에서 낮은 자아 효능감을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자아 효능감과 학업 성적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학업 성적와 비교적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항목들은 학업 능력에의 만족이나 과제 해결 능력 등이었다. 따라서 학생들을 지도 시 이러한 부분에 초점을 맞추어 지도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 일본, 미국의 초등학교 학생생활기록 관련 규정 비교 연구

        정지선(Jeong, Ji-Sun),장진희(Jang, Jin-Hee),권동택(Kwon, Dong-Taik) 한국비교교육학회 2014 比較敎育硏究 Vol.24 No.1

        학생생활기록은 교육적 활용 측면에서 학생 개인에 대한 학습, 태도, 행동의 모든 측면을 종합적으로 담아내어 학생을 총체적으로 이해하는데 도움이 되어야 하는 자료이기에 기재사항, 관리 지침, 정보 공개 면에서 신중을 기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학생생활기록 상황을 살펴보고, 일본과 미국의 초등학교 학생생활기록 관련 규정을 통해 학생들의 학교생활기록에 주는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도출하였다. 첫째, 학생생활기록의 기록 내용 측면에서 학생에 관한 정보와 학습 진전 상황, 발달상의 특징, 학생의 특기에 관한 내용들 이외에 학생의 개인정보와 관련된 내용은 최소화하여야 한다. 둘째, 교과학습발달상황에 대한 기록은 학생생활기록의 지도자료적 측면, 보존적 측면을 위해 현재의 문장기술식 방법을 보완해야 한다. 셋째, 학생생활기록이 학생에게 필요한 자료로 활용되는 시점을 고려하여 학생생활기록의 보존 기간을 단축시켜야 할 필요가 있다. 넷째, 학생생활기록의 관리에 있어 개인 정보 보호를 위한 철저한 예방과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 본인의 동의 없이 정보 제공이 이루어지는 부분에 대한 고려가 요구된다. 결과적으로는 학생생활기록에 있어서 교육적 활용의 측면이 가장 중요하겠지만 그로 인한 사생활침해 사례가 발생하지 않도록, 강력한 조치를 위한 논의가 필요하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student record is documented in Korea and, by observing relative regulations of student cumulative record in elementary schools in Japan and the US, suggested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n terms of the contents of the cumulative record, document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except for basic information of a student, his learning progress,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nd his talent should be kept minimum. Second, current sentence description method when recording student's attainment should be changed to suit the purposes of the record: the guidance material purpose and the retention purpose. Third, the retention period of the document should be cut considering its point of time when the record would be needed by the student. Lastly, steps to protect personal information of the record is highly required. It is essential to review the cases when such information is provided without personal consent. Consequently, the most significant aspect of the student cumulative record is an educational use. Therefore a debate to implement a strong measure to prevent invasion of privacy originated from such uses is necessary.

      • KCI등재

        小訥年譜와 小訥門人錄 -『先府君編年』 抄譯과 『紫巖契帖』 原文

        정석태 동양한문학회 2019 동양한문학연구 Vol.54 No.-

        This paper contains the selected translation of the Chronology of Sonul Rho Sang-Jik’s (1855–1931) Life and the original text of the Record of Sonul’s Students. The Chronology of Sonul’s Life was compiled by his son, Seongjae Rho Ga-Yong (1893–1940). It is assumed that after the death of Sonul, his son collected and compiled his father’s posthumous writings to publish them in 1932, and again planned to issue them as an appendix along with the funeral formulary. However, as things did not go smoothly as planned, there remains a manuscript with some of the revisions from its years and traces of history in a preceding column. This private collection consists of 39 pages, missing the records of “Peaceful Death” and “Mourning” at the end. Detailed annotations in double-columns are added to other parts of the text, which with its rich content, became a reliable reference of Sonul. The Record of Sonul’s Students is a list of novice students of Sonul from 1898 (Gwangmu, the reign of King Gojong), the year of the dog; two years after (Geonyang, the reign of King Gojong), he built and taught his students how to make a thatch house in Nogok, Miryang, and until 1931, the year of the goat when he passed away. Currently, the 42-page manuscript only has two copies available, which are owned by Pusan National University and his descendant Rho Gyu-Hyeon. There are a total of 807 people recorded in this work. Regionally, it reaches across Gyeongsangnam-do and Gyeongsangbuk-do, to Jeolla-do, Gyeonggi-do, Hwanghae Province, and Hamgyong Province. Before 1899, the year of the pig, it first recorded five people who became Sonul‘s students at a boot camp in Changnyeong, and they made their way to Miryang. Then, it documented the year and month of Buddhist rituals (or social gatherings), followed by the lists of participants of the events in the order of name, pen name, birth year, family clan, public post, and hometown. This list is a critical material that identified the size of Sonul‘s novice students, their regional distribution, and personal information. The latter part of this paper contains the selected translation of the Chronology of Sonul’s Life (copy edition by Rho Gyu-Hyeon) and the original text of the Record of Sonul’s Students (owned by Rho Gyu-Hyeon). Moreover, the entire main body of the Chronology of Sonul’s Life was translated, and detailed annotations of each item for the main body are put in square brackets with adequate adjustment. For figures, pen name, name, and birth/death year are revealed; for writings, their titles are put in round brackets referring to literary works. Additional information is also written in round brackets. Furthermore, some parts that have been slightly supplemented in the main body of the Chronology. For the List of Sonul’s Students, its original text has been written with an AD in round brackets next to the sexagenary cycle of the year, while revealing one’s hometown. However, this has been omitted as it is the same information recorded before. At the end of the Chronology of Sonul’s Life, an account of Daenol Rho Sang-Ik (1849–1941) is added to promote understanding. 이것은 小訥 盧相稷(1855∼1931)의 年譜 『先府君編年』을 抄譯하고, 그 門人錄 『紫巖契帖』의 原文을 입력한 것이다. 소눌 노상직의 연보 『선부군편년』은 그의 아들 成齋 盧家容(1893∼1940)이 엮은 것이다. 소눌 노상직의 서거 후 그의 遺文을 수습해서 문집을 편찬하던 1932년경에 엮어서, 문집 발간 뒤에 다시 挽祭文 등과 함께 附錄으로 간행할 계획을 가졌던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그러한 계획이 여의치 않았던지, 上欄에 年月과 事跡 등에 대한 수정사항 일부가 기록된 필사본의 상태로 남아 있다. 개인소장에 총 39장으로, 끝의 考終과 初喪 등을 기록한 부분이 缺落되었다. 연보 본문 항목 외에도, 필요한 경우 그 본문 항목에 雙行의 細註를 붙여 놓아, 현재 전하는 소눌 노상직에 대한 가장 내용이 풍부하고 신뢰할 만한 생애자료이다. 소눌 노상직의 문인록 『자암계첩』은 그가 1896년(고종건양1) 密陽 蘆谷에 紫巖草廬를 짓고 강학한 두 해 뒤인 1898년(고종광무2) 무술년부터 시작해서 그가 서거한 1931년 신미년까지 기록된 入門 제자들의 同講契帖이다. 필사본 총 42장으로, 부산대학교도서관 소장본과 소눌 노상직의 후손 盧圭鉉 소장본의 두 종이 현재 전한다. 入錄한 사람이 807인에 이르고, 지역적으로는 경상남도뿐만 아니라 경상북도 전역에 걸쳐 있으며, 전라도, 충청도, 경기도, 황해도, 함경도 등에까지 미쳐 있다. 1899년 기해년 앞에다 昌寧 克己齋에서 入門했다가 밀양까지 따라와서 수학한 5인을 먼저 적고, 이어서 講會(또는 契會) 일자의 연월을 밝혀서 적은 다음, 그 강회(또는 계회)에 참여한 사람을 姓名, 字, 生年, 本貫, 官職, 出身地를 순서대로 기록하였다. 소눌 노상직 門人의 규모와 지역적 분포, 문인 개개의 기본 인적사항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아래에서는 『선부군편년』(노규현 복사본)을 초역하고, 『자암계첩』(노규현 소장본)의 원문을 입력하였다. 먼저 『선부군편년』의 내용 중, 본문 항목은 전부 옮기고, 각 항목의 세주는 적절하게 가감해서 대괄호로 묶어 제시하였다. 인물의 경우 號와 姓名 및 生卒年을 밝히고, 저작의 경우 문집을 참조해서 그 제목을 밝혀서 소괄호로 묶어서 제시하였다. 또 필요한 보충설명도 소괄호로 묶어서 제시하였다. 이 외 연보 본문 항목 중 일부에는 약간 증보한 곳도 있다. 다음 『자암계첩』은 원문을 해당 연도 간지 다음에 서기만 소괄호에 넣어서 그대로 입력하되, 앞에 나온 인물과 동일하여 기록하지 않은 출신지 등은 밝혀서 적었다. 이와 함께 『선부군편년』 초역 뒤에 따로 大訥 盧相益(1849∼1941)의 略傳을 첨부해서 이해의 편의를 도왔다.

      • KCI등재

        입학전형에 따른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 종단연구 : D대학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정희(Jung-Hui Choi),이솔비(Sol-bee Le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는 대학 입학생들의 입학전형 유형이 입학 이후 학업성취도(GPA)와 학과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알아보고, 그 결과가 지닌 교육적 의미를 해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D대학교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입학전형에 따른 2020학년도 재학생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의 차이 분석을 실시하였다. 입학전형을 학생부종합, 교과, 논술, 수능으로 세분하였으며, 입학전형에 따른 집단 간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 평균 차이 검증을 위해 일원배치분산분석(one-way ANOVA)과 사후검증(Scheffé)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입학전형에 따른 2019학년도와 2020학년도의 재학생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의 평균비교를 통한 종단분석을 실시하였다.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결과 입학전형별 학업성취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수시 중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이 가장 높은 수준을 보였고, 이어서 수시 교과전형 입학생의 성취도가 높았다. 반면에 수시 논술우수자전형 입학생의 성취도는 정시 수능전형 입학생보다 낮게 나타났다. 종단분석을 실시한 결과 학업성취도의 전체 평균은 모든 전형에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과만족도에서 수시와 정시 입학생 간에는 전체적으로 차이가 확인되었다. 수시전형인 학생부종합전형, 교과전형, 논술전형 입학생들의 만족도가 정시 수능전형 입학생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학과만족도에 대한 종단분석 결과, 교과전형, 수능전형, 논술전형 입학생들의 만족도는 상승한 반면, 학생부종합전형 입학생들의 만족도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입학전형 유형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합리적인 판단을 위해서는 보다 장기적인 차원의 종단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admissions types of university students affect their post-admission academic achievement (GPA) and department satisfaction, and to interpret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results. Methods D University, a four-year comprehensive university, was analyzed as a case study. An analysis of the difference between GPA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students enrolled in 2020 according to admissions was conducted. Admission screening was subdivided into student records comprehensive screening, school subject, essay writing, and SAT, and one-way ANOVA and Scheffé were conducte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average GPA and departmental satisfaction between groups according to admission screening. Next, longitudinal analysis was conducted by comparing the average of GPA and department satisfaction of current students in 2019 and 2020 according to the admissions process. A paired t-test was performed. Result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academic achievement by admission processes, the students who entered through the student records comprehensive screening, which is a comprehensive student record screening, showed the highest level, followed by the students who entered through the screening for excellent school subjects showed high achievement. On the other hand, the achievement of students admitted with excellent essay writing skills was lower than those of regular admissions students with SAT scores. As a result of longitudinal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overall mean increased in all types. In terms of department satisfaction, there was an overall difference between occasional and regular admission students. Satisfaction levels of the students who entered through the occasional admissions were higher than those of regular admissions based on the SAT scores. As a result of longitudinal analysis of department satisfaction, satisfaction of students through the school subject records, SAT, and essay screening increased, while the satisfaction of students through the student records comprehensive screening did not change. Conclusions Considering the results of the study, a longer-term longitudinal study is needed to make a rational judgment on the effects of admissions types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department satisfa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