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朝鮮時代 간행된 小學 諺解本 연구

        신정엽 한국서지학회 2009 서지학연구 Vol.44 No.-

        『Sohak(小學)』 , the book for teaching ethics to children, compiled by Ju Hui(朱熹) and Riu Cheongji(劉淸之) in 1187, was imported during the late Goreo Dynasty(高麗) and widely distributed and taught in the Joseon Dynasty(朝鮮). This study intends to outline the entire editions of Korean annotations of Sohak published in the Joseon Dynasty, and examine the trend of publishing those Korean annotations by analyzing the periods and places of their publication and systems. Five titles of the Korean annotations of Sohak were included in Chaekpanmokrok(冊板目錄), and woodblocks of these books were located in 29 places in the country. The presently-existing editions were 4 titles, including 『Beonyeok Sohak(飜譯小學)』, 『Sohak Eonhae(小學諺解)』, 『Sohak Gyubeom(小學閨範)』, and 『Sohak Jegajipju(小學諸家集註)』 and a total of 15 titles were examined. The earliest edition was 『Beonyeok Sohak』 published in the 16 century. Of the currently existing editions, two titles were prints with metal movable types and 13 titles were woodblock prints. An analysis of the places of publication shows that some were printed with movable types by Gyoseogwan(校書館), etc. and local publications were mostly the reproductions of movable type prints distribu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According to the existing editions, Sohak was published in such places as Yeongju(瀛州) and Hamyeong(咸營). Also, many private bookstores, including Singuseorim(新舊書林), Hoidongseoguan(滙東書館), Gwangdongseoguk(光東書局), etc., printed various woodblock editions of Sohak by reproducing woodblocks from metal movable type prints previously published or changing the number of lines and letters from the original prints. 소학은 아동용 수신서로서 1187年 朱熹와 劉淸之에 의해 편찬된 것으로 麗末에 전래되어 조선시대에 널리 배포, 교육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조선시대에 印刊된 소학 언해본의 전체 판본을 개관하고 시기별, 간행처별, 계통별 분석을 통해 소학의 간행 양상과 추이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책판목록에 수록되어 있는 소학 언해본 판본은 서명을 기준으로 모두 5종이 나타났고, 전국 29곳에서 책판을 소장하고 있었다. 현존하는 판본은 서명을 기준으로 총 4종, 판본수로는 모두 15종이 조사되었다. 이를 나열하면 『飜譯小學』 『小學諺解』, 『小學閨範』, 『小學諸家集註』 등이다. 시기적으로 가장 빠른 판본은 16世紀에 간행된 『飜譯小學』이다. 한편, 현존하는 소학 언해본 가운데 금속활자본이 2종, 목판본은 모두 13종으로 나타났다. 간행처별로는 중앙의 校書館 등에서 주로 활자를 사용하여 책을 인행하였고 지방에서는 중앙에서 내려준 활자본을 번각하는 경우가 많았다. 현존본에 의하면 瀛州, 咸營 등지에서 소학의 印刊이 이루어졌고 19世紀末~20世紀初에 세워진 新舊書林, 滙東書館, 光東書局 등 여러 書鋪에서는 전해져 오는 金屬活字本들을 飜刻하거나 行字數를 바꾸어 木板本으로 다양하게 간행하였다.

      • KCI등재

        남계 박세채의 「소학문답」을 통해 살펴본 17세기 『소학』 연구의 쟁점과 의의

        박순남 동양한문학회 2019 동양한문학연구 Vol.53 No.-

        This study used Nam-Gye Park and Se-Chae's Sohak questions and answers book and A revised general sohak as important texts. In the 17th century, I would like to review the important achievements of Sohak and discuss the significance of the sohak study. Through this, Park and Se-Chae's understand Sohak. Sohak's various issues in the Sohak questions and answers book were discussed in an academic way that understood the study of Confucian classics. This explains the foundation of the so-called 'Sohakhak(소학학)' academic category that examined the nature of Sohak. Through these studi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as Sohakjegachipju was completed, the overall review of the Sohak annotation was made while comparing the annotations of Sohakeonhae and the annotation books of Sohak in China. Second, Park, Se-Chae's advocated the significance of respecting Zhuxi's sohak compilation. However, there is a tendency of the series of a tendency to critically examine the annotation of scholars based on the logical consistency of Sohak 's textual content system. Third, understanding of Sohak of Park and Se-Chae's did not acknowledge the fact that Sohak's division system of chapters and paragraphs did not recognize Zhuxi's as a division system of chapters, but he stated that he had certain significance. As discussed above, the academic discussion of Sohak in the 17th century is a discussion of the essence of the sohak book. And it is Park, Se-Chae's Sohak questions and answers book that can confirm these achievements. The answers in the dialogue and his views on Sohak can be confirmed as the results of the sohak research in the 17th century. The views of Park, Se-Chae's and his disciples are reflected in the various Sohak scholarship issues, especially since the 18th century. This confirms that the achievement is the result of discussing the academic and cultural significance of the sohak scholarship in the late Joseon Dynasty. 본 연구는 남계 박세채의 「소학문답」을 경학적 입장에서 ‘소학학’이라는 하나의 학문 체계 속에 수렴하여 살펴 17세기 당대까지 『소학』 학문의 중요한 성과를 개괄하여, 17세기 소학학의 대체적인 규모와 범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통해 박세채와 그 문도들의 『소학』 논의가 18세기 이후 학파 학맥별로 『소학』 연구가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고 전개되는 진전된 논의였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박세채의 『소학』 논의는 두 가지 관점에서 17세기 『소학』의 학문적 위상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첫째, 박세채는 『소학』을 四書와 동일한 지위에서 논하려는 의도를 가지고 『소학』에 대한 의의를 천명한 「소학총론」을 전면적으로 재검토하여 정자와 주자, 장자의 말을 토대로 『소학』의 학문 성격을 밝혀 「개정소학총론」으로 그 체계를 새로이 정비하였다. 이러한 편성은 『소학』의 학문 목표와 『대학』의 학문 목표가 성학의 요체인 ‘敬’에 있음을 명료하게 보여줌으로써 주자의 중요한 저술인 『소학』이 성학의 학문으로 경전에 준하는 지위를 가지고 논의되었음을 보여주었다. 이후 「개정소학총론」이 일제시대에 『소학』 공부의 입론서의 의미를 가지고 단독 출판된 것은 『소학』이 성리학의 중요한 분과임을 재천명한 「개정소학총론」의 의의가 시대를 넘어 여전히 『소학』의 학문체계를 논한 중요한 논거임을 입증한 것이다. 둘째, 박세채의 「소학문답」은 퇴계의 「소학도」에 대한 논설을 비롯하여 『소학집주』, 그리고 중국 五家의 『소학』주석서에 대한 변론, 『소학언해』본 주석과의 비교 검토, 『소학』의 분절체계에 대한 논의, 김장생을 비롯한 동국 제현의 설이 그 안에 채록되어 있다. 『소학』의 체계와 내용에 대한 다양한 논의는 『소학』의 본질을 경학적 입장에서 이해한 것으로 당대 소학학의 쟁점과 그 규모를 밝혀 낼 수 있는 중요한 견해이다. 이러한 성과의 축적은 18세기 이후 소학학이 더욱 정치하게 변모하는 데 적지 않은 역할을 하였다. 박세채가 『소학』을 경서에 준하는 책으로 인식하여 경전 해석과 같은 방법으로 『소학』을 논의하면서 17세기 『소학』의 중요한 단서를 열어둔 논거를 중심으로 17세기 『소학』에 대한 대체적인 규모와 논점을 개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7세기 『소학』 주석에 대한 조선 학자들의 논의는 『소학집주』와 五家의 주석의 착오를 바로 잡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소학』 주석에 대한 정치한 연구는 자구를 고증하는 일련의 과정에서 벗어나 『소학』 본문과 원전 본문 주석과의 이견을 점검하면서 경전의 주석을 비판하는 단계로 발전 심화되었다. 한편으로 경전의 주석이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는 주자의 경전 주석을 본지로 간주하여 기존 주석을 비판하고, 『소학』의 주석을 주자의 주석으로 본지를 삼아 해석하면서 주자의 본지를 강화하려는 일련의 경향으로 발전되었다. 이는 주자의 저술로서의 『소학』의 권위를 높이려는 논조와 『소학』이 조선후기 당대 사회의 행위의 표준이었기 때문에 『소학』 연구의 선본인 『소학집주』를 온전한 책으로 만들어 『소학』의 권위를 손상시키지 않으려는 논의가 『소학』 주석 연구가 더욱 정밀하게 논의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하겠다. 둘째, 『소학』 본문에 대한 정확한 이해와 해석에 대한 필요성은 ...

      • KCI등재

        小學 飜譯의 추이와 특징-조선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정호훈 한국고전번역학회 2019 고전번역연구 Vol.10 No.-

        The history of the Korean translation of Sohak has a long tradition. Since the publication of the Bunyeuk Sohak(飜譯小學) in the early 16th century, from the end of the 16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the 18th century, Sohak Unhae(小學諺解), (Revised) Sohak Unhae(修訂 小學諺解), Uje Sohak Unhae(御製小學諺解) were published. As translation took place several times, understanding of the contents of Sohak was renewed and deepened, and the format and principles of translation were established. Over time, translators changed the way they translate from liberal to literal translation. The content of the translation also changed based on the commentary, referring to it. In modern Korea, the translation of Sohak was used as a textbook to learn Sohak and as a resource for education from Sohak. The textbook as a Tutorial seems to have been prepared through some modifications, mostly on the tradition of the Sohak Unhae. Putting the current academic capacity and preparing a new translation of Sohak will be an important task in the future. 한국의 소학 번역사는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다. 조선 정부에서는 16세기 초 飜譯小學 을 간행한 이래로 16세기 말부터 18세기 초까지 小學諺解 , (수정본)소학언해 , 御製小學諺解 등 여러 종류의 번역본을 만들어 활용하였다. 근ㆍ현대에 들어와서도 이 성과들은 힘을 발휘하며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다. 조선의 번역 경험은 소학 독자층의 저변 확장에 도움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번역 자체의 변화를 이끌었다. 번역이 여러 차례 이루어지면서 소학 의 내용에 대한 이해가 새로워지고 깊어졌으며, 번역의 형식과 원칙이 틀 잡혔다. 구결문과 번역문의 일치가 시도되었고, 意譯을 지양하여 直譯을 추구했다. 번역문의 내용 또한 참고하는 주석서에 따라 변화했다. 조선의 소학 주석서는 15ㆍ6세기에는 소학집성 , 소학집설 이, 17세기와 18세기에는 소학집설 과 소학집주 , 소학훈의 가 널리 이용되었다. 번역소학 과 소학집성 및 소학집설 , 소학언해 와 소학집설 , 어제소학언해 와 소학집주 , 소학훈의 사이에는 밀접한 연관성이 있었다. 근ㆍ현대 한국에서 소학 번역서는 소학 을 익히기 위한 교재로서, 그리고 소학 으로부터 교양을 얻기 위한 자원으로써 활용되었다. 교재로서의 번역서는 대체로 (어제)소학언해 의 전통 위에서, 약간의 변형을 거치며 마련된 것으로 보인다. 21세기 현실을 반영한 새로운 번역서의 간행은 현 학술계의 역량을 키우는 주요한 계기가 될 것이다.

      • KCI등재

        조선후기 『소학』 해석의 시대적 추이에 따른 특징

        박순남(Soon-Nam Bak) 동양한문학회(구 부산한문학회) 2022 동양한문학연구 Vol.62 No.-

        『소학』에 대한 학술적 논의는 『소학』이 학문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하였던 16세기 중반 이후로부터 조선 말기까지 시대를 넘어 지속적으로 이어지면서, 그 결산물이 ‘講錄’, ‘問答’, ‘講義’, ‘疑義’, ‘箚記’ 등의 형식으로 집약되었다. 이들 저술서는 『소학』 전반에 대해 다루고 있지만, 시대의 추이에 따라 당대 학문의 체계 속에서 새로이 점검되면서 『소학』 해석은 몇 가지 중요한 특징을 가지고 전개되었다. 16세기 중기에 『소학』은 『대학』과 축을 이루는 성리학의 중요한 학문 분과로 위상이 정립되면서, 『소학』을 본질로 다룬 논의가 시작되었다. 이때부터 「강록」, 「문답」 등의 『소학』 관련 저술물들이 등장하면서 『소학』 본문의 해석에 대한 일정한 준거를 마련하기 위해 자구의 자의 및 명물에 대한 고증, 그리고 주석의 同異 등이 점검되었다. 17~8세기에 이르러서는 『소학』의 편제 및 내용 체계, 분절 논의, 그리고 『소학』 본문과 주석의 정합성, 채록된 인물과 사건에 대한 변증 등 『소학』 전반에 대해 다각적인 논의가 형성되면서 『소학』 해석에 대한 진전된 면모를 보여주고 있다. 한편 18세기 이후 『소학』에 채록된 인물과 사건에 대한 심도 깊은 해석은 동현의 인물을 채록한 조선의 소학서류가 만들어진 타당성을 제공하였다. 19세기는 『소학』 본문을 분절로 이해한 선행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여 『소학』의 분절체계가 새롭게 정립되고, 동국 제현의 학설이 주요 논거로 채록되거나 반영되면서 주석의 내용이 전면적으로 재정비되었다. 조선조 학술사에서 『소학』은 3종의 주석서를 모본으로 한 언해본이 4차례에 걸쳐 수정 간행되었고, 3종의 완결된 형태의 주석서가 경서에 준하는 체계를 갖추고 저술되었다.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가 동현의 가언 선행을 채록한 소학서류가 간행되는 의미 있는 성과를 보여주고 있다. 이는 다른 경서의 연구에서도 보기 드문 것으로 주자의 『소학』에서 조선의 독자적인 『소학』의 정본을 만들고자 하였던 그 노력이 동력이 된 것이다. The Commentary on Sohak, which was compiled and published in China and brought to Joseon, had a great influence on understanding the study of Sohak and interpreting the text. Through this, various theories on Sohak commentary were discussed from various perspectives, and the academic nature of Sohak, the compilation system, and the composition of the text of Sohak were thoroughly reviewed. Sohak was examined as an academic discussion of the time.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end of the Joseon Dynasty, these scholarly discussions of Sohak were continuously written in the form of lecture records, questions and answers, lectures, places of doubt in writings, and reviews over time. Therefore, in the early discussion of Sohak, the commentary on words and phrases was discussed as an important issue. And with the publication of a Sohak translation based on Sohakjibju, a closer examination of the Sohak annotation was brought about. In the 17th and 18th centuries, the discussion to make an original copy of the commentary formed the mainstream as Sohakjibju. On the other, the Sohakjejibjujeunghae was written by revising and supplementing the Sohakjibju and recording the theories of Joseon scholars. And the translation of Sohak and its commentary, Sohakhun-ui, were created. On the other, dissenting opinions about the characters in the main text of Sohak were raised centering on the Seongho School, and discussions were formed centered on the outside of Sohak. In the 19th century, understanding the main text of Sohak as a paragraph was an important discussion, and a complete form of paragraph system of Sohak was established. And with Sohakjipjujeunghae as the main commentary, a discussion was formed to examine the doctrines of Joseon scholars, and the Sohakjanggu was created using this as an important content. As above, three types of commentary on Sohak with the system complet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were published, and the translation of Sohak was compiled with repeated revisions and additions. This will provide the validity of discussing Sohak as an independent academic system within the scope of Confucian classics.

      • KCI등재

        金長生의 ≷小學≸ 주석서 편찬과 西人 小學說의 수립

        강민우(KANG Min-woo) 한림대학교 태동고전연구소 2019 泰東古典硏究 Vol.43 No.-

        This study is aimed at exploring how Kim Jang-saeng’s (1548-1631) compilation of annotation for Sohak influenced Seo-in’s consciousness of their scholastic mantle. Previous studies simply viewed Kim Jang-saeng’s annotation for Sohak as a part of the process in disseminating and researching Sohak. Or they never go further than mentioning it as a study conducted before the emergence of the Nam-in Sohak theory in the 18th century. In light of this dimension, there is a need of more research to clearly prove impacts of Gyeongseobyeonui(經書 辨疑)-Sohak, the first compiled analysis of Joseon scholars’ theories, on Seo-in members.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compilation process of Gyeongseobyeonui -Sohak and its contents to find out how Seo-in’s consciousness of their scholastic mantle was shaped. Moreover, circumstances surrounding the inclusion of Sohak in the scripture annotation are explored. Kim Jang-saeng’s research on Sohak analyzed Joseon scholars’ theory and Chinese theory focused on Zhuxi’s view (Southern Song dynasty, 1130-1200). It is thought that he intended to establish Joseon’s genealogy in researching Sohak, as his compilation of Chinese and Joseon’s theories excluded the theory of Buk-in but involved that of Nam-in with a view to highlighting Yi I’s theory. This is well explained by the contents of Gyeongseobyeonui -Sohak, which mostly demonstrated doubtful parts of original texts, as opposed to other book. Furthermore, most theories of Zhuxi and Yi I carried in Gyeongseobyeonui are placed in Sohak. On the contrary, only one theory of Yi Hwang (1501-1570), who has the highest percentage in Joseon scholars’ theories carried in Gyeongseobyeonui, is included. In reference to the theory of Nam-in, a great number of Jeong Gyeong-se’s (1563-1633) theories are included, but it is notable that Yi Hwang’s theory is found less. The purpose is considered to establish Seo-in’s consciousness of their scholastic mantle for Sohak focused on Yi I’s theory. It seems to be intended to equip practical spirits of Gimyosarim with the theoretical foundation in an attempt to include Seo-in in the genealogy of Joseon Sohak theory. 본 글은 김장생(金長生, 1548-1631)의 ≷소학(小學)≸ 주석서 편찬과정의 목적이 무엇인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기존의 연구들은 김장생의 ≷소학≸ 주석서를 ≷소학≸ 보급과 연구 과정의 일환으로 살펴보거나, 18세기 남인 소학설이 나오기까지의 과정에서 선행된 연구로 언급하는 데에 그쳤다. 그러므로 최초로 조선학자들의 설을 집성하고 분석한 ≷경서변의(經書 辨疑)⋅소학(小學)≸이 서인집단에 끼친 영향을 밝히기에는 부족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글은 ≷경서변의⋅소학≸의 편찬과정과 구성을 분석하여 ≷소학≸ 주석서가 형성되는 과정을 밝히 고, 나아가 경전주석서에 ≷소학≸이 포함되어야 했던 경위도 살펴보고자 한다. 김장생의 ≷소학≸ 연구는 주희(朱熹, 1130-1200)의 설을 중심으로 한 중국의 학설과 조선 학자들의 설을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중국과 조선의 학설을 집성하는 과정에서는 남인의 설을 포섭하며 이이의 학설을 부각시켜 조선 ≷소학≸ 연구의 계보를 설정하려는 의도가 있었다고 생각한다. 이는 ≷경서변의⋅소학≸의 구성에서 드러난다. 또한 이 책은 다른 책과는 달리 원문을 검증하고 비판한 경우가 많으며 ≷경서변의≸ 전체에 수록된 주희의 설과 이이의 설 대부분이 ≷소 학≸에 배치되어 있다. 반면 ≷경서변의≸에 수록된 조선학자들 설 가운데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 하는 이황(李滉, 1501-1570)의 설은 1개만 배치되어 있지만, 남인의 학설로는 정경세(鄭經世, 1563-1633)의 설이 적지 않은 비중으로 수록되어 있어 남인계 소학설을 포섭하는 모습도 보인 다. 이는 이이의 ≷소학집주(小學集註)≸를 기반으로 하는 서인 중심의 소학설을 확립하려는 목적 으로 보이며, 조선의 ≷소학≸에 관한 논의를 서인이 주도하려는 시도를 한 것이라 생각된다.

      • KCI등재

        『여자소학』(1927년)의 주석 연구

        김주원(Kim Juwon) 한글학회 2020 한글 Vol.- No.327

        이 논문에서는 율재(慄齋) 이한걸(李漢杰)이 편찬한 『여자소학』(女子小學, 1927년)의 주석에 대해서 고찰하였다. 조선시대에 『소학』을 여러 차례 번역하였는데 『어제소학언해』(1744)는 율곡 이이의『소학제가집주』(1612)의 주석을 바탕으로 하여 번역한 것으로 이후 영향력이 가장 큰 번역판이 되었다. 『여자소학』은 『소학』에서 여자에 관련된 내용을 뽑아서 주석을 붙이고 번역을 한 책이다. 기본적으로 이 책은 『소학제가집주』와 『어제소학언해』에 바탕을 두고 주석을 붙이고 번역을 하였지만 기존의 번역서와 다른 점은 퇴계학파에 속하는 류휘문, 김륭 등의 학자의 주석과 『학사강록』의 주석을 참고하여 번역하였다는 점이다. 그리고 편저자인 이한걸 역시 퇴계 이황의 학문을 잇는 학자로서 그 자신이 『예기』,『의례』 등을 인용하면서 주석을 하였고 그 주석에 의거하여 번역을 하였다. 『여자소학』은 한편으로는 『어제소학언해』의 번역을 답습하던 태도에서 벗어났다는 점에서, 다른 한편으로는 퇴계학파 학자들의 주석을 반영하여 새로운 번역을 하였다는 점에서 『소학』의 번역사에 있어서 독특한 위치를 차지한다. 뿐만 아니라 여성이 쉽게 읽고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번역을 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모든 언해를 뛰어 넘는 빛나는 성취를 이루었다고 평가할 수가 있다. This paper discusses the annotations of Yeoja Sohak complied by Yi Hangeol in 1927. In the Joseon Dynasty, Sohak was translated several times in order to educate women and children and its annotations have been studied to translate it accurately. Among various versions of Sohak translations, Sohak Eonhae(1694) [or Sohak Eonhae(1668)] has been adopted in Eoje Sohak Eonhae(1744) without modification and became the most influential edition. These translation built on the annotations of Yulgok Yiyi’s Sohak Jegajipju(1612). Yeoja Sohak selected content pertaining to women from Sohak. While Yeoja Sohak is annotated and translated on the basis of Sohak Jegajipju and Eoje Sohak Eonhae, it differs from other translations in that it contains annotations from Ryu Huimun and Kim Ryung who belonged to Toegye school and those from Haksa Gangrok edited by Yi Byongho et al. In addition, the editor himself, Yi Hangeol, who was the successor to Toegye’s studies, added annotations citing Yegi, Euirye, etc. and translations based on them.

      • KCI등재

        『소학』의 한국적 변용 : 성호학파의 소학서류를 중심으로

        박순남(Bak, Soon-Nam) 한국문학회 2021 韓國文學論叢 Vol.87 No.-

        주자의 『소학』이 ‘한국적 소학’으로 변용되는 과정 속에서 『소학』의 학문 규모 및 편차 체계, 내용 체계 및 중요한 논점들이 한국의 소학서에 어떻게 수용되고 변모되어 한국의 독자적인『소학』교재로 산출되었는지를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성호 이익의 문도들을 중심으로 유독 새로운 소학서류가 지속적으로 만들어진 것은 이들 학파의 주자의 『소학』에 대한 한 경향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하학지남』, 『동현학칙』은 주자의 『소학』이 한국 『소학』으로 심화 발전하는 그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저술물일 뿐 아니라, 한국 『소학』 논의에서 다루어졌던 중요한 쟁점을 포괄하여 내용상으로 전면적으로 개편된 저술물이라는 점에서 이들 소학서류의 특징적인 면모를 나누어 정밀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황덕길의 『동현학칙』은 『소학』의 가언과 선행의 외편을 확장 실증한 책이다. 그는 이 책을 만들면서 입교 편을 ‘國學之敎’, ‘家塾之敎’, ‘家庭之敎’ 3장으로 나누어 그 아래 조목을 분속시켰다. 입교 편의 분장은 조선후기 소학학의 중요쟁점으로 주자가 분장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비판되었던 논의였다. 그럼에도 입교 편을 3장으로 분장하여 명륜 편 아래 5장, 경신 편 아래 4장을 둔 것과 같이 대등한 체계로 편장을 구성하였다. 이는 퇴계가 「소학도」에 입교 편 아래 4장을 두고, 성호가 다시 8장을 둔 것을 계승한 조처이다. 이러한 입교 편 분장은 이상호의 『동학』과 김형재의 『대동소학』에도 그대로 수용되면서 한국 소학서 입교 편의 체계가 하나로 일관되게 되었다. 안정복의 『하학지남』은 중국학자 이성과 조선 학자들의 『소학』 분절에 대한 이견을 수용하여 일용과 수신에 긴절한 내용들을 <經史子集>에서 추출하고 동국의 현인을 모범 인물로 내세운 소학서이다. 이 책은 각 편장 아래 분절명칭을 세워 그 아래 조목을 분속하여 일정한 기준으로 분절체계를 세워 저술된 소학서이다. 이에 따라 『하학지남』은 수권은 1편 3장 12절 130조목, 상권은 3편 30장 104절 591조목, 하권은 5편 37장 154절 883조목 등 전체 3권 9편 71장 270절 1604조목으로 분장 분절체례를 완비한 한국의 독자적인 소학서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그 체계와 내용에 있어 주자의 학문 방법론을 준용한 것이며, 서술 방식에 있어서는 한국 소학학의 중요한 성과인 분절 논의를 소학서의 저술에 응용한 것으로, 한국 소학서에서 의미 있는 성과물로 해석될 수 있다. In the process of Chu Hsi s Sohak being transformed into Korean Sohak, Sohak s academic scale and composition system, content system, and important issues are examined. Through this, I would like to examine how it was accepted and transformed into the Korean sohak and made into Korea s own sohak textbook. In particular, the continuous creation of new sohak centering on the literary students of Seongho leeik can be seen as a trend toward sohak of these schools. First, Hwang Deok-gil s Donghyeonhakchik is a book that expands and proves Sohak s sequel to Gaeon and Seonhaeng. In making this book, he divided Ipgyo into three chapters: National teaching(국학지교), school teaching(가숙지교), and family teaching(가정지교). This is the acceptance of the important issues of Sohakhak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is is an inheritance of Toegye s Sohakdo and Seongho s Sohakdo. his divide Ipgyo into chapters was accepted in Daedongsohak and Donghak as it was, and made the system of Korean sohak consistent. Next, An Jeong-bok s Hahagjinam is a book written by Chinese scholar Yiseoung and Korean scholars to reflect their opinions on the division of Sohak. This book is based on a certain standard b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division under each section, a certain standard was prepared. Accordingly, Hahagjinam has a system of 130 articles with 1 volume, 3 chapters and 12 paragraphs in The beginning. And The first book has 3 volumes, 30 chapters, 104 paragraphs and 591 article systems. The last book was divided into 5 volumes, 37 chapters, and 154 paragraphs and 883 articles. With this, Hahagjinam was able to confirm that it is an independent Sohak book in Korea that is fully structured by dividing the chapter into 3 books, 9 volumes, 71 chapters, 270 paragraphs, 1604 articles, and paragraphs. It used Chu Hsi s academic methodology in its system and content, but applied the divide a paraph systems, an important achievement of Sohakhak in Korea, in its narrative style. This can be interpreted as a significant achievement in the Korean Sohak book.

      • KCI등재

        영남학파의 『소학』 중시가 가진 철학적 특징과 교육적 함의

        이상호(李相虎) 한국국학진흥원 2011 국학연구 Vol.0 No.18

        이 논문은 주자학과의 차별적 특징으로서 영남학파가 가진 철학적 특수성을 『소학』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주희의 주자학 체계 내에서 『소학』은 ‘도문학 공부’의 필요성에 대한 것으로, 주로 ‘이치를 궁구’하는 단계인 『대학』의 이전 공부 단계 정도로 한정된다. 더불어 공부의 대상 역시 ‘어린아이’에 한정되며, 그 내용은 ‘개별 상황에서의 행위 양식을 직접 몸으로 익혀 습관처럼 행동할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 중심을 이룬다. 특히 여기에서는 왜 그러한 행위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치’공부는 포함되지 않았다. 따라서 『소학』은 철저하게 『대학』으로 이행되어야 하는 과정으로서의 공부에 불과했다. 그러나 조선에서는 정몽주와 길재를 잇는 사림파들에 의해 특히 『소학』이 강조되었고, 이들이 이후 조선의 학계와 정계를 지배하면서 『소학』은 그들의 정신세계와 가치를 강조하는 책이 되었다. 특히 이황과 그의 학맥을 잇는 영남학인들에게 있어서 『소학』은 사서四書의 반열에 오른 책이되었다. 『소학』을 통해서 충분하게 성인됨에 이를 수 있다고 생각함으로써 독자적인 경전으로 인정을 받았으며, 이를 통해 주자학에 입문하면서 반드시 가장 먼저 공부해야 하는 ‘중요한 경전’이 되었던 것이다. 특히 이황은 『소학』을 단순한 ‘도문학 공부’의 영역에만 한정시키지 않고 ‘경’을 완성시켜가는 ‘마음 공부의 요체’로 설명함으로써 주자학과는 뚜렷한 이론적 차별성을 보여준다. 이러한 특징은 주자학의 교육에 있어서도 기초와 기본을 강조하며, 공부의 궁극을 ‘실천’에 두는 모습으로 드러난다. 이러한 학문적 특징은 퇴계학을 모토로 하는 영남학파의 중요한 성격으로 자리잡는다. 특히 영남학파는 ‘마음’을 강조하는 철학적 특징으로부터 출발하여 그것에 기반한 강한 실천력을 자랑하게 되는데, 이것은 곧 ‘소학 교육’의 특징과 일맥상통하는 영남학파만의 특징이라고 말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tudy th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 that Yeongnam School different from Zhuxi’s Philosophy involves, focused on the perception for Sohak. Sohak in the system of Zhuxi’s Philosophy is mainly defined in the study stage degree before Daehak which is stage ‘investigating thoroughly principle’, as for the necessity of ‘Knowledge of Learning(Domoonhak)’. Moreover, object of study is limited in ‘children’, a core of the content is ‘to get well enough to behave like habit, becoming proficient directly by the body patterns of behavior in the separate situation’. Specially, There isn’t involved ‘principle’ study, why should do such a behavior. Thus, Sohak was merely study as the course which should be made a transition to Daehak. However, in the Joseon dynasty, specially Sohak was emphasized by Sarim faction that succeeds Jeong Mong-ju and Giljae, followers of Sarim faction control the academia and the political world of Joseon dynasty, so that Sohak became book which emphasizes their the world of spirit and value. Sohak, for Yeongnam scholars that suc ceed Yi-Hwang and his scholastic vein, became book which rises to the grade of The Four Books. By believing thought enough to become saint through Sohak, it was accepted as independent scripture, through it, Sohak become the first ‘an important scripture’ which has to study when enters Zhuxi’s Philosophy. Yi Hwang doesn’t limits simply Sohak only in the domain of ‘Knowledge of Learning’, but shows theoretical distinction from Zhuxi’s Philosophy by interpreting Sohak as ‘main point of study of mind’ which completes ‘Gyeong敬’. For education of Zhuxi’s Philosophy, these characteristics emphasize basics, and come out look which puts finality of study on ‘practice’. These scientific characteristics entrench as an important character of Yeongnam School which makes Toegye’s Philosophy their motto. Specially, Yeongnam School prides on strong action that bases on philosophical characteristic of it, starting from philosophical characteristic which emphasizes ‘mind’, these is only characteristic of Yeongnam School which has something to do with characteristic of ‘Sohak education’.

      • KCI등재

        『소학(小學)』의 학습과 조선(朝鮮)의 다이글로시아 - 조선 후기 『소학언해(小學諺解)』의 상이(相異)한 두 필사본(筆寫本)을 중심으로 -

        이영경 ( Lee Yeong-gyeong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1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46 No.3

        본 연구에서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소학언해』의 두 필사본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계층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나는 『소학』의 수용 양상 및 학습법, 그리고 그것이 드러내는 조선 사회의 다이글로시아의 실상을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두 책은 모두 간본 『소학언해』를 저본으로 하되, 하나는 한문 원문이 대폭 축약된 것이고 또 하나는 언해문은 물론 원문도 모두 한글로 표기해 놓은 것으로, 본고에서는 전자를 ‘축약본’, 후자를 ‘순한글본’이라 하였다. 축약본은 구결 중심의 원문 축약과 학습자의 주석 첨기 등을 통해 궁극적으로 『소학』 원문의 정확하고 충실한 이해에 목표를 둔 사대부 계층의 『소학』 학습의 양상을, 반면 순한글본은 생활속에서의 유교 가치관 및 규범 함양과 같은 실용적 목적을 위해 언해문만을 활용하여 내용을 쉽게 습득하고자 한 여성들의 『소학』 학습의 양상을 보여준다. 또한 한자와 한문을 학습에 적극 활용하는 축약본과, 온전히 한글을 통해 내용을 수용하는 순한글본의 모습에서 한문과 언문의 위계적 사용이라는 조선 사회의 다이글로시아의 실상이 여실히 드러난다. In this article, I examines empirically the learning methods of Sohak (Elementary learning) which appear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clas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two manuscripts of the Sohak-eonhae (Korean Translation of Sohak) transcribed in the late Joseon period from the printed version of Sohak-eonhae published in 1588. With these comparison and analysis, I show the reality of diglossia in the late Joseon society. The two manuscripts Sohak-eonhae are all written in Korean alphabet, Hangeul, which are transcribed from the same printed version. The one is the ‘retrenched version’ by retrenching many of the Chinese original text, the other is the ’Hangeul version’ written only with Korean alphabet by inscribing all the Chinese original texts with Hangeul. The retrenched version shows the pattern of learning Sohak of literati class that aimed ultimately at the accurate and faithful understanding and studying of the original Sohak text through the method of retrenchment of the original sentences, learner's conciliation, and adding annotation arbitrarily. On the other hand, the Hangeul version shows the practical purpose of the women who wanted to acquire contents of Confucian values and cultivation of norms in the daily life with the learning Sohak-eonhae easily by using the vernacular sentences written only with Korean alphabet rather than academic acceptance of Sohak studies. In addition, the literati class seeks to learn deeply about the original text of Sohak by actively utilizing Chinese character and Chinese sentences that are familiar to them, while women accepted Confucian contents of value in their lives using ‘their sole character Hangeul’. This show the characteristic situation of hierarchical use of Chinese characters and Eonmun Hangeul, that is to say, the shape of diglossia in the late Joseon period.

      • KCI등재

        『소학』 이념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 이덕무의 『사소절』을 중심으로 –

        이승연 동양철학연구회 2008 東洋哲學硏究 Vol.55 No.-

        This article seeks to illumine the location and the significance of Yi Duk Mu’s “Sasozul” by comparing and examining it with Juja’s “Sohak.” Yi Duk Mu is often categorized as a scholar of the Authentic School, who belonged to the Northern School tradition. Apart from the general scholars of the Authentic School, however, he neither insisted social reform nor attempted the abandonment of the Juja School. In a certain way, he was Juja’s loyal successor. Is it possible indeed for the Juja School and the Authentic School of 18th Century Josun to Silhak? Juja criticized Buddhism and Taoism that swept the contemporary thought, and called them “Hollow School.” The reason why he named his studies “Authentic School” was because he thought only his studies=Confucianism was equipped with the concrete methodology that would help arrive at the supreme human portrait=holy one. That concrete methodology was, of course,禮. “Sohak” which Juja authored for the purpose of educating children, contains “Minute Etiquette,” and he actually believed that the practice of this “Sohak” was the foundation towards becoming a holy one Yi Duk Mu’s “Sasozul” had Scholars, Women, and Children as its subjects, and established the regulation for their daily conduct. It is often appraised as “the Korean version of Sohak.’ There would be implied, however, two meanings to the appraisal, “the Korean version of Sohak” One would be that “Sasozul” inherited certain parts of “Sohak,” and the other would be in fact that it was not just a simple succession but the succession with Koreanization. What part of “Sohak,” then, did Yi inherit? What was the content of the Koreanization that he carried out? Yi Duk Mu assumed, on one hand, that Gok Ryeh of “Gok Ryeh Section” in “Ye Ghi” was authored by周公, and viewed the content of “Sohak” as ‘Minor Etiquette,” i.e., Gok Ryeh, on the other hand. Yi further strengthened Juja’s perspective on the “Sohak” that “Minor Etiquette” was also ‘不踰閑’. It is believed that this was an attempt to break up the self-contradicting reality of the contemporary 18th century Josun when the social order that was based on Juja School’s teachings begun to crumble—for example, through the acceptance and expansion of Yang Myung leftists’ thoughts. For Yi, “Minor Etiquette” was indeed the most practical method of self-preservation, founded on reality. As Yi Duk Mu pointed out, however, there existed 6, 7 hundred years of time difference between Juja and Yi himself. Yi Duk Mu included within the category of the scholars (士) women and those workers in production industries, such as guardsmen, employees, farmers, merchants, and laborers, and insisted from them the self-awareness as scholars. In fact, the regulation for their conduct makes up the main theme in “Sasozul.” It reflected the demand of the middle class that begun the rapid rise. It is believed that this is the reason why Yi Duk Mu distinguished himself from Juja, when he authored “Sasozul.” It i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to investigate the process in which Yi Duk Mu had no choice but to profess himself as the successor of Juja and author “Sasozul,” and to illumine Etiquette’s ideological significance, on one hand, and to clarify the Korean aspect of development of “Sohak ” via “Sasozul” on the other. 이 글은 이덕무의 『사소절』과 주자의 『소학』을 비교 검토하여 『사소절』의 위치 및 의의를 밝히고자 한 것이다. 이덕무는 흔히 북학파 실학자로 분류된다. 그러나 일반 실학자들과는 달리 그는 사회개혁을 주장하지도 않았고 탈주자학을 시도하지도 않았다. 어떤 의미에서 그는 주자의 충실한 계승자였다. 주자학과 18세기 조선의 실학은 과연 양립 가능한 것일까? 주자는 당시 사상계를 풍미하였던 불교와 도교를 ‘허학(虛學)’이라 비판하며, 자신의 학문을 ‘실학’이라 불렀다. 그가 자신의 학문을 ‘실학’이라 불렀던 이유는 자신의 학문=유학만이 최고의 인간상=성인(聖人)에 도달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을 구비하고 있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물론 그 구체적인 방법은 예(禮)였다. 주자가 아동교육을 위해 저술한 『소학』은 ‘세세한 예절’을 그 내용으로 한 것으로, 그는 실제로 이 ‘소절(小節)’의 실천이 성인이 되기 위한 기반이라고 생각하였다. 선비, 여성, 아동을 대상으로 그들의 일상적인 행위규범을 규정한 이덕무의 『사소절』은 흔히 ‘한국판 소학’이라 평가된다. 그런데 ‘한국판 소학’이라는 평가에는 두 가지 의미가 함축되어 있을 것이다. 그 하나는 『사소절』이 일정부분 『소학』을 계승하였다는 것이고, 또 하나는 그것이 단순한 계승이 아니라 ‘한국화’를 수반하였다는 사실이다. 그렇다면 그는 『소학』의 무엇을 계승한 것일까? 그리고 또 그가 수행한 한국화의 내용은 무엇일까? 이덕무는 『예기』「곡례편」의 ‘곡례’를 주공(周公)의 저작으로 간주하는 한편, 『소학』의 내용을 ‘소절’, 즉 곡례라고 보았다. 이것은 그가 ‘소절’도 “불유한(不踰閑)”이라 주장한 주자의 ‘소절’관을 더욱 강화한 것이며, 아울러 양명 좌파의 사상이 수용, 확대되는 등, 주자학적 이념이 와해되기 시작한 조선 18세기, 당시의 현실적 모순을 타개하기 위한 한 시도였다고 생각된다. ‘소절’이야말로 현실에 기반을 둔, 가장 실천가능한 수신의 방법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덕무의 지적처럼, 주자와 이덕무 사이에는 6,7백년의 시차가 존재하였다. 이덕무는 문지기, 고용인, 농부, 상인, 공인과 같은 생산직 종사자나 여성도 사(士), 즉 선비의 범위에 포함시켰으며 그들에게 선비로서의 자각을 요구하였다. 실제로 『사소절』의 주된 내용은 바로 그들이 지켜야 행위 규범들이다. 급속히 부상하기 시작한 평민 계층의 요구를 반영한 것으로 이덕무가 주자와 자신을 구분하며 『사소절』을 집필한 이유라고 생각한다. 이덕무가 주자의 계승자임을 자처하면서 스스로 『사소절』을 집필할 수밖에 없었던 그 원인을 추적하는 과정에서 『사소절』의 사상적 의의를 밝히는 한편, 『사소절』을 통해 『소학』의 한국적 전개 양상을 밝히는 것이 이 글의 목적인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