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사회적 은행 설립방안에 대한 제언

        김도희,황용철 한국콘텐츠산업학회 2023 콘텐츠와 산업 Vol.5 No.3

        Social finance is finance that pursues social values and financial returns at the same time. Social finance has an alternative perspective on solving social problems. Through social finance, values beyond existing financial welfare and policy finance can be realized. This characteristic of social finance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realize social values, even though it is low in profitability. Social finance is focused on solving various problems faced by communities, countries, and humanity beyond simple profits. For this, it is necessary to raise capital and develop and implement financial services. However, there is a stable and continuous supply of funds in the structural problems of social finance. If public and financial institutions do not supply funds stably and continuously, the sustainability of the project will inevitably decrease. Currently, many countries operate social financial institutions to revitalize social finance to solve social problems. But our country is at a very rudimentary stage. This study proposed the necessity of social finance and discussed its establishment plan. From the perspective of finance under a complete capitalist system, only the winner survives and the loser disappears. Individual profits will be wholly owned by individuals, and local residents and the local economy will rapidly enter the path of extinction. The socially disadvantaged and financially disadvantaged will become more poor, and the gap between the rich and the poor will become more difficult. For the benefit of the individual, it will be destroyed without any responsibility for the global environment. To prevent this, it is necessary to revitalize social and economic organizations in which the public participates. To this end, this study proposed the necessity of relational finance by qualitative and non-measurement, not transaction-type finance by quantitative and quantitative, for social economic organizations.

      • KCI등재후보

        사회적 금융 전문 금융기관 설립을 위한 법적 검토

        이정민(Lee Jeong Min)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圓光法學 Vol.36 No.4

        Social finance, which pursues financial returns along with social values, is drawing attention as an alternative to solving new social problems beyond financial welfare and policy financing. As interest in social finance has increased around the world, Korea announced a Revitalization plan of social economy jointly with related ministries in 2017, and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prepared a Revitalization plan of social finance in 2018. Since then, the Financial Services Commission has been working to promote social finance by holding a Social Finance Council with related agencies. As a result, the public sector and major banking sectors continue to expand funding and loan, but if the change in policy stance no longer provides funds from banks and the public sector, the sustainability of business operations may be difficult for companies seeking social value. In addition, existing alternative financial institutions, which were mainly funded by social value companies before the social financial revitalization policy, are not official financial institutions, and rely on private donations in the form of non-profit organizations or corporation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provide funds to companies if they lack funds such as donations. And, in reverse, companies that are supported do not have much responsibility for the repayment of funds, causing moral hazard. In order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for the management of an enterprise and to achieve sustainable financing, the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financial institutions for social finance that can receive deposits from an unspecified number of people should be established. With the continuous inflow of private capital, a virtuous cycle of funds will be possible when funds can be supplied to social value companies. In this paper, we first reviewed the need for specialized financial institutions for social finance and existing bills proposed for the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financial institutions for social finance. Then, instead of the Banking Act, which has large entry regulations, this paper reviews regarding the establishment of specialized financial institutions for social finance through the enactment of special laws, as well as the law related to Credit Union, Mutual Savings Bank for the business purpose of pursuing social values. It is intended to compare the enactment of a special law with the exception of the current law, and to propose that specialized financial institutions for social finance can be established legally. 사회적 가치와 함께 재무적 수익을 추구하는 사회적 금융은 기존의 금융복지, 정책금융을 넘어 새로운 사회문제 해결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전 세계적으로 사회적 금융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국내에서도 2017년 관계부처 합동으로 ‘사회적 경제 활성화 방안’을 발표하였고, 2018년 금융위원회가 ‘사회적 금융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후 금융위원회는 각 관련 기관자들과 ‘사회적금융협의회’를 개최하여 사회적 금융 활성화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공공부문과 주요 은행권에서 자금 공급과 대출 지원을 계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나, 정책기조가 변경되어 더 이상 은행과 공공부문에서 자금 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들은 사업 운영의 지속가능성이 어려워진다. 또한 사회적 금융 활성화 정책 이전 사회적 가치 기업들이 주로 자금을 지원받던 기존 대안금융기관은 정식 금융기관이 아니며, 비영리기구나 사단법인의 형태로 주요 재원을 민간의 기부금에 의존하고 있다. 그렇다보니 기부금 등 재원이 부족할 경우 지속적으로 기업에게 자금을 지원하기는 어렵다. 또한 역으로 지원받는 기업에게도 자금의 상환 책임이 크지 않아 도덕적 해이를 불러오는 문제점을 야기한다. 그러므로 기업의 경영에 대한 책임감을 강화하고 지속가능한 금융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불특정 다수로부터 예금을 수신하여 안정적인 재원을 마련할 수 있는 금융기관의 설립이 이루어져야 한다. 민간의 자본이 지속적으로 유입되면서 사회적 가치 기업에게 자금을 공급할 수 있을 때 자금의 선순환이 가능할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우선 사회적 금융 전문 금융기관의 필요성과 기존 사회적 금융 전문 금융기관 설립을 위해 제안되었던 법안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진입규제가 큰 「은행법」 대신 특별법 제정을 통한 사회적 금융 전문 금융기관 설립과 현재 사회적 가치 추구를 목적으로 영업하고 있는 신용협동조합과 상호저축은행 관련 법을 검토하였다. 특별법의 제정과 현행법의 예외조항을 두는 방안을 비교하고, 법적으로 사회적 금융 전문 금융기관이 설립될 수 있도록 제안하고자 한다.

      • KCI등재

        지역재생을 위한 사회적금융의 활성화 방안

        박상우(Sang-woo, Park) 한국지역사회학회 2020 지역사회연구 Vol.28 No.4

        본 연구는 지역재생과정에 사회적경제의 가치를 도입하는 방안과 더불어 이를 지원하기 위한 사회적금융의 유형과 운영방식에 대해 고찰하였다. 현재 우리나라는 사회적경제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며 법적·제도적으로 기틀을 잡아가고 있다. 이러한 논의와 더불어 사회적금융에 대한 논의 역시 지속적으로 전개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 사회적금융의 수준은 서민금융과 사회적기업,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 등 사회적 약자를 배려하는 포용적 성격의 금융에 그치고 있으며, 글로벌 사회적 금융 흐름과 비교해 볼 때 초기단계에 머물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지역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지역재생과 더불어 사회적 경제가 표방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사회적금융에 대한 논의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사회적금융을 활성하기 위한 방안으로 첫째, 사회적금융에 대한 인식전환과 민관거버넌스 구축, 둘째, 사회적금융 중개기관 설립, 셋째, 사회적가치 평가 시스템 및 DB구축, 넷째, 지역문제와 연계한 사회성과 연계채권의 확대 개편, 다섯째, 지역개반형 사회적금융 생태계 구축 등 다섯가지를 제안을 한다. 특히 사회적금융 투자자 저변확대와 체계적 발전을 위해서는 사회적 가치를 측정하는 인프라를 확충하는 것도 동반되어야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ways to introduce the value of the social economy into the process of regional regeneration, as well as the types and operation methods of social finance to support it. Currently, discussions on the social economy are actively progressing in Korea, and the legal and institutional framework is being established. In addition to these discussions, discussions on social finance are also continuing. However, the current level of social finance is limited to the inclusive nature of finance that considers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such as low-income finance, social enterprises, and support for small business owners, and it is in the early stages compared to the global social finance trend. In order to achieve the goals of the social economy along with regional regener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local residents, discussions on social finance must be made in earnest.I propose the following as a way to activate social finance. First, change the perception of social finance and establish public-private governance, second, establish a social finance intermediary institution, third, establish a social value evaluation system and DB, fourth, expand and reorganize social impact bonds linked to local issues, and fifth, regional reform It proposes five things, including building a social finance ecosystem. In particular, expansion of the infrastructure that measures social value should be accompanied in order to expand the base of social finance investors and to develop systematically.

      • KCI등재

        사회 통합을 위해 해외사례로 살펴 본 사회적 금융의 발전방안

        이정민 한국국제문화교류학회 2018 문화교류와 다문화교육 Vol.7 No.2

        According to the needs of social fin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background cultures and policies of social finance development in the UK, Italy and Canada and to find ways to improve social finance in Korea. Social finance is crucial in that it can provide financial benefits to the financial underprivileged, helping to alleviate negative polarization and monopoly and lead to social integration. Since the 2008 financial crisis, major financial institutions have been obsessed with financial profits, resulting in a lot of damage due to bad loans. As a result, commercial financial institutions and governments have become interested in social finance that focuses on social values as an alternative that can solve environmental and social problems and enable all to coexist. Major foreign countries have actively formed cooperatives and funds to solve social, environmental and economic problems spontaneously, and under government initiative, the social financial market has been formed. Based on this, the legal system was established and revised, so social finance could grow more stable. Through these cases, it is necessary to plan for stable development of social finance in Korea. First, there is a need for consolidated specialized institutions that can manage social finance. To that end, it is required to legislation to establish a specialized institutions for social finance and an integrated law that can cover all social finance projects. It should also support financial education for the financial underprivileged and institution for social finance should construct a system to overcome the asymmetry of information through a transparent management system. In particular, education for multicultural families should be provided in addition to education for the general public, as the financial sector includes marriage immigrants and multicultural families. Through social finance, the multicultural in the blind spot of finance should receive financial benefits and settle in Korea correctly, so it must achieve social balance and integ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금융의 필요성에 따라 영국, 이탈리아, 캐나다의 사회적 금융 발전 배경 문화와 정책을 살펴보고, 우리나라 사회적 금융의 활성화를 위한 발전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사회적 금융은 금융소외계층에게 금융혜택을 제공하여 부의 양극화와 독과점을 해소하고 사회 통합을 이끌어낼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2008 년 금융위기 이후 주요 금융기관이 재무적 수익에 집착하다보니 부실로 인해 많은 피해가 발생하였다. 이에 따라 영리금융기관들과 정부는 환경 및 사회문제를 해결하고 모두가 상생할 수 있는 대안 및 사업으로 사회적 가치의 중점을 두는 사회적 금융의 관심을갖게 되었다. 해외의 주요국들은 자발적으로 사회적·환경적·경제적 문제를 해결하기위하여 적극적으로 협동조합과 기금을 형성하였고, 정부 주도하에 사회적 금융시장이형성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법체계가 설립 및 개정되면서 보다 안정적으로 사회적 금융이 성장할 수 있었다. 이런 해외 사례를 통해 국내에도 사회적 금융을 안정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먼저 사회적 금융을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문기관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사회적 금융 전문기관 설립을 위한 입법과 사회적 금융 전체를 아우를 수 있는 통합법의 제정이 요구된다. 또한 금융소외계층을 위해 금융교육을 지원하고 사회적 금융활동을 하는 기관의 경우 투명한 경영체제를 통해 고객과의 정보의비대칭성을 극복할 수 있도록 체계를 구축해야할 것이다. 특히 금융소외계층에는 결혼이주민이나 다문화가족들도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국내 일반인들을 위한 교육 외에도다문화가족을 위한 교육이 지원되어야한다. 사회적 금융을 통해 금융의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다문화인들이 금융혜택을 받고 올바르게 국내에 정착하여 사회 균형과 통합이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사회적금융 활성화를 위한 사회적뱅킹 생태계의조성방안

        장욱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20 사회적기업연구 Vol.13 No.3

        In order to promote social value, this paper aims to address ways to promotesocial finance in pursuit of a sustainable virtuous cycle of funds throughinvestment and loan guarantees in social economic enterprises. In particular, itbenchmarks and describes SME finance, focusing on building a sustainableecosystem of social finance. This paper is intended to first deal with thecreation plan of social banking ecosystem as indirect finance channel. The main findings and argum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domestic social and economic enterprises do not have a system yet to providecustomized financing to them despite the wide range of social finance-relatedinstitutions and various types of companies operating in the growth stage. Thus, this paper first proposes the alignment of matrix-type customizedfinance for social economic enterprises. Second, it is necessary to find domesticsocial values due to the phenomenon of marginalization in the provinces andthus social and economic enterprises to become regional centers, but theprovision of domestic social finance is concentrated in Seoul. Thus, this paperproposes a system of providing dual-type divisional system of regionalclose-up relationship banking. Third, since the social value pursued by socialeconomic enterprises is abstract and not periodically measurable, domesticsocial finance is provided as a sponsor event castle. However, in order for social finance to become a sustainable ecosystem, an infrastructure must becreated in which risks and profits can be measured objectively. Thus, thispaper proposes to foster a system of measuring objective social values andsettling them periodically, and professional evaluation institutions for thispurpose. 본 논문은 사회적가치를 증진시키기 위해 사회적경제기업에 투자⋅융자⋅보증 등을 통해 자금의 지속가능한 선순환을 추구하는 사회적금융 활성화방안을 다루고자 한다. 특히 사회적금융의 지속가능한 생태계 구축에 초점을 맞춰서 중소ㆍ벤처기업금융을 벤치마킹해서 서술한다. 본 논문은 우선 간접금융 채널로서 사회적뱅킹 생태계의 조성방안을 다루고자 한다. 본 논문의 주요한 연구결과와 주장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국내 사회적경제기업은 다양한 유형과 성장단계의기업들이 활동하고 있고 사회적금융 유관기관은 폭이 넓음에도 불구하고 이들에게 맞춤형 금융을 제공하는체제는 아직 갖춰져 있지 않다. 이에 본 논문은 우선 사회적경제기업에 대한 매트릭스 형태 맞춤형 금융의정렬을 제안한다. 둘째, 지방 소외 현상으로 국내 사회적가치의 발굴과 이에 따른 사회적경제기업의 활동은지역 중심이 되는 것이 필요하지만 국내 사회적금융의 제공은 수도권 집중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논문은 이원형 분업시스템적 지역 밀착 관계뱅킹의 제공체계를 제안한다. 셋째, 사회적경제기업이 추구하는사회적가치가 추상적이고 주기적으로 측정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국내 사회적금융은 후원 이벤트 성으로 제공되고 있다. 하지만 사회적금융이 지속가능한 생태계가 되기 위해서는 위험과 수익이 객관적으로 측정될수 있는 인프라가 조성되어야 한다. 이에 본 논문은 객관적인 사회적가치를 측정하고 주기적으로 정산하는체계와 이를 위한 전문 평가기관의 육성을 제안한다.

      • KCI등재

        소매형 사회적금융 중개기관 활성화를 위한 사례 연구

        신효진,이상훈 사단법인 사회적기업학회 2018 사회적기업연구 Vol.11 No.2

        Social Finance has been gaining attention because it expects to overcome thelimitation of funding for social economy organization and to activate socialeconomies. Recently, support for the establishment of Social Benefit Fund andthe fostering of social finance intermediaries have been announced, and therehas been talk about specific implementation of social finance. In order to socialeconomy organizations to receive financial support, it is necessary to fosterretail social financial intermediaries that plays a role in finding social economyorganizations with demand for funds and minimizing the transactions andinformation costs between investors and social economy organizations. For this,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up implications for the future developmentand activation of social financial intermediaries through a case study oforganizations that have played a role as retail social finance intermediaries inthe areas of microcredit, regional finance and cooperative finance. 사회적금융은 사회적경제 조직의 자금조달 한계를 극복하여 사회적경제 활성화를 가져올 수 있다는 기대속에 관심을 얻고 있다. 최근 정책적으로 사회가치기금 설립 지원, 사회적금융 중개기관 육성 등이 발표되며 사회적금융의 구체적 실행에 대한 논의가 나타나고 있다. 사회적경제 조직들이 현실적인 금융지원을 받기 위해서는 자금 수요를 갖고 있는 사회적경제 조직을 발굴하고 투자자와 사회적경제 조직 간 거래, 정보비용을 최소화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소매형 사회적금융 중개기관 육성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마이크로크레딧, 지역금융, 협동금융의 영역에서 소매형 사회적금융 중개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담당한 조직들의 사례 연구를 통해 향후 사회적금융 중개기관의 육성 및 활성화와 관련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 KCI등재

        국내 사회적은행 설립을 위한 법적 검토

        이정민(Jeongmin Lee),정운영(Woonyoung Jeong),이종익(Jongick Lee) 은행법학회 2023 은행법연구 Vol.16 No.1

        사회적은행은 사회적 경제, 사회적 금융과 함께 언급되는 개념으로 환경과 사회의 영향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사회적 가치와 재무적 수익을 창출하는 은행이다. 사회적은행은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기업과 사업에 대한 금융 제공은 물론 금융소외계층을 대상으로 하는 금융서비스를 제공하는 은행이어야 한다. COVID-19 유행 이후 금융소외 및 금융양극화 등 복합적인 금융문제가 심화됨에 따라 금융당국에서는 금융지원을 아끼지 않고 있으며, 정부에서도 시중은행들의 상생금융을 강조하며 사회적 책임을 다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 기존 금융기관들도 ‘ESG 위원회 설치’ 및 ‘상생금융 활성화 방안’ 등 사회적 책임, ESG 금융을 위해 노력하고 있는데, 사회적은행은 기존 은행들의 ESG 금융과는 다르게 사회적 가치 창출을 우선하여 운영된다는 점에서 차별성을 가진다. 사회적 금융 시장은 2018년 정부부처에 '사회적금융 활성화 방안' 발표 이후 양적 공급은 확대되었으나 민간 사회적 금융 시장의 확대로 나아가지는 못한 상황이다. 복합적인 사회문제에 대한 해결을 위해 정부의 금융지원이 확대되고 있는 만큼 민간에서 자생적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금융체계 구축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사회적 금융을 주목적으로 하는 해외의 사회적은행과 같이 여ㆍ수신이 가능한 제도권 금융기관 설립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사회적은행의 의미와 차별성을 검토하고, 국내외 사회적은행 현황 및 설립동향을 살펴보았다. 나아가 현행법상 사회적은행의 설립가능성을 검토하고 개정이 필요하거나 고려해야할 사항들에 대해 정리하였다. 「은행법」, 「인터넷전문은행 설립 및 운영에 관한 특례법」,「상호저축은행법」, 「신용협동조합법」의 설립요건을 검토한 결과 각 법마다 차이는 있지만 현행법으로도 사회적은행 설립이 가능하다. 은행법의 경우 다른 법에 비해 자산건전성 등 규제요건이 엄격하고 저축은행법이나 신협법의 경우 그 요건이 보다 완화되어 있지만, 실제로 금융당국에서는 선제적 위험에 대응하기 위해 자기자본 비율 등 권고 기준을 법 기준보다 높게 두고 있다는 점에서 은행법상 전국은행으로 설립하는 것이 사회적은행의 파급효과는 물론 사회적 금융시장 확대에 적합하다. 상호금융기관이라는 입장에서 비영리법인 형태의 신협, 농협, 새마을금고 등도 고려할 수 있으나 이들은 모두 중앙회를 거쳐 주무부처에 인가를 받아야하기 때문에 중앙회와의 의견이 대립될 경우 인가신청 자체가 어려울 수있다. 그러므로 우려가 되는 부분은 인터넷전문은행처럼 별도의 고려사항을 두고 설립하는 것이 필요하다. 추후에는 특별법 제정도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다. 특별법 제정은 별도의 입법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시간 및 재정적으로 부담될 수 있지만 사회적 가치를 지향하는 전문금융기관으로 설립목적부터 구축하여 운영될 수 있다는 점에서 사회적은행의 설립부터 확산까지 빠르게 진행될 수 있다. 특히 은행법상의 각종 규제 적용에 대해 특례를 둘 수 있고 사회적은행의 특수성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ocial bank is a concept mentioned along with social economy and social finance, and is a bank that generates social values and financial returns from a long-term perspective in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and social effects. A social bank should be a bank that provides financial services to the financially underprivileged as well as to companies and businesses pursuing social values. As complex financial problems such as financial alienation and financial polarization intensify after the COVID-19 pandemic, financial authorities are giving financial support, and the government is also demanding that commercial banks fulfill their social responsibilities by emphasizing win-win financing. Currently, existing financial institutions are striving for social responsibility and ESG finance, such as the establishment of ‘ESG committees’ and ‘plans to revitalize win-win finance’, and social banks are differentiated in that they prioritize social value creation. The social finance market has expanded quantitative supply since the announcement of the "Social Finance Revitalization Plan" to government ministries in 2018, but has not led to the expansion of the private social finance market. As the government's financial support is expanding to solve complex social problem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inancial system that can solve it on its own in the private sector. To do thi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institutional financial institutions that carry out activities such as loan and reception, such as overseas social banks that focus on social finance. This paper reviewed the meaning and differentiation of social banks and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establishment trends of domestic and foreign social banks. Furthermore,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social bank under the current law was reviewed, and matters that need to be revised or considered were summarized. As a result of reviewing the establishment requirements of the Banking Act, he Act on Special Cases Concerning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Internet-Only Bank, the Mutual Savings Bank Act, and the Credit Cooperative Act, each law differs, but social banks can be established under the current law. In the case of the Banking Act, regulatory requirements such as asset soundness are stricter than other laws, and the requirements are more relaxed in the case of the Mutual Savings Bank Act and the Credit Cooperative Act. But, in fact, financial authorities set recommended standards such as BIS capital ratio higher than legal standards to cope with preemptive risks, so establishing a national bank under the Banking Act is suitable for expanding the social financial market as well as the ripple effect of social banks. From the standpoint of mutual financial institutions, non-profit corporations such as Credit Cooperatives, Nonghyup, and MG Community Credit Cooperatives(Saemaul Geumgo) can be considered, but since all of them must go through the Federation of them and obtain approval from the competent ministry. It may be difficult to apply for authorization if they opinions differ from the Federation of them.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concern with separate considerations, such as Internet-only banks. In the future, special laws can be considered. The enactment of a special law can be burdensome time and money in that it requires separate legislation, but it can quickly proceed from the establishment to the spread of social banks in that it can be established and operated from the purpose of establishment. In particular, special provision can be made for the application of various regulations under the Banking Act, and the specificity of social banks can be considered.

      • KCI등재

        사회적 금융 활성화를 위한 사회성과연계채권 발행 활성화를 통한 직접금융 중개시장의 육성방안

        장욱 한국경영교육학회 2019 경영교육연구 Vol.34 No.1

        [Purpose]This paper presents a way to foster the direct financial intermediary market by activating the issuance of social performance-linked bonds to promote social finance. [Methodology]The differentiations of this paper are, first, the proposals for the revitalization of social financing suitable for local governments. While the nation’s social and financial infrastructure is currently concentrated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local governments outside the capital area have the need and appropriateness to nurture social and economic or social enterprises. This paper aims to analyse these distinctions and suggest alternatives for resolving them. Second, it analyzes the constraints of issuing social performance bonds and presents measures for activation. While most of the nation’s social finance is now done through loans, building a sustainable social and economic ecosystem requires attracting private venture capital and it is desirable to foster a direct financial intermediary market through the issuance of social performance bonds. Third, this paper focuses on analysis of legal and institutional factors along with economic factors. In the early stages of social finance, the funding of the government and local governments plays a very important role, with these funds being constrained by various regulations. This paper focuses on these aspects and looks for solutions. [Findings]The main finding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any constraints in terms of social finance supply and dema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ocial finance environment of local governments in the operating environme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ocial finance environment of local governments in the leg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there are problems with the nature of the resources, limits on large-scale funding, and restrictions on the prohibition of fund management under the Local Finance Ac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legal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 of social performance bond, there are requirements for investment contract securities and single-year accounting restrictions. [Implication]Finally, based on the previous analysis, the measures for activating the issuance of social performance bonds can be derived to improve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the social performance fund of local governments, improve the investment contract for social performance bonds, and foster professional accelerator. [연구목적]본 논문은 사회적 금융 활성화를 위한 사회성과연계채권 발행활성화를 통한 직접금융 중개시장의 육성방안을 제시한다. [연구방법]본 논문의 차별점은, 첫째, 지방자치단체에 적합한 사회적 금융 활성화방안을 제안한다. 현재 국내 사회적 금융 인프라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사회적 경제 또는 사회적 기업을 육성할 필요성과 적합성을 가진 곳은 수도권 이외 지방자치단체이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괴리를 분석해서 이를 해결하는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둘째, 사회성과연계채권 발행 제약요인들을 분석하고 활성화방안을 제시한다. 국내 사회적 금융은 현재 대부분 융자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 반면 지속가능한 사회적 경제 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민간 모험자본을 끌어들일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서 사회성과연계채권 발행을 통한 직접금융 중개시장을 육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본 논문은 경제적 요인과 함께 법적․제도적 요인을 집중적으로 분석한다. 사회적 금융의 초기단계에는 정부와 지방자치단체의 자금지원이 매우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데 이들 자금은 각종 규제에 의한 제약요인이 존재한다. 본 논문은 이러한 측면을 집중적으로 분석해서 해결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결과]본 논문의 직접금융 중개시장의 육성방안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방자치단체 사회적 금융 환경을 운영환경에서 분석한 결과, 사회적 금융 공급과 수요측면에서 많은 제약요인이 존재한다. 둘째, 지방자치단체 사회적 금융 환경을 법적․제도적 환경에서 분석한 결과 재원의 성격 문제, 대규모 기금 마련의 한계, 그리고 지방재정법의 기금 운용위탁 금지의 제약이 존재한다. 셋째, 사회성과연계채권 관련 법적․제도적 환경을 분석한 결과, 투자계약증권 제약 요건, 그리고 단 년도 회계 제약이 존재한다. [연구의 시사점]마지막으로, 앞서 분석을 바탕으로 사회성과연계채권 발행활성화방안을 모색한 결과, 지방자치단체 사회성과기금의 설립․운영 개선, 사회성과연계채권 투자계약증권의 개선, 그리고 전문 액셀러레이터의 육성의 방안을 도출할 수 있다.

      • KCI등재

        협동조합형 금융기관의 사회적금융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 고찰

        이태영 연세대학교 법학연구원 2022 法學硏究 Vol.32 No.2

        Social finance is the concept of sustainable development by investing, lending, or guaranteeing funds in socially valuable work, and refers to finance that creates capital and develops and applies available financial services to solve various social problems faced by communities, countries, and mankind. As a social financial supplier, the financial cooperative aims to create social values such as support for social economic enterprises and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In this paper, ‘Social Finance’, which strengthens the identity of financial cooperatives and supports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such as trust, cooperation, and solidarity, is the most practical way to realize the purpose and function of financial cooperatives, such as improving the social and economic status of members and contributing to the local community. However, most of the social financial supply of financial cooperatives is limited to loan projects to social economic companies that create social value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carry out various and creative projects that financial cooperatives can do due to the limitations of strict regulatory systems.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shift the paradigm from the current regulatory system to a principle-based regulatory system, and to make fundamental changes by declaring general principles in the field of financial cooperatives and Central Council management and social financial supply. In order to revitalize social finance of financial cooperatives, legal and institutional foundations should be established, such as establishing social finance roles and expanding the scope of business, allowing financial cooperatives to invest in other corporations, expanding impact investments using impact funds, etc. 사회적금융이란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일에 자금을 투자하거나 융자 또는 보증하여 지속가능한 발전을 도모하는 개념으로, 지역사회나 국가, 인류가 직면한 다양한 사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자본을 조성하고 이용 가능한 금융서비스를 개발하고 적용하는 금융을 의미한다. 금융협동조합은 사회적금융 공급자로서 사회적경제 기업에 대한 지원이나 지역경제 활성화와 같은 사회적 가치 창출을 목표로 하고 있다. 본고는 금융협동조합의 정체성을 강화하고 신뢰, 협력, 연대와 같은 사회자본 형성을 지원하는 ‘사회적금융’이 조합원의 사회・경제적 지위 향상과 지역사회 기여라는 금융협동조합의 목적과 기능을 가장 실질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방안이라고 본다. 그러나 금융협동조합의 사회적금융 공급은 대부분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사회적경제 기업에 대한 대출 사업에 그치고 있고, 엄격한 규정 중심 규제체계의 한계로 금융협동조합이 할 수 있는 다양하고 창의적인 사업을 수행하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금융협동조합의 사회적금융 분야에 대한 규제를 현행 규정 중심 규제체계에서 원칙 중심 규제체계로 패러다임을 전환할 필요가 있으며, 금융협동조합 및 중앙회의 여유자금 운용과 사회적금융 공급 분야에 있어서 최상위의 법률은 일반 원칙만을 선언하고, 세부 사항은 조직 내부의 자율규제나 내부통제 장치를 마련하는 방법으로 근본적인 변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 나아가 금융협동조합의 사회적금융을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금융협동조합의 사회적금융 역할 정립 및 사업 범위 확대, 금융협동조합의 타 법인 출자 허용, 사회적 가치 창출 기업에 대한 직접지원 및 임팩트 펀드를 활용한 임팩트 투자 확대, 사회성과보상사업 참여 근거 마련 등 법・제도적 기반이 조성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후보

        Dimensions of Social Policy

        박성복 성균관대학교 국정전문대학원 2011 국정관리연구 Vol.6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dimensions of social policy that can be views as the policy elements of social policy. Social policy is the study of the social services and the welfare state. Its central focus is the study of social welfare and the social services.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I constructed the five dimensions of social policy: 1) goals and objectives, (2) forms of benefits and services, (3) basis of social allocation, (4) administration and service delivery, and (5) financing. Regarding to these five dimensions of social policy, I discussed each by each together with the relevant issu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