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민중심 스마트시티 혁신을 위한 지방정부 전략: 부천시와 바르셀로나 사례를 중심으로

        김상민(Kim, Sangmin) 한국도시행정학회 2021 도시 행정 학보 Vol.34 No.3

        최근 4차산업혁명 논의와 함께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이 급속히 확대되고 있다. 스마트시티에 대한 정의와 접근방식은 국가나 지역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고 있는데, 초기에는 주로 도시 기반시설이나 물리적 인프라 측면을 강조하는 측면이 강했다면, 최근에는 스마트시티의 핵심 주체라 할 수 있는 시민의 역할과 참여가 강조되는 경향성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기술 혁신에 초점을 두고 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이 중심이 되는 개념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에 시민주도형 스마트시티 구축, 스마트시민의 참여를 촉진하는 스마트시티 거버넌스, 제도적 장치에 대한 중요성이 강조된다. 그러나 국내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 동향을 분석하는 선행연구에 따르면, 시민참여를 통한 문제의 공동해결이라는 혁신적 측면을 강조하고는 있지만, 실제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 실태는 여전히 중앙정부 중심의 인프라 구축에 초점을 두어왔다는 한계점이 제기된다. 또한 스마트시티 정책이 주로 중앙정부가 지원하는 시범사업으로 이루어지면서, 개별 지자체 차원에서는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의 증대에도 불구하고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에 대한 방향성이 혼재한다. 이에 본 연구는 기존의 물리적·인프라 위주의 스마트한 공간 구축 측면에서 한걸음 더 나아가 스마트시티가 지향하는 ‘시민의 실질적 삶의 질 증진’을 위해 지방정부가 설정해야 할 정책의 방향성이나 그 세부 전략은 무엇일지에 대한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이론적 논의와 쟁점을 검토하고, 스마트시티의 구성요소를 크게 기술·데이터·인프라, 혁신성, 제도기반의 측면으로 구분하였다. 특히 그간 다소 논의가 부족했던 혁신성과 제도기반의 측면을 정교화하는데 초점을 두고 연구 분석틀을 설정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시민참여 기반 지역사회 문제해결에 초점을 둔 경기도 부천시와 스페인 바르셀로나 사례를 분석하고, 정책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시민중심 스마트시티로의 전환을 위한 지방정부 차원의 정책 방향성 및 세부전략을 제시하였다. As the concept of smart city been given extensive attentions, the definitions and approaches to smart cities have been diversified by different countries or regions. While the earlier conceptions more focused on the aspects of urban infrastructure and physical space, recent approaches have an increasing tendency to emphasize the role of local citizens and their active participation during the process of smart city. In other words, the concept of smart city is shifting to a more citizen-focused one, addressing the importance of civic participation and governance that facilitates collaborative efforts. According to a previous study that analyzed the smart city policy implementation in Korea, however, the planning and implementation of smart city policy is still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with the emphasis on the physical infrastructure development. Focusing on this limitation, this study argues that such a hardware based approach does not qurantee the realization of smart city, whose fundamental aim is not to just apply new technologies to infrastructure development, but to solve diverse local problems for enhancing the living quality of citizen. In this regard, this research purposes to seek local government strategies to realize citizen-oriented smart city. Based on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this study develops a research framework that is composed of the three dimensions of smart city: 1) technology, data and infrastructure, 2) innovative capacity 3) institutional setting. Then this study critically examines typical smart city cases in Korea(City of Buchon) and in Spain(Barcelona). Building on the main findings from the case study, this study provides policy directions and detailed strategies that can be considered for the smart city innovation policies at the local government level.

      • KCI우수등재

        스마트시티 개념을 이용한 중소도시재생계획에 대한 연구

        유승호,김용승,김소연 대한건축학회 201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5 No.9

        The concept of smart city is understood as an indispensable component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in small cities in terms of providing a better urban environment and efficient living systems with a limited budget. Recently, the Korean government revised the law that related to the construction of the smart city and started to implement the smart city concept not only to new-large urban development but also to small-existed regeneration projects. However, it is difficult for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at are suffering from the insufficient professional workforce; knowledge supports for high-tech and lack of professional networks to proceed smart city planning and project that containing regional characteristics. This paper aims to examine the effective way of urban regeneration for small and medium-sized cities through smart city planning and strategy. As an important case, this paper looks at the 'Smart City Challenge' competition that was hosted by the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in 2015. It examines the background and operation process of the smart city challenge competition, and then analyses each city’s strategy and characteristics of seven finalists. This paper highlights the several key lessons to Korean cities: 1) the importance of national government’s support in financial and professional resources; 2) the cooperation with local governments and IT corporations which provides realistic and detailed technical solutions; 3) the holistic and integrated approach to urban regeneration starting from transportation issues; 4) the necessity of the government’s clear visions and guidelines toward the smart city. 스마트시티 개념은 제한된 예산으로 효과적인 도시환경 변화와 편리한 생활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중소도시 도시재생사업의 필수 불가결한 요소로 이해되고 있다.  한정된 예산, 부족한 전문 인력, 첨단 기술지원 조직과 전문 네트워크 부재에 시달리는 중소도시들이 지역의 특성에 맞는 스마트시티 계획과 프로젝트 발굴, 기술적용을 진행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중소도시들이 각 도시의 지역적 문제들과 현대 도시들이 공통으로 겪고 있는 일자리 창출, 교통, 에너지, 기후변화 대응 등의 문제들을 스마트시티 프로젝트를 통해 어떻게 해결해 나갈 수 있는지를 2015년 미국 연방 교통부(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에서 추진한 스마트시티챌린지 (Smart City Challenge) 공모전을 통해서 파악하고자 한다.

      • KCI우수등재

        스마트시티 인덱스 프레임워크 연구 - 국내 공공기관 개발 인덱스의 통합 및 연계 가능성을 바탕으로 -

        김주만(Kim, Juman),이강은(Yi, Kang Eun),서명원(Seo, Myeongwon),신중호(Shin, Jung Ho),김도년(Kim, Donyun) 대한건축학회 2021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37 No.11

        Many cities around the world are adopting smart city as a new urban model. In this context, smart city indexe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for assessing and evaluating smart cities. A number of smart city indexes were developed in Korea in the past few years, by different entities for different purposes and with no relation to each other. From a user’s perspective, this led to difficulty in understanding smart city indexes and also reduced the usefulness and effectiveness of various index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mart city indexes currently being developed in Korea, and present a comprehensive framework that can integrate and link these smart city indexes. First, we define ‘result-centric’ and ‘process-centric’ evaluation structures for smart city indexes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Second, the features and structures of smart city indexes under development were analyzed to develop a comprehensive framework for all smart city indexes, with focus on the indexes from the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ird, the concept of smart city index framework is presented, in which various smart city indexes can be organized and utilized. This framework is expected to provide better understanding of different smart city indexes in Korea, and enable better usage and communication among different users of these indexes to address various economic, environmental, social, and other urban issues.

      • KCI등재

        스마트도시에 대한 토지공법적 고찰

        임현(Im, Hyun) 한국토지공법학회 2020 土地公法硏究 Vol.92 No.-

        Smart City is a comprehensive platform that applies the convergence technology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nd is attracting attention from countries around the world as a solution to urban problems and a sustainable city model. In our case, Act on the Promotion of Smart City Development and Industry regulates the content of smart cities, but there are still many tasks to secure the successful introduction and sustainability of smart cities. This thesis presented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smart city Ac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ublic land law.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rules for the procedure for establishing smart city plans. Specifically, the authority to establish a smart city plan needs to be granted to autonomous districts of regional local governments, and a public hearing procedure is required when plan is established. Regarding the regulatory sandbox, it was mentioned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mart innovation project and the smart demonstration project needs to be clearly structured, and unnecessary redundant regulations need to be legislated. Finally, it was pointed out that for the realization of a smart city, it is necessary to consider buildings or facilities in the legal system, and intelligent buildings in the Building Act are representative examples, and legal maintenance and supplementation are necessary. It is hoped that the smart city will realize its original purpose of solving urban problem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for citizens, and pursuing a sustainable city through continuous legislative improvement on smart cities. 스마트도시는 4차산업혁명의 융복합 기술을 적용하는 종합 플랫폼으로 도시문제의 해결과 지속가능한 도시 모델로 세계 각국이 관심을 가지고 있다. 우리의 경우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에서 스마트도시에 관한 내용을 규율하고 있는데, 스마트도시의 성공적 실현과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아직 많은 과제가 남아있다. 이 논문은 토지공법적 관점에서 현행 「스마트도시 조성 및 산업진흥에 관한 법률」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스마트도시의 추진을 위한 계획의 수립절차에 대한 규정이 충실히 마련되는 것이 필요하다. 구체적으로는 스마트도시계획의 수립권한이 광역지방자치단체의 자치구에도 부여되고 계획수립시 공청회 절차가 의무화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규제샌드박스와 관련하여서는 스마트혁신사업과 스마트실증사업의 관계가 명확하게 체계화될 필요가 있으며, 불필요한 중복 규제가 입법적으로 정비될 필요성이 있음을 언급하였다. 마지막으로 스마트도시의 구현을 위해 건축물이나 시설 등에 대한 고려가 법제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며, 「건축법」상 지능형 건축물은 그 대표적인 예에 해당하고 이에 대한 법적 정비와 보완이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스마트도시에 관한 지속적인 입법적 개선을 통해 스마트도시가 도시문제 해결, 시민의 삶의 질 제고 및 지속가능한 도시의 추구라는 원래의 목적을 실현하길 기대한다.

      • KCI등재

        스마트시티 활성화를 위한 관련 법률 개정 및 조례 제정의 필요성 검토

        이순자(Lee Soon Ja) 한국토지공법학회 2017 土地公法硏究 Vol.79 No.-

        방송과 통신이 융합되듯이 정보통신이 융합됨에 따라 기존의 도시기반시설이 유비쿼터스도시기반시설 또는 스마트도시기반시설로 변화되고 있다. 이런 변화로 인해 기존 도시는 스마트시티로 변화를 모색하고 있다. 스마트시티에 적용되는 기술은 워낙 최첨단의 융·복합된 정보통신기술이라서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이런 사업을 수행하기 위한 기술이 없다 보니 정보통신 기술과 장비 및 서비스를 담당하는 많은 기업이 참여를 하게 된다. 그리고 기존의 시설처럼 한 부서와 관련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행정기관 및 부서가 연관되어 있다. 또한 연관된 법률이 많아 기업이 스마트시티 사업을 함에 있어서 필요한 신고, 인·허가를 받을 부서가 분산되어 있다. 그래서 지방자치단체가 스마트시티 사업을 좀 더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스마트시티와 관련된 업무를 총괄하는 부서가 있어서 원스톱으로 업무가 처리되어야 한다. 스마트시티는 단순히 ‘스마트(smart)’ + ‘도시(city)’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를 스마트하게 만들고자 노력하는 제반 과정을 포함하는 의미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하지만 실증사업을 하면서도 부서간 협조가 이루어지지 않고, 이론과 현실 및 정책의 괴리로 인해 스마트하지 않은 도시미관을 연출하는 문제점들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현행 법령이 스마트시티에 적용되는 정보통신 융·복합 시설에 대한 것을 반영하지 못한 문제점을 지적하고 관련 법령의 개정이 필요함을 논하였다. 또한 스마트시티가 원활하게 추진되기 위해서 조례의 개정 또는 제정의 필요성에 대해 논하였다. Just as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fus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are coming together leading to turning existing urban infrastructure into ubiquitous urban infrastructure or smart urban infrastructure. These movements are making cities look for ways to change themselves to smart cities. While the technology applied to Smart City is highly advanced fusion-complex ICT, local governments do not have that technology to do such business, so many companies involved in ICT, equipment and services get to participate. Smart city business is not connected to a department unlike existing facilities, but to various administrative agencies and departments. In addition, due to lots of relevant laws, there are a large number of distributed divisions where companies should make declarations and ask for approvals and permissions needed for their smart city business. To get the municipalities to carry out the Smart City business more smoothly, there should be a department that oversees the work about the Smart City to carry on business with one-stop service. Smart City does not simply mean smart and city but should be taken to mean the inclusion of all the efforts to make cities smarter. However, there arise some problems creating unsmart city sight with the lack of cooperation in departments performing the demonstration project, and the gap between theory-reality and policy.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it is pointed out that the current legislation does not reflect the ICT fuse-complex applied to smart city, and the need to revise related laws is suggested. Also, the necessity of enactment of regulations to promote smart city business smoothly is discussed.

      • KCI등재

        스마트시티: 최근 문헌에 대한 리뷰

        마크호프만 ( Mark C. Hoffman ) 한국정보화진흥원 2020 정보화정책 Vol.27 No.1

        스마트시티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새로운 정보통신기술, 도시계획, 도시경제발전, 보건 등의 다양한 분야가 스마트시티 연구 혹은 실무에 적용된다. 그래서 스마트시티에 대한 정의는 다양하게 진화하고 있으며 때로는 혼란도 가지고 온다. 연구자들의 전공에 따라 개별적으로 연구되고 있는 스마트시티에 관한 전반적인 리뷰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스마트시티라는 아이디어가 어떻게 발전해 왔으며, 주요 구성요소 그리고 실제적으로 집행되어 왔는지 정리해 보고자 한다. 특히 최근 2016년부터 지금까지 진행되어 온 학술적 연구들에 대해 중점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전 초기부터의 연구 정리는 Albino외 (2015), Cochia(2014)연구를 참조하면 된다. 이 리뷰논문에서는 먼저 스마트시티의 다양한 정의에 대해 소개하고 논의하였다. 두 번째로는 스마트 시티를 구성하는 여러 가지 관련 용어를 정리하였다. 세 번째로는 스마트 시티 발전정도를 측정하려는 시도인 인덱스에 관한 연구를 정리하였다. 네 번째로는 스마트 시티 연구의 건설적 비판(critique)으로 연구방향을 제시한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다섯 번째로는 스마트시티 연구를 어떻게 분류하고 구분할지에 대한 분류 체계(taxonomy)에 대한 제시가 있다. 여섯 번째로는 최근 가장 많이 언급되고 있는 여섯 가지의 분야- 스마트 경제, 스마트 거버넌스, 스마트 리빙, 스마트 피플, 스마트 환경, 스마트 모빌리티-에 대해 리뷰 하였다. Interest in smart cities is growing;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urban planning, urban economy development, health, and many other areas are intertwined within smart city research and practice. The definition of smart city is evolving, and its vagueness is sometimes confusing. This review of the smart city literature tries to capture the big picture of this big idea. This review places into context work done since 2016, as earlier work is well reviewed in Albino (2015) and Cochia (2014). First is a review of the various smart city definitions. Second, an inventory of terms related to or subsumed by the smart city label are presented. Third, outcomes of indexes created to measure a city’s smartness are presented. Fourth, the taxonomies used to organize the disparate content that falls under the smart city umbrella are discussed. Fifth, the most recent literature associated with six commonly recognized subgenres, namely smart economy, smart governance, smart living, smart people, smart environment, and smart mobility are reviewed. Sixth, important critiques of the smart city idea are presented.

      • KCI등재

        지역 스마트시티 정책의 제도적 동형화: 지역 스마트시티 계획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서형준,명승환 한국지역정보화학회 2023 한국지역정보화학회지 Vol.26 No.4

        While local governments have the main role of smart city policy,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local smart city policy through institutional isomorphism, including coercive isomorphism, mimic isomorphism, and normative isomorphism. With the framework of institutional isomorphism, this study utilized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and text mining on local smart city plan to reveal the current situation of isomorphism in local smart city. First, in terms of coercive isomorphism focusing on law and institution by central government, it analyzed smart city law, smart city comprehensive plan, and smart city certification. Second, in terms of mimic isomorphism focusing on imitation of smart city policy among local governments, it analyzed key success factors of smart city, the vision of the smart city, and the target goal of a smart city. Third, in terms of normative isomorphism focusing on the influence of technical trends on smart cities as the professionalization, it analyzed the technical background of smart cities and smart city service. The result drew policy suggestions, including reflection of opinion by local government on smart city policy, classification and provision of smart city benchmarking cases for each capability and environment of local governments, and introduction of technology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of local governments.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의 주체가 중앙정부에서 지방자치단체(지자체)로 전환되는 상황에서 지역 스마트시티 정책을 대표하는 지역 스마트시티 계획의 추진 현황을 제도적 동형화의 강압적 동형화, 모방적 동형화, 규범적 동형화에 따라 분석하였다. 제도적 동형화의 이론적 분석틀을 적용하여 질적 내용분석과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핵심 키워드 확인 등을 통해 동형화 현황을 확인하였다. 첫째, 강압적 동형화는 스마트시티 관련 중앙정부의 법・제도 등을 중심으로 스마트시티법, 스마트시티 종합계획, 스마트시티 인증제도 등을 확인하였다. 둘째, 모방적 동형화는 지자체 간의 스마트시티 정책의 모방적 행태를 확인하고자 스마트시티 핵심성공요인, 스마트시티 비전, 스마트시티 추진 목표 등 스마트시티 정책 추진의 방향성을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규범적 동형화는 전문화에 해당하여, 스마트시티 관련 기술 동향의 영향을 중심으로 하여 스마트시티 기술환경, 스마트시티 서비스 관련 내용을 중심으로 확인하였다. 기술환경에서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인공지능, 클라우드 컴퓨팅 등의 지능정보기술의 주요 기술이 공통으로 언급되고, 이에 따른 스마트시티 정책의 구현화인 스마트시티 서비스에서도 관련 기술의 활용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분석틀에 따른 동형화 내용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시티 정책에 지자체의 의견이 반영되어야 한다. 둘째, 각 지자체의 역량과 환경에 맞는 스마트시티 사례에 대한 중앙정부의 선별 및 홍보이다. 셋째, 지자체의 현황에 따른 스마트시티 기술 도입 등이다.

      • KCI등재

        스마트도시 산업 활성화를 위한 스마트도시 정책 및 기술현황 분석에 관한 연구

        김대일,박성찬,염춘호 한국IT서비스학회 2022 한국IT서비스학회지 Vol.21 No.1

        Recently, Korea is promoting cooperation with various countries, centering on ASEAN countries, with the aim of exporting Korean smart cities for the globalization of smart c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lect excellent smart city technologies through analysis of smart city technologies owned by domestic companies and company status, and to prepare a plan for revitalization of companies with smart city technologies. Through prior research, the implications were derived through research on the existing smart city. Next, established a smart city policy analysis and smart city technology classification criteria through Korea and Overseas smart city policy and Korea smart city technology status DB. And the big data of smart city technology possessed by Korea companies and a plan for selecting a smart city export technology was prepared through analysis by region and company. As a result, to activate the technology possessed by Korea companies and to export overseas, it seems to need financial support and tax incentives that secure a pathway to export specialized smart technologies of SMEs, along with citizen participation and institutional supplementation. The smart city technology fields with the highest utilization in Korea were traffic, green energy, e-government, crime prevention, and construction, and the service types were platform, IoT, AI, big data, and GIS/GPS. These technologies are expected to contribute to building a platform for overseas smart city technology exports.

      • KCI등재후보

        디지털 전환을 위한 중앙-지방 스마트도시 거버넌스 프레임워크 연구

        조영임,김경훈 부경대학교 지방분권발전연구소 2022 지역과 정치 Vol.5 No.1

        Analyzing the recent difference between smart city-certified and uncertified cities, it can be seen that in certified cities, governance is well established and services are provided. Therefore, this study proposes a multi-level smart city governance (MSCG) framework for technological cooperation with smart city promotion cities, central governments, and smart city policies as a cooperative model for promoting smart cities and services across the centr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civil society, and academia. In the era of digital transformation, a key element of the MSCG framework to revitalize smart city services is that first, it is not a horizontal organization divided by the existing legal system, but a network type that can link smart city promotion cities, central governments, and policies and technologies. Second, MSCG is characterized by multi-layered governance. Due to the nature of smart cities, the importance of multi-layered governance is emphasized. Third, MSCG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become a hub through the synthesis of smart city policies and technologies, not through the smart city promotion policy network. In this paper, it was analyzed by presenting an example of the concept of the MSCG framework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mart city service certified city. 최근 스마트도시 인증도시와 비인증도시의 차이를 분석해보면, 인증도시에서는 거버넌스가 잘 갖추어져서 서비스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앙정부-지방정부-기업-시민사회-학계를 망라하여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협력적 모델로 스마트도시 추진도시와 중앙정부 그리고 스마트도시 정책과 기술적인 협력을 위한 다층적 스마트도시 거버넌스(Multi-level-Smart City Governance, MSCG)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디지털 전환시대, 스마트도시 서비스를 활성화하기 위한 MSCG 프레임워크의 핵심적인 요소는 첫째, 기존 법 제도에서 구분한 수평적인 조직이 아닌 스마트도시 추진하는 지자체와 중앙정부, 그리고 정책과 기술을 연계해줄 수 있는 네트워크형이라는 점이다. 둘째. MSCG는 다층적인 거버넌스라는 특징이 있다. 스마트도시의 특성상 다층적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셋째, MSCG는 스마트도시추진 정책네트워크를 통해 분절적인 조직이 아니라 스마트도시 정책과 기술의 종합화를 통한 허브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스마트도시 서비스 인증도시 분석을 통해 MSCG 프레임워크 개념의 예시를 제시함으로써 분석하였다.

      • 지속가능한 스마트시티 유스 케이스 검증 모델 연구 - 대구광역시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를 대상으로 -

        박한나,오명택,권진경,조영태 사단법인 스마트도시건축학회 2020 사단법인 스마트도시건축학회 논문집 Vol.1 No.1

        세계적으로 스마트시티 Use Case는 교통, 안전, 환경, 에너지, 복지, 시민참여 등 도시 내 모든 영역에 대해 개발되고 있고, 스마트시티의 구축 및 실증을 위한 사업이 점차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지속가능성과 사용자 관점에서 스마트시티 Use Case의 운영과 효과에 대한 과학적이고 체계적인 검증 연구는 미미하다.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Use Case에 대해 검증하기 위한 전략을 모색하고, 검증 방안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대구시에 적용된 스마트시티 혁신성장동력 프로젝트다. 이를 위해 국내외 스마트시티 검증 기법에 대해 문헌 연구를 토대로, 대구시 스마트시티 Use Case 검증방안을 검토한다. 지속가능성에 대한 고려와 사용자 관점이라는 전략하에서 구체적인 검증방안을 제시한다. 본 연구는 스마트시티 Use Case에 대해 사용자 참여를 기반으로 검증함으로서 스마트시티 Use Case에 대한 피드백을 제공하여 서비스 개선에 기여한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Globally, smart city use cases are being developed in all areas of the city, including transportation, safety, environment, energy, welfare, and citizen participation, and projects for the establishment and demonstration of smart cities are gradually spreading. However, scientific and systematic verification studies on the operation and effectiveness of smart city use cases from the perspective of sustainability and users are still insignificant. This study seeks a strategy for verifying smart city use cases, and attempts to derive a verification method. The subject of research is a smart city innovation growth engine project applied to Daegu City. To this end, based on literature research on domestic and overseas smart city verification techniques, we review the Daegu City smart city use case verification plan. A specific verification plan is presented under the strategy of considering sustainability and the user's perspectiv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tributes to service improvement byproviding feedback on smart city use cases by verifying smart city use cases based on user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