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평안도 방언 연구사 검토

        임선우 한국방언학회 2022 방언학 Vol.- No.3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review the studies that discussed the Pyeongan-do dialect to confirm the research results of the Pyeongan-do dialect and to examine future research tasks. The characteristics of Pyeongan-do dialect research can be largely classified based on three criteria: region, subfield of linguistics, and data. First, the dialect of Pyeongan-do is concentrated on the study of the dialects of Uiju, Cheolsan, Chosan, and Pyongyang, and other regions have been studied mainly in the dialects of the border with China. In addition, Pyeongan-do dialect is focused on the study of phonetic and phonological categories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dialect research, and there were not many studies of syntactic and semantic categories. Lastly, in the case of direct investigation, there were the most discussions on investigating people living in China, and in the case of referring to existing data, only limited data such as the ≪Corean Primer≫ were referred. In the future, studies using North Korean defectors' survey data, such as the comparison between the latest Pyeongan-do dialect obtained through the North Korean defectors' survey and the data on displaced people, should be conducted. 이 글은 평안도 방언을 논의한 연구들을 검토하여 그동안의 평안도 방언의 연구 성과를 확인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평안도 방언 연구의 특징은 크게 지역, 언어학의 하위 분야, 자료의 세 가지를 기준으로 하여 분류할 수 있다. 먼저, 평안도 방언은 의주, 철산, 초산, 평양 방언 연구에 집중되어 있으며, 그 외 지역은 중국 접경지역의 방언 위주로 연구되었다. 또한 평안도 방언은 방언 연구 특성상 음성·음운 범주 연구에 집중되어 있고, 통사, 의미 범주의 연구는 많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제보자를 직접 조사하는 경우 중국 거주민을 조사한 논의가 제일 많았고, 기존에 있는 자료를 참고하는 경우에는 ≪Corean Primer≫등 한정적인 자료만이 참고되었다. 향후에는 북한이탈주민 조사를 통해 얻은 최신의 평안도 방언과 실향민을 조사한 자료 간의 비교 등 북한이탈주민 조사 자료를 활용한 연구들이 진행되어야 한다.

      • KCI등재

        평안도(平安道) 서해안(西海岸) 방언(方言)의 지칭어(指稱語)ㆍ호칭어(呼稱語) 연구(硏究) - 용천(龍川)ㆍ의주(義州)(평북(平北))와 문덕(文德)ㆍ안주(安州)(평남(平南))를 중심으로 -

        양오진 ( Yang O-jin ),황대화 ( Huang Da-hua ),김현주 ( Kim Hyun-ju )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8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6 No.2

        本稿의 目的은 다음의 셋이다. 1) 韓半島 北西 海岸에 位置한 두 地域의 指稱語와 呼稱語들을 整理하여 紹介하고, 2) 이 두 地域 方言의 資料들을 簡略하게나마 比較하고, 3) 이 地域의 指稱語와 呼稱語들을 그간 報告된 先行 硏究의 資料와 對照할 것이다. 이 가운데 가장 重要한 것은 旣存에 알려지지 않은 이 地域의 指稱語와 呼稱語를 紹介하는 것이다. 本稿의 調査 資料는 以北에서 直接 收集된 資料라는 것에 重要性이 있다. 資料가 收集된 두 地域은 平安北道의 北部와 平安南道의 北部 地域으로, 각 地域마다 두 마을이 調査 對象으로 選定되었다. 平安北道에서는 龍川과 義州, 平安南道에서는 文德과 安州가 選定되었다. 두 地域의 指稱語와 呼稱語에는 若干의 差異와 類似가 보이는데, 本論에서 그러한 점들을 簡略하게나마 記述하고 있다. 또한 調査한 資料가 旣存의 硏究들의 資料와 質的으로 다르기 때문에 調査의 結果도 差異가 난다. This paper has three aims. One is to show referring-terms and address-terms of two northwestern coastal dialects of Korean peninsula. On the basis of this, to compare these two regional dialectal data is another. And to compare this paper's data with related researches is the other. And of these, to introduce the new data is of the most importance. A major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hat the material investigated here was collected directly in North Korea. One of us took part in this dialectal survey. The two regions are located in northern parts of Pyeonganbuk-do and Pyeongannam-do. And in each region, two towns are selected: Yongcheon and Uiju in Pyeonganbuk-do, and Mundeok and Anju in Pyeongannam-do. Two regional dialects are somehow similar and somehow different. In this article, we try to show such things roughly. For materials' qualitative differences, there are some differences between this paper's descriptions and previous literatures' descriptions. These are also listed in the article.

      • KCI등재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 규정을 통해서 본 언어 정체성 구축과 차별화 방식 연구

        안미애 ( Ahn Mi-ae ),홍미주 ( Hong Mi-joo ),백두현 ( Paek Doo-hyeon ) 한국문학언어학회(구 경북어문학회) 2018 어문론총 Vol.76 No.-

        이 논문은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을 채용한 북한의 문화어 규범이, 국어사에서 일반적이었던 ‘두음법칙’을 위배하면서까지 남한의 어문 규범과 다른 방향을 선택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에 주목하고, 그 원인을 ‘언어적 차별화를 통한 언어 정체성의 구축’이란 관점에서 규명한 것이다. 본론에서 언어를 통한 정체성 형성의 의미, 문화어 규범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과 그 제정 배경 및 이 규정과 조선시대 평안방언의 ㄷ구개음화 미실현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은 세종 이래 나타난 조선시대 ‘正音’ 의식의 현대적 변용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북한은 남한 발음과의 차별성을 확보하면서 북한어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상징으로 어두 ㄹ, ㄴ 실현 규정을 도입하였다. 셋째, 북한이 시행한 언어 정책에 의해 현실 발음과 괴리된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이 북한 사회에 어느 정도 정착되었다. 넷째, 인위적 성격이 명백한 어두 ㄹ 규정은 역사적 전통을 가진 어두 ㄴ 규정보다 북한의 현실 발음에서 확고하게 정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은 조선시대에 평안방언이 ㄷ구개음화의 미실현을 통해 언어적 정체성을 드러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평안방언이 세종대왕이 세운 ‘正音’을 지향하며 그들의 언어 정체성을 형성하였듯이, 북한은 국가적 언어 정책 차원에서 문화어 규범에 어두 ㄹ, ㄴ의 표기와 발음 규정을 도입한 것이다. 북한에서 시행된 어두 ㄹ, ㄴ의 표기법과 발음 규정은 그 결과가 귀로 들리는 북한말의 특징을 형성하였고, 남한말과 쉽게 구별되는 북한말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 평안방언의 ㄷ구개음화 미실현과 북한 문화어 규정의 ㄹ, ㄴ 표기 및 발음 규정이 북한 지역의 언어 정체성 형성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 이것이 갖는 사회언어학적 의미를 밝혀냈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why the phenomenon of ㄷ palatalization arises in contemporary Standard North Korean language despite the actual pronunciation of the Pyeongan dialect spoken in the vicinity of Pyeongyang, and to understand why spelling rules regarding word-initial ㄹ and ㄴ have recently been included in language policy[in socio-linguistic aspects]. Previously, the language policy of Standard North Korean rejected unrealized ㄷ palatalization,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yeongan dialect. North Korean language policy has now introduced a new rule to realize ㄹand ㄴin word-initial position. Such a rule stands in marked contrast with the rule of word initials, one of the strongest rules in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tive of North Korea for introducing the realization of word-initial ㄹand ㄴas a rule is underpinned by one crucial extra-linguistical factor, namely the ‘linguistic discrimination to construct linguistic identity’. In other words, to establish its own linguistic identity, North Korea sought to diverge linguistically from South Korea. The motive for implementing the realization of word-initial ㄹ and ㄴ parallels the one for rejecting the realization of the ㄷ palatalization by the Pyeongan dialect speakers during Chosun dynasty. Thus, in order to ensure the implementation of such new rules, North Korea has repeatedly revised the rules of Standard North Korean since 1948 and consistently promoted their language policy. As a result, the implementation of the rule regarding word-initial ㄹ and ㄴ can be considered a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emporary Munhwa-eo and Standard North Korean.

      • KCI등재

        언어 접촉과 모음 변화-부산 거주 평안도 출신 화자의 모음 포먼트 분석을 중심으로-

        이옥희 한국문학언어학회 2020 어문론총 Vol.85 No.-

        The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there is a change in the sound value of the single vowel phoneme in the speaker when language contact occurs. We looked at whether the change was influenced by the dialect that constitutes a language community and what caused it. For this study, the vowel pronunciation of speakers from Pyeongan-do, who has been living in Busan, were analyzed acoustically. The analysis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nophthong system of the speaker from Pyeongan-do, Busan, was the eight-monophthong system of /i, e, u, o, a/. The monophthong/e/ and /ɛ/, /ə/ and /o/ are in the mergering process and cross the six the monophthong system. Second, the combination of /ɛ/ and /e/ was more active in South Pyongan Province, and the informant of North Pyongan Province had a clear distinction between the two vowels. Third, the degree of merger /ə/ and /o/, merger /ɨ/and /o/ was weaker than the joining phenomenon of the Pyeongando vowel reported in the previous discussion. This may be a result of language contact due to the structural influence of the Busan local language monophthong system. 이 연구는 언어 접촉이 일어날 때 유입된 화자의 단모음 음소의 음가에 변화가 있는지를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그 변화가 언어 공동체를 구성하고 있는 방언의 영향을 받은 것인지 알아보고 원인이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부산 지역에 거주하는 평안도 출신 화자의 단모음을 음향음성학적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부산 거주 평안도 출신 화자는 /ㅣ, ㅔ, ㅐ, ㅡ, ㅓ, ㅏ, ㅜ, ㅗ/의 8단모음 체계를 보인다. 하지만 /ㅔ/와 /ㅐ/, /ㅓ/와 /ㅗ/는 합류 과정 중에 있어서 6단모음 체계를 보이기도 한다. 둘째, /ㅐ/와 /ㅔ/의 합류 현상은 평안남도가 더 활발했고, 평안북도 제보자는 두 모음을 뚜렷하게 구분했다. 셋째, /ㅓ/와 /ㅗ/, /ㅡ/와 /ㅗ/의 합류 정도성은 기존 논의에서 보고된 평안도 모음의 합류 현상보다 약했으며, 이는 부산 지역어의 단모음 체계 내 구조적 영향에 의한 언어 접촉의 결과로 추정된다.

      • KCI등재

        백석의 작품을 통해 본 정주 지역어의 음운현상에 대한 고찰

        송미영 한국언어문학회 2024 한국언어문학 Vol.126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honological phenomena shown in Baek Seok's literary works. Baek Seok(1912~1996) who was born in Ikseong-dong, Galsan-myeon, Jeongju-gun of Pyeonganbuk-do in 1912, graduated from Osan Primary School and Osan High School. After going through the writing practice period, he made his debut as a writer by winning the prize in the Chosun Ilbo New-Year Literary Contest in 1930. After graduating from the Dept. of English in Cheongsan School of Tokyo, he started working as a proofreading reporter of Chosun Ilbo from the following year(1935). For about three years from 1936, he worked as a teacher of Yeongsaeng High School of Hamheung. After the liberation, he moved from his hometown Jeongju to Yanggang-do near Amnok River. Before he passed away in 1996, he cultivated literary people there. Baek Seok published his poetical works Deer in 1936. By following Irish novelist James Augustine Aloysius Joyce who aimed to protect his mother tongue under the British colonization, he utilized proper nouns and sensory words using Pyeongan-do dialect. Except for several native words, the initial law and palatalization were not mostly applied. While the front-vowelization was rarely applied, the high-vowelization was realized into ‘ㅗ > ㅜ’ and ‘ㅓ> ㅡ’, and the umlaut was realized into ‘ㅏ>ㅐ’ and ‘ㅓ>ㅔ’. In most cases, the vowel harmony was not followed while there was the vowel addition for the formation of rules. Such phonological phenomena not only show the characteristics of Jeongju dialect of Pyeonganbuk-do, but also show the renovated form according to the progressive assimilation of each dialect area.

      • KCI등재

        부산 거주 평안도 화자의 문장 억양 패턴 연구

        이옥희 ( Lee Ok-hee ) 우리어문학회 2024 우리어문연구 Vol.78 No.-

        이 논문은 부산에 거주하고 있는 평안도 출신 제보자의 문장 억양의 유형을 종결어미와 강세구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그 유형을 정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평서형에서는 M%, L%, HL%, ML%, LM%, LHL%, HL%, HL%, HLH%, HL% 등이 나타났다. 의문형에서는 H%, M%, L%, HL%, ML%, LM%, HLH% 등이 나타났다. 명령형에서는 L%, ML%가 나타났다. 청유형에서는 ML%가 나타났다. 한편 동일한 어휘일 경우에도 어휘적 성조와 억양에서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그리고 복문의 경우, 연결어미가 포함된 강세구는 높은수평조 Ha가 되거나 낮내림조 MLa를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types of sentence intonation of informants from Pyeongan Province living in Busan by dividing them into final endings, elevations, and strong phrases, and organize the typ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In the markers of declarative type, M%, L%, HL%, ML%, LM%, LHL%, HL%, HL% and HLH%, HL% were shown. In the markers questionable type, H%, M%, L%, HL%, ML%, LM%, HLH% were shown. In the markers of command type, L%, ML% was shown. ML% was in the requesttype. In addition, even in the case of the same vocabulary, there is a difference in vocabulary tone and intonation. And in the case of the ventral gate, accentual phrase including the connecting end becomes an Ha or shows an MLa.

      • KCI등재

        평안도 방언 연구의 회고와 전망

        정의향 한국방언학회 2019 방언학 Vol.0 No.30

        본고는 그동안 이루어진 평안도 방언 연구 성과를 음운, 문법, 어휘로 나누어 주제별로 살펴보고 향후에 이루어질 평안도 방언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한국어 방언 연구가 오랜 전통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분단으로 인하여 평안도 방언의 조사와 연구는 그리 활발하지 못했다. 분단 이후에는 평안도 출신의 연구자들의 연구가 주를 이루었고 이후에는 평안도 출신의 실향민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부분적으로 이루어졌다. 한중 수교 이후 재중동포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져 평안도 방언에 대한 연구 성과를 어느 정도 볼 수 있었다. 지금까지 평안도 방언에 대한 연구사를 살펴보면 주로 역사적 발전을 추적하기 위한 음운사적인 것에 대한 연구, 공시적인 체계나 구조를 밝히는 연구, 음운체계와 음운규칙에 대한 정밀한 분석, 그리고 음운과정에 대한 연구, 나아가 문법에서의 문법형태 특히 선어말 어미와 종결어미 형태들의 통사 기능과 의미 특성에 초점을 두어 연구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search result of the Pyeongan dialect, and suggest the direction of research from now on. Although the research of the Korean dialect has a long history, it is not animated because of the divided country Korean Peninsula. After the division, the native of the Pyeonganbecame to the main force of the research. Since then the native of the Pyeongan became to the object of study. After the establish diplomatic tieswith China, we can find some research result which aimed for the overseas Koreans in China. If we examine the history of literary research of the Pyeongan dialect, we can know most of the research are the phoneme, vocal sound system, phoneme process and the ending of the for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