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 규정을 통해서 본 언어 정체성 구축과 차별화 방식 연구 = The Establishment of Linguistic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through the Word-initial ㄹ/ㄴ Rule in Standard North Korea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46445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을 채용한 북한의 문화어 규범이, 국어사에서 일반적이었던 ‘두음법칙’을 위배하면서까지 남한의 어문 규범과 다른 방향을 선택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

      이 논문은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을 채용한 북한의 문화어 규범이, 국어사에서 일반적이었던 ‘두음법칙’을 위배하면서까지 남한의 어문 규범과 다른 방향을 선택하게 된 이유가 무엇인지에 주목하고, 그 원인을 ‘언어적 차별화를 통한 언어 정체성의 구축’이란 관점에서 규명한 것이다. 본론에서 언어를 통한 정체성 형성의 의미, 문화어 규범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과 그 제정 배경 및 이 규정과 조선시대 평안방언의 ㄷ구개음화 미실현과의 상관성을 분석하였다.
      우리의 연구 결과는 다음 네 가지로 요약된다. 첫째, 북한 문화어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은 세종 이래 나타난 조선시대 ‘正音’ 의식의 현대적 변용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북한은 남한 발음과의 차별성을 확보하면서 북한어의 정체성을 드러내는 상징으로 어두 ㄹ, ㄴ 실현 규정을 도입하였다. 셋째, 북한이 시행한 언어 정책에 의해 현실 발음과 괴리된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이 북한 사회에 어느 정도 정착되었다. 넷째, 인위적 성격이 명백한 어두 ㄹ 규정은 역사적 전통을 가진 어두 ㄴ 규정보다 북한의 현실 발음에서 확고하게 정착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북한의 어두 ㄹ, ㄴ의 실현 규정은 조선시대에 평안방언이 ㄷ구개음화의 미실현을 통해 언어적 정체성을 드러냈던 경험을 바탕으로 한다. 평안방언이 세종대왕이 세운 ‘正音’을 지향하며 그들의 언어 정체성을 형성하였듯이, 북한은 국가적 언어 정책 차원에서 문화어 규범에 어두 ㄹ, ㄴ의 표기와 발음 규정을 도입한 것이다. 북한에서 시행된 어두 ㄹ, ㄴ의 표기법과 발음 규정은 그 결과가 귀로 들리는 북한말의 특징을 형성하였고, 남한말과 쉽게 구별되는 북한말의 정체성을 구축하는 데 기여했다. 우리는 이 논문을 통해 평안방언의 ㄷ구개음화 미실현과 북한 문화어 규정의 ㄹ, ㄴ 표기 및 발음 규정이 북한 지역의 언어 정체성 형성과 관련된 것으로 보고, 이것이 갖는 사회언어학적 의미를 밝혀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why the phenomenon of ㄷ palatalization arises in contemporary Standard North Korean language despite the actual pronunciation of the Pyeongan dialect spoken in the vicinity of Pyeongyang, and to understand...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why the phenomenon of ㄷ palatalization arises in contemporary Standard North Korean language despite the actual pronunciation of the Pyeongan dialect spoken in the vicinity of Pyeongyang, and to understand why spelling rules regarding word-initial ㄹ and ㄴ have recently been included in language policy[in socio-linguistic aspects]. Previously, the language policy of Standard North Korean rejected unrealized ㄷ palatalization, which i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Pyeongan dialect. North Korean language policy has now introduced a new rule to realize ㄹand ㄴin word-initial position. Such a rule stands in marked contrast with the rule of word initials, one of the strongest rules in the Korean language.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motive of North Korea for introducing the realization of word-initial ㄹand ㄴas a rule is underpinned by one crucial extra-linguistical factor, namely the ‘linguistic discrimination to construct linguistic identity’. In other words, to establish its own linguistic identity, North Korea sought to diverge linguistically from South Korea. The motive for implementing the realization of word-initial ㄹ and ㄴ parallels the one for rejecting the realization of the ㄷ palatalization by the Pyeongan dialect speakers during Chosun dynasty. Thus, in order to ensure the implementation of such new rules, North Korea has repeatedly revised the rules of Standard North Korean since 1948 and consistently promoted their language policy. As a result, the implementation of the rule regarding word-initial ㄹ and ㄴ can be considered as the most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contemporary Munhwa-eo and Standard North Korea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소창진평, "한국어 방언 연구"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9

      2 김진우, "한국말과 조선말-분화의 배경, 실제 및 요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35-47, 1991

      3 권인한, "표준 발음법과 문화어 발음법 규정" 국립국어연구원 3 (3): 157-188, 1993

      4 연규동, "표기 규범과 문자 ―한자어의 표기 원리―" 한글학회 (304) : 141-176, 2014

      5 이금화, "평양지역어의 음운론" 역락 2007

      6 한영순, "평안북도 의주 피현 지방 방언의 어음론적 특성(하)" 5 : 1956

      7 한성우, "평안북도 의주 방언의 음운론" 월인 2006

      8 김영배, "평안 방언의 구상: 음운과 어휘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연구학회 11 : 15-32, 1978

      9 김영배, "평안 방언연구" 태학사 1997

      10 김영배, "평안 방언과 구개음화 : 상승적 이중모음의 -j- 탈락에 대하여" 한국어문학연구학회 6 : 45-61, 1969

      1 소창진평, "한국어 방언 연구" 전남대학교 출판부 2009

      2 김진우, "한국말과 조선말-분화의 배경, 실제 및 요인" 국제한국어교육학회 15 (15): 35-47, 1991

      3 권인한, "표준 발음법과 문화어 발음법 규정" 국립국어연구원 3 (3): 157-188, 1993

      4 연규동, "표기 규범과 문자 ―한자어의 표기 원리―" 한글학회 (304) : 141-176, 2014

      5 이금화, "평양지역어의 음운론" 역락 2007

      6 한영순, "평안북도 의주 피현 지방 방언의 어음론적 특성(하)" 5 : 1956

      7 한성우, "평안북도 의주 방언의 음운론" 월인 2006

      8 김영배, "평안 방언의 구상: 음운과 어휘를 중심으로" 한국어문학연구학회 11 : 15-32, 1978

      9 김영배, "평안 방언연구" 태학사 1997

      10 김영배, "평안 방언과 구개음화 : 상승적 이중모음의 -j- 탈락에 대하여" 한국어문학연구학회 6 : 45-61, 1969

      11 최명옥, "평북 의주 지역어의 통시 음운론" 서울대학교 언어교육원 23 (23): 65-90, 1987

      12 한성우, "중국 청도 조선족 사회의 언어 정체성" 한국방언학회 (14) : 113-136, 2011

      13 과학원 조선어 및 조선 문학 연구소, "조선어 철자법" 과학원출판사 1954

      14 과학원 언어문화 연구소, "조선어 문법1(어음론, 형태론)" 과학원출판사

      15 리상벽, "조선말화술" 사회과학출판사 1975

      16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사회과학원 언어학연구소, "조선말규범집해설" 사회과학출판사 1971

      17 북한국어사정위원회, "조선말규범집"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국어사정위원회 2010

      18 "조선말 규범집"

      19 원미진, "재미 동포의 언어 정체성과 한국어 능력에 대한 세대별 비교 분석 연구" 이중언어학회 (60) : 179-200, 2015

      20 한성우, "의주방언의 음운론적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3

      21 이유기, "유성기 음반 대중가요의 음운 현상" 한민족문화학회 (23) : 183-207, 2007

      22 백두현, "송철의 선생 퇴임 기념 국어학 논총" 태학사 2018

      23 소창진평, "소창진평과 국어 음운론" 제이앤씨 2009

      24 이호영, "새터민 언어 적응 훈련 프로그램 개발 연구 보고서" 국립국어원 2009

      25 김용진, "사회언어학적 코퍼스 분석의 실제" 올린책상 2007

      26 강현석, "사회언어학: 언어와 사회, 그리고 문화" 글로벌콘텐츠 2014

      27 국립국어연구원, "북한의 언어 정책" 국립국어연구원 1992

      28 홍연숙, "북한의 문화어와 언어 정책" 연세대학교 동서문제연구원 2 : 119-147, 1990

      29 김하영, "북한 체제의 초기 집단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북한연구학회 9 (9): 23-50, 2005

      30 김석향, "북한 이탈 주민의 언어생활에 나타나는 북한 언어 정책의 영향" 통일부 통일교육원 2003

      31 정성희, "북한 뉴스의 어두 /ㄹ/과 /ㄴ/의 발음 실현 양상과 언어 정책과의 상관성 연구" 한국사회언어학회 25 (25): 163-184, 2017

      32 정성희, "북한 뉴스 발화의 음운적 특성 연구-조선 중앙 TV 뉴스 방송 언어를 대상으로" 경북대학교 2015

      33 최호철, "북한 「조선말규범집」의 2010년 개정과 그 의미" 민족어문학회 (65) : 251-286, 2012

      34 이봉원, "방송언어와 국어 연구" 월인 2003

      35 크리스토퍼 듀건, "미완의 통일 이탈리아사" 도서출판 개마고원 2001

      36 N. Bonvillain, "문화와 의사소통의 사회 언어학" 한국문화사 2002

      37 김영배, "문화어의 음운 현상" 국어연구소 15 : 21-32, 1988

      38 한국문학평론가협회, "문학비평용어사전" 국학자료원 2006

      39 류은종, "두음 법칙에 의한 남북 조선의 언어 차이문제2"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4 : 7-12, 1996

      40 류은종, "두음 법칙에 의한 남북 조선의 언어 차이문제1"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3 : 8-12, 1996

      41 윤인진, "독립국가연합 고려인의 사회 정체성과 언어 사용 실태" 재외한인학회 (33) : 63-91, 2014

      42 배준영, "대구지역 새터민의 언어적응 양상 연구 : 음운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43 윤인진, "다문화 가족의 언어 사용과 아동의 사회정체성" 이중언어학회 (48) : 273-308, 2012

      44 조의성, "남북한의 언어 차이"

      45 김영배, "남북한의 방언연구" 경운출판사 1992

      46 전수태, "남북한 어문 규범 비교 연구" 국립국어원 2004

      47 국립국어원, "남북한 어문 규범 비교 연구" 국립국어원 2004

      48 김상준, "남북한 방송보도에 관한 비교연구 : 언어표현과 문체적 특성비교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2

      49 이봉원, "김정일 시대의 북한 언어" 태학사 59-72, 1997

      50 이동석, "국어 음운 현상의 공시성과 통시성" 한국문화사 2005

      51 小倉進平, "朝鮮語方言の硏究" 岩波書店 1944

      52 김영배, "ㅈ·ㄷ의 실험음성학적 한 고찰-서울방언과 평안 방언 중심" 동국대학교 27 : 1-49, 1988

      53 김혜경, "Transnational Asian College Students : Bilingualism, Biculturalism, and Identity" 이중언어학회 (52) : 71-99, 2013

      54 Athanasiou, E., "The Palgrave Handbook of Economics and Language" Palgrave Macmillan 212-230, 2016

      55 Blake, Renée, "The /ay/ diphthong in a Martha’s Vineyard community: What can we say 40 years after Labov?" 32 : 451-485, 2003

      56 W. Labov, "Sociolinguistics Patterns" University of Pennsylvania Press 1972

      57 Micah Andrews, "Social Identity and Attitudes Toward Cultural Diversity A Cultural sychological Analysis" 6 (6): 85-102, 2010

      58 Spolsky, Bernard, "PALL 응용언어학 번역 총서 1 사회언어학" 박이정 2001

      59 Kulyk, V., "Language identity, linguistic diversity and political cleavages: evidence from Ukraine" 17 (17): 627-648, 2011

      60 P. Grieco, "LANGUAGE AND IDENTITY IN THE UNITEDSTATES AND CANADA: TWO EXAMPLES OF LINGUISTIC CULTURAL IDENTITY" 영미연구소 5 : 149-161, 2000

      61 Paek, "HISTORY, IDENTY, AND CULTURE" A CENTER FOR KOREA STUDIES PUBLICATION,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16-138,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3 0.5 0.94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