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남명학의 대중화와 인문정신 콘텐츠 발굴

        최은주 ( Choi Eun-joo ) 南冥學硏究院 2018 南冥學 Vol.23 No.-

        본 논문의 목적은 넓게는 인문학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 위에서 전문 지식의 대중화를 고민하고, 구체적으로는 ‘남명학’이라는 전문 지식을 보다 많은 대중에게 보급하고 전파할 수 있도록 지금 현대 사회에 알맞은 방향과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남명학 대중화 작업의 현주소를 살펴보면서 그 성과와 한계를 점검해 보았다. 그리고 빠르게 변화한 대중의 요구에 어떻게 부응해야 파급력의 확산을 도모할 수 있는지 그 방법적 측면을 들여다보고, 그 속에서도 남명학의 대중화가 궁극적으로 현대 사회에서 무엇을 위해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지 그 책임과 역할을 되새겨 보고자 했다. 여기에서 ‘남명학’은 좁은 의미의 남명학으로, 남명 조식의 학문과 사상 등 그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자료들로 그 대상을 제한하였다. 남명화 대중화 작업의 현재 성과 위에서 시급한 것은 스마트폰 시대에 지금 대중들의 원하는 방식으로 새롭게 소통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먼저 전제되어야 할 것은 남명학과 관련된 자료들을 1차 가공(원문이미지, 원문 및 국역 텍스트 등)하여 디지털 아카이브로 온전하게 구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안에 축적된 날 것의 자료를 1차 가공하고 이것을 다시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2차 가공해 이야기 콘텐츠를 생산한다. 그리고 이렇게 가공된 이야기콘텐츠를 기반으로 다양한 그렇지만 쉽고 분명한 주제의 텍스트·이미지·동영상 등으로 3차 가공을 시도하고, 이것을 소셜 미디어의 채널이나 플랫폼을 개설해 보급 전파한다. 더불어 콘텐츠의 지속적인 공유와 확산이 가능하도록 콘텐츠 형태를 끊임없이 진화시켜야 한다. 다만 유의해야 할 점은 소셜 미디어 안에서는 콘텐츠가 상호공유되는 가운데 개개인의 생각과 의견, 감정들이 덧붙여질 수 있으므로 그 내용이 본래의 의도와 달리 변형되거나 왜곡될 위험이 늘 따라다닌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지금 시대가 선호하는 형태의 콘텐츠 생산에 앞서 그 뿌리와 기초를 튼튼하게 다져야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생산된 콘텐츠는 마지막 형태가 아무리 변화하더라도, 그 뿌리를 언제든지 추적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둠으로써 본질 자체의 변형과 왜곡을 차단할 수 있다. 남명학의 대중화 목적은 단순히 남명학을 알리는 것이 아니다. 보다 많은 사람들이 남명학을 알 수 있도록 만드는 가운데 그 안에서 공감과 감동을 느끼게 하고 다시 이로부터 스스로를 돌아보며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주고자 함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남명학을 알리려면 지금 시대에 맞는 방법이 필요하다. 남명 조식의 학문과 사상, 그리고 그의 실천적 삶은 변함없지만 그 안에 담긴 정신적 가치를 현대적 코드로 재해석해 지금 대중들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만 한다. 더불어 대중들의 관심과 흥미를 끌어내야 하는데, 이는 대중의 무관심 속에서는 무엇을 위한 시도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지금은 대중들과 소통하기 위해서 소셜 미디어 활용과 이 안에서 소비되는 디지털 콘텐츠 생산이 필수적이다. 말하자면 내용의 본질은 변함없지만 그것을 전달하는 형태와 방법은 시대의 변화에 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성 위기의 사회에서 ‘남명학’은 지금의 시대에 맞는 대중화의 방법으로 지금의 시대에 필요한 인간관과 가치관을 정립하는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opularization of expertise in the soci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humanities in general, and specifically to find out the direction and method suitable for the modern society to promote and disseminate the expert knowledge of 'Nammyeong Studie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present status of the popularization of Nammyeong Studies and then its outcomes and limitations. In addition, it aimed to investigate how to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rapidly changing public in order to expand its impact, and review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to what the popularization of Nammyeong Studies is ultimately aimed at what for in this modern society. In this study, 'Nammyeong Studies’ is used in the narrower sense, which limits the subject to the materials related directly to him, such as the study and thought of Nammyeong Jo Sik. What is urgent in the current performance in terms of the popularization of Nammyeong Studies is that it is now necessary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the way they want in the smartphone era.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this is to firstly process the materials(original image, original text, and translated Korean text) related to Nammyeong Studies to keep them in intact forms through digital archive. It needs to undergo the first processing of the raw data accumulated inside and then the second processing so that it can be understood easily again to produce story content. Based on this processed story content, it needs to try the third processing of the texts, images and videos of various but easy and clear themes, and to open channels and platforms for social media to spread them. In addition, the form of content must be constantly evolved to enable the continuous sharing and diffusion of content.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in social media, content is mutually shared, and individual thoughts, opinions and emotions can be added, so that the content is always subject to the risk of being transformed or distorted unlike the original in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rmly establish its root and foundation before producing the content of the form that the present age prefers. The content created through these steps can block the transformation and distortion of the essence itself by opening the way to trace its root at any time, no matter how the last form changes. The purpose of popularization of Nammyeong Studies is not simply to introduce it. It aims to make people feel sympathy and emotion while letting more people know Nammyeong Studies, and to create an opportunity to look back and reflect on themselves. In order to introduce Nammyeong Studies to many people, a method appropriate to the present age is required. Nammyeong Jo Sik’s study and thought and his practical life are unchanged, but we have to reinterpret the mental values i n them with modern codes and make the public understand and sympathize. In addition, it needs to attract the attention and interest of the public because it is impossible to try for something in the public's indifference. Now,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t is essential to utilize social media and produce digital content that is consumed in it. That is to say, the nature of the content does not change, but the form and the way of conveying it must meet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in the society of humanity crisis, 'Nammyeong Studies' should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human view and values necessary for the present age as a method of popularization for the present age.

      • KCI등재

        지리산권 지식인의 마음 공부 - 「神明舍圖銘」 관련 남명학파 문학작품에 나타난 재해석의 면모와 시대적 의미-

        전병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09 남명학연구 Vol.28 No.-

        Nammyeong Jo Sik (1501-1572)’s 「Shinmyeongsadomyeong」 shows one’s worrying and overcoming process in building up his moral character and reaching the saintly state and clearly reveals ‘Strict Discipline’. You can find five literary works of Nammyeong School Scholars succeeding to Nammyeong’s 「Shinmyeongsadomyeong」, and you can have an opportunity to learn ‘Study of the Mind of Nammyeong School’ formed around Jinju, one of Mt. Jirisan areas. The works are Guam Lee Jeong’s 「Shinmyeongsabu」, Donggang Kim Woo Ong’s 「Cheongunjeon」, Hansa Gang Dae Soo’s 「Shinmyeongsagi」, Taegye Ha Jin’s 「Shinmyeongsagi」 and Myeonwoo Gwak Jong Seok’s 「Shinmyeongsabu」. You can induce two main conclusions after consideration of reinterpretation and contemporary meaning that these five works have. Firstly, they succeed to Nammyeong’s 「Shinmyeongsadomyeong」 and illuminate their meaning and importance from each one’s position and perspective. The five works have different analytical methods of identifying key factors of 「Shinmyeongsadomyeong」 according to each one’s perspective and contemporary needs. Accordingly, central ideas that you try to highlight shall be different. Secondly, when you see some of the authors from the genealogy of Nammyeong School, you will recognize the significance of their works in association with the contemporary situation of Nammyeong School. You will discover the meaning of the pieces of Guam and Donggang in terms of ‘Inheritance and Propagation of Nammyeong School’. You can identify the pieces of Hansa and Taegye in terms of ‘Protection of School Ties’ at a crisis of Nammyeong School immediately after Injo rebellion against Gwanghaegun. Myeonwoo works show ‘How to spread the Study of the Mind of Nammyeong’ as a Confucian Mind Discipline at a moment of foreign invasion or at a national crisis. 南冥 曺植(1501-1572)의 「神明舍圖銘」은 한 인물이 자신의 마음을 어떻게 수양하여 성인의 경지에 이를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이겨내는 과정을 다룬 것으로, 그의 엄격한 수양론을 극명하게 드러내고 있다. 본고에서는 남명의 「신명사도명」을 계승한 남명학파 학자들의 문학 작품 5편을 통시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지리산권 가운데 하나인 진주를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남명학파의 마음 공부를 이해하는 일단의 실마리로 삼았다. 대상으로는 삼은 작품은 龜巖 李楨의 「神明舍賦」, 東岡 金宇顒의 「天君傳」, 寒沙 姜大遂의 「神明舍記」, 台溪 河溍의 「神明舍記」, 俛宇 郭鍾錫의 「神明舍賦」 등이다. 이 5편의 문학 작품이 가지는 재해석의 면모와 시대적 의미를 고찰해 볼 때, 크게 두 가지 정도로 그 결론을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남명의 「신명도사명」을 각기 계승하되 그것이 함유하고 있는 의미와 중요성을 저마다의 입지와 관점에서 조명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5편의 작품들은 자신의 관점과 시대적 필요에 의거해 「신명사도명」의 핵심을 파악하는 해석의 각도가 차이를 빚게 되었다. 따라서 부각시키려 한 중심 내용이 달라질 수 밖에 없었던 것이다. 둘째, 남명학파의 계보상에서 저자들을 구분해 볼 때, 그들의 작품이 가지는 의의를 남명학파의 시대적 상황과 연관시켜 가늠해 보게 된다. 구암과 동강의 작품은 ‘남명학의 계승과 전파’라는 측면에서 그 의미를 이해할 수 있다. 한사와 태계의 작품은 인조 반정 직후 남명학파의 명맥이 끊어질 위기에 봉착하여 ‘학맥의 수호’라는 관점에서 해석해 볼 수 있다. 면우의 작품은 외세의 침략과 국가의 존망이 위태로운 시기에 유학적 마음 수양의 指南으로서 ‘남명의 심학을 천양’한 것이라고 규정해 볼 수 있다.

      • KCI등재

        順庵 安鼎福의 『南冥集』 箚記에 나타난南冥 曺植에 대한 인식

        전병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17 남명학연구 Vol.53 No.-

        After the Injobanjeong, scholars of Seoin Noron denigrated Nammyeong Jo Sik purposefully. Within that situation, those who insisted on evaluating Nammyeong righteously and demanding reverence and enhancement were Seongho Lee Ik and his disciples. It is assumed that in late Chosun, Nammyeong School remained in existence despite such unfavorable conditions because scholars of Seongho School did make their utmost effor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Chagi (箚記) which Sunam An Jeong-bok, one of Seongho’s disciples, wrote in 『Nammyeongjip』 and analyze how he recognized Nammyeong’s life and his studies and what the detailed grounds are. Concerning Chagi, we can see that An Jeong-bok read 『Nammyeongjip』 thoroughly and examined it referring to related facts or materials. If so, why did he have to study 『Nammyeongjip』 so precisely like that? First of all, it seems that he wanted to know who Nammyeong really was profoundly. Considering the fact that he did not present any evaluation or opinion about Nammyeong’s literary works and performed historical investigation precisely on whether something was really factual or true paying keen attention to figures, periods, or events, we can see what he really focused on while reading 『Nammyeongjip』. With such research on Nammyeong, An Jeong-bok could have been confident about the figure’s studies or character on his own. Therefore, when he recommended Nammyeong’s studies and words or deeds he had found to his friends or disciples, he used quotations, and when he wrote about Nammyeong or persons related to him, he never missed to state the origin showing the relationship. Accordingly, we can evaluate that An Jeong-bok’s interest and enhancement for Nammyeong did play roles as a bright signpost in the 18th century that was the darkest era to Nammyeong School. 인조반정 이후 西人 老論系 학자들이 南冥 曺植을 의도적으로 폄하하는 상황속에서, 남명에 대한 올바른 평가를 주장하여 존숭과 선양을 촉구한 이들은 星 湖 李瀷과 그의 제자들이었다. 조선후기에 남명학파가 매우 어려운 여건 속에서도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던 까닭은 성호학파 학자들의 노력이 중요한 역할을 했다고 이해된다. 이 글은 성호의 제자인 順菴 安鼎福이 『南冥集』에 기록한 箚記를 통해 그가남명의 학문과 삶에 대해 어떤 인식을 가졌으며, 그 근거가 구체적으로 무엇이었는지를 살펴보았다. 箚記에 근거해 볼 때, 안정복은 『남명집』을 매우 면밀하게 읽고 관련 사실이나 자료를 참조하면서 고찰한 점을 확인할 수 있다. 그는무엇 때문에 『남명집』을 정밀하게 연구했을까? 그 이유는 무엇보다 남명이 진정 어떤 인물인가를 깊이 이해하기 위한 노력이었다고 판단된다. 남명의 문학작품에 대한 품평이나 견해를 전혀 드러내지 않고 있다는 점, 인물ㆍ시기ㆍ사건 등에 집중적인 관심을 기울이며 사실과 진위 여부를 정밀하게 고증한 점 등을 고려한다면, 그가 『남명집』을 읽을 때 무엇에 유의했는지를 충분히 유추할수 있다. 안정복은 남명에 대한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그 인물의 학문과 인품에 관한평가를 스스로 확정할 수 있었을 것이다. 그리하여 자신이 알게 된 남명의 학문과 언행을 벗과 제자들을 권면할 때 인용하여 말했으며, 남명과 관련 있는 인물들의 글을 지을 때는 반드시 그 연관성을 드러내어 연원을 밝혔다. 그러므로 남명에 대한 안정복의 관심과 선양은 남명학파에게 가장 암흑한 시기였던 18세기에 빛나는 이정표 같은 역할을 했다고 평가할 수 있다.

      •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치국론(治國論)과 의미 -상소문(上疏文)을 중심으로-

        김강식 ( Kim Kang-sik ) 南冥學硏究院 2018 南冥學 Vol.23 No.-

        조선중기의 성리학 체계화 과정에서 사상에서는 의리와 실천을 강조하고, 정치에서는 현실의 모순에 대해 타협을 거부하며 적극적인 개혁을 주장한 南冥 曺植은 비판적 지식인이자 전형적인 處士였다. 이에 16세기의 현실 모순을 정확하게 인식하고, 현실정치에 대한 개혁책이 적극적으로 담겨 있는 남명의 4차례의 上疏를 토대로 남명의 정치 현실에 대한 治國論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서 남명의 치국론을 정치의 영역을 크게 지방정치와 중앙정치로 나누어서 살펴보았다. 남명의 치국론의 중요성은 지방정치에서 찾을 수 있다. 남명은 현실 정치에 나아가지 않았지만, 16세기의 사회경제적 변화 속에서 자신이 거주하던 지역사회의 안정이 필요하였다. 이에 재지사족이 향촌통제책을 행사할 수 있는 향촌자치론이 남명에게도 필요하였다. 남명의 문인들에 의해서 일어났던 毁家黜鄕은 이런 모습을 보여준다. 아울러 재지 지주였던 양반의 입장에서 농경지의 경작을 위한 농민 계층의 안정이 필요하였는데, 이것은 조세제도의 공정성을 유지하고 부정을 방지하여 향민의 안정을 꾀해야 한다는 향민보호론으로 나타났다. 한편 남명은 조선중기의 절대군주제를 인정하고 君臣共治를 통해서 중앙의 정치가 안정되어야 한다고 보았다. 남명은 먼저 군주의 수신과 덕치를 이상으로 하는 성학군주론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군주의 정치가 원활하게 집행되기 위해서 수령과 향리의 엄정한 선택과 부정·비리를 막을 수 있는 장치가 작동할 수 있는 행정체계론을 지지하였는데, 특히 인재의 등용을 중시하였다. 결론적으로 남명의 치국론은 지방과 중앙 정치의 영역에 맞게 주장되었다. 먼저 중앙정치에서는 위정자의 올바른 처신과 역할, 위정자의 수신과 솔선수범, 위정자와 신료들과의 소통의 중요성, 제도 시행의 엄정성, 국방의 자위성 확보와 주체적인 외교 문제였다. 지방정치에서는 향촌자치, 목민관의 솔선수범, 백성의 민생 안정, 관료의 부정부패와 비리 척결, 상하의 소통문제였다. 남명은 시대정신에 따라 만들어진 정치형태를 부정과 편법을 통해 왜곡시키지 않고 올바른 방향으로 시행해 나가는 것이 현실 개혁의 방향이라고 보았다. Confusion scholar culture emerged in the 16th century during the early Chosun period, which was at ransition period for this new social system. The political and social mainstream considered rule by Neo-Confucianism to be ideal and suggested measures for its practice. Nammyeong Jo Sik(1501~1572) lived in a time of faction politics and purge of scholars during which Neo-Confucian political order was being established. Although Nammyeong Jo Sik did not enter political reality, he did not turn away from realistic politics (realpolitik). He was an active reality reformer, which was evident by his four public appeals for the reform of realistic politics. Nammyeong claimed through his appeals that fundamental adaptations to circumstances, rather than temporary stopgap measures were necessary for the reform of reality. Nammyeong’s principle of governing in central politics emphasized political initiatives, communication and decision making, exactness in implementation of policies, securing autonomy in self-defense, and independent diplomacy. In regional politics, he emphasized regional autonomy, the leading by example of governors, security of the livelihood of commoners, eradication of corruption of bureaucrats, and communication among the ranks. Nammyeong’s principle of governing transcends time as it still carries importance today. Nammyeong’s principle of governing can be divided into the local politics and central politics.

      • KCI등재

        조식 敬義思想의 철학사적 함의

        박영진 ( Yeong Jin Bahk ) 온지학회 2013 溫知論叢 Vol.0 No.35

        남명 조식은 敬義로 학문의 요체를 삼았는데, 그의 敬義思想은 이론과 실제의 두 방면으로 나누어 연구할 수 있다. 첫째, 조식의 경의사상은 先秦儒學과 宋代性理學에 그 이론적 연원을 두고 있다. 『周易』에는 “敬으로 안을 곧게 하고, 義로 밖을 가지런하게 한다”는 말이 있는데, 여기에서 敬은 내적인 입신의 근본이고, 義는 외적인 처세의 준칙이다. 이 敬義의 개념은 性理學에서 큰 발전을 이루어, 도덕수양 과정에서 敬을 위주로 한다는 主敬工夫論의 이론적 의거가 되었다. 朱熹는 敬을 중시하여, “敬의 공부는 성인문하에서 제일로 중요한 의무이다. 철두철미하여 잠시라도 중단해서는 안 된다”고 말하였다. 조식은 『주역』의 內敬外義사상의 영향을 받아서, “안으로 마음을 밝히는 것은 敬이요, 밖으로 행동을 결단하는 것은 義이다”라고 주장 하였으며, 또한 성리학의 主敬工夫論의 영향을 받아서, 敬을 위주로 심신을 수양할 것을 강조하였다. 둘째, 조식은 선진 유학과 송대 성리학을 학문적 기반으로 삼았으면서도, 그것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거나 발전시키기보다는, 敬義의 정신에 입각하여 心性을 수양하고 義理를 구현하는데 진력하였다. 그는 이치를 궁구하는 목적은 실제생활에서의 쓰임을 극진히 하는데 있다고 강조하였는데, 이것은 敬으로 마음을 밝히고 義로 세상일을 결단할 때에만 가능한 것이다. 그러므로 조식은 당시의 부조리한 정치현실 속에서 仕路를 걷는 대신 山林에 거처하면서, 한편으로는 치열하게 자신을 연마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시대의 모순을 통렬하게 비판하면서, 그에 대한 구체적인 대안을 제시하였다. 敬과 義를 함께 견지함으로써 內外가 統合되고 上下가 整齊되며 天人이 合一하게 되는데, 이것이 바로 조식이 갈망했던 경의사상의 실제적 구현이다. 결론적으로, 조식의 경의사상은 위로는 선진 유학을 사상적 종주로 삼았고, 아래로는 송대 성리학을 이론적 핵심으로 삼았는데, 이론에 있어서는 성리학에 머물렀지만, 실천에 있어서는 성리학자들을 넘어섰다고 할 수 있다. 이것이 바로 조식의 경의사상이 갖는 철학사적 함의이다. Nammyeong Jo Sik found the cardinal point of science in Gyeong-Ui. His Gyeong-Ui ideology can be approached in two aspects of theory and practice. First, his Gyeong-Ui ideology has its theoretical origin in pre-Chin Chinese Confucianism and Sung Confucianism of Song Dynasty. There is a phrase, “Making the inside straight with Gyeong and the outside even with Ui” in the Book of Changes. Here, Gyeong is the foundation of an internal rise in the world, whereas Ui is the standing rule of external conduct of life. The Gyeong concept in the Book of Changes made tremendous growth in Sung Confucianism and became a theoretical ground for the theory of Jugyeonggongbu, which means focusing on Gyeong and gathering Ui in the process of moral cultivation. Placing emphasis on Gyeong, Zhu Xi said “Studying Gyeong is the most important duty under the guidance of sages. One must not stop studying Gyeong even for a minute, being thorough with it.” Influenced by the ideology of internal Gyeong and external Ui in the Book of Changes, Jo Shik argued that “Gyeong lights up the inside of the mind, while Ui takes an action on the outside.” He also emphasized that one should cultivate his or her body and mind with a focus on Gyeong, being influenced by the Jugyeonggongbu theory of Sung Confucianism. Second, Jo Sik took pre-Chin Chinese Confucianism and Sung Confucianism of Song Dynasty as his academic foundation and devoted himself to cultivating the mind and implementing righteousness based on the spirit of Gyeong-Ui rather than analyzing and developing them theoretically. He highlighted that the goal of pursuing reason was to put it to utmost use in daily life, which is possible by lighting up the mind with Gyeong and taking an action for worldly matters with Ui. That is why he decided to live in the mountains and forests, train himself intensely, criticize the contradictions of the times fiercely, and propose specific alternatives for them instead of taking the path of government service in the absurd political reality of the times. Adhering both to Gyeong and Ui will lead to the integration of in and outside, the purification of up and down, and the union of heaven and man, which is the actual implementation of Gyeong-Ui ideology yearned by Jo Sik. In short, Jo Sik`s Gyeong-Ui ideology had pre-Chin Chinese Confucianism as the suzerain on the upside and Sung Confucianism of Song Dynasty as the core on the downside. Even though his Gyeong-Ui ideology remained in the scope of Sung Confucianism in theory, it went beyond Sung Confucian scholars in practice. That is its implication in the history of philosophy.

      • KCI등재

        俛宇 郭鍾錫의 南冥學 이해와 학술사적 위상 규명 - 「南冥曺先生墓誌銘」에 관한 분석을 중심으로-

        전병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3 남명학연구 Vol.79 No.-

        Focusing on 「Nammyeongjoseonsaengmyojimyeong」 written by Myeonwoo Kwak Jong-seok(俛宇 郭鍾錫, 1846~1919),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how he represents the hope that Confucianists including himself should never lose through Nammyeong Jo Sik(南冥 曺植, 1501~1572) within the dark reality of the Japanese colonial era. Kwak Jong-seok’s 「Nammyeongjoseonsaengmyojimyeong」 is the last material out of the ones dealing with Nammyeong’s life, and it compiles previous records to describe Nammyeong in every aspect including his status in academia, education, sources, and academic history in a fairly completed system. Describing Nammyeong’s life in the cemetery, Kwak Jong-seok paid special attention to two issues. One is the critical evaluation of Nammyeong’s seclusion; “As a seonbi who did not go to public office, he behaved gracefully and boldly forgot about the world in the woods. It is an evaluation that criticizes Nam Myung’s retirement. Kwak Jong-seok pointed out the conditions of the time when good people were killed and more than half of his close friends met with a misfortune due to two major massacres of scholars(士禍) in Nammyeong’s youth and midlife from 19 to 45. The other is the low evaluation of Nammyeong’s studies; “He was devout in his conduct and did not learn hastily.” As a counterargument to that criticism, Kwak Jong-seok mentioned『Hakgi(學記)』 and 「Sinmyeongsadomyeong(神明舍圖銘)」 out of Nammyeong’s writings. Kwak Jong-seok did not stop at explaining Nammyeong’s studies but went as far as identifying his status aggressively. Kwak Jong-seok evaluated that Nam Myeong’s life, activities, studies, and discipline are a compilation of the merits of Songdae Yukhyeon (宋代 六賢). Also, Kwak Jong-seok cited Confucius (孔子)’s lamentation of ‘Only heaven knows me!’ in the last verse of the epitaph. As Confucius did, it implies that Nammyeong’s bilateral balance between solid academic attitude and the idea of gyeongui (敬義) makes him go beyond the limits of the time and become an eternal guiding light. However, the description of a person has a limitation that no matter how multilaterally and three-dimensionally you try to express him, there will be parts left behind inevitably. It will be needed to consider thoroughly not only the outstanding achievements of Kwak Jong-seok’s epitaph but the intentional choices and the constraints of the time inherent in that work, too. 이 논문은 俛宇 郭鍾錫(1846-1919)이 지은 「南冥曺先生墓誌銘」을 중심으로 일제강점기라는 암담한 현실 속에서 南冥 曺植(1501-1572)을 통해 자신을 비롯한 유학자들이 결코 잃지 말아야 할 희망의 碩果를 어떻게 표상화했는지를 고찰하고자 했다. 곽종석의 「남명조선생묘지명」은 남명의 생애에 관한 자료 중에서 가장 마지막에 지어진 것으로, 이전의 기록들을 집성하여 남명의 학문, 교육, 출처, 학술사적 위상 등 전체 면모를 매우 완비된 체계로 드러내었다. 곽종석은 묘지명에서 남명의 생애를 서술하면서 2가지 사안에 대해 특별히 주의를 기울였다. 하나는 “처사로서 고상하게 처신하고 방외에서 과감히 세상을 잊었다.”라고 남명의 은거를 비판하는 평가에 대한 반론이다. 곽종석은 남명의 19세로부터 45세까지 청장년 동안 2차례나 큰 사화가 발생하여 선한 부류가 죽임을 당하고 절친한 벗들이 절반이 넘게 재앙을 당한 상황이라는 시대적 조건을 지적했다. 다른 하나는 “행함에 독실했고 앎을 급하게 여기지 않았다.”라고 남명의 학문을 낮추어 보는 잘못을 바로잡았다. 곽종석은 이런 비판에 대한 반론으로, 남명의 저술 중에서『學記』와 「神明舍圖銘」을 거론했다. 곽종석은 남명의 학문에 관해 해명하는 데에 머물지 않고, 적극적으로 그 위상을 규명하는 데에까지 나아갔다. 곽종석은 남명의 삶과 행적, 학문과 수양 등은 송대 六賢의 장점을 집대성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또한 곽종석은 銘文의 마지막 구절에서 孔子가 ‘나를 아는 이는 하늘뿐이로다!’라고 탄식한 말을 인용했는데, 공자가 그러하셨듯이 남명이 견지한 脚踏實地의 학문 자세와 敬義 사상의 양단적 균형은 당대적 한계를 넘어 만고의 사표가 될 것이라는 의미를 담기 위해 설정한 수사 장치라고 해석할 수 있다. 하지만 한 인물에 대한 묘사는 아무리 다각적이고 입체적으로 표현하려 해도 결국 남겨진 부분이 있을 수밖에 없는 한계를 지닌다. 곽종석의 묘지명이 가지는 탁월한 성취와 함께 이 작품에 내재한 의도적 선택과 시대적 제약에 관해서도 충분한 고려가 필요할 것이다.

      • KCI등재

        靖山 宋鎬坤의 남명학파적 성향 一考

        구진성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0 남명학연구 Vol.66 No.-

        This article was written with the intention of extracting Nammyeonghakpa[南冥學派]'s elements from Jeongsan[靖山] Song, Ho-Gon[宋鎬坤]'s life. This shows how Nammyeonghak[南冥學] was accept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ong, Ho-Gon's family had a close relationship since the early days when Nammyeong Jo, Sik[南冥曺植] moved to Samga, also made a certain contribution to the creation of 「Yokcheon[浴川]」 in which the core of the Jo, Sik's thought was embodied in strong expression. Moreover, through the fact that 「Shinmyeongsado[神明舍圖]」 the essence of Jo, Sik's thought, was completed during this period, the characters of Song, Ho-Gon's family were able to experience the peak of Nammyeonghak closely, and this intense experience seems to have influenced Song, Ho-Gon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Song, Ho-Gon recognized the phrase expressed in 「Shinmyeongsado」's "The king must die in his own country[國君死社稷]" as the core of Nammyeonghak. It was the academic attitude of risking one's life for the right thing. And he borrow the rhyme of Jo, Sik's 「Yokcheon」, and the poem described the most academic figure as Jo, Sik. He never recognized the Japanese colonial era system. As a Confucian scholar, he regarded 'Don[遯]' as the creed of living in that era. This was a concept including Jo, Sik's 'Daechuk[大畜]'. He paid keen attention to current affairs, and thought the confrontation between the factions should be overcome. Because he believed that the country could stand upright through it. 이 글은 정산 송호곤(1865-1929)의 생애에서 남명학파적인 요소를 추출하여, 일제강점기 하에서 남명학이 어떠한 양상으로 수용되었는지를 일별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작성되었다. 송호곤의 가계는 조식이 삼가로 이주한 초기부터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으며, 조식 수양론의 핵심이 극렬한 언어로 형상화된 「욕천」의 창작에도 일정한 기여를 하였다. 게다가 조식 사상의 정수라 할 수 있는 「신명사도」가 이 시기에 완성된 사실을 통해, 송호곤 가계의 인물들은 남명학의 최고조를 가까이서 선명하게 체험할 수 있었고, 이러한 강렬한 경험이 대를 이어 송호곤에게 영향을 미쳤던 것으로 보인다. 송호곤은 「신명사도」의 ‘國君死社稷’이라는 언표에서 드러나는 목숨을 건 수양의 자세가 남명학의 본질이라고 보았고, 「욕천」을 차운하면서 그러한 수양의 극치를 이룬 인물이 두류산과 같은 조식이라고 형상화하였다. 조식 학문의 핵심이 비타협적 수양론이라고 인식한 송호곤은, 일제의 제도를 일체 인정하지 않고 自靖의 길을 택하였다. 구체적으로는 遯의 지향을 지녔는데, 이는 조식의 大畜을 포함한 개념이었다. 그러면서도 시사에 깊이 관심을 기울이며 유학이 쇄신되기를 희망했는데, 당파에 의해 올바르고 공정한 판단을 내릴 수 없었던 조선의 역사를 비판하면서, 당파의 극복을 모든 문제 해결의 전제로 인식하였다.

      • KCI등재

        來庵 鄭仁弘의 南冥學 辯論과 道學的 正統性 규명

        전병철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0 남명학연구 Vol.68 No.-

        16세기 중반에서 17세기 초, 退溪 李滉이 南冥 曺植을 비판하고 이에 대해 來庵 鄭仁弘이 변론한 일련의 사건은 단순하게 학파 간의 대립 양상으로 치부할 수 없는 중요한 학술사적 전환과 맞물려 있지 않을까? 이 문제의식을 전제로 정인홍이 남명을 변호하는 논점의 변화 양상을 추적하고, 그런 변화가 나타나게 된 근본 원인을 파악하려 했다. 그리고 17세기 초에 朱子學的 正學이 학문의 정통성을 획득한 상황에서 정인홍이 「正脈高風辨」을 통해 남명학의 道學的 正統性을 어떻게 규명하고 있는지를 고찰했다. 정인홍은 퇴계의 남명 비판에 대해 변론하면서 처신과 절의의 관점에서 반박했다. 또한 퇴계가 鳳城君 李岏을 죽이도록 요청하는 차자에 聯名한 사실과 官妓의 일을 거론하여 비판했다. 그리고 두 사람이 같은 시대를 살았는데, 어떤 삶이 時宜에 합당한 中庸이었는가? 라는 물음을 제기했다. 道學의 인물은 出仕와 不出仕라는 행적에 의해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그 시대에 그 행적이 중용에 합당한 것이었느냐를 엄밀하게 따져보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堯-舜-禹로 전해진 ‘允執厥中’의 心法을 실천하는 사람이라야 도학의 인물이 될 수 있다는 뜻이다. 이처럼 정인홍의 남명 변론에 담겨 있는 핵심은 유학적 도통과 중용 실천에 있었다. 그러나 퇴계는 유학의 올바른 학문을 정립하고자 했으며, 그것은 주자학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퇴계의 학문적 위상과 영향에 의해 이 견해와 방향성은 학술사적 전환을 가져와 더 이상 거스를 수 없는 대세가 되었다. 寒岡 鄭逑의 ‘退陶正脈 山海高風’이라는 표현에 그 시대의 학술 사상이 함축적으로 드러나 있다. 그러므로 정인홍이 중용의 실천에 근거해 남명을 변론한 점은 논리적 정당성의 문제가 아니라 학술사적 변화를 깊이 인지하지 못한 데에 공감을 얻지 못한 원인이 있었다. 그렇다고 스승이 추구한 삶과 학문의 정체성을 시대의 흐름에 따라 변개하는 것도 제자의 도리가 아니다. 따라서 정인홍이 찾은 방법은 『學記類編』을 간행하여 남명의 학문이 程朱學에 깊이 연원하고 있다는 사실을 분명하게 제시하는 것이었다. 정인홍 이후로 남명학파 학자들이 남명의 학문을 정주학에 근거해 그 의의를 드러내고자 노력한 일들은 이러한 고심에서 나온 것이라고 이해된다. 오늘날의 관점에서 본다면, 주자학만이 正學이라고 할 수 없다. 남명의 학문은 그 자체로 고귀한 학술사적 자산이며, 주자학과의 합치 여부가 평가 기준이 될 수 없다. 다만 그 학자들이 자기 시대의 과제와 해결 방법을 찾기 위해 고심한 노력을 가능한 있는 그대로 이해하고자 시도하고, 그것으로부터 시대적 의미와 한계를 읽어내어 현재 우리의 학문과 삶을 성찰하는 계기로 삼으려 한다. In a series of events between the mid-16th century and the early 17th century, Twe-gye Yi Hwang criticized Nammyeong Jo Sik and Nae-am Jeong In Hong argued in favor of the latter. Is this confrontation in line with a significant transition in terms of academic history that cannot be neglected as a mere confrontation between academic schools? In this awareness of an issue, this study traces back changes in the process that Jeong In Hong defended Nammyeong and seeks to understand the fundamental cause of such changes. Additionally, this study examines how Jeong In Hong verified the orthodoxy of Nammyeong School by means of 「Jeong-maek- go-pung-byeon」 in the early 17th century when Neo-Confucianism (朱子學) was recognized with securing the orthodoxy of studies. Jeong In Hong refuted Twe-gye’s criticism against Nammyeong in terms of practice and fidelity to principles. He also criticized that Twe-gye requested to kill Bongsonggun (prince) Iwan and that there were gisaengs (Korean geisha) belonging to the governmental office. He questioned whose life of these two living in the same period of time was suitable for the times. He argued that a Confucian philosopher (道學) should not be judged based on whether or not he secures a governmental position but based on whether his works were appropriate for the times. In other words, Confucian philosophers should practice the ideas of moderation that passed down through Yo(堯)-Sun(舜)-Wu(禹). The key of Jeong In Hong's defense in favor of Nammyeong was spiritual awakening and moderation. However, Twe-gye sought to establish a rightful type of learning of Confucianism, thinking that this could be achieved through Neo-Confucianism. The academic position and influence of Twe-gye led this view and directivity into a significant transition in terms of academic history to the point that this mainstream could not be defied. As Jeong-gu stated that Twe-gye upheld traditional Confucianism while Nammyeong was a man of noble personality implies the academic idea of the times. Thus, the fact that Jeong In Hong defended Nammyeong in the perspective of practicing the idea of moderation was not a matter of logical justification. Rather, it resulted from the failure of gaining others’ consensus since he did not have deep understanding of changes in terms of academic history. On the other hand, it is not reasonable for a follower to abandon the life and academic identity pursued by his master depending on the current of the times. The solution that Jeong In Hong came up with was to publish Hak-gi-yu-pyeon (學記類編) and thus to clarify that Nammyeong’s learning was more deeply rooted in Jeongju School (程朱學). Certainly for the same purpose, scholars of Nammyeong School sought to make known the implications of Nammyeong’s learning on the basis of Jeongju School after Jeong In Hong. In today’s point of view, it would be hardly accepted that Neo-Confucianism is the only rightful learning (正學). Nammyeong’s learning itself is a valuable heritage in the academic history, but its conformity to Neo-Confucianism cannot be an absolute basis for evaluation. However, it is necessary to seek to understand efforts that such scholars put forth to solve the issues of their times as accurately as possible and to reflect our learning and life by grasping their meanings and limitations in our times.

      • KCI등재

        남명 조식의 실천윤리- 상소를 중심으로-

        장승희 ( Seung Hee Jang ) 한국윤리학회 2012 倫理硏究 Vol.87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practical ethics in memorial to the king of Nammyeong[南冥] Jo Sik[曺植]. Nammyeong Jo Sik is a synonym with the seonbi spirit, and the greatest seonbi among other scholars in the Joseon dynasty. The original mean of Yu[儒] is to accept and to practice needs from the people of all nations. The first stage is cultivation of mind, the next is governing well. The two stages ultimately must meet. Nammyeong`s studies is enriched on both side. He try to cultivate the mind inside with Gyeong[敬], and to treat other people outside with Yui[義]. He persevered in one`s efforts to put his thoughts into practice in daily life. The 16th century, The age of Sahwa[士禍] is a massacre of scholars and he threw his office up without any regrets as the principle of his righteousness. He had the political and moral point of views as scholar in retirement. However, he is not indifferent to political landscape and the people in those days. He positively made an expression of political standpoint, took the way of the memorial to the King. He presents four memorials to the King. There are Eulmyo of the memorials to the King for the resignation[乙卯辭職疏], Jeongmyo of the memorial to the Seungjeongwon for the resignation[丁卯辭職呈承政院狀], Mujin of the hidden memorial to the King for the resignation[戊辰封事], the memorial to the King as a token of gratitude giving food[謝宜賜食物疏]. It is clearly discovered critical cognition into political affairs of those days, the thoughts loving the people, the viewpoint of severe criticism on power. His expression are causing a debate, but his memorials to the King is a touchstone to make us realize seonbi spirit is alive and well.

      • KCI등재

        江右學者의 拱玉臺 유람과 공간 의미

        강정화 경상국립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2023 남명학연구 Vol.79 No.-

        공옥대는 현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병천리에 있는 야트막한 산이다. 엄청나게 널찍한 들판에 공옥대만 불쑥 솟아있는데, 일제 강점기에 대대적인 경지 정리가 이루어질 때 밀어서 농지로 만들었어도 전혀 이상하지 않을 만큼, 높지도 넓지도 않은 언덕 같은 산이다. 이 평범하기 그지없는 공간에 강우지역 남명학파 인물의 수백 년 역사와 문화가 간직되어 있어 주목해 보았다. 공옥대는 1589년 9월 어느 날 남명(南冥) 조식(曺植)의 문인 각재(覺齋) 하항(河沆)과 송정(松亭) 하수일(河受一) 등 24인이 산수 속에서 심신을 단련하고 유식(遊息)을 취하며 유람하던 공간이다. 이때 참여한 24인은 대개 강우지역에서 명망이 두텁던 남명학파 인물들이다. 그렇지만 이들의 유람은 그 직후에 있었던 기축옥사(己丑獄事)와 임진왜란으로 인해 지속적으로 이어지지 못했고, 관련 작품도 하수일의 기문(記文)과 한시 1수 정도가 남아 있을 뿐이다. 그러나 그로부터 2백 년도 더 지난 19세기에 들어와 강우지역 문인에게서 공옥대 유람이 갑자기 부상(浮上)하였다. 그들은 공옥대를 찾아가 과거 강우학자들의 유람을 소환하여 그들의 유람을 회고하고 그 뜻을 계승하려 노력했다. 이 시기에 공옥대 유람 한시가 대거 나타났고, 그들의 뜻을 계승하려 했던 하식원(河植源)은 공옥대 주변에 공옥정(拱玉亭)을 지어 회합 장소로 제공하였다. 특히 24현 문중의 후손들은 공옥대 유계(儒契)를 만들어 정기적인 회합을 진행하였고, 근년에는 공옥대 유계를 중심으로 그 옆에 공옥루(拱玉樓)를 건립했다. 공옥대에 서린 역사와 문화는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라 할 수 있다. 19-20세기에 산출된 공옥대 한시는 수백 년 동안 잊혔던 공옥대를 다시 세상에 드러내는 희열, 24현에 대한 추숭, 강우문인으로서 이를 계승하려는 의지 등이 포괄적으로 드러나 있다. 그리고 공옥대가 주목받을 수 있었던 것은 19-20세기 강우지역에 일었던 남명정신 계승 활동과 연계되어 있다. 인조반정(1623) 이후 강우지역에서 남명학은 쇠퇴하였지만, 19-20세기에 이르러 수많은 강우학자의 대대적인 학술활동 못지않게 남명정신 계승을 위한 사회적 활동이 진행되었다. 공옥대를 중심으로 진행된 다양한 활동 또한 같은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Gongokdae is a low mountain located in current Byeongcheon-ri, Okjong-myeon, Hadong-gun, Gyeongsangnam-do. Only Gongokdae rises in an incredibly wide field. It is a hill-like mountain that is neither high nor wide to the extent that it wouldn't be strange at all if it was cut and turned into farmland when the large-scale arable land rearrangement was carried out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ttention was paid to this endlessly ordinary space because it preserves hundreds of years of history and culture of the Gangwoo region Nammyeong school figures. Gongokdae is a space where on a day in September 1589, 24 literary persons of Nammyeong (南冥) Jo Sik (曺植), including Gakjae (覺齋) Ha Hang (河沆) and Songjeong (松亭) Ha Su-il (河受一), cultivated their mind and body, and toured while taking a rest. The 24 persons who participated at this time were mostly people from Nammyeong school, which had a strong local reputation in the Gangwoo region at the time in the magnetic field(磁場) of Nammyeong study(南冥學). However, their tour could not continue continuously due to the Gichuk Purge (己丑獄事) and the Japanese invasions of Korea in 1592 that occurred immediately after the tour, and among related works, only Ha Su-il‘s notes and one Chinese poem remain. However, in the 19th century when more than 200 years passed, Gongokdae tour suddenly emerged among literary persons in the Gangwoo region. They visited Gongokdae and summoned the tour of past Gangwoo scholars to reminisce about their tour and made effort to inherit their mind. During this period, a large number of Gongokdae tour Chinese poems appeared, and Ha Sik-won(河植源), who wanted to inherit their mind, built Gongokjeong (拱玉亭) around Gongokdae and provided it as a meeting place. In particular, the descendants of the 24 sages’ families established the Gongokdae Confucian gye (儒契) to hold regular meetings, and in recent years, Gongokru (拱玉樓) was built next to the Gongokjeong mainly by Gongokdae Confucian gye. It can be said that the history and culture involving Gongokdae are still ongoing. The Gongokdae Chinese poems produced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comprehensively reveal the joy of revealing Gongokdae, which had been forgotten for hundreds of years, to the world again, the admiration for the 24 sages, and the will to inherit their mind as Gangwoo literary persons. And the reason Gongokdae was able to attract attention is related to the Nammyeong spirit succession activity that occurred in the Gangwoo region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Nammyeong study declined in the Gangwoo region after Injo Rebellion (1623), but in the 19th and 20th centuries, social activities to inherit the Nammyeong spirit were carried out as much as the large-scale academic activities of numerous Gangwoo scholars. Various activities conducted centering on Gongokdae can also be understood in the same contex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