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남명학의 대중화와 인문정신 콘텐츠 발굴 = Popularization of Nammyeong Studies and Discovery of Humanistic Spirit Conten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9550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넓게는 인문학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 위에서 전문 지식의 대중화를 고민하고, 구체적으로는 ‘남명학’이라는 전문 지식을 보다 많은 대중에게 보급하고 전파할 수 있도...

      본 논문의 목적은 넓게는 인문학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 위에서 전문 지식의 대중화를 고민하고, 구체적으로는 ‘남명학’이라는 전문 지식을 보다 많은 대중에게 보급하고 전파할 수 있도록 지금 현대 사회에 알맞은 방향과 방법을 찾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남명학 대중화 작업의 현주소를 살펴보면서 그 성과와 한계를 점검해 보았다. 그리고 빠르게 변화한 대중의 요구에 어떻게 부응해야 파급력의 확산을 도모할 수 있는지 그 방법적 측면을 들여다보고, 그 속에서도 남명학의 대중화가 궁극적으로 현대 사회에서 무엇을 위해 무엇을 지향해야 하는지 그 책임과 역할을 되새겨 보고자 했다. 여기에서 ‘남명학’은 좁은 의미의 남명학으로, 남명 조식의 학문과 사상 등 그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자료들로 그 대상을 제한하였다.
      남명화 대중화 작업의 현재 성과 위에서 시급한 것은 스마트폰 시대에 지금 대중들의 원하는 방식으로 새롭게 소통할 필요가 있다는 점이다. 먼저 전제되어야 할 것은 남명학과 관련된 자료들을 1차 가공(원문이미지, 원문 및 국역 텍스트 등)하여 디지털 아카이브로 온전하게 구축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안에 축적된 날 것의 자료를 1차 가공하고 이것을 다시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2차 가공해 이야기 콘텐츠를 생산한다. 그리고 이렇게 가공된 이야기콘텐츠를 기반으로 다양한 그렇지만 쉽고 분명한 주제의 텍스트·이미지·동영상 등으로 3차 가공을 시도하고, 이것을 소셜 미디어의 채널이나 플랫폼을 개설해 보급 전파한다. 더불어 콘텐츠의 지속적인 공유와 확산이 가능하도록 콘텐츠 형태를 끊임없이 진화시켜야 한다. 다만 유의해야 할 점은 소셜 미디어 안에서는 콘텐츠가 상호공유되는 가운데 개개인의 생각과 의견, 감정들이 덧붙여질 수 있으므로 그 내용이 본래의 의도와 달리 변형되거나 왜곡될 위험이 늘 따라다닌다는 사실이다. 그러므로 지금 시대가 선호하는 형태의 콘텐츠 생산에 앞서 그 뿌리와 기초를 튼튼하게 다져야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단계를 거쳐 생산된 콘텐츠는 마지막 형태가 아무리 변화하더라도, 그 뿌리를 언제든지 추적할 수 있도록 길을 열어둠으로써 본질 자체의 변형과 왜곡을 차단할 수 있다.
      남명학의 대중화 목적은 단순히 남명학을 알리는 것이 아니다. 보다 많은 사람들이 남명학을 알 수 있도록 만드는 가운데 그 안에서 공감과 감동을 느끼게 하고 다시 이로부터 스스로를 돌아보며 성찰할 수 있는 계기를 만들어주고자 함이다. 많은 사람들에게 남명학을 알리려면 지금 시대에 맞는 방법이 필요하다. 남명 조식의 학문과 사상, 그리고 그의 실천적 삶은 변함없지만 그 안에 담긴 정신적 가치를 현대적 코드로 재해석해 지금 대중들이 이해하고 공감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만 한다. 더불어 대중들의 관심과 흥미를 끌어내야 하는데, 이는 대중의 무관심 속에서는 무엇을 위한 시도 자체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지금은 대중들과 소통하기 위해서 소셜 미디어 활용과 이 안에서 소비되는 디지털 콘텐츠 생산이 필수적이다. 말하자면 내용의 본질은 변함없지만 그것을 전달하는 형태와 방법은 시대의 변화에 부응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인간성 위기의 사회에서 ‘남명학’은 지금의 시대에 맞는 대중화의 방법으로 지금의 시대에 필요한 인간관과 가치관을 정립하는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opularization of expertise in the soci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humanities in general, and specifically to find out the direction and method suitable for the modern society to promote and diss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popularization of expertise in the soci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of the humanities in general, and specifically to find out the direction and method suitable for the modern society to promote and disseminate the expert knowledge of 'Nammyeong Studies'.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d the present status of the popularization of Nammyeong Studies and then its outcomes and limitations. In addition, it aimed to investigate how to respond to the demands of the rapidly changing public in order to expand its impact, and review the roles and responsibilities as to what the popularization of Nammyeong Studies is ultimately aimed at what for in this modern society. In this study, 'Nammyeong Studies’ is used in the narrower sense, which limits the subject to the materials related directly to him, such as the study and thought of Nammyeong Jo Sik.
      What is urgent in the current performance in terms of the popularization of Nammyeong Studies is that it is now necessary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n the way they want in the smartphone era. An essential prerequisite for this is to firstly process the materials(original image, original text, and translated Korean text) related to Nammyeong Studies to keep them in intact forms through digital archive. It needs to undergo the first processing of the raw data accumulated inside and then the second processing so that it can be understood easily again to produce story content. Based on this processed story content, it needs to try the third processing of the texts, images and videos of various but easy and clear themes, and to open channels and platforms for social media to spread them. In addition, the form of content must be constantly evolved to enable the continuous sharing and diffusion of content. However, it should be noted that in social media, content is mutually shared, and individual thoughts, opinions and emotions can be added, so that the content is always subject to the risk of being transformed or distorted unlike the original intention.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firmly establish its root and foundation before producing the content of the form that the present age prefers. The content created through these steps can block the transformation and distortion of the essence itself by opening the way to trace its root at any time, no matter how the last form changes.
      The purpose of popularization of Nammyeong Studies is not simply to introduce it. It aims to make people feel sympathy and emotion while letting more people know Nammyeong Studies, and to create an opportunity to look back and reflect on themselves. In order to introduce Nammyeong Studies to many people, a method appropriate to the present age is required. Nammyeong Jo Sik’s study and thought and his practical life are unchanged, but we have to reinterpret the mental values i n them with modern codes and make the public understand and sympathize. In addition, it needs to attract the attention and interest of the public because it is impossible to try for something in the public's indifference. Now, in order to communicate with the public, it is essential to utilize social media and produce digital content that is consumed in it. That is to say, the nature of the content does not change, but the form and the way of conveying it must meet the changes of the times. And in the society of humanity crisis, 'Nammyeong Studies' should contribute to establishing the human view and values necessary for the present age as a method of popularization for the present ag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