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Z세대들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호텔 공간 표현 특성에 관한 연구

        이규홍,정성은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1

        (연구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배경은 4차 산업혁명 시대를 맞이하여 사회 주요 소비층이 X세대에서 MZ세대로 변화되고 있으며 호텔의 주요 소비층으로 떠오르고 있다. MZ세대들은 새로운 경험을 중시하며 획일성과 고정성에서 탈피하여 자신의 취향을 위해 높은 가치를 부여하고 투자한다. 이러한 소비층의 변화로 호텔시장은 MZ세대를 타켓으로 라이프스타일 호텔을 발빠르게 런칭하고 있다.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본 연구의 목적은 MZ세대들을 위한 전략적인 라이프스타일 호텔 디자인을 위하여 MZ세대의 니즈와 라이프스타일을 잘 반영한 라이프스타일 호텔 공간 표현 특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MZ세대들이 원하는 공간 및 경험을 제공하고자 하는 라이프스타일 호텔 디자인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MZ세대들에 관한 선행 연구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그들의 소비 특성, 라이프스타일, 니즈(Needs)를 파악한다. 둘째,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선행 연구 문헌적 고찰을 통하여 전반적인 호텔의 이해와 특징, 공간적 특성을 도출한다. 셋째, 앞서 도출한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공간 표현 특성과 MZ세대의 라이프스타일 특성의 공통된 키워드를 도출하여 연구의 분석틀로 삼는다. 그중 수도권 중심의 MZ세대들의 라이프스타일이 반영된 호텔 공간 특성이 보이는 5곳을 방문 후, 정성적 평가로 연구 분석한다. (결과) 이에 본 연구의 결과로 상호작용성(IN)과 차별성(DI)는 전반적으로 MZ세대들을 위한 라이프스타일 호텔 공간 표현 특성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특히 상호작용성(IN)중 IN1:공감대를 형성하는 공간제공, 차별성(DI)중 DI3: 호텔이 추구하는 콘텐츠가 담긴 스토리텔링 공간 제공은 모든 라이프스타일 호텔에서 모두 나타났다. 그리고 전반적으로 체험성(EX)중 EX3: 호텔에서 제공하는 독특한 프로그램은 대부분 조사된 호텔들이 제공하고 있었다. 그에반해, 상호작용성(IN)중 IN3: 컨시어지 서비스 공간 제공과 다양성(DV)중 DV2: 마감재와 공간구성의 다양성 제공의 특성은 그리 부각되지 않았다. 아무래도 이들은 온라인에서 정보를 서치해서 특별히 컨시어지 서비스를 원하지 않았다. 또한 MZ세대들은 호텔 안에 특별한 마감재를 중시하기보다는 호텔이 제공하는 특별한 서비스 경험에 더 흥미를 느끼고 있었다. (결론) 본 연구는 MZ세대들을 사로잡기위한 그들의 니즈와 트랜드를 반영하여 라이프스타일 호텔의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MZ세대들을 사로잡기 위한 라이프스타일 호텔은 지역사회 발전과 함께 상생하며 이는 더 나아가 호텔의 다양한 방향성 제시와 연구가 추후에도 다양하게 분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라이프스타일 호텔은 현시대의 문화 아이콘의 주축이 되어 주요 소비층의 니즈와 트랜드를 반영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지속적으로 수용하는 숨 쉬는 유기체가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MZ세대 보육교사의 직업의식과 세대 간 갈등에 관한 탐색

        황정옥,윤혜정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4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45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MZ세대 보육교사의 직업의식으로 인해 기성세대와 겪게 되는 세대 간 갈등의 원인을 탐색하고 해결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MZ세대의 이직률을 줄이고 기성세대와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공립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MZ세대 보육교사 10인을 선정하여 2그룹으로 나누고 2023년 8월부터 11월까지 각각 2회기에 걸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인터뷰에 응한 MZ세대 보육교사의 직업의식은 교직을 선택한 것에 대해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으나 개인을 우선시하고 워라벨을 중요시하는 MZ세대의 가치관과는 다른 직업 환경으로 가치관의 충돌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MZ세대 보육교사들이 기성세대와 겪게 되는 갈등은 불공평한 업무분장, 경험을 앞세운 훈육방법, 개인의 개성을 살리지 못하고 획일화된 복무규정 등을 갈등의 원인으로 꼽았다. 셋째, MZ세대 보육교사들은 기성세대와 갈등이 있을 때 이를 회피하고 문제상황을 크게 만들려고 하지 않았으나 갈등 해결을 위한 노력으로 기성세대의 경험을 공유받거나 교사교육 공동체를 통해 서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며 도움을 주고받기를 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두 세대가 통합하여 상호 보완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후속 연구로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sought to help reduce the turnover rate due to intergenerational conflicts and maintain a cooperative relationship by exploring the causes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s with older generations due to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MZ generation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facilities, broadening the breadth of understanding, and finding a solution. To this end, in this study, 10 MZ generation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2 groups, and two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ugust to November 2023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the MZ generation childcare teacher who was interviewed was satisfied with choosing a teaching position, but was experiencing a conflict of values with a different work environment from the values of the MZ generation, which prioritizes the individual and values the war label. Second, the conflicts that MZ generation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 with the older generation were cited as the causes of the conflict, such as unfair work division, experience-based discipline methods, and uniformized service regulations that do not save individual individuality. Third, MZ generation childcare teachers did not try to avoid conflicts with the older generation and make the problem situation bigger, but they wanted to share the experience of the older generation as an effort to resolve the conflict or to compensate for each other's shortcomings and help through the teacher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is, this study would like to propose a follow-up study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be integrated and complement each other by two generations.

      • KCI등재

        MZ세대에 대한 대중감성 연구: 소셜미디어(SNS) 감성 분석을 통해

        안명숙 국제문화기술진흥원 2023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 Vol.9 No.1

        In this study, the public sensitivity of the 'MZ generation' was examined through the social media big data sensitivity analysis method. For the analysis, the consumer account SNS text was examined, and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factors were presented by classifying external sensibilities and emotions of the MZ generation. In conclusion, the positive emotions of liking and interest in relation to the "MZ generation" were 72.1%, higher than the negative emotional ratio of 27.9%. In positive sensitivity, the older generation showed 'a favorable feeling for the individuality and dignifiedness of the MZ generation' and 'interest in the MZ generation with new values'. In contrast, the MZ generation has a favorable feeling for ‘the fact that they are a generation of their own boldness, youthfulness and individuality’ and ‘small growthism’. Negative sensitivity outside the MZ generation was found to be ‘A concern about the marriage avoidance, employment difficulties, debt investment, and resignation trends of the MZ generation’, 'Hate the MZ generation who treats Kkondae' and ‘Difficult to talk to the MZ generation’. On the other hand, the negative emotions felt by the MZ generation itself were ‘Rejection of generalization’, ‘Rejection of generation and gender conflicts’, ‘Rejection of competition worse than the older generation’, ‘Relative failure of the rich era’, and ‘Sadness to live in a predicted climate disaster’. Therefore, the older generation should not look at the MZ generation in general, but as individuals, and should alleviate conflicts with intergenerational understanding and empathy. there is a need for community consideration to solve generational conflicts, gender conflicts, and environmental problems. 본 연구에서는 소셜 미디어 빅데이터 감성분석 방법을 통해 ‘MZ세대’에 대한 대중 감성을 살펴보았다. 분석을 위해 소비자 계정 SNS 텍스트를 살펴보고 내용상 외부 감성과 MZ세대 본인들의 감성을 분류하여 긍정 및 부정 감성 요인들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결론은 ‘MZ세대’ 관련하여 호감과 흥미의 긍정정서가 72.1%로, 부정적인 감성비율 27.9 % 보다 높았다. 긍정감성에서 기성세대들은 ‘MZ세대의 개성과 당당함에 대한 호감’, ‘새로운 가치관을 가진 MZ세대에 대한 흥미’를 보였다. 이에 비해 MZ세대들은 ‘자신들의 당당함, 발랄함 및 개성 세대라는 점’과 ‘소소한 성장주의’에 대한 호감을 갖고 있다. MZ세대 외부의 부정감성은 ‘MZ세대의 결혼기피, 취업난, 빚투자 및 퇴사 트랜드에 대해 걱정’, ‘꼰대 취급하는 MZ 세대 미움’, ‘MZ세대와 대화하기 힘듦’으로 나타났다. 한편, MZ세대 본인들이 느끼는 부정감성은 ‘일반화에 대한 거부감’, ‘세대 및 젠더 갈등과 기성세대보다 심한 경쟁에 대한 거부감’, ‘풍요로운 시대의 상대적 실패감’, ‘예고된 기후재앙 속에서 살아야하는 슬픔’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기성세대는 MZ세대를 일반화하여 바라볼 것이 아니라 개인으로 보아야 하며, 세대간 이해와 공감으로 갈등을 완화해야한다. 세대 갈등, 젠더 갈등 및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공동체적인 고민의 필요성도 있다.

      • KCI등재

        MZ세대와 기성세대 간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 및 영향요인 분석

        이문정,김경리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4 교육문화연구 Vol.30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시교육청에서 실시한 『서울교원종단연구2020』1차년도 데이터를 사용하여 MZ세대와 기성세대 간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각 세대별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탐색하는것이다. 이를 위해 두 독립표본t 검정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총 905명의 초등학교교사를 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MZ세대와 기성세대 간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세대별로 전체 직무만족도와 내재적 직무만족도, 외재적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대별 직무만족도 영향요인을 살펴보면 첫째, 모든 직무만족도에 세대와 상관없이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진과 사회적 동기이다. 둘째, 전체 직무만족도의 경우, MZ세대 교사와 기성세대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소진, 내재적 동기, 소속감, 사회적 동기, 학부모와의 신뢰관계이고, MZ세대와 기성세대간 구별되는 직무만족도 영향요인은 MZ세대는 이타적 동기요인, 기성세대는 책임감있는학교장의 리더십 요인이다. 셋째, 내재적 직무만족도 영향요인의 경우 전체 직무만족도 영향요인과 유사하나, 기성세대교사에게 사기/열의 요인이 MZ세대 교사와 구별되는 요인이었고, 외재적 직무만족도의 경우 MZ세대 교사에게 학교관리자와의 존중관계, 업무갈등 두 요인이 기성세대 교사와 구별되는 영향요인이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적함의를 도출하였고, 초등교사의 직무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정책방안과 연구의 한계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differences in job satisfaction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between the MZ and older generations, and explores affecting factors for each generation. Data from the ”Seoul Teacher Longitudinal Study 2020” were used. A total of 905 elementary school teachers were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differences in teachers’ job satisfaction between generations, and differences in factors affecting overall, intrinsic, and extrinsic job satisfaction by generation. In the case of overall job satisfaction, burnout, intrinsic motivation, sense of belonging, social motivation, and trust relationship with parents are the factors that commonly affect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of the two generations, those affecting the MZ generation are more distinct. The leadership factor for responsible school principals was a motivating factor for the older generation. Lastly, in the case of intrinsic job satisfaction influencing factors, the morale/enthusiasm factor is a factor that differentiated the older generation from the MZ generation, and in the case of extrinsic job satisfaction, the two factors of respect relationship with school administrators and work conflict are influential factors for the MZ generation, which differentiated them from the older generation

      • KCI등재

        MZ세대의 커뮤니케이션 고유 특성에 대한 각 세대별 반응 연구 -MZ세대, X세대, 베이비붐세대를 중심으로-

        손정희 ( Shon Jung-hieh ),김찬석 ( Kim Chan-souk ),이현선 ( Lee Hyun-seon ) 커뮤니케이션디자인학회 2021 커뮤니케이션 디자인학연구 Vol.77 No.-

        MZ세대는 최근 기업이나 정부기관이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는 대상이다. Z세대에 대해 많은 기업과 기관들이 핵심 타겟으로 고려하고 있지만, 이들을 선택한 근거로서의 MZ세대 특성이 과연 MZ세대만이 독특하게 가지는 커뮤니케이션 특성일 수 있는가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지는 않고 있다. 본 연구는 MZ세대가 가지고 있다고 기술되는 커뮤니케이션 특성들을 실제로 MZ세대가 가지고 있는가를 검증하는 것이 핵심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MZ세대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이라고 기술되는 핵심컨셉 5가지를 도출하고, 이 컨셉에 대한 MZ세대, X세대, 그리고 베이비붐세대와 비교 분석을 실시했다. 비교분석을 위해 200명의 M세대(밀레니얼세대), Z세대, X세대, 그리고 베이비붐세대를 대상으로 ARS 전화 서베이를 실시했다. 분석 결과, 다른 세대보다 MZ세대가 SNS를 포함한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능숙도와 새로운 콘텐츠에 대한 선호도에 있어서 좀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그러나 문제해결능력, 공정 및 가치관, 도전의식 등에 있어서는 MZ세대와 다른 세대 사이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나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특정 세대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다른 세대와 구분되는 독특함이 있어야 하고, 그 독특한 특성의 근거는 객관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을 통해 도출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whether the MZ generation actually has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that the MZ generation has. Although many companies and institutions are considering the MZ generation as a key target, verification has not been made as to whether the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as a basis for their selection can be a characteristic unique to the MZ generation. Therefore, in this study, five core concepts described as communication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 were derived, and comparativ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se concepts with the MZ generation, X generation, and baby boomers. For comparative analysis, an ARS telephone survey was conducted on 200 people of Generation M(millennials), Generation Z, Generation X, and Baby Boomer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MZ generation showed higher scores in proficiency in digital media including SNS and preference for new content than other generation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the MZ generation and other generations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problem-solving ability, fairness and values, and willingness to take on challen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re must be a uniqueness that distinguishes a specific generation from other generations, and that the basis for that unique characteristic need to be derived through an objective and systematic analysis.

      • KCI등재

        기성세대의 권위주의와 MZ세대에 대한 부정적 태도

        임예지,윤가영,김혜민,박선웅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3 사회과학연구 Vol.62 No.3

        최근 직장 내 기성세대와 MZ세대 간 세대 차이가 커지면서 기성세대의 MZ세대에 대한 부정적 태도가 부각되고 있다. 기존 연구들은 기성세대의 부정적 태도에 대한 원인으로 MZ세대의 독특한 특성에 주목하였다. 이와 달리 본 연구는 기성세대에 초점을 맞추어, 기성세대의 권위주의와 MZ세대에 대한 부정적 태도 간의 관련성과 더불어 부정적 태도를 형성하는 경로를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MZ세대와 같이 근무하는 기성세대 직장인 223명(40∼50대)을 모집했다. 참여자들은 온라인으로 권위주의와 MZ세대의 특성 인식, MZ세대에 대한 태도를 묻는 문항에 응답했다. 연구 결과, 기성세대는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14개의 특성을 기성세대와 구분되는 MZ세대만의 독특한 특성으로 인식했다. 또한, 기성세대의 권위주의는 세대 고정관념 및 협업 회피와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부정적 태도 형성의 메커니즘을 살펴보고자 연속매개 분석을 실시한 결과, 권위주의가 높아질수록 MZ세대에 대한 고정관념은 높아지고 호의적 정서는 낮아졌으며 MZ세대와의 협업을 회피하였다. 반면, 권위주의가 낮아질수록 MZ세대에 대한 고정관념은 낮아지고 호의적 정서는 높아져 MZ세대와 더 많이 교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기성세대의 MZ세대에 대한 부정적 태도의 원인을 기성세대들의 개인차 변인이라는 새로운 관점으로 바라보았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역사문화관광지 관광경험의 MZ세대와 X세대 간 차이 연구

        전현모(Hyeon-Mo Jeon),김현영(Hyun-Young Kim) 국립공원연구원 2023 국립공원연구지 Vol.14 No.1

        본 연구는 국내 역사문화관광지인 경주에서의 관광경험이 세대간(MZ세대/X세대)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았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경험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X세대가 MZ세대보다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미성은 MZ세대와 X세대 모두 관광경험 요인 중 가장 높게 인식하고 있는 요인으로, MZ세대가 X세대보다 경주관광지의 심미성을 더 높게 인식했다. 셋째, X세대보다 MZ세대가 경주 관광을 통해 참신성을 더 높게 인식했다. 마지막으로, 경주 관광을 통해 느끼는 즐거움은 X세대보다 MZ세대가 더 높게 인지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통한 시사점 제시를 통해 엔데믹 시대를 맞이하는 시점에서 세대 간 역사문화관광지에서의 관광경험 차이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역사문화관광산업을 중심 하는 지자체 및 공공기관, 관광산업 관련 운영자에게 적용 가능한 실무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tourism experience in Gyeongju, a domestic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t destination, between generations (MZ generation/ X generation)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X generation had a higher positive perception of the learning experience than the MZ generation. Second, aesthetics are the most recognized factor among tourism experience factors by both the MZ generation and the X generation, and the MZ generation recognized the aesthetics of Gyeongju tourist attractions more than the X generation. Third, in the case of novelty, the MZ generation recognized novelty more through Gyeongju tourism than the X generation. Finally, the enjoyment felt through tourism in Gyeongju was recognized higher by the MZ generation than by the X generation. Through the presentation of implications through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research on differences in tourism experiences in historical and cultural tourism sites between generations, and practical data applicable to local governments, related public institutions, and tourism industry-related operators.

      • KCI등재

        대학생이 인식하는 MZ세대에 관한 연구 : 토론 논제 ‘MZ세대는 예의(禮儀)가 없다’를 중심으로

        정효진 한국소통학회 2024 한국소통학보 Vol.23 No.1

        본 연구는 ‘MZ세대는 예의(禮儀)가 없다’는 사회적 편견을 비판적으로 재검토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D대학 교양교과목인 ‘독서와 토론’ 수강생 117명을 대상으로 논제 ‘MZ세대는 예의(禮儀)가 없다’를 제시하고 토론을 진행했다. 연구 문제는‘MZ세대는 예의(禮儀)가 없다는 논제에 대해 찬반 입장이 어떠한가’, ‘MZ세대는 예의(禮儀)가 없다는 논제의 주요 쟁점은 무엇인가’이다. 연구 결과, ‘MZ세대는 예의(禮儀) 가 없다’는 논제에 대해 반대가 더 많았다. 질적 내용분석을 통해 추출된 주요 쟁점은‘MZ세대의 정의’, ‘예(禮)의 속성’, ‘집단과 개인의 관계’, ‘세대 갈등의 주범’으로 나타났다. 이로써 특정 세대와 관련한 성급한 일반화는 편견과 세대 갈등을 심화시킬 수 있음을 확인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reassess the societal bias that the 'MZ generation lacks etiquette (禮儀).' To achieve this, we presented the topic 'The MZ generation lacks etiquette (禮儀)' to 117 students taking the 'Reading and Discussion' course, a general education course at University D, and conducted discussion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What are the opinions on the thesis that the MZ generation lacks etiquette (禮儀)?', and 'What are the key points of contention regarding the thesis that the MZ generation lacks etiquette (禮儀)?'. The research results there was more opposition to the thesis that the MZ generation lacks etiquette (禮儀). The key issues extracted through qualitative content analysis were 'Definition of the MZ generation,' 'Attributes of etiquette (禮),' 'Relationship between the group and individuals,' and 'Culprits of generational conflicts.' This confirmed that hasty generalizations concerning specific generations can exacerbate biases and generational conflicts.

      • KCI등재

        MZ 세대 공무원의 책임성 인식 연구

        김정인(Jungin Kim) 한국인사행정학회 2023 한국인사행정학회보 Vol.22 No.1

        공무원에게 있어 ‘책임성’은 국가와 국민을 위해 중요하게 함양되어야 할 가치이자 덕목으로 인식되어 왔다. 그러나 최근 들어 공직사회의 주요 인적 구성이 MZ 세대 중심으로 변화하면서, 이전과는 다른 업무가치관과 태도를 지닌 MZ 세대 공무원의 책임성 인식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이 생겨나고 있다. 이와 관련해 본 연구에서는 MZ 세대 공무원의 책임성 인식 수준을 분석하고, 그들의 책임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조직사회화 관점에서 살펴보았다. 또한 조직사회화 전략과 책임성 관계에서 세대 간 조절효과가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한국 중앙행정기관과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을 대상으로 조사한 데이터를 실증분석한 결과, 객관적 책임성과 주관적 책임성 인식 모두 MZ 세대 공무원들이 기성세대 공무원들 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MZ 세대 공무원들의 책임성 증진 방안을 조직사회화 관점에서 분석한 결과, 조직이 그들의 과업숙련도 지원을 강화할 때, 구성원들 간 소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때, 리더가 명확하게 과업을 지시할 때, 조직목표와 가치가 명확할 때 MZ 세대 공무원의 객관적 책임성과 주관적 책임성 인식이 모두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세대에 따른 조직사회화 전략과 책임성 관계 조절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MZ 세대 공무원들의 책임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조직사회화 전략들을 제시하였다. For civil servants, ‘responsibility’ has been recognized as a value and virtue that should be cultivated for the sake of the nation and the people. However, as the main human composition of the public service society has recently changed to MZ generation, there are people who question the sense of responsibility of MZ generation civil servants, who have different work values and attitudes than before. In this regard, our study analyzed the level of awareness of responsibility of MZ generation civil servants, and examin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ir responsibility in term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In addition, our research discussed whether there is a moderating effect of gener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trategy and responsibility of civil servants. As a result of empirical analysis of data surveyed on civil servants of central administrative agencies and local governments in Korea, we found that MZ generation civil servants had lower perceptions of objective and subjective responsibility than older generation civil servants. In addi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ways to increase the responsibility of MZ generation civil servants in terms of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when the organization strengthens support for their task skills, when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is smooth, when the leader clearly instructs tasks, and when organizational goals and values are clear, we found that both objective and subjective responsibility perceptions of MZ generation civil servants increase. In addition, this result found the moderating effect of generat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trategy and responsibility of civil servants. Based on these results, our study suggested organizational socialization strategies that can improve the responsibility of MZ generation civil servants in the future.

      • KCI등재

        생물학과의 통섭을 통한 MZ세대에 대한 이해와 MZ세대 인력운영방안 모색

        박지성,장태수,전상길 한국인사조직학회 2022 인사조직연구 Vol.30 No.3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crease understanding of the MZ generations and to provide direction for the effective and efficient management of the MZ generations in organizations. In particular, this study adopts concepts from biology in order to expand upon explanations for current social phenomena within the workforce. To do this, this paper first reviews previous studies conducted on the MZ generations and summariz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Z generations. Next, in order to apply biology to this discussion, this study summarizes key concepts and assertions from biology including bio-diversity and evolution. This paper then draws ten propositions based on the reviewed studies and biological concepts and proposes effective ways for managing the MZ generations in terms of human resource systems, workforce composition, employee experience, and organization experience. In particular, this study emphasizes alignment between HR (human resource) philosophy, policy, practices, and workforce management, thus creating an intentional employee experience within the organizational context. By combin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with biology, this study expands upon current discussions within the human resource field. Furthermore, this study also creates practical value by suggesting solution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newer generations. Lastly, this study reviews the limitations of this research and provides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본 논문은 오늘날 사회적으로 화두가 되고 있는 MZ세대와 관련된 이해도를 제고하고, 이를 통해 조직이 고민하고 있는 MZ세대 인력운영방안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MZ세대가 조직 구성원으로 진입하고 이들의 영향력이 확대되는 가운데 조직 내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세대 간 충돌 및 협업 현상에 대해 보다 다각적인 설명을 진행하기 위하여 통섭적 측면에서 생물학과의 접목을 시도하였다. 그간 생물학은 인사조직분야와 접목되어 조직이론사에 큰 획을 그은 바 있다. 새로운 세대의 등장이라는 사회현상을 생물학을 도입하여 설명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MZ세대와 관련된 기존 논의들을 살펴보고, 문헌들에서 공통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MZ세대의 특성들을 바탕으로 세대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활용하는 통섭 분야인 생물학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 제고를 위하여 종 다양성을 포함한 생물학 개념 및 주요 주장들에 대해 정리하고 핵심내용들을 제시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 및 MZ세대 특성과 연계된 명제 10가지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본 연구에서는 본격적인 MZ세대 인력운영방안으로 인사체계, 인력구성, 직원경험 및 조직경험 측면에서 고려해야 할 사항들을 제언하였다. 이 과정에서 앞서 도출한 10가지 명제들과 인력운영방안 간 연계도 역시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세대에 대한 이해, 생물학과의 연계, 조직인사 측면에서의 활용 방안 등을 총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인사분야에서 담론의 이론적 외연을 확장하고, 현재 조직들이 고민하고 있는 이슈들에 대해 실용적 가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결론에서는 이러한 학문적․실무적 시사점과 함께 연구 한계 및 향후 방향성에 대해 제시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