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케르테스 임레 소설의 구조적 특징

        유진일(Yoo, Jin-il) 아시아·중동부유럽학회 2006 동유럽발칸학 Vol.8 No.2

        케르테스 임레(Kertész Imre)는 2002년에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유대인 출신 헝가리 작가이다. 노벨 문학상 수상 이전까지만 해도 그의 작품은 헝가리 문학계에 거의 알려지지 않았고 그의 작품에 대한 평가 역시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나 노벨상 수상을 계기로 그의 작품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관심 또한 증가하고 있다. 케르테스 임레의 주요 작품으로는 노벨상 수상작인『운명 없음 Sorstalanság』을 비롯하여, 『좌절 A kudarc』,『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기도 Kaddis a meg nem születettgyermekért』, 『청산 Felszámolás』을 드는데, 이를 흔히『운명 4부작』이라 칭한다. 이 모든 작품들은 케르테스 임레 자신이 15세에 겪었던 아우슈비츠의 경험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 그의 모든 작 품은 아우슈비츠로 시작하여 아우슈비츠로 끝을 맺는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홀로코스트의 상흔은 케르테스의 전 생애를 통해 영향을 미쳤고 그의 작품의 유일한 소재로 자리매김하게 되었다. 케르테스의『운명 4부작』의 소설 구조상의 두드러진 특징은 통시적 특징을 보여주는 순환·반복 구조와 공시적 특징을 보여주는 단절구조이다. 순환·반복 구조는 네 작품 모두에서 찾아 볼 수 있는데 특히 서사(敍事)와 인물의 순환·반복이 눈에 띈다. 특히 1부작 『운명 없음』의 서사적 흐름이 때로는 동일한 내용으로 때로는 변형된 형태로 나머지 세 작품 속에서 끊임없이 반복되어진다. 이러 한 순환·반복은 서로 다른 작품 속에서 뿐만 아니라 한 작품 안에서도 지겨울 정도로 자주 나타난다. 서사의 순환·반복과 더불어 인물의 순환·반복 역시 두드러지는데 제 2부작『좌절』, 제 3부작『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기도』, 제 4부작『청산』에서 현저하게 눈에 띈다. 특히『좌절』과『청산』에서는 한 작품 안에서 주인공의 여러 도플갱어(doppelgänger)들이 동시에 출현하기도 한다. 이러한 복잡한 구조의 순환·반복을 채용한 케르테스 임레의 의도는 유태인으로서의 정체성 혼돈을 해결해 보려는 시도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여러 작품 속에서 주인공의 이름과 아버지의 이름 그리고 심지어는 할아버지 이름까지도 동일한 이름을 부여한 것에서 그의 의도를 엿볼 수 있다. 아무리 노력해 보아도 개선되지 않는 유대인에 대한 유럽인들의 편견, 아무리 시간이 흘러도 정립할 수 없는 자신의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 부재 문제를 ‘순환과 반복’을 통해 되짚어보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순환과 반복’으로 점철되어 온 유대인의 역사와 정체성의 부재, 그리고 자신의 트라우마를 ‘단절’이라는 극단적 방법으로 해결해 보려 한다. 이를 반영한 작품이 제 3부작『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기도』이다. 조물주(造物主)가 인간에게 준 특권이자 의무인 생식(生殖)을 거부함으로써 조물주에게 반항해보려는 케르테스의 울부짖음이 반영된 작품이다. 이를 내포하는 핵심적인 단어 가 ‘아니오’이다. 그러나 유대인으로서의 생식을 거부하는 극단적 결단에도 불구하고 유대인의 재생산과 유대인의 역사는 다른 이를 통해 끊임없이 계속 이어져 나간다. 부정을 의미하는 ‘아니오’ 라는 어휘마저도 작품 속에서 수도 없이 반복되어짐을 통해 이를 나타내고 있다. 이를 인식한 케르테스는 더욱더 극단적인 방법인 ‘자살’을 설정하고 있다. 이를 반영한 작품이 제 4부작『청산』이다. 그러나 그 자살은 자기 존재의 제거가 아닌 자기 자신의 도플갱어를 대신제거하는 방법으로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 문제를 풀어가고 있다. 이는 유대인들의 속죄의식인 번제와 흡사하다. 따라서 아우슈비츠를 통해 인식하기 시작한 유대인으로서의 정체성의 혼돈 문제를 케르테스는 통시적 성격의 ‘순환․ 반복’과 공시적 성격의 ‘단절’ 구조를 통해 해결해 나가고 있다. Imre Kertész is a Jewish-Hungarian author that was awarded the Nobel Prize in Literature 2002. But before winning the Prize, his works were still little known in Hungarian literary circles, much less their evaluation. However, they are now being reappraised and drawing more attention with his reception of the Nobel Prize. His major works are composed of Nobel Prize-winning novel Sorstalanság [Fatelessness], A kudarc[Fiasco], Kaddis a meg nem született gyermekért [Kaddish for an Unborn Child] and Felszámolás [Liquidation], which are often referred to as the Tetralogy of Destiny. These works are all based on the experiences Kertész experienced in Auschwitz when 15 years old. The injury of the Holocaust has so much affected him and functioned as an only material throughout his life that it is not too much to say his every work begins and ends with Auschwitz. Kertész's Tetralogy of Destiny is strikingly characterized by the circular-repetitive and discontinuous structures that show diachronic and synchronic characteristics respectively. The circular-repetitive structure is seen in all of four novels, which especially have narrative and characters circulated and repeated. In particular, the narrative flow of the first work Fatelessness is ceaselessly repeated in the remaining three novels, sometimes in the same contents, sometimes in the transformed form. Such circulation and repetition boringly often appear even in a work as well as in other ones. In addition, the circulation and repetition of characters are also conspicuously visible in the second work Fiasco, the third one Kaddish for an Unborn Child and the forth one Liquidation. Especially, Fiasco and Liquidation show that several doublegangers of a hero emerge at the same time in a work. It seems that Kertész has adopted such complex structure of circulation and repetition with the goal of solving the confusion of identity as a Jew. Through “circulation and repetition”, he reflects on Europeans' prejudices against the Jews that are not improved in any way, and on the absence of identity as a Jew that cannot be settled at any time. After all, Kertész attempts to solve the Jewish history dotted with “circulation and repetition”, the absence of identity, and his own trauma in an extreme way of “discontinuance”. This is reflected in the third work Kaddish for an Unborn Child. The author resists against God by refusing the generative power, both privilege and duty God confers on human beings. “No!” is a core word that implies such resistance. In spite of the extreme decision to boycott generation as a Jew, the reproduction and history of the Jews continue incessantly through other Jews. This is represented by the numerous repetition of even the negative word “No!” in the work. Moreover, Kertész adopts suicide as a much more extreme method in the forth work Liquidation. But he works out the Jewish problem of identity by making suicide eliminate not a hero himself, but his doublegangers. This approach is similar to sacrifice, the Jewish ritual of atonement. Like this, Kertész tries to solve the problem of identity confusion as a Jew, which he began to realize in Auschwitz, through the diachronic structure of “circulation and repetition” and the synchronic one of “discontinuance”.

      • KCI등재

        케르티스 임레(Kertész Imre) 소설의 아이러니 연구

        유진일 한국외국어대학교(글로벌캠퍼스)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6 No.1

        The definitions and techniques of irony have been diversely interpreted in each era. It was a mere rhetorical expressions by Aristotle, but its meaning was expanded to philosophical and literary area by Schlegel Freidrich, who is called as a scholar of irony in the literary era of Romanticism. Since then, the irony became one of the key elements of Romanticism literature, which describes writer's struggles and frustrations as a an effort to find the ideal world. After that, irony occupied key positions in the important literary and philosophical discourses not only in modernism but also in postmodernism. Because self-reflective perspective of irony is a starting point of double visions and double discourses, by which writers and philosophers could show between discontinuation of the past and uncertain future. Like this, the category of irony has been expanded continuously in the area of meaning and the function until to the modern age. Especially, writers also had to undertake assignment to adapt to the social reality which was complex and diverse. As a result, the irony became to surpass the boundaries of rhetoric based duality of meaning and had to play a pivotal role in the work of destruction and creation of writers. We can make sure of the extension of function and meaning of irony in the Imre Kertész’ novels. Imre Kertész wrote Feteless, in which the discrimination for Jews and suffering camp life of the Auschwitz concentration used as a theme, and then he wrote The Failure and Kaddish for an Unborn Child, in which he describes what kind of life was lived in his maturity and old age. In his last work, in Liquidation, he describes the problems, with which he has dealt for all his time and the trauma, which he suffered in Auschwitz as a Jew. In Feteless, the technique of irony by the traditional meaning was used mainly, but in The Failure and Kaddish for an Unborn Child, literary and philosophical discourse was used mainly. The irony of these various techniques constitute the backbone of Imre Kertész’ literature, and these elements are the literary world of Imre Kertész,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holocaust writers. 아이러니는 시대에 따라 그 정의와 기법이 변화를 거듭해 왔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단순한 수사법에 머물러 있던 것이 낭만주의를 거치면서‘아이러니 학자’로 불리는 프리드리히 쉴레겔(Freidrich Schlegel)에 의해 철학적이고 문학적인 의미로 확장되었다. 이때부터 아이러니는 자신을 현실에 속박하는 올무를 벗어버리고 각자의 이상 세계를 찾아가려는 고투와 좌절을 그린다는 낭만주의문학의 핵심적 요소가 되었다. 그 후 낭만주의뿐만 아니라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서도 아이러니는 중요한 문학적, 철학적 담론의 핵심적 위치를 차지하였다. 아이러니의 자아 반영적 시각은 과거와의 단절과 불확실한 미래 사이에서 작가들 ․ 철학자들이 보여주는 이중적 시각, 이중적 담론의 시발점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현대로 오면서 아이러니는 그 의미 영역과 기능이 꾸준히 확장되어왔다. 특히 현대 사회가 복잡하고 다양해지면서 작가 역시 사회현실에 적응해야 하는 과제를 떠안게 되었다. 그 결과 의미의 이중성에 기초한 과거 수사법의 경계를 뛰어 넘어 작가의 파괴와 창조 작업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데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아이러니의 이러한 의미와 기능의 확장은 본고에서 다룬 케르티스 임레의 작품을 통해서도 확인되는 바이다. 케르티스 임레는 자신이 어린 시절에 겪은 유태인에 대한 차별과 아우슈비츠 수용소 생활의 고통을 소재로 『운명 없음』을 발표하였고 이후 청장년과 노년기를 거치면서 어떤 삶을 살아왔는지를 『좌절 』,『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송가』를 통해 발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작품『청산』을 통해 그가 평생 천착해 온 문제, 즉 자신이 유태인으로써 겪어야 했던 아우슈비츠로 인한 트라우마의 청산을 다루고 있다.『운명 없음』에서는 전통적 의미의 아이러니 기법이 주로 적용되었다면『좌절 』,『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송가』, 그리고『청산』에서는 아이러니를 통한 문학적, 철학적 담론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법의 아이러니가 어우러져 케르티스 임레의 문학의 뼈대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바로 다른 홀로코스트 작가들과는 차별화되는 케르티스 임레의 문학세계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성장소설의 관점에서 본 케르티스 임레(Kertesz Imre)의 홀로코스트 문학 -“운명 4부작”을 중심으로

        유진일 ( Jin-il Yoo ) 세계문학비교학회 ( 구 한국세계문학비교학회 ) 2016 世界文學比較硏究 Vol.55 No.-

        2002년도에 노벨문학상을 수상한 헝가리 작가 케르티스 임레(Kertesz Imre)는 15세에 겪은 아우슈비츠의 경험을 바탕으로 평생 홀로코스트 문제에 천작한 작가이다. 그의 대표적인 작품은 ‘운명 4부작’으로 일컬어지는 『운명』(Sorstalansag), 『좌절』(Kudarc), 『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기도』(Kaddis meg nem szuletett gyermekert), 『청산』(Felszamolas)인데 이 작품들은 1년간의 아우슈비츠의 경험과 그로 인한 트라우마를 가지고 살아가는 주인공의 험난한 삶의 여정을 그린 작가의 자전적 소설이다. 아우슈비츠를 소재로 한 그의 작품들에 관한 기존 연구는 소설의 구조와 문학적 기법, 그리고 작품의 특징의 관점에서 기존 홀로코스트 작품들과의 차별성에 바탕을 둔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본 논문에서는 케르티스 임레의 대표적인 홀로코스트 작품들을 기존에 다루지 않았던 성장소설의 관점에서 분석해 보았다. ‘운명 4부작’을 칼 모르겐슈테른의 이론에 따라 성장소설의 관점에서 분석해 본 결과 제1부작 『운명』은 자아 정체성의 부재 - 시련 - 자아 정체성의 인식이라는 전형적인 성장소설의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나머지 세 작품 역시 주인공이 청소년이 아니기 때문에 성장소설로 볼 수는 없지만 주인공의 유대인으로서의 자아 정체성의 인식 과정을 볼 때 성장소설의 서사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따라서 케르티스 임레의 대표적인 홀로코스트 작품 ‘운명 4부작’ 중 1부작『운명』은 독립적인 성장소설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그와 동시에 전체 4개의 작품 역시 하나의 성장 소설적 구조를 가진 이중 구조를 형성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Kertesz Imre, a Hungarian Nobel Prize winner in Literature 2002 has delved into the Holocaust since he experienced Auschwitz at the age of 14 years. His so-called Tetralogy of Fate, which consists of Sorstalansag (Fatelessness), Kudarc (Fiasco), Kaddis meg nem szuletett gyermekert (Kaddish for an Unborn Child), and Felszamolas (Liquidation), is a series of autobiographic novels that depict the writer``s Auschwitz experiences and rough and rugged paths of life with the ensuing trauma. The preceding studies focused on the narrative structures and techniques of his Auschwitz works as well as their differences from the existing Holocaust works in terms of features. The present study analyzed Kertesz``s Holocaust tetralogy in terms of Karl Morgenstern``s Bildungsroman theory that did not apply to the existing studies.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first work Fatelessness has a typical narrative structure of lack of self-identity-ordeal-establishment of self-identity. Having no juvenile protagonist, the remaining three works cannot be seen as Bildungsromans, but have Bildungroman``s narrative structures, given the protagonists`` processes of recognizing self-identity as Jews. The tetralogy``s first work has an independent Bildungsroman structure, while the whole four works also have a Bildungsroman structure. Therefore, the tetralogy constitutes a dual Bildungsroman structure.

      • KCI등재

        케르티스 임레(Kertész Imre) 소설의 아이러니 연구

        유진일(Yoo, Jin-il) 한국외국어대학교 동유럽발칸연구소 2011 동유럽발칸연구 Vol.26 No.1

        아이러니는 시대에 따라 그 정의와 기법이 변화를 거듭해 왔다. 아리스토텔레스에 의해 단순한 수사법에 머물러 있던 것이 낭만주의를 거치면서‘아이러니 학자’로 불리는 프리드리히 쉴레겔(Freidrich Schlegel)에 의해 철학적이고 문학적인 의미로 확장되었다. 이때부터 아이러니는 자신을 현실에 속박하는 올무를 벗어버리고 각자의 이상세계를 찾아가려는 고투와 좌절을 그린다는 낭만주의문학의 핵심적 요소가 되었다. 그 후 낭만주의뿐만 아니라 모더니즘과 포스트모더니즘에서도 아이러니는 중요한 문학적, 철학적 담론의 핵심적 위치를 차지하였다. 아이러니의 자아 반영적 시각은 과거와의 단절과 불확실한 미래 사이에서 작가들 ․ 철학자들이 보여주는 이중적 시각, 이중적 담론의 시발점이기 때문이다. 이처럼 현대로 오면서 아이러니는 그 의미 영역과 기능이 꾸준히 확장되어왔다. 특히 현대 사회가 복잡하고 다양해지면서 작가 역시 사회현실에 적응해야 하는 과제를 떠안게 되었다. 그결과 의미의 이중성에 기초한 과거 수사법의 경계를 뛰어 넘어 작가의 파괴와 창조 작업의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데에까지 이르게 되었다. 아이러니의 이러한 의미와 기능의 확장은 본고에서 다룬 케르티스 임레의 작품을 통해서도 확인되는 바이다. 케르티스 임레는 자신이 어린시절에 겪은 유태인에 대한 차별과 아우슈비츠 수용소 생활의 고통을 소재로 『운명 없음』을 발표하였고 이후 청장년과 노년기를 거치면서 어떤 삶을 살아왔는지를 『좌절』,『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송가』를 통해 발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 작품『청산』을 통해 그가 평생 천착해 온 문제, 즉 자신이 유태인으로써 겪어야 했던 아우슈비츠로 인한 트라우마의 청산을 다루고 있다.『운명 없음』에서는 전통적 의미의 아이러니 기법이 주로 적용되었다면『좌절』,『태어나지 않은 아이를 위한 송가』, 그리고『청산』에서는 아이러니를 통한 문학적, 철학적 담론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다양한 기법의 아이러니가 어우러져 케르티스 임레의 문학의 뼈대를 구성하고 있으며 이러한 요소들이 바로 다른 홀로코스트 작가들과는 차별화되는 케르티스 임레의 문학세계라고 할 수 있다. The definitions and techniques of irony have been diversely interpreted in each era. It was a mere rhetorical expressions by Aristotle, but its meaning was expanded to philosophical and literary area by Schlegel Freidrich, who is called as a scholar of irony in the literary era of Romanticism. Since then, the irony became one of the key elements of Romanticism literature, which describes writer's struggles and frustrations as a an effort to find the ideal world. After that, irony occupied key positions in the important literary and philosophical discourses not only in modernism but also in postmodernism. Because self-reflective perspective of irony is a starting point of double visions and double discourses, by which writers and philosophers could show between discontinuation of the past and uncertain future. Like this, the category of irony has been expanded continuously in the area of meaning and the function until to the modern age. Especially, writers also had to undertake assignment to adapt to the social reality which was complex and diverse. As a result, the irony became to surpass the boundaries of rhetoric based duality of meaning and had to play a pivotal role in the work of destruction and creation of writers. We can make sure of the extension of function and meaning of irony in the Imre Kertész' novels. Imre Kertész wrote Feteless, in which the discrimination for Jews and suffering camp life of the Auschwitz concentration used as a theme, and then he wrote The Failure and Kaddish for an Unborn Child, in which he describes what kind of life was lived in his maturity and old age. In his last work, in Liquidation, he describes the problems, with which he has dealt for all his time and the trauma, which he suffered in Auschwitz as a Jew. In Feteless, the technique of irony by the traditional meaning was used mainly, but in The Failure and Kaddish for an Unborn Child, literary and philosophical discourse was used mainly. The irony of these various techniques constitute the backbone of Imre Kertész' literature, and these elements are the literary world of Imre Kertész, which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holocaust wri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