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 4·3평화공원에 새겨진 ‘뒤엉킨 권력’의 흔적

        홍순용,육영수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15 중앙사론 Vol.0 No.42

        Jeju 4·3 Peace Park is the conclusion place for the resolution project of the Jeju 4·3 Incident with a governmental initiative since Kim Dae Jung regime. And it is the combined outcome of ‘making of 4·3 memory’ together with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representatives of military and police, 4·3 families of the deceased, 4·3 movement groups, and so on. This means that competing traces among various powers that participated in the development and operation of 4·3 Peace Park remained in the space. Hence, 4·3 Peace Park exhibits the memories of 4·3 to demonstrate the ‘history of 4·3 resolution’ together driven since the government of the people. The scenery of the external space in 4·3 Peace Park reflects the changes of 4·3 arguments upon the regime and the traces of powers back and forth according to their changes. In addition, the permanent exhibition hall within 4·3 Peace Park is the place to be materialized by the issues related to 4·3. 4·3 movement groups that participated in the foundation of permanent exhibition hall tried to fill in the place of the silence in which Fact-finding report on the Jeju 4·3 Incident could not expose. However, this had been divided by two trials. One was the trial to criticize the fact that positivism historical view of one journalist to collect the facts on 4·3 Incident for more than 20 years and to follow the truth was missing, and the other was the trial of structuralism historical view to criticize the fact that the governmental fact finding excluded another leading part, armed group from the incident. The fierce history writing war between these two historical views resulted in the form of ‘entangled’ at the permanent exhibition hall in Peace Park. In this article, the space of Jeju 4·3 Peace Park was analyzed in view of ‘past liquidation on 4·3 Incident and peaceful history making’ rather than finding the truth of Jeju 4·3 Incident.

      • KCI등재후보

        Value of Jeju 4.3 Victims’ Record as UNESCO Memory of the World1

        박찬식 세계섬학회 2021 World Environment and Island Studies Vol.11 No.2

        The April 3 victim records are a collective history of victims, including the background of the incident, the history of the victims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the truth and restoring honor,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April 3 Special Act and resolving civil-private cooperation. The Jeju 4.3 Incident occurred on Jeju Island, a small South Korean island ruled by U.S. Government amid the global Cold War and the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after World War II was the second most serious casualty in modern Korean history. Of the island's total population of 280,000, between 25,000 and 30,000 were found to have been killed. Nevertheless, 50 years after the incident, no specific and comprehensive fact-finding has been made, and the truth and justice have been concealed. Since the late 1980s, the damage has gradually begun to be revealed as a fierce campaign to reveal the truth of Jeju civil society, including bereaved families, students, civic groups, media, cultural circles, and academic circles. On January 12, 2000, the Jeju April 3 Incident Truth and Victim Honor Recovery Committee was launched with the enactment of the "Special Act on the Truth and Restoration of Victims". The findings were announced at the time Roh Moo-hyun, the Korean President to visit Jeju Island at a “In the past power of the state of sympathy and heartfelt apology to family and the Jeju for a mistake to say.” and came to a formal apology. In addition, the government has taken steps to overcome past tragedies and move toward the future, including the creation of Jeju April·3 Peace Park in 2003, the establishment of Jeju April ·3 Peace Foundation in 2008, the designation of national anniversaries by the government in 2012, and the declaration of formalization between the bereaved families. The April 3 victim records are a collective history of victims, including the background of the incident, the history of the victims in the process of investigating the truth and restoring honor,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April 3 Special Act and resolving civil-private cooperation

      • KCI등재

        전장(戰場)이 된 제주4·3평화공원

        김민환(Kim, Minhwan) 비판사회학회 2014 경제와 사회 Vol.- No.102

        제주4·3사건 ‘해결’을 위한 첫 번째 단락 -희생자들의 무고한 희생을 인정하는 것 -을 마무리하고 두 번째 단락 -역사적 의미를 부여하는 것 -을 시작해야 하는 이중적 과제를 앞에 두고 이 논문에서 시도하고자 하는 것은, 첫 번째 단락의 모든 갈등과 타협이 응축되어 있는 제주4·3평화공원의 형성과정을 좀 더 세밀하게 살펴보는 것이다. 이 작업은 한편으로 첫 번째 단락의 성과와 한계를 평가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다른 한편으로 두 번째 단락에서 예상되는 갈등지점들을 미리 정리하는 의의를 갖는다. 제주4·3사건에 대한 해석은 크게 3가지로 정리될 수 있다. 첫째, 미국과 지배세력의 해석인 ‘폭동론’이며, 둘째, 다양하게 분화된 ‘항쟁론’이며, 셋째, ‘양민학살론’에서 출발해서 ‘국가폭력론’으로 이어진 해석이다. 제주4·3사건 해결을 위한 초기 단계에서 ‘항쟁론’ 및 ‘양민학살론(국가폭력론)’은 ‘폭동론’에 대항해서 강한 연대를 형성했다. 그러나, 법적·제도적으로 4·3사건의 해결이 모색됨에 따라 ‘국가폭력론’은 ‘항쟁론’과 분리되기 시작했다. 특히 제주4·3평화공원의 형성과정에서는 이 두 입장 간의 첨예한 갈등이 있었다. 비록 ‘국가폭력론’과 ‘항쟁론’의 갈등이 표면화되긴 했지만, 궁극적으로 이 두 입장의 갈등은 ‘폭동론’에 의해 구조적으로 매개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점을 강조하기 위해 ‘폭동론’의 ‘아른거림(absent presence)’이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In the ‘resolution’ of the Jeju April 3rd Incident, we are drawing an end to the first phase?acknowledging the innocent deaths incurred by the incident ? and entering the second phase of imbuing these deaths with historical significance. This paper aims to closely examine the formation of the Jeju April 3rd Peace Park as the culmination of all the conflicts and compromises of the first phase. On one hand, this paper concerns the evaluation of the successes and the limits of the first phase, and, on the other hand, it aims to settle prospective points of contention within the second phase. Existing literature on the Jeju April 3rd Incident can be largely understood through the three following interpretation. First is the ‘Riot interpretation’ of the US and the ruling parties, second is the varied and divided ‘Uprising interpretation’, and the third is the ‘State Violence interpretation’, which traces its roots from earlier theories like the ‘Genocide interpretation’. In the earlier stages of April 3rd resolution, proponents of the ‘Uprising interpretation’ and the ‘Genocide interpretation(State Violence interpretation)’ formed a powerful coalition against the ‘Riot interpretation’. As legislative and governmental solutions for April 3rd began to arise, however, ‘State Violence interpretation’ began to part ways with ‘Uprising interpretation’, and conflicts between the two sides became especially acute during the formation of the April 3rd Peace Park. The author argues that although it was the conflict between the ‘State Violence interpretation’ and ‘Uprising interpretation’ that surfaced, this conflict was, in fact, structurally mediated through the ‘Riot interpretation’. To emphasize this point, the author introduces in this paper the notion of the ‘absent presence’ of the ‘Riot interpretation’.

      • KCI등재후보

        역사적 기억의 덧쓰기(palimpsest)에 대한 국면사적 접근

        전희진(Heejin Jun),박광형 한양대학교 평화연구소 2016 문화와 정치 Vol.3 No.1

        용산 전쟁기념관과 제주 4.3 평화공원은 비슷한 시기에 서로 연관되어 벌어진 역사적 사건들, 즉 한국전쟁(1950-1953)과 제주 4.3 사건(1948-1953)을 기억한다는 취지로 건립된 곳이다. 이 두 개의 기념관은 상당한 유사성을 보이고 있으면서도 서울과 제주라는 지리적 거리만큼이나 잘 어울리지 않는다. 전쟁기념관과 제주 4.3 평화공원은 역사적 사건에 대한 해석, 기억, 재구성 등에 있어서 어떠한 유사성과 대비를 보이는가? 이러한 유사성과 대비가 공존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이 연구는 두 기념물이 보이는 유사성과 긴장을 서로 다른 시간성(혹은 역사적 맥락)의 교차라는 개념을 통해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이다. 공적기념물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대개 그 기념물이 전하는 “핵심적” 의미를 부각할 수 있는 하나의 역사적 맥락에 집중하였다면 이 연구는 다양한 역사적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는 다양한 의미를 가진 행위들(practices)이 덧씌워진 공간으로서 공적 기념물에 접근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인다. 이를 통해 공적 기념물이 가지고 있는 내재적 긴장과 비일관성을 당연한 것으로 보고 역사적 기억은 항상 경합과 갈등을 낳을 수 있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some characteristics related to representations of the collective historical memories with a comparative study of the War Memorial of Korea(WMK) and Jeju 4.3 Peace Park. In this study, it is asked why the representations of war memories in the WMK and Peace Park are simultaneously similar and contrasted. Existing scholarly works on these public memorials largely overlook many relevant aspects such as historical evolution of war memorial construction other than the historically specific experience of the South Korean democratic transition. This study hopes to overcome this limit by introducing recently developed conjunctural approach of historical sociology. In doing so, it is expected to highlight the palimpsest practices of spatial organization in the processes of collective representation of war.

      • KCI등재
      • KCI등재

        연구논문 : 다크투어리즘의 스토리텔링 요소에 관한 연구 -제주 4.3평화공원을 중심으로-

        장혜원 ( Hye Won Jang ) 대한관광경영학회 2012 觀光硏究 Vol.27 No.1

        본 연구는 다크투어리즘의 스토리텔링 요소가 방문만족 및 재방문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여, 향후 다크투어리즘의 활성화를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먼저 다크투어리즘으로서 제주 4.3평화공원을 대상으로 전시프로그램의 스토리텔링 요소 즉, 주제성, 교육성, 체험성을 도출하였다. 다음으로 다크투어리즘의 스토리텔링요소와 공원에 대한 만족과의 관계검증을 실시하였는데, 검증결과 체험성, 주제성, 교육성 순서로 공원 만족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스토리텔링요소와 공원의 재방문의도와의 관계검증에서는 체험성과 교육성은 공원의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지만 주제성은 강한 부(-)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공원의 방문만족과 재방문의도와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는데, 검증결과 만족감은 재방문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는 스토리텔링을 다크투어리즘에 적용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수요자 측면에서 포괄적으로 접근된 마케팅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데 의미를 갖는다. The present research aims to understand the effect of storytelling attributes on visit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in the JeJu April 3rd Peace Park as Dark Tourism. As such, we sought to identify the dimensions of storytelling attributes and in turn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torytelling attributes, visit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An extensive review of the previous literature and empirical research were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was based on 275 responses. We tested the three attributes of theme, leaning, and experience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found that these three attributes had significant effects on both visit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While both leaning and experience dimension positively affect revisit intention, theme had a negative effect. We also foun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visit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Finally, we provided some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marketing implic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 KCI등재

        다크투어리즘 참가자의 방문동기 - 제주 4.3평화공원 방문 지역주민과 관광객의 비교 -

        장혜원,김태훈,정철 한국관광학회 2011 관광학연구 Vol.35 No.6

        This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of motivational characteristics between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who visited JeJu April 3rd Peace Park, which a Korean dark tourism destination. Data were conveniently collected from 288 visitors at the park from December 2009 to April 2010. Based on the review of related literature 22 items of dark tourism motivation were developed. Results of a factor analysis yielded five factors of dark motivations(i.e., historicity, escape from everyday life, family and social togetherness, education, and attractiveness of the site). Results also indicated tha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sidents and tourists in terms of their motivations to visit the park. Specifically, in terms of historicity and education motivation, tourist had significant higher motivations than the local residents had. In contrast, in terms of escape from everyday life and family/social togetherness, and attractiveness of the site, the residents had higher motivations than the tourists had.

      • KCI등재

        다크투어리즘 참가자의 환경지각에 관한 연구 - 제주 4. 3평화공원을 대상으로 -

        장혜원,최병길,송재호 한국관광학회 2012 관광학연구 Vol.36 No.9

        This study aims to understand participant’s Environmental Psychology on Dark Tourism. As such, we sought to identify the dimensions of environmental perception and in-turn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perception, flow, visiting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n extensive review of previous literature and empirical research were conducted. The empirical analysis was based on 275 responses. We tested the two-factors of cognitional perception and emotional perception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and found that cognitional perception factor has significant effects on visiting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Further, visitor satisfaction has significant effects on recommendation intention. While emotional perception factor did not make significant effect on visiting satisfaction and recommendation intention. Also, both cognitional perception and emotional perception had significant effect flow.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1) Flow is important role of relationship quality with dark tourism environmental and tourist; and 2) Cognitive perception is deeply involve in the sustainability of dark tourism.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based on these findings are enclosed. 본 연구는 다크투어리즘 환경에서 방문객의 지각과 만족 그리고 추천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와 함께, 매개변수로서 몰입의 영향력 검증을 목적으로 하였다. 다크투어리즘의 지속가능성을 위하여 환경심리학적인 관점에서 관광자의 환경심리를 이해하고자 수행되었다. 다크투어리즘의 환경지각을 인지적 지각과 정서적 지각으로 구분하여, 방문만족과 추천의도 그리고 이들 변수들을 촉진하는 몰입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적 지각은 방문만족, 추천의도 그리고 몰입에 모두 정의 영향관계로서 유의미하였다. 반면 정서적 지각은 방문만족, 추천의도 모두 무의미하였으며, 단지 몰입에만 정의 영향관계가 나타났다. 그리고 방문만족은 추천의도에 정의영향관계를 보였다. 한편 몰입은 방문만족과 추천의도 모두 정의 영향관계를 보이는 등 환경지각에서 중요성이 드러나 추가적으로 직ㆍ간접 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검증결과 인지적 지각에서 몰입을 매개로한 간접효과로서 더 기여하고 있었으며, 정서적 지각에서도 몰입에 의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또한 몰입은 추천의도에도 직접효과로서 더 기여하고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은 몰입과 인지적 지각의 중요성으로, 몰입은 다크투어리즘 환경과 관광자와의 관계품질을 결정짓는데 핵심적 역할을 하며, 인지적 지각은 다크투어리즘의 지속성에 깊게 관여한다는 사실이다. 이는 다크투어리즘의 윤리적 딜레마의 간격으로 관광자의 죽음에 대한 호기심(Stone & Sharpley, 2008)이 영적인 관광활동으로의 정당화에 우선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향후 다크투어리즘의 지속성은 관광자의 순례자로서의 정당성을 어떻게 충족시키느냐에 따라 그 가치가 결정될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 KCI등재

        다크투어리즘 유산의 현황과 활용에 관한 연구 -제주 4·3 유적지 구성요소를 중심으로-

        김홍길 ( Kim Hong-kil ) 한국사진지리학회 2021 한국사진지리학회지 Vol.31 No.4

        본 논문은 제주 역사를 돌아보는 다크투어유산과 흔적이 투영된 제주지역에 대한 현장연구이다. 제주 4·3 사건은 경찰 탄압에 대한 저항과 단독 선거, 단독 정부 반대를 기치로 발생한 무력충돌과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으로 73주년을 맞이하였다. 천혜의 자연을 품고 있는 평화로움의 상징인 제주이지만 제주 4·3 유적지를 비롯해 수많은 다크투어 유적지가 존재하고 있다. 역사라는 이름 아래 왜곡되거나 소외되었던 개개인의 삶을 조명하고, 과거에 발생한 역사적 사건을 바르게 알리고 전승하는 것이 필요하다. 다크투어는 지난 20여 년간 국내·외 역사 관광의 일환으로 꾸준히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체계적인 이론적 기반이 부족한 채로 사례 위주의 연구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제주 4·3 사건에 대한 다크투어는 역사적 사건과 함께 짚어보는 시간 속에서 죽음을 받아들이는 하나의 비극의 형태로서 지난 2003년 노무현 정부에서 제주 4·3 사건을 ‘단독정부 수립 반대와 연계된 남로당 제주도당의 무장봉기가 있었고, 이를 진압하는 과정에서 무고한 주민들이 희생된 사건’으로 정의한 이후 이번 정부에서는 제주 4·3 특별법 개정안이 통과되었다. 재해나 대참사의 뒤에 부흥하는 지역 관광산업을 돕는 반발력의 구조가 될 수 있는 계기로 가슴 아픈 제주 역사를 돌아보는 제주다크투어 유적지가 체계적으로 관리되고 보전되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is an on-site study of the Jeju area, which reflects the dark tour heritage and traces of Jeju history. The Jeju 4·3 incident marked the 73rd anniversary of the incident in which residents were sacrificed during armed clashes and suppression under the banner of resistance to police oppression, independent elections, and opposition to the dictatorship. Jeju Island, which is a symbol of peace with natural nature, is sure to be Korea’s representative tourist destination. There are many dark tour sites including the Jeju 4·3 site, but it is first necessary to illuminate the lives of individuals who have been distorted or alienated under the name of history, inform the true historical events of the past, and transfer memories. These dark tours have been steadily researching domestic and foreign historical tourism for the past two decades, but with a lack of systematic theoretical foundation, most of them are case-type-oriented studies. After defining the 4·3 case adopted by the Roh Moo-hyun administration in 2003 as ‘there was an armed uprising by the Jeju Do Party of the Namro Party in connection with opposition to the dictatorship, and innocent residents were sacrificed at the same time’, the amendment to the Jeju 4·3 Special Act was passed. The Jeju Dark Tour site, which looks back on the painful history o f Jeju, should be systematically p reserved and accurately guided. A s tudy t hat discusses that the dark tour of the Jeju 4·3 Incident can be a structure of repulsion to help the local tourism industry reviving after a disaster or catastrophe as a form of tragedy that accepts death in the time looking at it with historical ev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