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평> The Japanese Translations of the Hebrew Bible: History, Inventory and Analysis (Doron B. Cohen, Leiden: Brill, 2013)

        장석정 (재)대한성서공회 성경원문연구소 2022 성경원문연구 Vol.- No.50

        The Japanese Translation of the Hebrew Bible: History, Inventory and Analysis (Leiden: Brill, 2013) is the first of its kind, that is, the first English scholarly book focusing on the history of translating the Hebrew Bible into the Japanese language. It compares and analyzes 12 full translations (A-1…A-12), 16 partial translations (B-1…B-16), 13 fragmentary translations (C-1…C-13), and 6 further editions of the Bible (D-1…D-6). The book consists of two main parts: part one (History and Inventory) and part two (Analysis and Translated Verses). Part one has three chapters. Chapter 1 is introduction which deals with The Bible in Japan (1.1), Christianity in Japan (1.2), Translation (1.3), and Scope and Method (1.4). Chapter 2 talks about a historical review of Bible translation according to several periods: the Kirishitan Period (2.1), the Bible in China (2.2), the 19th Century and Early Meiji (2.3), from Late Meiji until World War II (2.4), and the Post-World War II Period (2.5). And Chapter 3 introduces various kinds of Japanese Bible in four categories: full translations (3.1), partial translations in book form (3.2), fragmentary translations, early digests and partial translation in magazines (3.3), and some further editions of the Bible, using previous translations (3.4). Part two has four chapters. Chapter 4 focuses its study on Deuteronomy 32:8-9, and compares and analyzes 12 different full Japanese translations. In each translation, the author gives a Japanese translation of two verses and their transliteration. However, he does not give the English translation of the given Japanese translation of the verses. Unless the reader is fluent in Japanese, he/she could not understand what the Japanese translation means. With only the Japanese verses and their transliteration, the readers are unable to see what the author explicates.

      • KCI등재

        근대 일본의 영어 번역론 연구 -다카하시 고로(高橋五郎)의 『영문역해법』(英文譯解法)을 중심으로-

        김성은 ( Kim Sung-eun ) 한국일본근대학회 2019 일본근대학연구 Vol.0 No.63

        본고에서는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다카하시 고로의 영어학자로서의 활동에 주목하여 그의 저역서를 분석했다. 본고의 분석을 통해 다카하시 고로가 근대 일본에 뿌리내릴 수 있는 영어 번역법을 모색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는 근대 일본에서 일본어 문장을 망치는 오역이라고 비난받고 있었던 무리한 직역을 비판하면서 『영문역해법』에서 직역을 새롭게 정의하고자 했다. 그에게 이상적인 직역이란 원문에 충실하면서도 일본어로 자연스러운 번역문이었다. 다카하시가 직역을 최상의 번역법으로 주장했던 배경에는 성서번역 경험에 기초한 번역관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있었으며 번역을 통해 근대 일본어를 창출하고자 한 의도도 살펴볼 수 있었다. 그는 원문에 대한 충실함과 일본어로서의 자연스러움을 자신의 가톨릭 성서 『성복음서』 상하권의 번역과정에서 실천하면서 사전과 문법에 기초한 직역의 모범을 제시한 선구자로 평가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article attempts to analyze Takahashi Goro’s translation method with a special focus on his achievement as an linguist of English. The analysi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he sought to explore an effective translation method which could lay the foundations for English-Japanese translation in modern Japan. He criticized the traditional word for word translation method for its mistranslation which could undermine Japanese sentences and redefined the meaning of literal translation in his work “How to Properly Translate English into Japanese.” From his perspective, an ideal translation is the one that is faithful to the original texts and at the same time is natural in Japanese. His claim that such literal translation is the best strategy is rooted in his experiences of translating the Bible into Japanese and reflects his desire to establish the prototype of modern Japanese through translation. He can be evaluated as a pioneer in the field of translation who presented a model of literal translation on the basis of dictionary and grammar usage which emphasizes the faithfulness of the original text and the naturalness of the Japanese language. He embodied such important qualities of literal translation in the process of translating Catholic bibles Seihukuinsho I and II into Japanese.

      • KCI등재

        현철의 번역 희곡 「바다로 가는 자(者)들」과 일본어 번역 저본 -일본어 번역을 통한 "중역"의 양상

        권정희 ( Jung Hee Kwon ) 한국비교문학회 2016 比較文學 Vol.0 No.69

        이 글은 현철의 번역 희곡 「바다로 가는 者들」 (1922)이 구스야마 마사오(楠山正雄)의 일본어 번역 「바다로 타고 들어가는 자들(海へ乘り入るもの等)」(1920)을 저본으로 한 것임을 논증한다. 즉 「바다로 가는 者들」 은 중역의 산물인 것이다. 싱(J. M. Synge)의 "Riders to the Sea"의 한국어 번역 「바다로 가는 者들」 은 아일랜드 영어 원작이 아니라 일본어 번역을 저본으로 한 번역이라는 논의를 전개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1914-1920년에 걸쳐 발간된 다수의 일본어 번역 가운데 구스야마 마사오의 번역 저본 선택의 구체적 근거를, 번역자의 생애 및 잡지 매체 등 미디어의 관계에서 살폈다. 또한 『개벽』의 특집 ``해외걸작명편부록``에 수록된 한국어 번역 현황 전반을 검토하면서 새롭게 일부 일본어 번역의 저본을 추가했다. 나아가, 원작과 다양한 일본어 번역과 「바다로 가는 者들」을 비교함으로써 저본을 확정하고 번역 경위를 추적함으로써 한국어 번역의 특질과 번역 태도를 탐색했다. 이러한 비교 연구의 기반 위에서 한국어 번역을 ``Scene`` ``God``등 근대의 번역어 및 희곡 번역 문학사의 흐름에서 그 의의를 규명했다. 이러한 분석을 통해, 본 논고는 ``중역``의 문제를 원작(Original) 의 번역에서 매개가 되었던 일본어 저본을 해명하는 단계로 진척시킨 성과를 제출했다. 번역의 문제에 미디어의 시각을 관련시킨 결과인 것이다. This paper proves that Hyun chul``s translation of a Drama "Badaro Ganeun Jadeul"(1922) was translated using the Japanese translation, "Umihe Norihairumonora"(1920) by Kusuyama Masao as its source text. Therefore, "Badaro Ganeun Jadeul" is the product of a double-translation. This article developed and tested the idea that the korean translated Drama of "Riders to the Sea", “Badaro Ganeun Jadeul” was translated from a Japanese Source text, not from and not the original Irish English work written by J.M.Synge. To prove the premise, this paper has examined the specific grounds for the Korean translator``s selection of Kusuyama Masao``s Japanese translation version among various Japanese translations published from 1914 to the 1920, in relation to studying the translator``s life and state of the media in the early 1920s. Moreover, in addition this article has newly disclosed part of the Japanese source texts while reviewing the whole Korean translations contained in the supplementary foreign masterpiece choices as a feature in journal Gae Byok. Furthermore, this paper has analyzed the translation attitude and the traits of Korean translation by tracing the course of translation which has eventually determined the Japanese translation source text by comparing the original Irish English text, "Riders to the Sea" with its various Japanese translations and "Badaro Ganeun Jadeul". Based on such a comparative study, this article has clarified the significance of the Korean translation in terms of modern translated words, such as ‘Scene’, ‘God’ and so on and in the stream of the literary history of drama translation. Through these analysis, this paper has been submitted an accomplishment in the problem of ``Double-translation`` up to the level of resolution the Japanese translation source text which served acted as a medium in translating the original text. This was resulted from relating the matter of translation in the point of view of media as a medium for transmission.

      • KCI등재

        일본문화의 한국어 번역 양상 -일한번역소설 및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일한번역을 중심으로-

        윤호숙 ( Ho Sook Youn ) 한국일어교육학회 2014 일본어교육연구 Vol.0 No.28

        2000년대에 들어 무라카미 하루키, 요시모토 바나나 등의 작품이 베스트셀러에 올랐는데 이렇듯 매년 출판되는 번역서의 추이를 보면 번역의 중요성을 간과할 수 없을 거라 생각한다. 이와 같은 분위기로 인해 최근 일한번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번역교육과정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며, 번역이라는 용어가 외국어학습과정에서도 쓰이기 시작하였다. 본고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해 번역의 개념과 방법에 대해 개관하고 일한번역소설과 한국인 일본어학습자의 일본문화 관련 번역문을 비교 고찰하였다. 그 결과 일한번역소설의 경우 역주가 많았는데 특히 설명이 장황하거나 정확하지 않아 이해하기 어려운 것과 일본어를 그대로 한국어로 표기하거나 한국어 식 일본어가 상당수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의 번역문에는 이와 같은 양상이 더욱 심하게 나타났는데 심지어 의미상 잘못된 번역과 잘못된 표기 등도 많았고 사전식 번역 등 오역도 많이 보였다. 어떤 번역이 잘 한 것인지 단언하기는 어려우나 직역이나 초역을 자제하고 의미가 통하도록 가능한 자연스러운 한국어로 정확히 번역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정확한 번역을 위해서는 일본어교육현장에서도 번역에 관한 지도가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In 2000s, Murakami Haruki or Yoshimoto Banana`s publications were on the bestseller list. Increasing of published-translation books in every year cannot overlook the importance of translation. In this atmosphere, the growing trend of translation becomes higher and the word ‘translation’ generally used in foreign language training courses. In this piece of writing, we compare and examine the concept and way of translation, and study the difference between Japanese Korean translation novel and Korean Japanese learner whether how they see the translation of Japanese culture translation. As a result, Japanese Korean translation novel has lots of annotations especially when the explanation is not understandable or redundant, they just write Japanese word to Korean or the ‘Korean-style Japanese’ are used frequently. This aspect is highly used in learner`s translation. They use semantically incorrect translation or incorrect dictionary translations. We cannot assure that which translation is better, but it is good to refrain from word for-word translation or an abridged translation. The natural Korean translation can be desirable. At last, in order to translate to the exact translation of Japanese education should systematically concern about the instruction.

      • KCI등재

        「메밀꽃 필 무렵」의 일본어역 연구

        이부용(Lee, Buyong) 한국외국어대학교 외국문학연구소 2018 외국문학연구 Vol.- No.70

        1936년 『조광』지에 발표된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은 1940년 일본어로 번역되어 『조선문학선집』(T1)으로 출판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작가자역으로 표기된 T1을 『조선단편소설선』(T2),『일제시대민족문학대역선』(T3)에 실린 「메밀꽃 필 무렵」의 일본어역과 지역원형어를 중심으로 비교 고찰했다. 그 결과 T1은 지역원형을 이루는 민속적 어휘의 지칭 범주를 축소시키고, 고유명사에 한자를 추가적으로 부여하며, 등장인물 ‘동이’의 젊음을 강조하고, 소설 전체의 시간적 배경을 조정하는 등 일본어권 독자들에게 이해하기 쉬운 형식으로 변형되어 있음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지배・피지배라는 정치적 위계가 존재하는 두 언어권의 접촉 공간에서 수행된 T1은 목표어에 기울어져 있으며, 지역원형어의 굴절된 번역은 식민지 시기 문학공간 자체의 불균형적 구조를 반영하고 있다. 일본어권 독자의 이국주의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배경 속에서 등가물로 번역될 수 없는 지역원형어는 「메밀꽃 필 무렵」이 두 문화권이 격돌하는 긴장된 지점에 서 있음을 방증한다. 아울러 그 원인이 작가의 일본문단으로의 진출 및 일본 독자의 확보에 있었다는 점을 추정해 보면 일본어역 검토 결과는 원작의 새로운 평가로 환원될 수 있다. 본 작품은 일본에 결코 동화되지 않고 일본을 철저한 타자로서 이문화로 인식하며 조선의 정체성을 탐구하고자 했던 작가의 내면적 갈등과 교섭의 결과 탄생한 소설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Lee Hyo-seok"s “The Buckwheat Season” has been evaluated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ork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In this paper, I compared three Japanese translations of the novel: T1(1940), translated by the author himself, with T2(1984) and T3(1995). The comparison enables me to identify three important features of T1. First, the words that represented localities were changed to others. Second, T1 gives Chinese characters the names of the protagonists. Third, T1 changes the background of the time of the novel. In conclusion, T1, although done by the author himself, is not a faithful translation of the original but a translation modified for the Japanese reader. The reason for the distortion may be a result of the fact that Joseon was a Japanese colony at the time of the translation. The author had never been assimilated into Japanese culture but wished his book to appeal to Japanese readers as foreign literature. 1936년 『조광』지에 발표된 이효석의 「메밀꽃 필 무렵」은 1940년 일본어로 번역되어 『조선문학선집』(T1)으로 출판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작가자역으로 표기된 T1을 『조선단편소설선』(T2),『일제시대민족문학대역선』(T3)에 실린 「메밀꽃 필 무렵」의 일본어역과 지역원형어를 중심으로 비교 고찰했다. 그 결과 T1은 지역원형을 이루는 민속적 어휘의 지칭 범주를 축소시키고, 고유명사에 한자를 추가적으로 부여하며, 등장인물 ‘동이’의 젊음을 강조하고, 소설 전체의 시간적 배경을 조정하는 등 일본어권 독자들에게 이해하기 쉬운 형식으로 변형되어 있음을 밝혔다. 결론적으로 지배・피지배라는 정치적 위계가 존재하는 두 언어권의 접촉 공간에서 수행된 T1은 목표어에 기울어져 있으며, 지역원형어의 굴절된 번역은 식민지 시기 문학공간 자체의 불균형적 구조를 반영하고 있다. 일본어권 독자의 이국주의적 상상력을 자극하는 배경 속에서 등가물로 번역될 수 없는 지역원형어는 「메밀꽃 필 무렵」이 두 문화권이 격돌하는 긴장된 지점에 서 있음을 방증한다. 아울러 그 원인이 작가의 일본문단으로의 진출 및 일본 독자의 확보에 있었다는 점을 추정해 보면 일본어역 검토 결과는 원작의 새로운 평가로 환원될 수 있다. 본 작품은 일본에 결코 동화되지 않고 일본을 철저한 타자로서 이문화로 인식하며 조선의 정체성을 탐구하고자 했던 작가의 내면적 갈등과 교섭의 결과 탄생한 소설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Lee Hyo-seok"s “The Buckwheat Season” has been evaluated as one of the most representative works of Korean modern literature. In this paper, I compared three Japanese translations of the novel: T1(1940), translated by the author himself, with T2(1984) and T3(1995). The comparison enables me to identify three important features of T1. First, the words that represented localities were changed to others. Second, T1 gives Chinese characters the names of the protagonists. Third, T1 changes the background of the time of the novel. In conclusion, T1, although done by the author himself, is not a faithful translation of the original but a translation modified for the Japanese reader. The reason for the distortion may be a result of the fact that Joseon was a Japanese colony at the time of the translation. The author had never been assimilated into Japanese culture but wished his book to appeal to Japanese readers as foreign literature.

      • KCI등재

        日韓機械翻訳使用に関する認識と日本語の誤用例研究 ― オンライン授業を受講した韓国の大学生を中心にして ―

        齊藤良子 ( Saito Ryoko ),齊藤明美 ( Saito Akemi ) 한국일어교육학회 2024 일본어교육연구 Vol.- No.66

        近年、新型コロナウイルス感染防止のために韓国の多くの大学で実施されたオンライン授業の課題として提出された日本語作文にみられる誤用は新型コロナウイルス流行以前の対面授業での課題作文にみられた誤用とは様相が異なっていると思われる。このような日本語の誤用に変化をもたらした要因の一つに日本語の作文を書く際に学生が用いた翻訳アプリ、翻訳サイト、翻訳ソフト等を含む機械翻訳の影響があったと思われる。オンライン授業を受講し教室以外の場所で書いた日本語作文は、対面授業での日本語作文とは異なり辞書や教科書を参考にする以外に日本語のできる知り合いの力を借りたり、機械翻訳をすることをも可能にした。本研究では、まず、オンライン授業を受講した韓国の大学生が課題の日本語作文を書く際に、どの程度翻訳アプリ等を使用しているのかについて現状を調査した。また、翻訳アプリを使用している学生は翻訳アプリをどのように認識し、どのような使い方をしているのかについても明らかにしようとした。さらに、学生が韓国語と日本語で、同じ内容で書いた作文をもとに、日本語作文にみられる誤用例と翻訳アプリの誤訳とを比較し分析することによって、翻訳アプリの使用と日本語に誤用が生じた原因との間に関連があるか否かについても調査した。調査の結果、大部分の学生が翻訳アプリ等を使用しているが、認識の仕方と使い方は専攻、学習歴と関連があることが明らかになった。機械翻訳が一般化しつつある現在、機械翻訳と日本語教育を初めとする言語教育との共存を実現するためには、このような研究が必要であると思われる。 Many South Korean universities have adopted online classes to prevent the spread of COVID-19. Recently misusage examples seen in Japanese composition assignments submitted in these classes differ from those in conventional face-to-face classes before the COVID-19 pandemic. One factor that led to this change is the influence of machine translation, which includes translation apps, translation sites and translation softwares that students use when writing. In case of online classes, students can write Japanese compositions outside of the classroom, asking for help from Japanese speaking acquaintances and using machine translation, while students would use dictionaries and textbooks in face-to-face classes. This study surveys the actual status of the usage of translation apps among online-class students when writing Japanese compositions, as well as examines how students recognize translation apps and how they use them. Composition assignments written in both Korean and Japanese with the same content were used to compare and analyze word misusage seen in the Japanese compositions and mistranslation by translation apps. This study looked for relevant factors between the use of translation apps and the actual misusage in the writing. Results of this survey shows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used tools such as translation apps, but the condition of recognition and usage was relevant to the students’ major subject and their individual study history. With machine translation becoming increasingly common, studies such as this are necessary to achieve coexistence of language education including Japanese and machine translation.

      • KCI등재

        중역(重譯)의 죄: 식민지 조선의 번역 주체와 매개로서의 일본어/일본문학

        손성준 한국비교문학회 2020 比較文學 Vol.0 No.80

        This paper discusses guilt that remained after the process in which the subjects of translation in colonial Joseon transplanted Western modern literature by means of the Japanese language/ Japanese literature. The body of this paper divides the guilt into two types, thereby reconsidering the meanings of two debates on translation in which the Haeoemunhakpa (Foreign Literature School) was involved. The first guilt about double translation is selfreproach resulting from having failed to realize original texts properly, and the second guilt arose from the reinforced colonial subordination of Joseon literature to the Japanese language/Japanese literature due to double translation. The two debates in which Haeoemunhakpa participated were linked with the first guilt and the second guilt, respectively. Although their controversial points were different, they were ultimately in line with each other in that they dealt with guilt over double translation. What the Haeoemunhakpa used in common as weapon in the two debates was ‘direct translation.’ This is a corroborative evidence that they ignored ‘what to translate,’ being preoccupied with the question of ‘how to translate,’ or they lacked competence to carry out the former independently. Looking at the results, the Haeoemunhakpa, which claimed to undertake the mission of liberating the Joseon literary circles from the sin of double translation, did nothing but stimulate guilt over double translation, which had widely been spread across the Joseon literary circles, in a way out of its hands. The fundamental reason why the Haeoemunhakpa could not but be faced with the antipathy of literary people, whether they were on the so-called left wing or right wing, will also have to be found from this point. 이 글은 식민지 조선의 번역 주체들이 일본어/일본문학을 통해 서구 근대문학을이식하는 과정에서 잔류한 죄의식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은 것이다. 본론에서는그 유형을 두 가지로 구분한 후, 이를 통해 해외문학파가 연관된 두 차례의 번역 논쟁이 지닌 의미를 재고해 보았다. 중역의 첫 번째 죄의식이 원문을 제대로구현해내지 못하는 데서 오는 자책이라면, 두 번째 죄의식은 중역으로 인해 일본어/일본문학에 대한 조선문학의 식민성이 강화되는 데서 오는 것이었다. 해외문학파가 참여한 두 논쟁은 각각 첫 번째와 두 번째 죄의식과 연동되어 있었다. 논점은 달랐지만 결국 중역의 죄의식을 다룬다는 점에서 그 논쟁들은 동궤에 있다. 두 논쟁에서 해외문학파가 공통적으로 내세운 무기는 ‘직접역’이었다. 이는 그들이 ‘어떻게 번역할 것인가’의 문제에만 매몰되어 ‘무엇을 번역할 것인가’를 등한시했거나, 후자를 독자적으로 수행할 역량이 부족했다는 증좌이다. 중역의 죄로부터 조선 문단을 해방하겠다는 사명을 자임하고 나선 해외문학파는, 결과적으로보자면 조선 문단에 널리 퍼져 있던 중역의 죄의식을 감당할 수 없는 방식으로 자극한 것에 지나지 않았다. 해외문학파가 소위 우파나 좌파를 불문하고 문인들의 반감에 직면할 수밖에 없었던 근본 이유 또한 이 지점에서 찾아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한․일 수동문의 번역 양상에 대한 고찰 - 주어의 유생성의 차이를 중심으로 -

        최서영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본연구소 2023 日本硏究 Vol.- No.97

        本稿は韓国と日本の現代小説に現れた受動文を対象に、原書の受動文が翻訳書では どのように現れているのかについて考察した。 考察に当たっては主語の有情性を基準に、A.韓国語有情物主語の受動文に対する日 本語翻訳文、B.韓国語非情物主語の受動文に対する日本語翻訳文、C.日本語有情物主 語の受動文に対する韓国語翻訳文、D.日本語非情物主語の受動文に対する韓国語翻訳 文の四つのタイプを設定し、それぞれのタイプでの翻訳の在り方について分析した。 まず<受動文が維持․能動文への転換>の様相を見ると、A、B、Dタイプでは、受動 文に翻訳された例が能動文に翻訳された例より多かったが、Cタイプでは逆に能動文に 翻訳された例が受動文に翻訳された例より多く、他のタイプとは異る傾向を見せた。 能動文として翻訳された際の内訳をみると、A、B、Dタイプでは、自動詞文に翻訳 された例が、Cタイプでは他動詞文に翻訳された例がもっとも多かった。 自動詞文として翻訳された例の割合がもっとも高かったのはBタイプ(韓国語非情物 主語の受動文に対する日本語翻訳文)で、その理由については 日本語の有対他動詞は 非情物を対象として取ることが多く、同一語根をもった非情物主語の受動文と自動詞 文の成立を支えているため と論じた。 他動詞文として翻訳された例の割合がもっとも高かったのはCタイプで、他動詞文 に翻訳された場合は、主語変更を伴いながら他動詞文に翻訳された場合(動作主視点に 転換)と主語変更を伴わずに翻訳された場合(対象視点․相手視点が維持)があった。 言われる で代表される言語活動動詞の場合は、主語変更を伴って他動詞文に翻訳 されることも、主語変更を伴わずに他動詞文に翻訳されることも可能で、他動詞文へ の転換可能性が高いものと予想された。 先行研究では 日本語の受動文に対応する韓国語能動文には他動詞文がもっとも多 い と指摘されていたが、本稿の分析結果、Cタイプ(日本語有情物主語の受動文に対 する韓国語翻訳文)では指摘通りであったが、Dタイプ(日本語非情物主語の受動文に 対する韓国語翻訳文)では他動詞文より自動詞文が頻出した。先行研究で有情物主語の 受動文の韓国語翻訳文あるCタイプの特徴を、韓国語翻訳文の全体的な特徴として一 般化した可能性も考えられる。 In this study, It is examined how the subject's animacy relates to the translation pattern of passive sentence. In Korean novels-Japanese translations and Japanese novels-Korean translations, I set four types (type A is Japanese translations of the Korean animate subject, type B is Japanese translations of the Korean inanimate subject, type C is Korean translations of Japanese animate subject, type D is Korean translations of Japanese inanimate subject) Of the four types A to D, three types (A, B, D) were translated into passive sentence more often than active sentence. But In the Korean translation of the Japanese animate subject(type C), it was more often translated into active sentence, in particular the translation into the transitive sentence was prominent. In the examples translated into the transitive sentence, there were cases which accompanied by a subject change(a change of focus) and which does not accompanied by a subject change. In the case of verbal activity verb represented by ‘iwareru’, the focus can be changed to the actor, or it can be maintained as the counterpart, so it was assumed that it is likely to be translated to active verb. The type with the highest percentage of intransitive sentence is B type. The reason for the high rate of appearance of intransitive sentence is that there are many verbs that take inanimate nouns as the object, supporting the establishment of inanimate subject passive and intransitive sentences with the same root in Japanese.

      • KCI등재

        한시의 시적 리듬과 번역 -韓譯과 日譯을 중심으로-

        장보,김성문 동아시아고대학회 2024 동아시아고대학 Vol.- No.73

        본고는 5언과 7언의 음수율을 기반으로 하는 한시의 리듬이 한국어와 일본어로 번역될 때 어떻게 구현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우선 원시의 리듬을 고찰하고 한역과 일역의 리듬 번역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한시 번역에 관한 연구는 다양한 방면에서 이루어져 왔으나 지금까지의 번역은 의미를 중심으로 하여 원시의 운율과 리듬에 대해서는 소홀히 여긴 측면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시의 번역 방법론을 리듬론에 초점을 맞추어 한․중․일 삼국 정형시의 리듬을 비교 분석하여 한역과 일역의 리듬적 대응 방법론을 제시해 본 시도이다. 본고는 우선 한․중․일 정형시의 공통 기반인 음수율적 체계를 비교 고찰하였는데, 그 결과 그 언어적인 차이점에서 기인하는 율격적 특성은 번역 불가능성의 연장선에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한․중․일 전통시가는 각각 음보율, 고저율, 음수율의 다른 율격적 자질을 갖고 있어 한시 번역에 있어서 율격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는 점은 대체로 동의하나 결론적으로 운율 번역은 대안이 될 수 없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한자 문화권에서의 한시는 중국 문학으로만 존재한 것이 아니라 동아시아의 공동 문학으로 한국과 일본에서는 그동안 한시를 한자어로 율독하고 향유하였다. 한․일 양국의 한문 율독을 살펴보면 한국은 한국어의 어순에 맞추어 현토화를 통해 한문을 이해하고 한시를 읊은 것에 비해, 일본은 훈독으로 한문에 가명을 달아 한자의 뜻을 새겨서 율독하였다. 이러한 율독 양상을 통해 한․중․일 시가는 율격론의 공통 기반으로 음수율적 체계를 갖고 있으며 리듬론의 차원에서 또한 등시성을 이루는 음보를 통해 음보율상의 유사성을 확인하였다. 한시는 돈(頓)에 의해 5언시는 2․2․1 또는 2․1․2, 7언시는 2․2․2․1 또는 2․2․1․2의 음수율적 체계를 지닌다. 리듬의 측면에서 5언시는 ‘OO OO O*’의 3음보 율조를 이루며 7언시는 ‘OO OO OO O*’의 4음보 율조로 구성되는데, 이는 돈에 의한 것이며 뒤에 휴지가 온다. 이처럼 음률 기반의 돈 분할은 두 글자가 1음보로 마지막 한 글자는 행말 휴지와 아울러 1음보를 충족한다. 시행의 각 음보는 이로써 ‘등시성(等時性, isochrony)’을 이루는 것이 한시의 음영 법칙이다. 한역(韓譯)의 경우 한국 고전시가의 3음보와 4음보 계열의 음보율적 대응을 감안해 볼 때, 5언절구는 3음보로, 7언절구는 4음보로 번역하되 원시의 의미 리듬을 고려하면서 의미량을 전달하는 것이 적합해 보인다. 이에 반해 일역(日譯)의 경우에는, 훈독을 중심으로 하여 의미 전달에 치중할 수밖에 없기에 음보율적 대응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하지만 일본 전통시가는 2음보(2박절)와 4음보(4박절)를 지니며 음보율의 고정성이 강하고, 휴음과 자 넘김의 균형적인 활용을 통해서 3음보의 율독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한시의 일역에 있어서 본고는 원시의 리듬적 대응으로 음보율 번역을 시도해 보았으며 그 결과 의미량의 전달에도 무리가 없다는 결론에 도달하였다. 리듬론의 이러한 관점으로 볼 때, 앞으로 한시의 한역과 일역에 있어서 원시의 정확한 의미 전달과 함께 한시 리듬의 이해를 바탕으로 번역시에도 리듬이 재현 가능하며 이로써 의미와 형식이라는 두 축을 모두 놓치지 않으면서 조화로운 미감을 구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This study explores how the rhythm of Chinese poetry, based on 5- and 7-syllable metrical patterns, is realized when translated into Korean and Japanese. First, we examined the rhythm and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rhythm translation in Korean and Japanese. Although research on the translation of Chinese poetry has been conducted in various fields, translation trends have often overlooked the prosody and rhythm of the original text, primarily emphasizing semantics. Thus, as a formal component, this study focuses on rhythm theory in the translation methodology of Chinese poetry. Vi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hythmic structures of poetry from Korea, China, and Japan, this study endeavors to present the rhythmic correspond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translations. First, we compared and examined the syllable-timed systems that form the common foundation of formal poetry in Korea, China, and Japa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metrical characteristics arising from linguistic differences are generally indicative of the impossibility of translation. In particular, traditional poetry in Korea, China, and Japan each have different prosodic qualities based on feet meter, tonal patterns, and syllable counts. While there is general agreement on the necessity of considering prosodic structures in Chinese poetry translation, metrical translation cannot serve as a viable alternative. However, Chinese poetry in the Chinese character culture did not exist only as Chinese literature but has also been shared as a common literary heritage in East Asia, where reading Chinese poetry in Classical Chinese has traditionally been enjoyed in Korea and Japan. Regarding the metrical reading of Chinese characters in both Korea and Japan, in Korea, postpositions were used in accordance with the word order of the Korean language to understand Chinese characters and recite Chinese poetry, while in Japan, Chinese characters were read by adding hiragana characters and engraving the meaning through reading. Through this aspect of metrical reading, Korean, Chinese, and Japanese poetry have a “syllable-timed system” as a common basis for rhythm theory. Furthermore, at the level of rhythm theory, similarity in metric rhythm was confirmed through isochronous foot division. At the level of rhythm theory, similarity in note rate was confirmed through isochronous rhythmic unit. Chinese poetry has a syllable-timed system of 2·2·1 or 2·1·2 for 5-character poems, and 2·2·2·1 or 2·2·1·2 for 7-character poems by caesura. In terms of rhythm, the 5-character poem is composed of the three feet meter of “OO OO O*,” and the 7-verse poem is composed of the four feet meter of “OO OO OO O*.” This is followed by caesura. This division is governed by tonal structure, where two characters comprise one rhythm unit, with the final character satisfying the tonal requirement along with the following one-character pause. Thus, the caesura based on rhythm ensures that each unit maintains isochrony, thereby constituting the metrical reading of Chinese poetry. In traditional Korean poetry, a consistent structure exists with three and four feet meter patterns, while in Chinese poetry, 5-character poems consist of three rhythmic units, and 7-character poems consist of four rhythmic units, thus forming a consistent rhythmic foundation throughout the poem. In the case of Korean translations, translating 5-character poems into three feet meter and 7-character poems into four feet meter patterns while taking the original semantic rhythm to effectively convey the intended meaning into account seems appropriate. On the other hand, in Japanese translations, focusing on reading Chinese characters, inevitably emphasizes the conveyance of meaning; therefore, responding in terms of metric rhythm is somewhat difficult. However, traditional Japanese poetry possesses both two and four feet meter patterns, thereby demonstrating a strong adherence to metric consistency...

      • KCI등재

        일본어 번역의 매개로 읽는 현진건의 단편 번역소설 -「행복」·「가을의 하로밤」·「고향」을 중심으로-

        권정희 ( Kwon Jung-hee ) 국제한국문학문화학회 2016 사이 Vol.21 No.-

        이 글은 현진건의 단편 번역소설 「행복」·「가을의 하로밤」·「고향」을 중심으로, 식민지기 한국에서의 서구 문학의 중역의 의의와 일본어 번역의 매개의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다시 말하면, 본고는 서양 원작의 일본어 번역과 현진건의 단편번역소설을 비교함으로써 저본을 발굴·특정하고 일본어 번역을 경유한 `중역`의 경위와 일본어 번역의 매개의 의의를 해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고에서는 19세기 말부터 20세기 초에 걸쳐 러시아 모더니즘 문학으로 분류되는 아르치바세프(M. P. Artsybashev), 고리키(M. Gorkii), 치리코프(E. N. Chirikov)원작의 일본어 번역과 현진건의 단편 번역소설을 비교분석했다. 현진건의 단편 번역소설은, 각각 원작의 일본어 번역인 나카지마 기요시(中島淸) 의 「幸福」과 에토도시오(衛藤利夫) 의 「秋の一夜」와 세키구치 야사쿠(關口彌作) 의 「田舍町」를 저본으로 한 중역임을 밝혔다. 이것은 종래, 서양소설과의 관계에서만 논의되어 온 현진건의 단편번역소설을, 원작을 매개한 일본어 번역과 비교함으로써 저본을 특정함으로써 동시대 문학에 접촉해가는 양상을 드러낸 것이다. 이로써, 현진건의 단편번역소설이 함축하는 다기한 `중역`의 문제계를 가시화했다. 구체적으로는, `소품(小品)`으로 제시되었던 「幸福」의 일본어 번역을 통해서 `단편소설` 장르의 용어와 개념을 둘러싼 지정학적 비대칭성의 차이를, 또한 「가을의 하로밤」에서는 지명 등 고유명사의 번역을 계기로 저본을 특정하기 위한 번역의 불가역성을, 「고향」에서는, `이국의 풍경`을 읽는 번역자의 텍스트의 `향수`의 번역어에 뿌리를 둔 개제의 문제를 쟁점으로 하는 각기 다양한 논의를 전개했다. 이로써, 본고에서는 `중역`에 의한 현진건 번역소설의 의의를, 소설 형식의 환기와 근대번역어의 계기로서의 일본어 번역의 매개의 의의를 중심으로 해명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significance of mediacy of Japanese translation and cultural meaning of double-translation of western literature in colonial Korea by focusing on Hyun Jin-gun`s translated Short stories “haengboku”, “Kaure harobam”and “Kohyang”. In particular,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nvestigate the Japanese translation of source text and to clearly understand the process of double-translation of the Japanese translation by comparing Hyun Jin-gun`s translated Short stories with the original work of the Western. To resolve the problem, the original writers of these stories are M. P. Artsybashev, M. Gorkii, and E. N. Chirikov respectively, who are categorized as Modernism in Russia,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the early 20th century. In Japan, these original stories were translated and published as “Kohuku” (translated by Nakajima Kiyoshi), “Akinoichiya” (translated by Eto Toshio), and “Inakacho” (translated by Sekiguchi Yasaku). Hyun Jin-gun`s translation source is from Japanese translation. The precedent studies on Hyun Jin-gun`s translated Short stories emphasized the relations between western original works and Korean translations. However, this article has examined the process and the impact that Hyun Jin-gun received from contemporary literature. Thus, this study revealed that Hyun Jin-gun`s translated Short stories has various problem of double-translation. To be more specific, “Haengboku”was introduced as a short piece, and it shows geopolitical unsymmetry regarding conceptuali-zation of Short story genre. Furthermore, “Kaure harubam” presents irreversibility in determining source text in translating proper noun. In “Kohyang”, the translation of the word nostalgia and change in the original title by translator Hyun Jin-gun who read the exotic landscape is notable. Therefore, this paper has clarified the mediacy of the Japanese translation as the turning point for modern translation language and inspiration in a form of the Short story, in Hyun Jin-gun`s translated Short stories through the double-trans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